KR101009915B1 -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 Google Patents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915B1
KR101009915B1 KR1020100042102A KR20100042102A KR101009915B1 KR 101009915 B1 KR101009915 B1 KR 101009915B1 KR 1020100042102 A KR1020100042102 A KR 1020100042102A KR 20100042102 A KR20100042102 A KR 20100042102A KR 101009915 B1 KR101009915 B1 KR 10100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elf
block
suppor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홍
김재홍
Original Assignee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녹화산업(주) filed Critical 대산녹화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42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9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9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bstract

PURPOSE: A device for afforesting a vertical wall and a high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to enable plants to be grown on a high inclined surface or a vertical wall by supporting vegetation soil using a lathe assembly. CONSTITUTION: A device for afforesting a vertical wall and a high inclined surface comprises front blocks(7), supports(30), lathes(42), and irrigation pipes(44). The front blocks are formed in the front ends of reinforced soil layers(3), respectively. The supports are installed in the front blocks. Pedestals are protru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supports. The lathes are supported by the supports. Vegetation soil(43)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blocks. The irrigation pipe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talled by passing through the lathes. The irrigation pipes are installed through the shelf according to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soil layer in both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directions. Water is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unit(46) to the irrigation pipes.

Description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Vertical wall and high slope recording device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본 발명은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해 발생하는 고경사면 또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벽을 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wall and a high slope recor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ical wall and a high slope recording device for recording a high slope or various types of vertical walls generated by cutting or fill.

도로나 하천변 등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면의 안정화와 함께 녹화를 실시하게 된다. Slopes caused by cuts or embankments such as roads or riversides are generally greened together with stabilization of slop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the loss and collapse of soils and to improve the landscape.

사면을 녹화하기 위한 공법으로 다양한 것이 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9883호의 사면녹화 보강토공법이 있는데, 이는 절토나 성토지의 사면을 녹화함에 있어서, 형틀을 사용하여 보강토층을 형성하고,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식생토층을 형틀과 보강토층의 선단 사이에 형성하게 된다.Various methods are proposed for recording slopes. For example, there is a slope recording reinforcement earthwork method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19883, which is to record the slope of the cut or fill land, using a form to form a reinforcement soil layer, a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to move the form forward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formed between the mold and the tip of the reinforced soil layer.

하지만, 종래의 보강토공법은 보강토층의 형성 후에 형틀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성토층 선단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오랜 기간의 경과 후에 성토층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method, since the mold is moved forward after the 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workability is inferior and the strength of the fill layer is relatively low,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fill layer is damaged after a long period of time.

그리고, 종래의 보강토공법은 상기 식생토층의 표면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상부방향으로만 향하게 되어 있어, 식생토층에 자라는 식물이 지표면에 대해 상방으로 자라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이 지표면에서 사면을 볼 때, 사면에서 자라는 식물뿐만아니라 상기 형틀의 일면도 많이 보이게 되어 녹화의 정도가 상당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method, the surface of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directed upward only based on the ground surface, so that the plants growing on the vegetation soil layer grow upwards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Therefore, when people look at the slope from the ground, not only the plants growing on the slope but also one side of the template is se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greening is considerably lowered.

그리고, 상기 종래의 방식의 경우, 식생토층이 지표면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향하도록 보이게 되므로 예각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에만 채용할 수 있고, 직벽으로 되는 부분에는 녹화공법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since the vegetation soil layer appears to face upward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the vegetation soil layer may be adopted only on the inclined surface having an acute inclina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greening method cannot be adopted in the portion that becomes the straight wall.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면에 자라는 식물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자연적 강수에만 의존하므로 녹화 후에 식물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does not have a structure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water to plants growing on slopes,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vival rate of the plant after greening is lowered because it relies only on natural precipit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토층의 형성시에 보강토층의 선단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이 보강토층의 형성 전후에 위치변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ront end block located a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at the time of 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does not change 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토층의 구성과 선단블록에 구비되는 선반지지구가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and the shelf support provided in the tip block phys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을 향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 표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녹화할 수 있는 녹화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eening method that allows plants to grow toward the front of the high inclined plane or the vertical wall so that almost all of the high slope or the vertical wall surface area can be recor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적층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서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받침부가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어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 식생토가 위치되게 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식생토층의 내부를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최상부의 보강토층에 구비된 물공급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관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end block which is provided and laminated at each of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and the front end block is installed on the front end block A support having a support portion extended from the front of the front surface to be inclined upwardly, a shelf supported by the support for positioning vegetation soil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ip block, vertical through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soil layer through the shelf, and It is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mprises a watering pipe which is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provided in the upper reinforcement soil layer.

