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904B1 -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904B1
KR101009904B1 KR1020060013165A KR20060013165A KR101009904B1 KR 101009904 B1 KR101009904 B1 KR 101009904B1 KR 1020060013165 A KR1020060013165 A KR 1020060013165A KR 20060013165 A KR20060013165 A KR 20060013165A KR 101009904 B1 KR101009904 B1 KR 101009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flammatory
composition
forsythi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293A (ko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정은선
현창구
홍성택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9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박하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 활성을 나타내고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항염 조성물.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소나무, 약쑥, 양대줄기, 어성초, 왕벗꽃나무, 조릿대

Description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Ant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plant extract}
도 1은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 12종의 NF-kB 프로모터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 12종의 TNF a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은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 12종의 Interleukin-8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 12종의 인간 각질세포인 HaCaT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소나무, 약쑥, 양대줄기, 어성초, 왕벗꽃나무 및 조릿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르랜드 (Dorland)의 의학 사전에 정의된 바대로, 염증이란 조직의 상해 또는 파괴에 의해 유발되는 국소 보호 반응으로, 이는 상해 유발 물질과 상해된 조직 모두를 파괴하거나, 약회시키거나 또는 차폐하는 작용을 한다. 염증의 특징은 미세혈관이 천공되고, 혈액 성분이 틈새 공간으로 누출되고, 백혈구가 염증 조직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거시적 측면으로는, 이는 통상적으로 홍반, 부종, 통각과민 (민감성) 및 통증 등의 친숙한 임상적 증상들을 동반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반응을 하는 동안, 히스타민, 5-히드록시트립타민, 다양한 화학주성 조성물, 브래디키닌, 로이코트리엔 및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화학적 매개 물질들이 국소적으로 유리된다. 식세포가 이 영역으로 이동하고, 세포의 라이소좀막이 파괴되어서 분해 효소를 방출한다. 이러한 모든 작용은 염증 반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염증 반응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염증에 의해 특정지워지는 임의의 반응이다. 염증 반응이 상이한 질병 및 상해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많은 물리적 불편함 (이를테면, 통증 및 기능의 손실)을 일으킨다는 것은 의학분양에서 공지되어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염증반응의 물리적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제약학적 제제를 투여하는 것은 통상적인 의료 관례이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작용 물질은 항염증성으로 분류된다. 항염증성 약제는 광범위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되고, 동일한 약제가 종종 상이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된다. 항염증성 약제를 사용하는 치료는 질병에 대한 것이 아니라, 대부분 증상 (즉, 염증)에 관한 것이다.
항염증제, 진통제 및 해열제는 흔히 화학적으로 관련이 없는 다른 군들의 화합물들이나, 특정 치료작용 및 부작용을 공유한다. 천연 및 합성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제는 혈압 상승, 염 및 물의 정체, 신장 손상, 칼륨 및 칼슘 분비의 증가를 비롯한 수많은 부작용을 일으킨다.
스테로이드계 물질의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성 작용물질 (NSAID) 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중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이 살리실산염이다.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아스피린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진통-해열 및 항염증성 물질이다. 하지만 다량 투여시 부작용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호흡촉진현상, 순환계 붕괴, 상복부 통증, 구토, 위장출혈, 간손상, 혈소판 저해 등 다양한 부작용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많은 종류의 항염증성 물질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이 없고 우수한 항염 효능을 보유한 물질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제주 지역에 자생하는 식물 종을 대상으로 항염 스크리닝을 수행하여, 이들 식물 종 중에서 항염 활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안전한 천연 항염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의약품 및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우수한 항염 활성을 가지는,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박하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 무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식품 또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 성분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항염 효과를 가지는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소나무, 약쑥, 양대줄기, 어성초, 왕벗꽃나무 및 조릿대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항염 활성을 가지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12가지 식물, 구체적으로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소나무, 약쑥, 양대줄기, 어성초, 왕벗꽃나무 및 조릿대 추출물 각각이 NF-κB 프로모터 활성과 호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추출물이 유의적인 항염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도 4) 인체 피부에 안전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2).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 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모든 기관, 예들 들어 뿌리, 가지, 줄기, 잎, 꽃 및 열매를 모두 포함하여 의미하나, 바람직하게는 개나리는 줄기, 고추는 잎, 박하는 줄기, 뱀딸기는 잎, 뽕나무는 뿌리, 삼백초는 잎, 소나무는 잎, 약쑥은 줄기, 양대는 줄기, 어성초는 줄기, 왕벗꽃나무는 줄기 및 조릿대는 줄기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물 단독 추출물 또는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승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혼합물의 형태는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양태에서,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이다. 추가로, 박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조릿대 추출물, 박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에서 각 식물 추출물이 혼합되는 비율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나리 추출물, 고추잎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양대줄기 추출물, 왕벗꽃나무 추출물 및 조릿대 추출물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 1 ~ 10 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서는 각 성분을 동일 중량비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식물 추출물은 각각의 식물을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들 성분들을 모두 혼합하여 동시에 추출하거나 개개 성분들을 최적의 조건에서 추출한 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수 추출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성분들을 물에 가하여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온도에서 2 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상 가열하고 가열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가열하는 경우 시간은 줄어들지만 유효성분이 파괴되어 손실될 수 있고, 상기 온도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게 되면 혼합물의 유효성분이 완전하게 추출되지 않으므로 온도 조절과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추출액은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추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등의 알콜, 에틸렌, 아세톤, 에테르,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디메틸설폭사이드), 이들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유기 용매로 추출할 수 있다.