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290B1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 Google Patents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7290B1 KR101927290B1 KR1020180005904A KR20180005904A KR101927290B1 KR 101927290 B1 KR101927290 B1 KR 101927290B1 KR 1020180005904 A KR1020180005904 A KR 1020180005904A KR 20180005904 A KR20180005904 A KR 20180005904A KR 101927290 B1 KR101927290 B1 KR 101927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idth direction
- slope
- support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claims 2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917 Crataegus X brevi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204 Crataegus X haema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685 Crataegus X malig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44 Crataegus X rubrocar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86 Crataegus bull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81 Crataegus chrysocarp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682 Crataegus limnoph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423 Crataegus monogy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171 Crataegus monogy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13 Crataegus palud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40 Crataegus x incaedu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유실 내지 붕괴 위험성이 있는 사면의 보강을 근간으로 하되, 그 시공에 있어 사면의 경사는 물론 사면의 폭 방향을 따르는 형상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초목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에 따른 사면의 녹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which is based on reinforcement of a slope having a risk of loss or collapse, wherein the slope of the slope in the construction can be easily adapted to th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o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chieving greening of a slope by securing a space for planting vegetation.
일반적으로 산비탈이나 언덕 경사면의 토사 또는 주거지, 공원, 도로, 철도 등과 같은 곳에 인공적으로 형성된 비탈면이나 절개지의 토사가 토압이나 홍수 등에 의해 유실되거나 붕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시공하여 사면을 보호하게 된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to protect the slope in order to prevent artificial slope or slope soil from being lost or collapsed due to earth pressure, flood or the like, such as slope of slope or hill slope, residential area, park, road, .
이렇게 사면에 시공하는 옹벽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으로는, 습식공법 또는 조립식(보강토 옹벽) 공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 중 습식공법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현장 타설의 경우, 바닥콘크리트 시공, 거푸집 설치, 철근의 배근, 콘크리트 타설 또는 거푸집 해체 등에 따른 복잡한 공법으로 시공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고, 현장 기술자에 따라 시공된 옹벽의 품질에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조경식재 등의 미화작업이 불가능함에 따른 미관상 불편함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었다.As a typic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to be installed on the slope, there may be a wet type method or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method. In the case of the concrete installation method corresponding to the wet type method, The construction time is considerably required due to the complicated construction method due to the laying, concrete pouring or die dismantling, the quality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eld engineer may be deviated, and the beauty of the landscaping planting can not be done. There was a problem.
그리고, 조립식 공법에 해당하는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전면판, 이 전면판으로 축조되는 식생이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및 이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이 게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에는 전면부, 바닥부, 날개부, 개구부 및 식생공간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조립식 옹벽용 식생블록을 게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corresponding to the prefabricated construction method,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 및 2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식생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식물의 뿌리가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1년생 초피 또는 넝쿨식물들만이 식재 가능하고, 교목 또는 관목 등과 같은 큰 식물들의 식생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s as in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목적은 유실 내지 붕괴 위험성이 있는 사면의 보강에 따른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되, 옹벽블록의 시공에 있어 사면이 이루는 경사는 물론 사면의 폭 방향을 따르는 다양한 형상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초목의 식재, 특히 교목이나 관목 등과 같은 조경수의 식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확보함에 따른 사면의 녹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식생 옹벽블록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taining wall which can reliably form various shapes along a width direction of a slope as well as a slope of a slope in the construction of a retaining wall block,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capable of achieving greening of a slope by securing a space for enabling vegetation of vegetation of landscaping such as a tree, shrub, and the like to be realiz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은, 이미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사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세워 배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1받침돌기와, 상기 제1받침돌기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1연결부; 및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의 상기 제1받침돌기가 놓이도록 상기 본체부 후면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2받침돌기와, 상기 제2받침돌기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comprising: a main body part having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nd standing up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slope; A first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widthwise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main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protrusion portion,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pedest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part in a widthwise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fastening hole formed to have a front and rear direction length already set in the frame.
상기 본체부는, 폭 방향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된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폭 방향 타측면에 상기 끼움돌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돌부와 결합을 이루는 끼움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may have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n arc-shap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tting groove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forming a fitting groove portion engaging with the fitting protrusion.
상기 본체부는, 전면과 상기 제1받침돌기 사이 부위에 폭 방향을 따라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천공하여 고정앵커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The main body part may fix one or more fixing holes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the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 to fasten the fixing anchor.
