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1295A -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1295A
KR20110121295A KR1020100040829A KR20100040829A KR20110121295A KR 20110121295 A KR20110121295 A KR 20110121295A KR 1020100040829 A KR1020100040829 A KR 1020100040829A KR 20100040829 A KR20100040829 A KR 20100040829A KR 20110121295 A KR20110121295 A KR 2011012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garlic
skin
pomegr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이혜숙
지경엽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040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1295A/ko
Publication of KR2011012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통(월경통(dysmenorrheal, menstrual cramp)) 완화에 도움을 주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로서 대부분의 생리통이 있는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아랫배 통증, 허리 통증 등의 생리통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고,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며,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Composition of External Skin Preparation for Alleviation of Menstrual Cramp}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통(월경통(dysmenorrheal, menstrual cramp)) 완화에 도움을 주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로서 대부분의 생리통이 있는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아랫배 통증, 허리 통증 등의 생리통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고,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며,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통 완화에 도움을 주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리통 환자의 생리 전이나 생리기간 동안 발생하는 생리통을 완화 및 치료하는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생리통은 가임기 여성의 약 50%에서 나타나는 흔한 부인과적 증상으로, 골반 내 특별한 이상 징후 없이 월경 시에 주기적인 통증을 보이는 일차성 생리통과 골반 내의 병리적 변화와 연관되어 나타나는 이차성 생리통으로 나누어진다.
일차성 생리통은 자궁내막 내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생성 증가로 인한 증상으로, 이것은 월경시 자궁근육의 강한 수축을 일으켜 통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일차성 생리통은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지나제 (Cyclooxygenase, COX)를 억제함으로써 치료가 가능하며, 생리통에 사용하는 진통제(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작용 원리가 이것이다.
이차성 생리통은 골반강 내 이상 징후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주기적인 생리통으로, 원인은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증, 자궁 내 장치 등이 있다.
생리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일차성 생리통의 완화 및 치료 요법으로는 하복부를 따뜻하게 하고 차가운 음식은 피하며 가벼운 운동을 하고 몸의 혈액순환을 돕는 따뜻한 샤워를 하는 대증요법(對症療法), 프로스타글란딘 억제제를 투여하는 방법, 배란을 억제하여 무배란 상태를 유지하는 에스트로겐(estrogen) 요법,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요법, 테스트로스테론(testrosterone) 요법, 자궁수축 억제제를 투여하는 방법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중 가장 보편적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방해하는 진통제(아스피린 계)를 복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아스피린 계 약물에 알레르기가 있거나 위궤양이 있는 사람은 이를 사용할 수 없으며, 진통제에 너무 의존하거나 장기 복용하면 부작용이 따를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한의학에서 따뜻한 성질을 갖는 한약재인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를 복부에 사용함으로써, 복부를 따뜻하게 하고 자궁 근육을 이완시켜 생리통이 있는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아랫배 통증, 허리 통증 등의 생리통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고,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며,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를 발명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지방세포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성지방을 글리세롤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하여 배출하는 과정을 촉진하고, 체지방을 감소시켜 비만을 억제하고,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바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을 일정 혼합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추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의 생리통 완화 피부외용제는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의 혼합물의 조성은,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1 내지 40 중량%, 쑥 1 내 40 중량%, 계피 1 내지 40 중량%, 마늘 1 내지 40 중량%, 산초 1 내지 40 중량%, 및 정향 1 내지 4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석류(Punica granatum L.)는 석류나무의 열매로서 안석류, 산석류 또는 감석류 등으로도 불리우며, 지름 6~8cm에 둥근 모양을 하고 있다. 단단하고 노르스름한 껍질이 감싸고 있으며, 과육 속에는 많은 종자가 있다. 주요 성분으로 당질(포도당 과당)이 약 40%를 차지하며 유기산으로는 새콤한 맛을 내는 시트르산이 약 1.5%을 함유하여 혈액 정화 및 순환작용을 한다. 또한, 칼슘, 칼륨, 마그네슘, 아연, 철분 등 우리 몸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미네랄 성분들을 풍부하게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 석류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C 등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서 신체 내에서 각종 기능의 조절 및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한 좋은 영양소를 제공한다.
