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10B1 -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10B1
KR101068910B1 KR1020070009579A KR20070009579A KR101068910B1 KR 101068910 B1 KR101068910 B1 KR 101068910B1 KR 1020070009579 A KR1020070009579 A KR 1020070009579A KR 20070009579 A KR20070009579 A KR 20070009579A KR 101068910 B1 KR101068910 B1 KR 10106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keberry
ethyl acetate
interleukin
acetate fraction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393A (ko
Inventor
윤치영
김인식
이지숙
김진숙
장대식
김동희
태경환
김주환
정혜광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분획물 및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또는 어성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인터루킨 4의 생성 억제, 인터루킨 6의 생성 억제, TARC 분비 억제, MCP-1 생성 억제, 세포 독성 시험,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 억제 및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subfractionations)에 대한 MCP-1 및 인터루킨 6의 억제 효과,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 억제 및 낮은 세포독성으로 인하여 아토피 및/또는 아스마와 같은 알러지성 질환의 경감 및/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토피, 아스마, 뱀딸기,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어성초, 케모카인

Description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Ehtylacetate fractions of Duchesnea chrysantha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allergy comprising the ehtylacetate fractions of Duchesnea chrysantha}
도 1은 아토피 피부염 및 아스마의 조직병변을 일으키는 과정을 모식한 도면이다.
도 2는 아토피 피부염 및 아스마를 일으키는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상호작용을 모식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실시예) 및 참고예 1(80% 에탄올 추출물), 참고예 2(상기 에탄올 추출물로부터의 헥산분획물), 참고예 3(상기 에탄올 추출물로부터의 부탄올분획물) 및 참고예 4(수층분획물)들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인터루킨 4의 생성량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인터루킨 6의 분비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TARC의 분비 억제효과를 측정 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MCP-1의 분비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들이다.
도 10은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세포 생장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도 3의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에 대한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3의 실시예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에 의한 MCP-1 및 인터루킨 6의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도 3의 실시예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의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에 대한 억제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3의 실시예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의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아토피나 아스마와 같 은 알러지성 질환에 대한 경감 및/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과 어성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1925년 코카(Coca)가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피부염이나 천식, 고초열이 나타나는 경향을 아토피라고 기술한 이후부터 쓰이게 된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성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이외에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다. 아토피는 알러지 반응을 수반하며 이 중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피부 병변의 특징적인 모양 및 분포와 개인 혹은 가족의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즉, 아토피성 체질(유전적 소인)을 타고난 경우에 발생하는 매우 흔한 피부 질환이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영, 유아기, 특히 생후 2개월 전후에 시작되는데, 이 중 약 50%가 생후 2세 이전에 발생하고, 거의 5세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성인에서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예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 성장과 더불어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며 유아기 발생 환자의 절반 이상이 2세 전에 호전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과 인설로 시작하여 심해지면 수포 및 장액성 삼출액과 가피를 보이는 급성 증상으로 진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인 소양증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가려움-긁기-가려움의 악순환으로 계속 악화되며,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태선화 현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근래에 전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기오염, 주거 환경의 변화로 항원에 대한 노출 증가, 모유 수유의 감소, 소아기 감염 질환의 감소 등을 그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5년 대한 소아과 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시행한 전국적 역학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12 내지 24%, 중학생의 경우 6 내지 8%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으며, 2000년도에는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을 비롯하여 성인 아토피 피부염도 국내에서 그 빈도가 점증하고 있다.
상기의 아토피 피부질환은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 글로불린E(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속발성 면역 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원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기능 장애가 면역 글로불린 E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속발성 면역 반응 외에도 원발성 면역 반응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이기영, 최신알레르기 진료, 한국의학사, 서울, 2001, pp23~52).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 장애는 약 80%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러스 및 피부 사상균 등에 의한 피부 감염증에 대하여 감수성이 증가되고, 접촉 알레르겐에 대한 감수성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에 는 T-세포 성숙 결핍설, CD8+ 억제 T-세포의 수적 감소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최근엔 CD4+ T-세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B 세포로부터 면역글로불린 E의 생성을 유도 또는 촉진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4, 5와 증폭시키는 인터루킨 6 등을 분비하는 T-세포는 CD4+ T-세포 중 Th2 세포인데 아토피 질환자들의 피부에서 Th1 세포에 비하여 Th2 세포가 높게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싸이토카인(cytokine)들은 비만세포, 대식세포, 호염구 등의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histamine), 루코트리엔(leukotrie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일산화질소(NO) 등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고, 이들 염증 매개 물질이 피부의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싸이토카인들은 세포가 특정한 상황에서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단백질들로서, 주로 인터루킨(interleukin ; IL) 계열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인터루킨의 역할은 개개의 인터루킨에 따라 아주 다양하며, 어떤 것은 면역기능의 일부를 담당하기도 하고, 어던 것은 다른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도 한다.