상기 제1받침돌기가 대응하는 상기 제2받침돌기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중앙부의 상기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의 체결홀과, 상호 연결된 양측부의 상기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의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체결앵커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roj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s of the mutually connected central portion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upport projections are on the corresponding second support projections and the engagement holes of the first support proj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s The fastening anchor can be fastened and fixed so as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of the projections.
상기 체결앵커의 체결 전, 상기 제1받침돌기의 전면이 상기 본체부의 후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하거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rotrusion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r may be sp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fore the fastening anchor is fastened.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에서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 또는 제2받침돌기들은 상기 체결앵커들에 체결 고정하는 연결편을 통한 상호 연결을 이루고, 상기 연결편은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앵커가 관통하는 체결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djacent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form mutual connections through connecting pieces for fastening and fixing to the fastening anchors, and the connecting pieces are fasten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hrough the fastening anchors Holes can be formed.
양측부의 상기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중, 폭 방향 일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타측면 각각은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이미 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이룰 수 있다.On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ut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both side portion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inclination of the angle which has been already set.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폭 방향으로의 연결을 이룰 수 있다.The conn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achiev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ope forming the widthwise shape of the polygonal or arcuate shape.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들 간의 폭 방향 일측의 제2받침돌기와 타측의 제2받침돌기는 이미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호 적층하여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s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djacent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rotrusions on the other side can be sta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lready set angle.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들 간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게 하거나,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들이 폭 방향 연결을 이루지 않은 채 각각 대응하는 전방의 옹벽블록들과 개별적인 결합을 이루게 하거나,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2받침돌기와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가 서로 어긋나는 결합을 이루게 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s connected in the mutual width dir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tinuously form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p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ope forming the widthwise shape of the arc shape,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retaining wall blocks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making a widthwise connection,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tinuously formed with the second supporting wall protrud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s on the both side portions are mutually offset.
상기 본체부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3받침돌기와, 상기 제3받침돌기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을 포함하는 제3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hird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a width direction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main protector protruding forward and backward and having a front and rear length already set in the third protrusion protrus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necting portion.
길이방향 최하단에 배치된 옹벽블록에 대응토록 이미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최하단의 옹벽블록의 상기 제1받침돌기에 놓이도록 상기 몸체부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4받침돌기와, 상기 제4받침돌기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하여 상기 제1받침돌기의 체결홀과 함께 체결앵커가 관통되도록 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홀을 포함하는 지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late-shaped body portion having a size and a thickness already set to correspon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urth pedestal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first pedestal of the lower end retaining wall block, And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and fastening the fastening anchor so that the fastening hole is pierced with the fastening hole of the first receiving protrusion.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사면의 폭 방향에 대응토록 연결하는 다수의 옹벽블록을 사면의 길이방향에 따라 축조함으로써, 유실 내지 붕괴 위험성이 있는 사면의 보강에 따른 안정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slope are constru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ope, thereby stabilizing the slope due to reinforcement of the slope having a risk of loss or collapse.
여기에서,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들의 제1연결부와 그 하측의 이미 설치된 옹벽블록 제2연결부의 상호 대응관계를 통한 체결 고정을 토대로, 옹벽블록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olid connection stat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an be maintained on the basis of the mutual correspond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ward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lready provided thereunder.
이때, 제1받침돌기와 제2받침돌기의 체결홀에서 체결앵커가 체결 고정되는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른, 옹벽의 시공과정에서 사면의 경사에 용이한 대응을 이룰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fastening anchor is fastened and fixed in the fastening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trusions is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retaining wall.
그리고, 옹벽블록들을 이루는 본체부 폭 방향 양측의 끼움돌부와 끼움홈부의 결합과, 인접한 옹벽블록들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 또는 제2받침돌기들의 연결편을 통한 연결이 가능함에 의해,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옹벽블록들의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tting projections and the fitting recesses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jections on both sides of the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s are possib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widthwise conn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to correspond to the slope forming the widthwise shape.
여기에서,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들 간에 폭 방향 일측의 제2받침돌기와 타측의 제2받침돌기가 이미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호 적층하여 연결함으로써, 다각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second and third supporting protrusions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sta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lready set angle,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the slope formi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ygon .
특히, 폭 방향 일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타측면 각각은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이미 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이룸으로써,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j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s on the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upport project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s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widthwise center side, It is possible to easily cope with a slope having a widthwise shape.