쑥(Artemisia princeps Pamp .)은 국화과(Compositaea)의 다년생 식물로 흔히 애엽(艾葉), 약쑥이라 불리우며, 전초 또는 잎을 건조한 것을 애엽이라 한다. 전초에는 정유, 탄닌질, 쓴맛물질, 아르테민산, 아스코르빈산, 카로틴이 있고, 잎에는 씨네올, 알파-투욘, 보르네올, 파라핀 , 아데닌, 콜린, 비타민 A, B, C, D 등이 있다. 한의에서 수렴성 지혈약, 진통약으로 자궁출혈, 복통, 혈변이 있을 때 쓰며 강장보혈약으로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상용 약용식물도감, 약품식물 연구회편, 신일상사, 2000).
계피(桂皮)는 녹나무과의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 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로서 맵고 따뜻한 성질이 있으며, 비위를 따뜻하게 하고,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없애고,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이 있다. 기혈의 순환을 촉진시켜 오래된 종기, 잘 낫지 않는 피부궤양을 치료하며, 피부 진균의 억제 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마늘(Allium sativum L.)은 백합과(Liliaceae) 알리움(Allium) 속 식물로 호냉성(好冷性) 월동 채소이지만 내한성은 강하지 않으며 내서성도 약하다. 마늘은 독특한 맛과 향 및 약리 효과로 인하여 예부터 향신료와 한방 의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우리 나라에서 재배되는 마늘은 생태형에 따라 한지형(寒地型) 마늘과 난지형(暖地型) 마늘로 구분된다. 한지형 마늘은 고온장일성(高溫長日性)을 나타내는데 반하여, 난지형 마늘은 저온장일성(低溫長日性)을 나타낸다. 마늘은 향신료로서뿐만 아니라 100가지 이로움이 있다고 하여 한방에서는 '일해백리'리고 칭할 정도로 우리 몸에 이로운 식품으로, 예부터 항균, 저 혈당,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 노화 방지 등 각종 생리적·기능적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생리 활성은 알리인(alliin)이 알리이나제(alliinase)에 의하여 생성된 알리신(allicin)과 이 알리신이 재차 분해되거나 결합되어 생성된 2-비닐-[4H]-1,3-디틴(2-vinyl-[4H]-1,3-dithin), 2-비닐-[4H]-1,2-디틴 (2-vinyl-[4H]-1,2-dithin), 아조엔(ajoene)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산초는 초피나무(Zanthoxylumpiperitum DC .) 또는 기타 동속식물(산초과 Rutaceae)의 과피로 씨를 될 수 있는 대로 제거한 것이다. 중국에서는 청초(Z. schinifolium Siebold et Zucc.), 화초(Z.bungeanum Maxim.)의 과피를 쓴다. 산초의 성상은 2∼3분과로 이루어진 삭과로 각 분과는 편구형으로서 2편으로 갈라지고 각조각(片)의 지름은 약 5mm이다. 과피의 바깥면은 어두운 황적색∼어두운 적색으로 유실(油室)에 의한 많은 오목한 작은 점이 있고, 안쪽 면은 엷은 황백색이다. 횡단면은 현미경으로 보면 바깥쪽표피와 이에 접하는 1 세포층 중에는 적갈색의 탄닌을 함유하고 과피 내부에는 지름 약 500㎛에 이르는 유실이 있고 군데군데 나선 문도관을 주로 하는 유관속이 산재하고 안쪽은 석세포층으로 되어 있고 안쪽 표피세포는 아죽 적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혀를 마비시킨다. 복부의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설사와 치통, 천식, 요통에 쓰며 살충작용이 있어 옴, 버짐, 음부가려움증, 음낭습진 등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국부마취작용, 장관연동작용, 항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정향(丁香, Caryophylli Flos)은 정향과(Myrtaceae)의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 T.) 꽃봉오리다. 정향나무는 높이 12-20m에 달하는 상록교목으로, 잎은 난형이고 마주 난다. 몰루카 원산이며 동남아열대지방에서 재배한다. 식목한지 6년이면 흰꽃이 피고 16-20년 만에 최다의 꽃봉오리 수확을 할 수 있다. 다 핀 꽃을 말린 것을 모정향이라 하며,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를 수집하여 말린 것을 정향 또는 정자(丁字)라고 한다. 꽃봉오리에 정유 16-19%가 있으며, 주성분은 유게놀(euggenol), 아세틸유게놀(acetyl euggenol), α- 및 β-카리오필렌 (Caryophyllene)이다. 그밖에 탄닌, 올레놀산이 들어 있다. 정향은 온리약(溫裏藥)으로 인체의 중심이 되는 비위(脾胃)와 신(腎)의 양기(陽氣)를 보(補)해 주는 약으로 노화방지의 작용이 있다.