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 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하여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식물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비(%)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염 조성물은 상기한 식물 추출물 이외에도 이의 항염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추가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수한 항염 활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염, 자극완화, 진정작용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약, 화장품, 식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지루 (seborrhea), 건선 (psoriasis), 여드름 (acne) 등과 같이 염증반응을 동반하는 피부질환 관련 제품에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항염 조성물로 가공된 화장품, 식품,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품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는 바가 없으며, 목적에 따라서 통상적인 경구용, 비경구용, 국소투여용 등의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등의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 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및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 연고제, 스프레이제, 로션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농산물, 축산물 또는 수산물의 특성을 살려 변형시킨 가공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들 들어, 과자,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륙가공식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은 건강식품(기능성 식품,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건강식품(기능성 식품, 건강보조식품)은 정제, 캡술제, 분말, 과립, 액상제,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형물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화장품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제한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에 있어서, 상기의 식물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에 배합되는 성분에는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 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등이 있다.
유지 성분은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지용성 고분자 보습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에몰리언트제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트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알코올은 세테아릴 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에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서 선별된 12종의 식물추출물의 제법
100여종의 식물 추출물중에서 개나리, 고추잎, 박하, 뱀딸기, 뽕나무, 삼백초, 소나무, 약쑥, 양대줄기, 어성초, 왕벗꽃나무 및 조릿대의 12종의 추출물이 NF-kB 프로모터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억제하였다.
12가지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되었다.
개나리줄기, 고추잎, 박하줄기, 뱀딸기잎, 뽕나무뿌리, 삼백초잎, 소나무잎, 약쑥줄기, 양대줄기, 어성초줄기, 왕벗꽃나무 줄기 및 조릿대 줄기를 채집하여 잘게 분쇄하고 분쇄물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 부피의 에탄올으로 실온에서 15 일간 침적시켜 추출하였다. 여과포로 여과한 후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3회씩 더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여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나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 항염 효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사용하여 NF-kB 프로모터에 대한 활성을 루시퍼라아제 방법 (luciferase assay)을 이용하여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THP -1 세포에서의 NF - kB 루시퍼라제 활성( luciferase activity) 측정
THP-1세포를 6 well dish (Nunc)에 각각 1X106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superfect transfection reagent (Qiagen)를 이용하여 NF-kB luciferase reporter plasmid DNA를 형질감염(transfection)시켰다. 형질감염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LPS (100 ng/ml)를 처리하여 THP-1세포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식물 추출물 각각을 각 농도 (1 mg/ml, 10 mg/ml)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후 세포를 수집하여 Luminometer (Berthold Technologies)를 이용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Young, B.C., Chan, K.K., and Yungdae, Y. (1999). J. Immunol . 163: 5242-5249). 각각의 식물 추출물들에 대한 NF-kB 활성 억제능은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NF-kB 프로모터 활성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
실시예 3 - 호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에 미치는 식물 추출물들의 효과
THP-1 세포를 6 well dish에 1X106개의 세포를 분주한 후, LPS (100 ng/ml)를 처리하여 THP-1세포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식물추출물들을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48시간후에 세포배지로 분비된 IL-8과 TNF-a를, ELISA kit (Genzym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Benjamin, R. V., Shijun, Y., and James, J. L. (1995). Infection and Immunity 63: 3158-3165). 도 2와 3에 보듯이, LPS에 의해 유도된 IL-8과 TNF alpha 생산이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 12종 추출물에 의해 모두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도 2, 도 3)
실시예 4 - 식물추출물들의 세포독성 평가
항염제로 사용될 경우 인체에 대하여 독성이 없어야만 그 용도를 넓혀 나갈 수 있다. 이러한 독성 시험에서 가장 간편하면서도 확실한 독성시험이 인간 세포를 이용한 세포독성 시험이다. 통상 세포독성에서 독성이 없으면 개체수준에서 독 성이 나타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간주한다.
식물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에 대해 인간 각질세포주인 HaCaT(한국세포주은행)과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태평양(주))를 이용해 MTT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와 HaCaT의 경우, 시험한 농도에서 개나리를 포함한 12종의 식물추출물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도 4)
실시예 5 -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제주자생식물 추출물들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5-1) 제주 자생식물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외용제의 제조
상기와 같이 항염효과가 우수하다고 판명된 제주자생 식물추출물들이 인체피부에도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제주자생식물추추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고 이에 의한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주자생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는 표 1의 성분함량으로 제조하였다. 표 1에서 대조군은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피부외용제이다.
피부외용제 제조를 위하여,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70 ℃에서 용해하였으며 (물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 ℃에서 용해하였다 (오일파트). 상기 오일파트를 물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 (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 을 최종 첨가하였다. 혼합액에 셍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외용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6010081718-pat00001
5-2) 피부누적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5-1)에서 제조한 각 피부외용제를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첩포를 시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주자생 식물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ul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아래의 공식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균반응도=[[반응지수x 반응도/ 총피검자수 x 최고점수 (4점)] x 100 ] ÷ 검사회수 (9회)
이 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Figure 112006010081718-pat00002
상기 표 2에서처럼 시험군의 경우, 특별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 상기 기재된 식에 따라 계산하면 개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한 12종의 평균반응도가 0.18이 되어, 12종 모두 3이하가 되므로 안전한 조성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6 - 급성경구독성시험
식물 추출물들이 식품에도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급성 경구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로서 5내지 6주령 된 SPF SD계 랫드 20마리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온, 습도조건: 온도 22도 +/- 2도. 상대습도 50 +/- 10%
명암 사이클: 형광등조명(08시 점등~20시 소등)
조도: 200-300Lux
자외선 처리된 음용수는 자유섭취 시킴
시험물질을 멸균증류수에 희석하여 투여시료를 제조하여 대조구로서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동량 투입하였다.
투여 당일은 4시간까지 매 시간마다 일반상태를 관찰하고, 투여 다음날부터 14일까지는 매일 1회씩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주의깊게 관찰하고 여러 가지 병리 해부학적인 검증을 거쳐 독성 유무를 판단하였다. LD50이 2700mg/kg B.W.이었으며, 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 들은 우수한 항염 효능을 나타내며,동물과 인체 안전성 시험에서 어떠한 독성이나 자극도 발생하지 않아 인체사용에 있어 안전한 물 질이므로, 화장품, 의약, 생활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항염목적으로 유용하 게 이용가능하다.