이때,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들 간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게 하거나,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들이 폭 방향 연결을 이루지 않은 채 각각 대응하는 전방의 옹벽블록들과 개별적인 결합을 이루게 하거나, 그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2받침돌기와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가 서로 어긋나는 결합을 이루게 하는 것들을 통해,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되, 사면의 시공환경에 따른 옹벽블록 시공의 다양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utual width dir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tinuously form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p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r the retaining wall blocks formed continuously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rojections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and the central support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which are continuously form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support projections of the both side portions are mutually offset So that various adaptation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of the slope can be made possible.
또한,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들의 전면과 후면 사이 및 최하단의 옹벽블록 전면과 지지블록 후면 사이에 식생토를 채움으로써, 계단식 논 또는 밭과 같은 식생공간을 확보하여 초피 또는 넝쿨식물뿐만 아니라 교목 또는 관목과 같은 큰 조경수의 생장을 통한 사면의 녹화를 이룰 수 있고, 식물의 생장과정에서 식물의 뿌리가 제1받침돌기들 및 제2받침돌기들이 이루는 사이 공간은 물론, 체결홀들을 통해 식생토와 사면을 포함하는 지반으로 깊숙이 박힐 수 있음은, 식물의 원활한 생장과 더불어 사면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vegetation spaces such as terraced paddy fields or fields are secured by filling the vegetation soil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bottom wall of the retaining block and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greening of slopes through the growth of large landscaping plants such as arboreous trees or shrubs, and the roots of the plants in the course of plant growth can provide a space between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The fact that it can be embedded deep into the ground including the soil slope can be a facto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lope in addition to the smooth growth of the plant.
게다가, 고정앵커가 체결 고정되는 고정홀을 통해, 통상의 소일네일링(Soil Nailing), 어스앵커(Earth Anchor) 또는 락볼트(Rock Bolt) 등과 같은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에 축조된 옹벽블록을 보강할 수 있게 되고, 본체부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양의 유실 또는 붕괴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 method such as a conventional soil nailing, earth anchor, or rock bolt is applied through a fixing hole in which a fixed anchor is fastened and fixed to reinforce a retaining wall block built on a slope So that the growth of the plant can be smoothly maintained through the drain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and also the loss or collapse of the soil can be prevented.
뿐만 아니라, 상술한 결합관계를 이루는 옹벽블록의 구성을 통해 암반의 사면인 경우에도 쉽게 적용하여, 조경수의 식재가 가능토록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이는 긴급하거나 임시적인 옹벽의 축조가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며, 조경수의 식재 후, 옹벽의 해체나 재설치 또한 용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slope of a rock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having the above-mentioned coupling relationship,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so as to enable planting of the landscape water, and even when urgent or provisional retaining walls need to be built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dismantle or reinstall the retaining wall after planting the landscape garden.
나아가, 앞서 언급한바 있는,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옹벽블록들의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음을 통해, 이들을 조합하여 등고선형으로의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축조된 옹벽을 조형물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미관상 불편함이 없는 조경의 조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since the widthwise connec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can be realiz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lope forming the widthwise shape of the polygonal or arcuate shape,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m to the contour line type by combining them,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 composition of a landscape without any aesthetic in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의 지지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과 지지블록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이 사면에 축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들이 다양한 형상의 폭 방향 연결을 이룸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pport block of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uppor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on a slope.
FIGS. 9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various widthwise connection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structures in the same or similar categories will be omitted. .