상기 선단블록은 전면을 형성하는 선단벽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벽과,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벽, 측면벽 및 후단벽에 의해 선단블록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의 폭은 상기 후단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front end block includes a front end wall forming a front surface, a side wall forming both sides, and a rear end wall forming a rear surface, and the penetrating portion penetrates vertically through the front end block by the front end wall, the side wall, and the rear end wall. The width of the front end wall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 wall.

상기 선단벽과 후단벽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벽과 후단벽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요입단차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과 선단벽에 걸쳐 상기 요입단차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된다.A partition wall is formed to connect the front end wall and the rear end wall at the same time to partition the through part. The partition wall and the top end wall are formed to have a recessed step difference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is seated, and the partition wall and the front end wall. A guide channel connected to the indentation step portion and to which the support is seated is formed over.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측면벽이 만나는 위치에 해당되는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의 관통부의 모서리에 안착되는 돌출러그가 돌출되어 형성된다.On the bottom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front end block is formed a protruding lug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portion of the front end block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상기 지지구는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구획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평밀착부와, 상기 수평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 상면에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i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clined upward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block, a vertic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seated in the guide channel formed on the front end wall of the front end block, and extends from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It includes a horizontal contact portion seated on the guide channel formed in the front end wall and the partition wall of the tip block, and a hoo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an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wall of the recess stepped portion of the front end block. .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수평밀착부와 걸이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밀착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의 일단부와 연결된다.The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ook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의 상면쪽에 형성된 일측 고정돌기를 둘러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부에 상기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연결된다.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surrounding one sid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rear end wall of the recessed step of the front end block, and a reinforcing material for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is connected to the hook portion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삭제delete

상기 선반에 채워진 식생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의 양단이 상부에 있는 선반의 하단 중간에 있는 연결구와 하부에 있는 선반의 선단에 있는 연결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Both ends of the geogrid or mesh network ar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t the middle of the lower end of the upper shelf and the connector at the lower end of the shelf to prevent the vegetation soil filled in the shelf from flowing down.

상기 선반은 그 길이방향의 횡단면이 삼각형의 톱니형상으로 되고, 하면 중간부를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연결구가 장착되고 선단을 따라 연결구가 장착된다.
The shelf has a triangular tooth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protruding ribs are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to mount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along the tip.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보강토층의 선단을 선단블럭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보강토층을 형성할 때 사용된 선단블럭을 그대로 보강토층 선단에 있도록 하므로 보강토층의 선단 강도가 높아지고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can be more firmly using the tip block, and the tip block used when form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is left a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so the tip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is increased and workability is improved. have.

본 발명에서는 선단블럭을 보강토층의 선단에 두고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상기 선단블럭에 고정되어 선단블럭의 전면에 식생토층이 설치되는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구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전체 구조가 일체화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게 수직벽과 고경사면을 형성하고 녹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block is placed a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and a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is fixed to the tip block and can be fixed to a support for supporting a shelf on which the vegetation soil layer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ip block. Since it can be integ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form and record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inclined surface more firmly.

본 발명에서는 선단블럭의 전면에 식생토를 선반조립체를 사용하여 지지하여 식물이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의 전방 방향을 향해 자랄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고경사면 또는 수직벽 표면적의 거의 대부분을 녹화할 수 있게 되어 수직벽과 고경사면을 확실하게 녹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soil is suppor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block using the shelf assembly so that the plant can grow toward the front of the high inclined plane or the vertical wall, so that most of the high inclined plane or the vertical wall surface area can be recorded. The effect is that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can be recorded reliab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구의 선단에 형성된 받침부에 가해지는 선반과 식생토의 하중을 선단블록에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밀착부와 수평밀착부가 선단블록의 제1 및 제2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식생토의 하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and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channels of the tip block so as to support the load of the shelf and vegetation soil applied to the supporting portion formed at the tip of the supporter on the tip block.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vegetation soil more firm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및 고경사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시공된 성토층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선단블록과 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선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수직벽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된 부분에 선단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ll layer construc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end block and the suppor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helf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end block is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vertical wall curved surface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 및 고경사면 녹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표면(1)에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그 위에 보강토층(3)을 일정 두께씩 차례로 형성하여 보강토층(3)의 선단이 수직벽 또는 고경사면으로 되게 한다. 참고로 상기 잡석기초(1') 부분은 상기 보강토층(3)의 선단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선단블록(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토층(3)은 반드시 상기 지표면(1)과 같은 높이에서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표면(1)보다 아래부터 보강토층(3)이 시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잡석기초(1')는 상기 지표면(1)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잡석기초(1')에는 잡석기초(1')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기 위한 횡배수유공관(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rubble foundation 1 'is formed on the ground surface 1, and a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formed thereon in order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a vertical wall or a high sloped surface. To be. For reference, the rubble foundation 1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block 7 to be described below.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start at the same height as the ground surface 1, and as shown in FIG. 1,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may be started from below the ground surface 1. In this case, the rubble foundation 1 ′ i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ground surface 1. The rubble foundation 1 'may be provided with a horizontal drainage pipe (not shown) for draining the water delivered to the rubble foundation 1'.