Claims (9)

  1. 양대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양대줄기 추출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인 항염 조성물.
  6. 제1항의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7. 제1항의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8. 제1항의 항염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9. 제8항에 있어서, 화장품의 제형이 연고, 로션, 화장수, 팩 또는 에센스인 화장품.
KR1020060013165A 2006-02-10 2006-02-10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009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65A KR101009904B1 (ko) 2006-02-10 2006-02-10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165A KR101009904B1 (ko) 2006-02-10 2006-02-10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293A KR20070081293A (ko) 2007-08-16
KR101009904B1 true KR101009904B1 (ko) 2011-01-20

Family

ID=3861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165A KR101009904B1 (ko) 2006-02-10 2006-02-10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9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10B1 (ko) * 2007-01-30 2011-09-3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33306B1 (ko) * 2009-06-10 2011-05-09 김충환 항균, 소염, 항산화기능을 가지는 외용제용 한약증류액
KR101227081B1 (ko) * 2010-06-30 2013-01-28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제주조릿대에서 분리한 페닐프로파노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항염증성 조성물
KR101483727B1 (ko) * 2013-11-11 2015-01-1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디 유래 색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JP2003063980A (ja) * 2001-08-28 2003-03-05 Noevir Co Ltd Rantes産生阻害剤
KR20030053417A (ko) * 2001-12-22 2003-06-28 함종천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KR100515975B1 (ko) 2003-07-30 2005-09-21 심호웅 진세노사이드 사포닌과 게르마늄이 첨가된 바라는 비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74A (ko) * 2000-05-31 2000-10-05 이승열 건강증진약초입욕제의제조방법
JP2003063980A (ja) * 2001-08-28 2003-03-05 Noevir Co Ltd Rantes産生阻害剤
KR20030053417A (ko) * 2001-12-22 2003-06-28 함종천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KR100515975B1 (ko) 2003-07-30 2005-09-21 심호웅 진세노사이드 사포닌과 게르마늄이 첨가된 바라는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293A (ko)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Jain et al. Traditional Indian herb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MX2007005886A (e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terapeuticas derivadas de la planta garcinia mangostana l.
KR102033089B1 (ko) 항균, 항염증, 피지감소, 각질박리 및 피부진정용 조성물
KR101626437B1 (ko) 피부 염증 개선 또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ggarwal et al. Various pharmacological aspects of Cocos nucifera-A review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Niknam et al. Phytochemistry and Phytotherapeutic Aspects of Elaeagnus angustifolia L.
KR20080113478A (ko) 항염활성을 갖는 미성숙 감귤 정유추출물
KR101009904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312373A1 (en) Antiallergic agents, drugs, foods, drinks or cosmetics contain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1224238B1 (ko) 혼합 식물 추출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0769302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상처치유및 피부 소양증 치료및 개선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0820237B1 (ko)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372360B1 (ko) 피부노화 억제 효과를 갖는 무취 마늘추출물 및/또는 가시오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103173A (ko) 코엔자임 q10을 포함하는 피부보호 조성물
Silalahi Morinda citrifolia: Bioactivity and utilization as traditional medicine and food for the community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Ullah et al. Medicinal benefits of 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for human health
KR101184313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