본 발명은 유실 내지 붕괴 위험성이 있는 사면의 보강을 근간으로 하되, 그 시공에 있어 사면의 경사는 물론 사면의 폭 방향을 따르는 형상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초목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에 따른 사면의 녹화를 이룰 수 있게 하는 식생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reinforcement of a slope which is liable to be lost or collap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lope, the slope of the slope can be easily adapted to the shap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ope,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which enables the slope of the slope to be recorded.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 제1연결부(20) 및 제2연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11,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이미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사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세워 배치할 수 있다.The
여기에서, 본체부(10)는 폭 방향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된 끼움돌부(11)를 형성하고, 폭 방향 타측면에 끼움돌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돌부(11)와 결합을 이루는 끼움홈부(12)를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옹벽블록(1)들이 폭 방향으로 연결됨은 물론,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옹벽블록(1)들의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그리고, 본체부(10)는, 그 전면과 후술하는 제1받침돌기(21) 사이 부위에 폭 방향을 따라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홀(13)을 천공하여 고정앵커(F)를 체결 고정할 수 있고, 이때 고정홀(13)을 천공하는 방향은 사면의 경사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앵커(F)는 사면 또는 후술하는 지지구조물(C)에 고정될 수 있다.The
이러한 고정홀(13)을 통해, 통상의 소일네일링(Soil Nailing), 어스앵커(Earth Anchor) 또는 락볼트(Rock Bolt) 등과 같은 공법을 적용하여 사면에 축조된 옹벽블록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A retaining wall block built on a slope can be reinforced through such a
또한, 본체부(10)는, 하나 이상의 배수홀(14)을 형성하는데, 후술하는 제1받침돌기(21) 및 제2받침돌기(31)와 인접한 상측 부위에 폭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천공함이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양의 유실 또는 붕괴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제1연결부(2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1과 같이, 상술한 본체부(10) 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 및 양측부(도면부호 미표시)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1받침돌기(21)와, 제1받침돌기(2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2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o 3 and Figs. 5 to 11, the first connecting
그리고, 제2연결부(30)는,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의 상술한 제1받침돌기(21)가 놓이도록 본체부(10) 후면의 폭 방향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 및 양측부(도면부호 미표시)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2받침돌기(31)와, 제2받침돌기(3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32)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connecting
여기에서,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의 제1받침돌기(21)가 대응하는 제2받침돌기(31)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중앙부의 제1받침돌기(21a) 및 제2받침돌기(31a)의 체결홀(22, 32)과, 상호 연결된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의 체결홀(22, 32)을 관통하도록 체결앵커(L)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Here, when the
이와 같이, 사면의 폭 방향에 대응토록 연결된 다수의 옹벽블록(1)을 사면의 길이방향에 따라 축조함으로써, 유실 내지 붕괴 위험성이 있는 사면의 보강에 따른 안정화를 이룰 수 있게 되고,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1)들의 제1연결부(20)와 제2연결부(30)의 상호 대응관계를 통한 체결 고정을 토대로, 옹벽블록(1)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By thus constructing a plurality of
예컨대, 제1받침돌기(21)는 제2받침돌기(31) 보다 긴 전·후방향 길이를 갖음과 동시에 그 체결홀(22)의 길이도 제2받침돌기(31)의 체결홀(32) 보다 긴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중앙부의 제1받침돌기(21a) 및 제2받침돌기(31a)는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들 및 제2받침돌기(31b)들 보다 그 폭이 2배이고, 체결홀(22, 32)의 개수도 2배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옹벽블록(1)들의 폭 방향 및 길이방향 중앙부에서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루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옹벽블록(1)들의 길이방향 결합에 따른 체결앵커(L)의 체결 전, 도 7a와 같이, 제1받침돌기(21)의 전면이 본체부(10)의 후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하거나, 도 7b와 같이, 제1받침돌기(21)의 전면과 본체부(10)의 후면과 간격을 이루도록 한 다음 체결앵커(L)를 체결 고정할 수 있다.7A, the front surface of the
이처럼, 제1받침돌기(21)와 제2받침돌기(31)의 체결홀(22, 32)에서 체결앵커(L)가 체결 고정되는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함으로써, 옹벽블록(1)의 연결을 통한 옹벽의 시공과정에서 사면의 경사에 용이한 대응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예컨대 도 7a의 θ1이 도 7b의 θ2 보다 더 큰 사면의 경사각도를 이룬다.By adjusting the fastening anchors L in the
더불어,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1)에서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또는 제2받침돌기(31b)들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체결앵커(L)들에 체결 고정하는 연결편(40)을 통한 상호 연결을 이루고, 이러한 연결편(40)은 폭 방향 양측에 체결앵커(L)가 관통하는 체결홀(41)을 형성할 수 있다.9 to 11, the first supporting
이렇게 폭 방향으로 인접한 옹벽블록(1)들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또는 제2받침돌기(31b)들의 연결편(40)을 통한 연결이 가능함에 의해,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옹벽블록(1)들의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The connection of the