상술한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생리통 완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화장료 등으로 제조시 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은 추출용매로서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유기 용매,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 및 물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일정 시간 침적시키면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교반한 후 얻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회수하는 통상의 천연물 추출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한 추출용매로는 탄소수 1 내지 4인 알코올성 용매,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 알코올, 부틸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부틸렌글라이콜,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물 재료에 가해지는 추출용매의 양은 천연물 재료 전체 부피 대비 1 내지 50 배 정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천연물 추출용매로 무수 메탄올, 함수 메탄올, 무수 에탄올, 함수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술한 메탄올계 용매 1종 및 상술한 에탄올계 용매 1종의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시, 상기 추출용매의 첨가량은 천연물 재료의 건조 중량 1g 당 5~20 ㎖로 함이 바람직하다. 천연물 재료의 추출 조건은 실온에서 1~7일간 침적 추출하거나 50~95℃의 가온 조건에서 1~5시간 정도 추출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매추출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연고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오일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는,
첫째, 대부분의 생리통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아랫배 통증, 허리 통증 등의 생리통 증상의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둘째, 천연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 자극이 적고 인체에 안전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가 가능하며,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혼합 추출물의 제조
석류 38 중량 %, 쑥(애엽) 18 중량 %, 계피 18 중량 %, 마늘 18 중량 %, 산 초 4 중량 %, 정향 4 중량 %를 균일하게 혼합한 혼합물에 80% 에탄올을 혼합물 양의 2배 정도의 부피만큼 가하여 3일간 냉침 시킨 뒤에 용액을 모두 모아 여과지로 여과한 후, 증발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한 뒤에 동결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48시간 이상 건조시켜 분말 상태로 만들었다.
< 실시예 비교실시예 > 생리통 완화용 크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생리통 완화용 크림을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단위는 중량% 이다.
성분명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혼합추출물 1.0 10.0 -
글리세린 5.0 5.0 5.0
스테아린산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2.5 2.5 2.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1.5 1.5 1.5
프로필렌 글리콜 4.0 4.0 4.0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0.2 0.2
바셀린 2.0 2.0 2.0
산화방지제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 실험예 1>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부에 대한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부첩포시험(Human patch test)을 시행하였다. 피부첩포시험은 20세 이상의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료를 각각 1% 및 10% 수용액으로 만든 다음 핀 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상박 안쪽 부위에 부착한 뒤 제거한 후에 1차 판독을 하고, 72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 판독을 시행하여 피부 반응 결과를 판정하였다. 평가기준과 자극지수의 계산은 표 2와 같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반응 가중치 평가기준
- 0.0 무반응
± 0.5 의심되는 양성 반응
+ 1.0 약양성반응
++ 2.0 강양성반응
+++ 3.0 극양성반응
(수학식 2)
피부자극지수 = Σ(가중치 X 반응인 수)/(최고 가중치 X 총 피험자 수) × 100
시료 피부자극지수 자극의 구분
증류수 (음성 대조군) 0.0 무자극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1%) 0.0 무자극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10%)
0.4 무자극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을 1% 함유하는 크림 (실시예 1) 0.4 무자극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을 10% 함유하는 크림 (실시예 2) 0.8 무자극
비교실시예 1 0.4 무자극
실험 결과,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의 혼합물의 추출물 10% 이하에서는 피부에 대하여 무자극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료의 원료로 사용시 피부에 자극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들 추출물을 각각 1% 및 10% 함유하는 크림에서도 역시 무자극을 보여 피부에 안전하다고 판단된다.
< 실험예 2> 생리통 완화 임상시험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의 생리통 완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임상 시험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25-40세의 가임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생리 전이나 생리기간 동안 생리통의 징후가 있을 때 1일 2회 정도 복부에 사용하도록 했다. 30명의 대상자를 10명씩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10명씩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실시예 1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생리통 완화용 크림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제공한 크림 이외에 다른 치료법(진통제 복용 등)을 금지하도록 조치하였다. 사용 후 그 증상을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비율 (%)
실시예 1 사용 그룹 증상이 완전히 소멸 0
증상이 매우 호전됨 10
증상이 약간 호전됨 50
차도 없음 40
실시예 2 사용 그룹 증상이 완전히 소멸 10
증상이 매우 호전됨 30
증상이 약간 호전됨 30
차도 없음 30
비교실시예 1 사용 그룹 증상이 완전히 소멸 0
증상이 매우 호전됨 0
증상이 약간 호전됨 10
차도 없음 9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여성의 생리통 완화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된다.