도 1에는 성토부에 수직벽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벽을 형성함에 있어 일정 두께의 보강토층(3) 사이에는 보강재(5)가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5)로는 시공중 토사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내생물학적 내화학적 성질을 가진 조밀한 격자모양을 가진 섬유질로 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5)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각각의 보강토층(3)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Figure 1 shows that the vertical wall is formed in the fill. In forming the vertical wall, a reinforcing material 5 is used between the reinforcing soil layers 3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 may be made of a fiber having a dense lattice shape with the biological and chemical resistance to prevent soil loss during construction. The reason for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 is to allow each of the reinforcing soil layers 3 to be more firmly formed.

참고로,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직벽 대신에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단에 형성되는 보강토층(3)으로 갈수록 보강토층(3)의 선단을 그 하부의 보강토층(3)에 비해 약간 씩 후퇴되도록 형성하면 된다.For reference, in form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t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instead of the vertical wall. In this case,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gradually moved toward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formed at the top. The reinforcing soil layer 3 in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retreat little by little.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보강토층(3)의 선단이 확실하게 형성되도록 선단블록(7)을 사용한다. 상기 선단블록(7)은 그 구성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단블록(7)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횡단면이 일정하게 형성된다.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the front end block 7 is used so that the ti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surely formed. The tip block 7 is well illustrated in FIG. 3. The front end block 7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cross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constantly formed.

상기 선단블록(7)은 전면을 사각 판상의 선단벽(9)이 형성하고 양측면을 역시 사각 판상의 측면벽(13)이 각각 형성한다. 상기 측면벽(13)은 평면도로 볼 때 선단블록(7)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가면서 양단의 측면벽(13)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e front end block (7) is formed by the front end of the square plate-shaped end wall (9) and both sides of the square plate-shaped side wall (13), respectively. The side wall 13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wall 13 of both ends is narrowe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front end block 7 in plan view.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의 배면을 사각판상의 후단벽(11)이 형성한다. 상기 후단벽(11)의 폭은 상기 선단벽(9)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선단블록(7)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벽 및 고경사면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선단블록(7)에 의해 수직벽의 모서리가 곡면으로 된 것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And the rear end wall 11 of the square plat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end block (7). The width of the rear end wall 11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ront end wall 9. Such a configuration allows the edges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leading block 7 to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It is shown in FIG. 7 that the edge of the vertical wall is curved by the tip block 7.

상기 측면벽(13)의 사이에는 구획벽(15)이 있어 선단블록(7)의 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17)를 구획한다. 상기 관통부(17)는 상기 잡석기초(1')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그 내부에 자갈과 같은 것이 채워짐에 의해 배수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A partition wall 15 is provided between the side walls 13 to partition the through part 17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tip block 7 up and down. The penetrating portion 17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ubble foundation 1 ', and may serve as a drainage function by filling the inside with gravel.

상기 후단벽(11)과 구획벽(15)의 상면 일부에는 요입단차부(21)가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요입단차부(21)중 상기 후단벽(11)에 해당되는 부분 양단에는 고정돌기(2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3)는 상기 후단벽(11)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 높이로 된다.The recessed stepped portion 21 is formed to be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wall 11 and the partition wall 15. Fixing protrusions 23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concave stepped portion 21 corresponding to the rear end wall 11. The fixing protrusion 23 is a height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wall (11).

상기 구획벽(15)의 상면에는 상기 요입단차부(21)와 연결되고 상기 선단벽(9)까지 연장되게 제1가이드채널(25)이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채널(25)과 연결되게 상기 선단벽(9)의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제2가이드채널(26)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채널(25,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지지구(30)의 수평밀착부(36)와 수직밀착부(34)가 안착되는 부분이다.The first guide channel 25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5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cave step portion 21 and extend to the tip wall 9. The second guide channel 26 extends upward and downward on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wall 9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channel 25. The first and second guide channels 25 and 26 are portions in which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and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34 of the support 30 are described below.

상기 선단블록(7)의 하면 양단, 보다 상세하게는 선단벽(9) 양단과 측면벽(13)이 각각 만나는 위치에는 돌출러그(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러그(27)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선단블록(7)이 적층될 때 하부에 있는 선단블록(7)의 관통부(17) 모서리인 A 영역에 위치되어 선단블록(7)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Protruding lugs 27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block 7, more specifically, at both ends of the front end wall 9 and the side wall 13. The protruding lug 27 protrudes into a flat hexahedron shape and is positioned in an area A, which is an edge of the penetrating portion 17 of the lower end block 7 when the leading block 7 is stacked, and is disposed between the end blocks 7. Do not allow relative movement.