이때,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1)들 간의 폭 방향 일측의 제2받침돌기(31b)와 타측의 제2받침돌기(31b)는, 도 9와 같이, 이미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호 적층하여 연결함으로써, 다각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특히,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중, 폭 방향 일측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타측면 각각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이미 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이룸으로써,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of the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폭 방향 일측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타측면 각각이 이루는 이미 설정된 각도(θ)에 의해, 도 10과 같이,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루는 옹벽블록(1)들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또는 제2받침돌기(31b) 사이 각도는 2θ 또는 4θ로 변경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one side surface of the
그리고,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들 간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게 하거나,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1)들이 폭 방향 연결을 이루지 않은 채 각각 대응하는 전방의 옹벽블록(1)들과 개별적인 결합을 이루게 하거나, 도 11과 같이,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2받침돌기(31a, 31b)와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a, 21b)가 서로 어긋나는 결합을 이루게 하는 것들을 통해,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되, 사면의 시공환경에 따른 옹벽블록(1) 시공의 다양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lopes forming the arc-shaped widthwise direction, the retaining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옹벽블록(1)들의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음을 통해, 이들을 조합하여 등고선형으로의 연결이 가능함으로써, 축조된 옹벽을 조형물로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미관상 불편함이 없는 조경의 조성을 이룰 수 있게 된다.Fur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dthwise connection of th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1)은, 도 6과 같이, 상술한 본체부(10)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 및 양측부(도면부호 미표시)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3받침돌기(51)와, 제3받침돌기(5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52)을 포함하는 제3연결부(50)를 더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6, the vegetation retaining
이러한 제3연결부(50) 제3받침돌기(51)의 체결홀(52)에 고정앵커(F) 또는 체결앵커(L)를 체결 고정하여 옹벽블록(1)의 더욱 견고한 설치를 이룰 수 있고, 이때 고정앵커(F) 또는 체결앵커(L)는 사면 또는 후술하는 지지구조물(C)에 고정될 수 있다.The retaining
예컨대, 다른 옹벽블록(1)들 보다는 더욱 견고한 설치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최하단의 옹벽블록(1)에 제3연결부(50)를 적용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사면의 시공환경에 따라 선택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For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1)은, 도 4, 도 5,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지블록(60)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블록(60)은, 길이방향 최하단에 배치된 옹벽블록(1)에 대응토록 이미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몸체부(61) 및 최하단 옹벽블록(1)의 제1받침돌기(21)에 놓이도록 몸체부(61)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도면부호 미표시) 및 양측부(도면부호 미표시)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4받침돌기(62)와 이 제4받침돌기(62)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하여 제1받침돌기(21)의 체결홀(22)과 함께 체결앵커(L)가 관통되도록 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홀(63)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4, 5, 7 and 8, the vegetation retaining
이때, 제1받침돌기(21)의 체결홀(22)과 제4받침돌기(62)의 체결홀(63) 모두를 관통한 체결앵커(L)는, 사면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거나, 사면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anchor L, which penetrates both the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식생 옹벽블록(1)이 상술한 지지블록(60)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축조된 옹벽블록(1)들의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옹벽의 시공을 통한 사면의 안정성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할 것이다.Thus, since the vegetation retaining
여기에서, 지지블록(60) 또한 상술한 본체부(10)와 같이, 폭 방향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된 끼움돌부(64)를 형성하고, 폭 방향 타측면에 끼움홈부(65)를 형성함으로써, 옹벽블록(10)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지지블록(60)들도 끼움돌부(64)와 끼움홈부(65)의 결합을 통한 폭 방향 연결을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지지블록(60)들의 폭 방향 연결은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하는 폭 방향 연결을 이루는 옹벽블록(1)들에 대응하는 연결을 이룰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Here, the
이에 더하여, 지지블록(60)은 본체부(10)와 같이, 제4받침돌기(62)와 인접한 상측 부위에 폭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배수홀(66)을 천공하여 식재된 식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토양의 유실 또는 붕괴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렇게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1)들의 전면과 후면 사이 및 최하단의 옹벽블록(1) 전면과 지지블록(60) 후면 사이에 식생토(S)를 채움으로써, 계단식 논 또는 밭과 같은 식생공간을 확보하여 초피 또는 넝쿨식물뿐만 아니라 교목 또는 관목과 같은 큰 조경수의 생장을 통한 사면의 녹화를 이룰 수 있고, 식물의 생장과정에서 식물의 뿌리가 제1받침돌기(21a, 21b)들 및 제2받침돌기(31a, 31b)들이 이루는 사이 공간은 물론, 체결홀들(22, 32, 52, 63)을 통해 식생토(S)와 사면을 포함하는 지반으로 깊숙이 박힐 수 있음은, 식물의 원활한 생장과 더불어 사면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By filling the vegetation soil (S) betwee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 thus constru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st retaining wall block (1) and the back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60) The roots of the plants are separated from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식생 옹벽블록(1)을 통한 옹벽의 시공 방법으로는, 예컨대 사면의 하단에 옹벽블록(1)과 지지블록(60)을 배치시켜 고정홀(13)에 고정앵커(F)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사면의 하단과 인접하도록 이미 타설된 콘크리트 또는 사면의 하단과 인접한 지반에 제1연결부(20)의 체결홀(22)과 지지블록(60)의 체결홀(63)을 관통한 체결앵커(L)를 고정시킬 수 있다.As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hrough the vegetation retaining