아토피 피부질환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피부 세포의 세포막을 형성하는 지질 중 감마 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의 결핍이 보고된 점이다. 감마 리놀렌산의 결핍은 필수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서 델타-6-디세추라아제(δ-6-desaturase)의 기능 결손에 의하여 리놀레산(linoleic acid)으로부터 감마 리놀렌산으로의 합성 장애로 인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이후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합성을 조절하지 못해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감마 리놀렌산의 결핍으로 피부 지질막의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여 과도한 수분 유출 등이 일어 남으로써 피부 장벽이 허물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때 세균 등의 2차 감염이 일어난다.
한편, 아토피에 대한 다른 연구들에서, 케모카인(Chemokine)들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이 또한 보고되었다. 이들 케모카인들도 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인 것에서는 상기한 싸이토카인과 동일한데 그 작용은 약간 다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상기 케모카인들은 주로 특정 부위로 특정한 세포들을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다. 즉 어던 세포가 특정 케모카인을 발현하게 되면 그 케모카인에 반응하는 종류의 세포들이 상기 케모카인이 발현된 세포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일종의 집합 신호 역할을 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종류의 백혈구의 이동과 활성화를 조절하는 싸이토카인의 일종으로, 조직으로의 염증세포의 침윤을 조절한다. 특히 알려진 케모카인들로서는 CCL22/MDC 및 CCL17/TARC(T-세포의 회복 및 촉발 ; 인터루킨 4, 인터루킨 5, 인터루킨 13 및 TNF-α의 T-세포 생성), TSLP(TARC 및 MDC의 증가된 생성의 결과를 가져오는 수지상 세포의 활성화), CCL27/CTACK(림프구의 회복 및 이동) 및 RANTES(호산구 및 T-세포 이동/활성화 ; 내피세포 표면에의 호산구 부착의 증가) 들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MDC는 마크로파지-유래의 케모카인(macrophage-derived chemokine)을 의미하고, TARC는 흉선 및 활성화-조절 케모카인(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질세포에서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상피에서의 TARC의 과생산이 아토피 병변피부로의 현저한 TH2 T 세포의 침윤에 기여하고, TSLP는 흉선 기질상 림포포이에틴(thymic stromal lymphopoietin)을 의미하고, CTACK는 피부 T-세포-유인 케모카 인(cutaneous T-cell-attracting chemokine)을 의미하고, 그리고 RANTES는 활성화에 대해 조절된 정상 T-세포들 발현 및 분비(regulated on activation, normal T cells expressed and secreted)를 의미한다.
도 1에 아토피 피부염 및 아스마의 조직병변을 일으키는 과정을 모식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2에 아토피 피부염 및 아스마를 일으키는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상호작용을 모식한 도면을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기전, 증상 등을 감안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 또는 합성의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 다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로는 싸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FK506(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Wasik 등, Immunopharmacology 20:57-61, 1990)와 SDZ ASM981(피메크로리무스, Pimecrolimus; Grassberger 등, Br. J. Dermatology 141:264-273, 1999)이 각광받고 있다. 반면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외용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환자들에 있어서 피부가 엷어지는 현상 및 골다공증의 유발, 어린이의 경우 성장 저해 등 그에 따른 국소 및 전신 부작용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으며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는 한국, 중국 및 아시아 일부 지역에 야생하는 민간 약용 식물로 이용되어 온 다년초로서, 한방에서는 사매라고 불리며 월경불 순, 염증, 해열, 중풍, 해독, 어혈 해소 등에 사용되어 왔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82, pp432). 뱀딸기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루페올(lupeol), 프리델린(friedelin), 베타-아미린(β-amyrin), 쿼시트린(quercitrin) 및 엘라지 산 글리코시드(ellagic acid glycoside)인 두체시드 A(ducheside A) 및 B가 보고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뱀딸기 추출물은 살모넬라/마이크로좀 시스템 (Salmonella/microsomal system)과 에임즈 테스트(Ames test) 상에서 돌연변이를 억제하는 항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낸바 있었고(Lee와 Lin, Mutation Research, 204:229-234, 1988), 에테르 추출물에서 미생물에 대한 억제활성이 관찰되었으며(이인란, 한국생활과학연구원 논집 36:143-150, 1985), 물 추출물에서 분리된 렉틴은 면역 증강 활성을 나타내어 비장 세포 증식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정가진, 충남대학교 약대 약학논문집 10:39-45, 1994). 또한, 80% 아세톤 추출물에서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은 인간 종양 세포주인 PC14와 MKN45에 대해서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Lee, I. R. and Kim, Y.H., Arch. Pharm. Res., 9(1):1-4, 1986; Lee, I.R and Yang M.Y., Arch. Pharm. Res., 17(6):476-479, 1994A).