지지구(30)는 상기 선단블록(7)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와이어나 철근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구(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선반(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구(30)는 선반(42)과 함께 선반조립체를 형성한다.Support 30 is to be installed in each of the front end block 7, it may be made of a wire or reinforcing ba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support 30 serves to support the shelf 42 to be described below. The support 30 forms a shelf assembly together with the shelf 42.

상기 지지구(30)의 선단에는 받침부(32)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32)는 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받침부(32)의 각도는 대략 20도 정도로 된다. 상기 받침부(32)는 선반(4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e tip of the support 30, the supporting portion 32 is form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pport 32 is mad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The angle of the base 32 is approximately 20 degrees. The support 32 serves to support the shelf 42.

상기 받침부(32)의 일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럭(7)의 제2가이드채널(26)에 안착되게 수직밀착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밀착부(34)는 상기 선단블록(7)의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력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밀착부(34)에서 연장되고 상기 수직밀착부(34)와 대략 직교하게 수평밀착부(36)가 연장된다. 상기 수평밀착부(36)는 상기 선단블록(7)의 제1가이드채널(25)에 안착된다. 상기 수평밀착부(36)와 수직밀착부(34)는 각각 선단블록(7)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부(32)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A vertical contact part 34 is formed to extend from one end of the support part 32 and to be seated in the second guide channel 26 of the front end block 7.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34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end block 7 and is install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extends from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34 and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34. The horizontal contact part 36 is seated on the first guide channel 25 of the front end block 7.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and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34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front end blocks 7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support 32.

상기 수평밀착부(36)에서 연장되어 연결부(3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8)는 상기 수평밀착부(36)의 연장방향에 대해 경사진 연장방향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38)는 대부분이 상기 요입단차부(21) 상에 지지된다.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ortion 38. The connection portion 38 has an extending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Most of the connecting portions 38 are supported on the concave stepped portion 21.

상기 연결부(38)에서 연장되어 걸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40)는 상기 고정돌기(23) 후단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단벽(11)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걸이부(40)중 상기 고정돌기(23) 사이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상기 보강재(5)가 걸어진다.The hook portion 40 extend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8. The hook portion 40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23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ear end wall 11. The reinforcing material 5 is hooked to a portion of the hook portion 40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23.

상기 지지구(30)는 소정 길이의 와이어나 철근을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인데, 상기 연결부(38)와 걸이부(40)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부(38)가 없이 수평밀착부(36)가 길게 연장되고 걸이부(40)를 절반이 두 겹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40)를 수평밀착부(36)에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 연장되다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하여 수평밀착부(36)의 단부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두 겹으로 걸이부(40)가 만들어지게 하고 계속하여 반대쪽 고정돌기(23)쪽으로 걸이부(40)가 연장되게 하는 것이다.The support 30 is to be formed by bending a wire or re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8 and the hook portion 40 may b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may be extended without the connecting portion 38 and the hook portion 40 may be doubled in half. That is, the hook portion 40 extend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and then bent to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doubl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36. 40 is made to continue and the hook portion 40 is extended toward the opposite fixing projection (23).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는 선반(42)이 얹어진다. 상기 선반(42)은 상기 받침부(32)의 길이에 해당되는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선반(42)은 적어도 2개 이상 다수개의 지지구(30)로 지지된다. 상기 선반(42)은 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횡단면이 삼각형 단면의 톱니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선반(42)의 지지강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선반(42)의 횡단면 형상은 톱니모양 외에도 사각형 단면이나 반원형 단면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A shelf 42 is mounted on the support 32 of the support 30. The shelf 42 has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base 32. The shelf 42 is supported by at least two or more supports 30. In order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helf 42, the cross sectio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sawtooth shape of a triangular cross section. This is to increase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helf (4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elf 42 may be mad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r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in addition to the sawtooth shape.

상기 선반(42)에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즉, 선반(42)의 선단에는 선반(42)을 관통하여 통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을 형성하여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42)의 하면 중간 부분에는 돌출리브(42t)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리브(42t)에 통공이 형성되어 연결구(4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돌출리브(42t)는 상기 선반(42)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4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쉬망(48)이 걸어진다. As shown in FIG. 2, the shelf 4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or 42 ′ can be mounted.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helf 42 penetrates the shelf 42 to form a through hole (not shown) so that the connector 42 'can be mounted. In addition, a protruding rib 42t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42,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protruding rib 42t so that the connector 42 ′ may be mounted. The protruding rib 42t may be formed through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42 or may be formed intermittently. The connector 42 ′ is meshed with a mesh network 48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선반(42)은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지지되면 받침부(32)의 경사에 해당하는 경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선반(42)에는 식생토(43)가 안착된다. 상기 식생토(43)는 상기 중력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여 있는 선반(42)사이에 위치되어 수직벽의 녹화를 위한 식물이 심어진다. The shelf 42 has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art 32 when the shelf 42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32 of the support 30. Vegetation soil 43 is seated on the shelf 42. The vegetation soil 43 is located between the shelves 4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plant plants for greening of vertical walls.