그리고, 지지블록(60)의 후면과 본체부(10) 전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에 식생토(S)를 채우면서, 본체부(10)의 후방에서 제2연결부(30) 하단 또는 제2연결부(30)와 근접한 높이까지 토사를 보충시키거나 사면의 토사를 다져 평탄화를 이룬 다음,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될 옹벽블록(1)의 제1연결부(20)와 최하단 옹벽블록(1)의 제2연결부(30)와의 결합을 이루게 한다.The vegetable soil S is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다음으로, 전방 옹벽블록(1)의 본체부(10) 후면과 후방 옹벽블록(1)의 본체부(10) 전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에 식생토(S)를 채우면서 후방의 본체부(10) 후방에서 제2연결부(30) 하단 또는 제2연결부(30)와 근접한 높이까지 토사를 보충시키거나 사면의 토사를 다져 평탄화를 이룬 다음, 상술한 길이방향 상측으로의 또 다른 옹벽블록(1)의 축조를 이어나간다.Next, the
이러한 과정에서, 옹벽블록(1)들의 폭 방향 연결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면의 폭 방향 형상에 대응토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선택 적용하여 연결하는 시공을 이룰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widthwise connection of the
이때, 상술한 최하단의 옹벽블록(1)과 지지블록(60)을 고정하는 설치를 이루기 전에,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지지구조물(C)을 사면에 밀착시키는 설치를 수행한 다음, 이 지지구조물(C)에 상술한 고정홀(13)을 관통한 고정앵커(F)를 고정시키는 것을 통해, 옹벽블록(1) 축조의 편리함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before the installation for fixing the lowermost
나아가, 상술한 옹벽블록(1)의 연결, 결합 및 고정관계에 있어, 암반의 사면인 경우에도 쉽게 적용하여, 조경수의 식재가 가능토록 옹벽을 시공할 수 있고, 이는 긴급하거나 임시적인 옹벽의 축조가 필요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며, 조경수의 식재 후, 옹벽의 해체나 재설치 또한 용이할 수 있게 된다 할 것이다.Further, in the connecting, joining and fixing relationship of the above-described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ything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hieving the same operational effec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옹벽블록 10 : 본체부
11 : 끼움돌부 12 : 끼움홈부
13 : 고정홀 14 : 배수홀
20 : 제1연결부 21 : 제1받침돌기
21a : 중앙부 돌기 21b : 양측부 돌기
22 : 체결홀 30 : 제2연결부
31 : 제2받침돌기 31a : 중앙부 돌기
31b : 양측부 돌기 32 : 체결홀
40 : 연결편 41 : 체결홀
50 : 제3연결부 51 : 제3받침돌기
51a : 중앙부 돌기 51b : 양측부 돌기
52 : 체결홀 60 : 지지블록
61 : 몸체부 62 : 제4받침돌기
62a : 중앙부 돌기 62b : 양측부 돌기
63 : 체결홀 64 : 끼움돌부
65 : 끼움홈부 66 : 배수홀
C : 지지구조물 F : 고정앵커
L : 체결앵커 S : 식생토1: retaining wall block 10:
11: fitting projection part 12: fitting groove part
13: Fixing hole 14: Drain hole
20: first connection part 21: first support projection
21a:
22: fastening hole 30: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31b: Both side projections 32: Fastening hole
40: connecting piece 41: fastening hole
50: third connection part 51: third support projection
51a:
52: fastening hole 60: support block
61: body portion 62: fourth pedestal projection
62a:
63: fastening hole 64:
65: fitting groove 66: drain hole
C: Support structure F: Fixed anchor
L: fastening anchor S: vegetated soil
Claims (12)
상기 본체부(10) 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1받침돌기(21)와, 상기 제1받침돌기(2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22)을 포함하는 제1연결부(20); 및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의 상기 제1받침돌기(21)가 놓이도록 상기 본체부(10) 후면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2받침돌기(31)와, 상기 제2받침돌기(3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32)을 포함하는 제2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는, 전면과 상기 제1받침돌기(21) 사이 부위에 폭 방향을 따라 사면의 경사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홀(13)을 천공하여 고정앵커(F)를 체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A main body 10 which stands up to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a slope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A first support protrusion 21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length in front and back directions already set in a widthwise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main support portion 10; A first connection part (20) including a fastening hole (22) formed so as to have a direction length; An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re formed with protruding front and rear lengths so that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s 21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30) including a second support projection (31) and a fastening hole (32)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rojection (31)
The main body part 1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ixing hole 13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a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upporting protrusion 21 to fasten the fixing anchor F Wherein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상기 본체부(10)는, 폭 방향 일측면에 호형으로 돌출된 끼움돌부(11)를 형성하고, 폭 방향 타측면에 상기 끼움돌부(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돌부(11)와 결합을 이루는 끼움홈부(1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portion 10 is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1 protruding in an arc shape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11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12) to form a coupling groove (12).