이하, 상기한 실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 제형예 1> 로션( 에멀젼 )
성분명 함량 (중량%)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혼합추출물 1.0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8.0
스쿠알란 10.0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
트리에탄올아민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스테아릴글리시레티네이트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아르기닌 0.1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2> 에센스 ( essence )
성분명 함량 (중량%)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혼합추출물 1.0
솔비톨 8.0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1500 6.0
에탄올 5.0
글리세린 3.0
1,3-부틸렌글리콜 3.0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알코올 에테르 1.0
올리브유 0.3
히아루론산 0.2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3> 젤 ( gel )
성분명 함량 (중량%)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혼합추출물 1.0
에탄올 10.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
트리에탄올아민 0.3
산화방지제 적량
향료 적량
방부제 적량
정제수 잔량
< 제형예 4> 연고
성분명 함량 (중량%)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정향 혼합추출물 10.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2.0
스테아린산 1.0
밀납 4.0
스쿠알란 7.0
모노스테아린 글리세린 3.0
모노스테아린산 소르비탄 1.0
폴리솔베이트 80 3.0
글리세린 5.0
프로필렌글리콜 4.0
향료 적량
색소 적량
바세린 잔량

Claims (5)

  1.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이종 이상의 한방재료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연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석류, 쑥, 계피, 마늘, 산초 및 정향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1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조성이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석류 1 내지 40 중량%, 쑥 1 내지 30 중량%, 계피 1 내지 30 중량%, 마늘 1 내지 30 중량%, 산초 1 내지 30 중량%, 및 정향 1 내지 30 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00040829A 2010-04-30 2010-04-30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10121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29A KR20110121295A (ko) 2010-04-30 2010-04-30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829A KR20110121295A (ko) 2010-04-30 2010-04-30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295A true KR20110121295A (ko) 2011-11-07

Family

ID=4539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829A KR20110121295A (ko) 2010-04-30 2010-04-30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12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8025A (zh) * 2015-01-06 2015-04-29 阚学巧 一种治疗痛经的中药丸及其制备方法
CN104587439A (zh) * 2015-02-04 2015-05-06 陈红 一种治疗阳虚内寒型痛经的中药制剂及其制法
CN108272856A (zh) * 2018-04-24 2018-07-13 李妍 一种调经糖浆及其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8025A (zh) * 2015-01-06 2015-04-29 阚学巧 一种治疗痛经的中药丸及其制备方法
CN104587439A (zh) * 2015-02-04 2015-05-06 陈红 一种治疗阳虚内寒型痛经的中药制剂及其制法
CN108272856A (zh) * 2018-04-24 2018-07-13 李妍 一种调经糖浆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ngh et al. Phytochemistry, traditional uses and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of Amla (Phyllanthus emblica): The Sustainer
Jain et al. Traditional Indian herb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CN103751633B (zh) 一种治疗下肢静脉曲张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86186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케어용 조성물
KR101412500B1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51663A (zh) 一种治疗肛周湿疹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CN109453094B (zh) 一种驱蚊止痒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护肤品
KR20100135452A (ko) 무좀 치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2784299A (zh) 促进伤口愈合不留瘢痕色素的外用膏及其制备方法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6344460A (zh) 一种痤疮肌肤专用保湿祛痘面霜及其制备方法
Aleem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Habb-ul-Aas (Myrtus communis Linn.) with unani perspective and modern pharmacology: A review
CN103721138A (zh) 一种治疗酒糟鼻的中药外用制剂及其制备方法
KR20070081293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0644086B1 (ko) 피부자극이 없는 한방입욕제의 제조방법
KR20120090123A (ko) 여성의 생리통 완화용 피부도포형 필름형성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953951B (zh) 一种手足保健美容液及其制备方法
KR102004323B1 (ko) 식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질환 케어용 조성물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KR20160118417A (ko) 살모사 뱀독 액상 혼합물의 아토피 화장품 및 연고의 원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Sharma Triphala powder: A wonder of Ayurveda
CN10492244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