상기 선반(42)에는 그 양단 중앙을 따라서 간섭회피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는 관수관(44)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선반(42)에는 다수개의 통수공(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통수공은 선반(42)상에 안착된 식생토(43)에 공급된 물이 선반(42)의 하부에 있는 또 다른 식생토(43)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The shelf 42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not shown) along the center of both ends thereof.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is a portion for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water pipe 44. The shelf 42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 holes (not shown). The water hole is such that the water supplied to the vegetation soil 43 seated on the shelf 42 is supplied to another vegetation soil 43 at the bottom of the shelf 42.

본 발명에서 상기 식생토(43)에는 물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식생토(43)로의 물공급은 관수관(44)에 의해 수행되는데, 상기 관수관(44)은 중력방향으로 연장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수관(44)은 중력방향뿐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연장되게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vegetation soil 43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supplied with water, looks at the configuration for this. The water supply to the vegetation soil 43 is performed by a watering pipe 44, the watering pipe 4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course, the water pipe 44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the gravity direction.

상기 보강토층(3)의 최상단에는 물공급부(46)가 구비된다. 상기 물공급부(46)는 보강토층(3)의 상면에 내린 강수가 모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물공급부(46)는 강수가 모여져 흘러갈 수 있는 채널 형상으로 된다. 상기 물공급부(46)에 모인 물은 상기 관수관(44)으로 전달된다.The water supply unit 46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The water supply unit 46 is a portion where the precipitation fall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The water supply unit 46 has a channel shape through which precipitation can flow.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upply unit 46 is delivered to the water pipe 44.

한편, 상기 식생토(43)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출원번호 10-2010- 8613에 개시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for supplying water to the vegetation soil 43 may be used as disclosed in the applicant No. 10-2010-8613 of the present applicant.

상기 선반(42)에 안착된 식생토(43)가 선반(42)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을 사용한다. 상기 메쉬망(48)은 하부의 선반(42)의 선단에 구비되는 연결구(42')와 상부의 선반(42)의 돌출리브(42t)에 장착된 연결구(42')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Geogrid or mesh net 48 is used to prevent vegetation soil 43 seated on shelf 42 from flowing down from shelf 42. Both ends of the mesh net 48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42 'provided at the tip of the lower shelf 42 and the connector 42' mounted on the protruding rib 42t of the upper shelf 42, respectively. It is fixed.

그리고, 상기 보강재(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오그리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를 보강재(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강토층(3)의 선단에 해당하는 상기 선단블록(7)의 선단벽(9)의 상면까지 지오그리드가 위치되게 한다. 따라서, 보강재(5)의 선단은 적층되어 있는 선단블록(7)의 사이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aterial 5 may use a geogrid as shown in FIG. When the geogrid is us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 the geogrid is positioned up to the top surface of the tip wall (9) of the tip block (7) corresponding to the tip of the reinforcing soil layer (3). Thus, the tip of the reinforcing material 5 is located between the stacked tip blocks 7.

그리고, 상기 보강재(5)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tri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은 띠형섬유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스트립은 상기 선단블록(7)에 설치된 지지구(30)의 걸이부(40)에 걸어지게 된다.As the reinforcement 5, a strip may be used as shown in FIG. 6. The strip is made of banded fibers. In this case, the strip is hooked to the hook portion 40 of the support 30 installed in the front end block (7).

이와 같이 스트립을 보강재(5)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성토부, 절토부, 곡선부 등에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띠형상인 스트립을 보강재(5)로서 사용함에 의해 보강재(5)를 선단블록(7)과 일체화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토부 뿐만 아니라 절토부의 시공에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절토면을 보강하기 위한 어스 앵커(earth Anchor), 록 볼트(rock bolt), 소일 네일링(soil nailing)의 선단에 스트립인 보강재(5)를 인장하여 연결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When the strip is us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fill part, the cut part, the curved part, and the like. This is because the strip-shaped strip is used as the reinforcing material 5. Since the reinforcing material 5 can be used integrally with the tip block 7, it is possible to form a structurally stable structure not only in the fill section but also in the construction of the cut section. That is, because the reinforcement 5, which is a strip, may be connected to the ends of earth anchors, rock bolts, and soil nailing to reinforce the cut surface, and may be construct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를 사용하여 수직벽을 녹화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cording of the vertical wall using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잡석기초(1')를 형성하고, 이에 보강재(5)를 사용하여 몇 개층의 보강토층(3)을 형성한다. 물론, 지표면(1)상에서 부터 시작해서 보강토층(3)을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 first, the rubble foundation 1 ′ is formed, and several layers of reinforcement soil layers 3 are formed using the reinforcing material 5.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starting from the ground surface 1.