상기 제1받침돌기(21)가 대응하는 상기 제2받침돌기(31)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중앙부의 제1받침돌기(21a) 및 제2받침돌기(31a)의 체결홀(22, 32)과, 상호 연결된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의 체결홀(22, 32)을 관통하도록 체결앵커(L)를 체결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ceiving projections 21a and the second receiving projections 31a of the mutually connected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receiving projections 21 and the second receiving projections 31a of the first receiving projections 21 are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second receiving projections 31, 32) and the fastening anchors (L) so as to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2, 3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rojections (21b) and (31b) .
상기 체결앵커(L)의 체결 전, 상기 제1받침돌기(21)의 전면이 상기 본체부(10)의 후면과 밀착을 이루도록 하거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or is sp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efore fastening the fastening anchor (L) .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1)에서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또는 제2받침돌기(31b)들은 상기 체결앵커(L)들에 체결 고정하는 연결편(40)을 통한 상호 연결을 이루고,
상기 연결편(40)은 폭 방향 양측에 상기 체결앵커(L)가 관통하는 체결홀(4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21b or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31b on both sides in the retaining wall block 1 adjacent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inter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piece 40 fastening and fixing to the fastening anchors L ,
Wherein the connection piece (4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1) through which the fastening anchor (L) passes on both widthwise sides thereof.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b) 및 제2받침돌기(31b) 중, 폭 방향 일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일측면과 폭 방향 타측의 제1받침돌기 및 제2받침돌기 타측면 각각은 폭 방향 중앙부 측으로 이미 설정된 각도의 경사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s 31b Each of which has a slope at an angle set to a widthwise center side of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다각형 또는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폭 방향으로의 연결을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nection is made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slope forming the widthwise shape of the polygonal or arcuate shape.
폭 방향 양측으로 인접한 옹벽블록(1)들 간의 폭 방향 일측의 제2받침돌기와 타측의 제2받침돌기는 이미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상호 적층하여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pedestal bridges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 adjacent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pedestal bridges on the other side are stack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n already set angle.
호형의 폭 방향 형상을 이루는 사면에 대응토록,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들 간에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게 하거나,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과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되는 옹벽블록(1)들이 폭 방향 연결을 이루지 않은 채 각각 대응하는 전방의 옹벽블록(1)들과 개별적인 결합을 이루게 하거나,
상호 폭 방향으로 연결을 이룬 옹벽블록(1)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2받침돌기(31a, 31b)와 길이방향 상측으로 연이어 축조하는 옹벽블록(1)들의 중앙부 및 양측부의 제1받침돌기(21a, 21b)가 서로 어긋나는 결합을 이루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9. The method of claim 8,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slope forming the arc-shaped widthwise shape,
There is a gap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 connected in the mutual width dir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1 form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ward,
The retaining wall blocks 1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utual width direction and the retaining wall blocks 1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dividually engaged with the corresponding retaining wall blocks 1 in the width direction, do or,
The central portion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utual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retaining protrusions 31a and 31b of the both side portions and the central portion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 which are continuously form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21b) are mutually offset from each other.
상기 본체부(10)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3받침돌기(51)와, 상기 제3받침돌기(51)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한 체결홀(52)을 포함하는 제3연결부(5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0,
A third support protrusion 51 protruding from the rear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0 in a widthwise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thereof with a front and rear length already set; Further comprising a third connection part (50) including a fastening hole (52) formed to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getation.
길이방향 최하단에 배치된 옹벽블록(1)에 대응토록 이미 설정된 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몸체부(61); 및
상기 최하단의 옹벽블록(1)의 상기 제1받침돌기(21)에 놓이도록 상기 몸체부(61) 후면 하부의 폭 방향 중앙부 및 양측부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며 돌출하는 제4받침돌기(62)와, 상기 제4받침돌기(62)에 이미 설정된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천공하여 상기 제1받침돌기(21)의 체결홀(22)과 함께 체결앵커(L)가 관통되도록 하여 체결 고정하는 체결홀(63)을 포함하는 지지블록(60)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옹벽블록.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0,
A plate-shaped body portion 61 having a size and a thickness already set correspon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 disposed at the botto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ruding fourth base portion 61 having a front and rear direction length already set in the widthwise center portion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1 so as to be placed on the first support projection 21 of the lowermost retaining wall block 1, The protrusions 62 and the fourth ankle protrusions 62 are punched so as to have a length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and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so that the anchoring anchors L are pushed together with the anchoring holes 22 of the first ankle protrusions 2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lock (60) including a fastening hole (63) for securing and fastening the vegetation retaining wall (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904A KR101927290B1 (en) | 2018-01-17 | 2018-01-17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5904A KR101927290B1 (en) | 2018-01-17 | 2018-01-17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7290B1 true KR101927290B1 (en) | 2019-03-12 |
Family
ID=6580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5904A KR101927290B1 (en) | 2018-01-17 | 2018-01-17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729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75816A (en) * | 2004-08-06 | 2004-08-30 | 김길평 | An incline protection block for river |
KR20050102349A (en) | 2004-04-22 | 2005-10-26 | 이정수 | Reinforced earth wall facing panel,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by use of 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KR200446445Y1 (en) | 2008-12-30 | 2009-10-30 | 유한회사 동일특수콘크리트 | Block for plants |
KR101407968B1 (en) * | 2013-10-10 | 2014-06-17 | 이성락 |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ing Method of Inclined Surfa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Water Channel Wall using such Concrete Panel |
-
2018
- 2018-01-17 KR KR1020180005904A patent/KR101927290B1/en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2349A (en) | 2004-04-22 | 2005-10-26 | 이정수 | Reinforced earth wall facing panel, plantable reinforced earth wall by use of it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wall |
KR20040075816A (en) * | 2004-08-06 | 2004-08-30 | 김길평 | An incline protection block for river |
KR200446445Y1 (en) | 2008-12-30 | 2009-10-30 | 유한회사 동일특수콘크리트 | Block for plants |
KR101407968B1 (en) * | 2013-10-10 | 2014-06-17 | 이성락 | Concrete Panel for Retaining Wall, and Reinforcing Method of Inclined Surfa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Water Channel Wall using such Concrete Pan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587005U (en) | Drainage / water retention device | |
US6764252B2 (en) | Retaining wall system | |
KR101193330B1 (en) | A planted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927290B1 (en) | Vegetation retaining wall block | |
KR100408850B1 (en) | The Landscape Block With Receiving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Within Retaining Wall | |
KR20110042410A (en) | Plant block, plant block fixing anchor, reta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 |
KR101012655B1 (en) | Block for a breast wall can live plant | |
KR101394315B1 (en) | Vegetation wall | |
KR20130122181A (en) | Vegetation block and retaing wall structure using that | |
KR20190101950A (en) | Cut slope wall comprized of vegetation panel | |
JPS6011168Y2 (en) |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slopes | |
JP3266876B2 (en) | Soil / cover soil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545940B1 (en) | Block structure of slope for road | |
JP3774459B2 (en) | Assembly fence | |
KR101041683B1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 |
JP3164196U (en) | Three-dimensional wall garden | |
KR101138192B1 (en) | Afforestation method of vertical wall and shelf assembly thereof | |
KR100517315B1 (en) | Landscape architecture method for slope of appartment house | |
KR101009915B1 (en) | Afforestation apparatus of vertical wall | |
KR200324831Y1 (en) | Retaining Wall for Planting | |
KR101446666B1 (en) | A planting block, wall structure and planting method using the lanting block | |
KR200258869Y1 (en) | Concrete blocks for breast wall | |
KR100663257B1 (en) | A block for a retaining wall | |
JP2769444B2 (en) | Greening block and greening method | |
JP2000038733A (en) | Vegetating concrete blo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