상기 보강토층(3)을 형성함에 있어, 먼저 선단블록(7)을 설치하고 보강토층(3)의 다짐을 수행한다. 하나의 보강토층(3)의 다짐이 완성되고 나면, 선단블록(7)과 보강토층(3) 상에 지오그리드인 보강재(5)를 놓거나 스트립을 상기 선단블록(7)에 설치된 지지구(30)의 걸이부(40)에 걸어 고정한다.In form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first install the tip block (7) and performs the compaction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After the compaction of on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completed, the support block 30 having geogrid reinforcement material 5 is placed on the tip block 7 and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or a strip is installed at the tip block 7. Hang on the hook part 40 and fix it.

다음의 보강토층(3)을 형성하기 위해서 하부 보강토층(3)의 선단블록(7) 상에 선단블록(7)을 적층한다. 이때, 상부의 선단블록(7)은 하부의 2개의 선단블록(7)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부의 선단블록(7)은 하부의 2개의 선단블록(7)에 걸쳐 위치된다. 이때, 상부의 선단블록(7)의 돌출러그(25)는 하부의 선단블록(7)의 관통부(17) 내에 위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의 선단블록(7)에는 각각 지지구(30)가 설치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강토층(3)을 차례로 적층하여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의 관통부(17)에는 자갈이나 마사토 등을 채워넣을 수 있다.The front end block 7 is laminated on the front end block 7 of the lower reinforcement earth layer 3 to form the next reinforcement soil layer 3. At this time, the upper end block 7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two end blocks 7. In other words, the upper leading block 7 is located over the lower two leading blocks 7. At this time, the protruding lug 25 of the upper end block 7 is locat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17 of the lower end block 7. Of course, the lower end block 7 is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30 is installed. In this way it is made by stacking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n sequence. In addition, the penetrating portion 17 of the tip block 7 may be filled with gravel or masato.

한편,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직벽이 형성되면, 선반(42)을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지지되게 설치한다. 참고로, 상기 선반(42)은 두 개의 보강토층(3)을 형성할 때마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략 상기 보강토층(3)의 높이가 20cm 정도인 경우에 상하로 인접한 선반(42)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깝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물론 각각의 보강토층(3)마다 선반(42)을 사용하여도 상관없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rtical wall is formed in this manner, the shelf 42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32 of the support 30. For reference, the shelf 42 may be used every time two reinforcing soil layers 3 are formed. This is to avoid the distance between the shelves 42 adjacent to each other up and down when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about 20 cm. Of course, the shelf 42 may be used for each reinforcement soil layer 3.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보강토층(3)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30)에 선반(42)을 설치한 후에는 물공급을 위한 구성을 설치한다. 물론, 물공급을 위한 구성의 설치 후에 선반(42)을 설치할 수도 있다.Each reinforcement soil layer 3 is formed in this manner, and after the shelf 42 is installed in the support 30, a configuration for water supply is installed. Of course, the shelf 42 may be installed after installation of the configuration for water supply.

물공급을 위한 구성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선반(42) 상에 식생토(43)를 채워넣는다. 상기 식생토(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반(42)의 사이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선반(42)의 선단까지 식생토(43)가 채워지면,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선반(42)의 선단 부분만이 외부로 보이게 된다. 상기 식생토(43)에는 식물이 식재되거나 종자가 이미 포함되어 있어 종자가 발아하여 자라게 되면 녹화가 이루어지게 된다.After installing the configuration for the water supply is filled with vegetation soil 43 on the shelf (42). As shown in FIG. 1, the vegetation soil 43 is filled between the shelves 42, and when the vegetation soil 43 is filled to the tip of the shelf 42, as shown in FIG. 1. Only the tip portion of the shelf 42 is visible to the outside. The vegetation soil 43 is planted or the seed is already contained so that the seed is germinated and grows greening.

상기 식생토(43)가 상기 선반(42)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지지구(30)의 받침부(32)에 식생토(43)의 하중이 작용하여 모멘트가 발생하는데, 상기 수직밀착부(34)가 상기 선단블록(7)의 제2가이드채널(26)에 밀착되어 상기 받침부(32)에 작용하는 하중을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토(43)는 상기 선반(42)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vegetation soil 43 is located on the shelf 42, a load of the vegetation soil 43 acts on the supporting portion 32 of the support 30 to generate a moment, and the vertical contact portion ( 3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channel 26 of the front end block 7 to support the load acting on the support 32. Therefore, the vegetation soil 43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shelf 42.

상기 식생토(43)가 채워진 상기 선반(42)에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지오그리드나 메쉬망(48)은 상기 식생토(43)가 상기 선반(42)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geogrid or mesh net 4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helf 42 filled with the vegetation soil 43. The geogrid or mesh network 48 serves to prevent the vegetation soil 43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helf 42.

한편, 시공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관수관(44)을 통해 지속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46)에 모여진 물은 상기 관수관(44)으로 전달되어 식생토(43)에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construction is made, the water supply can be made continuously through the water pipe (44). The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supply unit 46 is delivered to the water pipe 44 and supplied to the vegetation soil 43.

상기 식생토(43)로 전달된 물은 상기 식생토(43)에 자라는 식물에게 공급될 수 있어, 지속적인 가뭄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자연강수만으로도 녹화를 위한 식물에 물공급을 충분히 할 수 있다.The water delivered to the vegetation soil 43 may be supplied to the plants growing on the vegetation soil 43, so that only a constant drought does not occur, and water supply to the plants for greening is sufficient even with natural precipitation.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예를 들어 상기 선반(42)은 반드시 톱니모양을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선반(42) 자체의 강도가 충분히 지지구(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정도라면 톱니모양 이외의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helf 42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sawtooth shape. If the strength of the shelf 42 itself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support 30 may have a variety of cross-sectional shapes other than jagged.

그리고,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식생토(43)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관(44) 등을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주변 환경이 식생토(43)에 물공급이 충분히 될 수 있는 경우라면 물공급장치가 없어도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watering pipe 44 for supplying water to the vegetation soil 43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For example, i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be enough water supply to the vegetation soil 43, there is no need for a water supply device.

그리고, 상기 선단블록(7)에는 반드시 구획벽(15)이 있을 필요는 없다. 즉, 관통부(17)가 구획벽(15)에 의해 구획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요입단차부(21)는 상기 선단벽(9)과 후단벽(11)에만 형성된다.
The tip block 7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partition wall 15. That is, the penetrating portion 17 does not have to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5. In this case, the recess stepped portion 21 is formed only on the front end wall 9 and the rear end wall 11.

1: 지표면 1': 잡석기초
3: 보강토층 5: 보강재
7: 선단블록 9: 선단벽
11: 후단벽 13: 측면벽
15: 구획벽 17: 관통부
21: 요입단차부 23: 고정돌기
25: 제1가이드채널 26: 제2가이드채널
27: 돌출러그 30: 지지구
32: 받침부 34: 수직밀착부
36: 수평밀착부 38: 연결부
40: 걸이부 42: 선반
43: 식생토 44: 관수관
46: 물공급부 48: 메쉬망
1: surface 1 ': rubble foundation
3: reinforcement layer 5: reinforcement
7: Tip Block 9: Tip Wall
11: rear wall 13: side wall
15: partition wall 17: penetration
21: recessed stepped portion 23: fixed protrusion
25: first guide channel 26: second guide channel
27: protruding lug 30: support
32: base 34: vertical contact portion
36: horizontal contact part 38: connection part
40: hook part 42: shelf
43: vegetation soil 44: watering canal
46: water supply unit 48: mesh network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보강토층의 선단에 각각 구비되어 적층되는 선단블록과,
상기 선단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서 전방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받침부가 구비되는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어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에 식생토가 위치되게 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을 관통하여 식생토층의 내부를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최상부의 보강토층에 구비된 물공급부에서 물이 공급되는 관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A front end block which is provided and stacked at the front end of each reinforcement soil layer which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A support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block and having a supporting part extending inclined from the front of the front end block to the front upper part;
A shelf supported by the support to allow vegetation soil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tip block;
And a watering pipe which is installed in a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inside of the vegetation soil layer through the shelf and is supplied with water from a water supply part provided in the upper reinforcement soil lay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블록은 전면을 형성하는 선단벽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벽과, 후면을 형성하는 후단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단벽, 측면벽 및 후단벽에 의해 선단블록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의 폭은 상기 후단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6. The tip block of claim 5, wherein the front end block comprises a front end wall forming a front surface, a side wall forming both sides, and a rear end wall forming a rear surface, wherein the front end block is formed by the front end wall, the side wall, and the rear end wall. And a through portion formed to penetrate in a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tip wall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 wal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벽과 후단벽을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부를 구획하도록 구획벽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벽과 후단벽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요입단차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구획벽과 선단벽에 걸쳐 상기 요입단차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지구가 안착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so as to connect the front end wall and the rear end wall at the same time, and partitions the through portion, the recessed step difference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rear end wall is seated the support is recessed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slope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channel is connected to the indentation step portion and the support is seated across the partition wall and the tip wal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측면벽이 만나는 위치에 해당되는 하면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선단블록의 관통부의 모서리에 안착되는 돌출러그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wall of claim 7, wherein a protruding lug protruding from a corner of a through portion of the front end block located at a lower side is formed at a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ront end wall and the side wall of the front end block meet. Slope record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선단블록의 전면 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직밀착부와, 상기 수직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선단벽과 구획벽에 형성된 가이드채널에 안착되는 수평밀착부와, 상기 수평밀착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 상면에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upport is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clined upwardly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block, a vertic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seated in the guide channel formed on the front end wall of the front block, and the vertical A horizont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and seated on the guide channel formed at the front end wall and the partition wall of the front end block; and a horizontal contact part extending from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and located at a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wall of the recessed step difference portion of the front end block;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hook.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수평밀착부와 걸이부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평밀착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이부의 일단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horizontal contact portion one end of the hook portion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wi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선단블록의 요입단차부중 후단벽의 상면쪽에 형성된 일측 고정돌기를 둘러 상기 걸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돌기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부에 상기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보강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The reinforcing soil layer of claim 10, wherein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hook part by surrounding one sid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rear end wall of the indentation stepped portion of the front end block, and is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connected.
삭제delete 제 5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에 채워진 식생토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오그리드나 메쉬망의 양단이 상부에 있는 선반의 하단 중간에 있는 연결구와 하부에 있는 선반의 선단에 있는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2. The end of the shelf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11, wherein both ends of the geogrid or mesh network are in the middle of the lower shelf of the upper shelf and the lower shelf to prevent the vegetation soil filled in the shelf from flowing down. Vertical wall and high slope recor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그 길이방향의 횡단면이 삼각형의 톱니형상으로 되고, 하면 중간부를 따라 돌출리브가 형성되어 연결구가 장착되고 선단을 따라 연결구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과 고경사면 녹화장치.
15. The vertical wall and the high inclined surface greenery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shelf has a triangular serrated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protruding ribs are form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so that the connector is mounted and the connector is mounted along the tip. Device.
KR1020100042102A 2010-05-04 2010-05-04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KR1010099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en) 2010-05-04 2010-05-04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en) 2010-05-04 2010-05-04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915B1 true KR101009915B1 (en) 2011-01-20

Family

ID=4361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02A KR101009915B1 (en) 2010-05-04 2010-05-04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9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335A1 (en) * 2021-01-22 2022-07-26 Univ Cordoba Piece for the execution of dikes for erosion control in gullie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48A (en) * 1997-03-04 1998-09-14 Hara Sogyo Kk Slope greening method using frame rack
KR200235107Y1 (en) * 2001-03-29 2001-10-10 김상수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KR20020035107A (en) * 1999-07-23 2002-05-09 보러 롤란드 Compound
KR20070117720A (en) * 2006-06-09 2007-12-13 정재영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20100081698A (en) * 2009-01-07 2010-07-15 민승기 Eco-Friendly Retaining Wall Blo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5848A (en) * 1997-03-04 1998-09-14 Hara Sogyo Kk Slope greening method using frame rack
KR20020035107A (en) * 1999-07-23 2002-05-09 보러 롤란드 Compound
KR200235107Y1 (en) * 2001-03-29 2001-10-10 김상수 Afforestation Retaining-Wall laying Concrete-block
KR20070117720A (en) * 2006-06-09 2007-12-13 정재영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20100081698A (en) * 2009-01-07 2010-07-15 민승기 Eco-Friendly Retaining Wall Blo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335A1 (en) * 2021-01-22 2022-07-26 Univ Cordoba Piece for the execution of dikes for erosion control in gullie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0093A (en) Revetment panel for planting
CN109315237B (en) Method for greening high and steep rocky slope of mine
KR100764019B1 (en) Vertational soil slope structure and method
KR101009915B1 (en)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CN212612526U (en) Be used for steep slope grid beam to plant grass supporting construction in
KR101578349B1 (en) Re boundaries that are constructed on the slopes and slope greening method using boundary material
KR200442424Y1 (en) The block for a breast wall with grass growing structure
KR101197247B1 (en) Plant-growable blocks for the front wall plant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at
KR100794221B1 (en) Retaining wall for planting
JP4742352B2 (en) Wall greening material
KR101138192B1 (en) Afforestation method of vertical wall and shelf assembly thereof
CN209798781U (en) Exposed rock surface greening structure
KR102015296B1 (en) Planting structure of coastal watertight wall
JP2007077771A (en) Seeding and planting retaining wall block
KR100993142B1 (en) Afforestation method of vertical wall and shelf assembly and water supplying apparatus thereof
KR101238787B1 (en) Plant growing gabion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eof
KR200446723Y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with vegetation function of vine plants and shrub plants
KR200451790Y1 (en) a revetment block
KR20110042410A (en) Plant block, plant block fixing anchor, reta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KR101877024B1 (en) Civil Block for Vegetation
KR200451311Y1 (en) Food base plate
JP4050923B2 (en) Greening structure and method of steel sheet pile wall
KR20150113514A (en) Guid Apparatus for Soil Pin of reinforcing a slope
KR101927290B1 (en)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KR102490289B1 (en) Mattress type planting mat and afforestation method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