또한, 어성초는 우리나라에서는 삼백초과의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erg)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같은 식물을 쓰며, 십약(十藥)이라 부른다. 중국에서는 같은 식물을 사용하지만 전초 또는 지상부라고 규정하고 있다. 어성초란 잎에서 고기 비린내가 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옛 중 국의 진(秦)나라에서는 저자(菹子), 즉 젓갈과 같은 냄새가 나는 식물이라고 불렀는데, 저(菹)는 즙과 음이 비슷하여 즙채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약은 잎을 비벼서 부수면 생선비린내가 나며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차다. 어성초는 해열, 배농작용이 뛰어나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 때,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 때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줄기에 세로주름이 있고 마디가 분명하다. 밑의 마디에는 가는 뿌리가 남아 있고 질은 무르며 꺾어지기 쉽다. 잎은 말리거나 쭈그러져 있으나, 펴면 심장형으로 되어 있다. 잎은 끝이 뾰족하고, 윗면은 어두운 황록색이나 황갈색이고, 아랫면은 회녹색이나 회갈색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아토피 피부염 및 아스마에 관여하는 (1) 섬유모세포에서의 TARC 생산, (2) 단구에서의 조직의 변형과 섬유화의 주요 케모카인 및 싸이토카인인 MCP-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4의 생성 억제효과, (3) 줄기세포 인자에 의한 비만세포의 유주운동에 대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효과 및 (4)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과 어성초의 혼합물의 항알러지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및 아스마 등 알러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던 중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이 섬유모세포에서의 TARC 생산의 억제효과, 단구에서의 조직의 변 형과 섬유화의 주요 케모카인 및 싸이토카인인 MCP-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4의 생성 억제효과, 줄기세포 인자에 의한 비만세포의 유주운동에 대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억제효과 및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과 어성초의 혼합물의 항알러지효과를 확인하고, 세포독성에 대하여 실험하여 무독성 또는 저독성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그리고 여기에 어성초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아토피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및 아스마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어성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일반 피부염, 무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제공한다. 상기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은 뱀딸기 전초(잎, 줄기 및 뿌리 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함)에 알콜을 가하고,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또는 상기 알콜의 비등점에 가까운 온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가열추출하는 것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 상기한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에 에틸아세테이트를 부피비로 등량으로 가하고, 진탕시킨 후, 방치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과 수층을 분획깔대기로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알콜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이 될 수 있다.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터루킨 4의 생성 억제, 인터루킨 6의 생성 억제, TARC 분비 억제, MCP-1 생성 억제, 세포 독성 시험,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 억제 및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subfractionations)에 대한 MCP-1 및 인터루킨 6의 억제 효과, 사람의 비만세포주의 유주운동 억제 및 세포독성에 대한 시험을 한 결과, 이들로부터 아토피 및/또는 아스마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뱀딸기의 알콜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및 아스마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사용가능한 담체 또는 분산제, 현탁화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품, 목욕용품, 비누, 의약품 연고류, 동물 의약품 또는 팩 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용액제, 현탁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연고제, 겔제,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될 수 있다.
용액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유, 낙화생유, 동백유, 알로에베라, 글리세린, 옥배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몬드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글리세롤포름알코올,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존제로서 메틸- 또는 프로필-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솔브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탁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액상 희석제(예: 물, 에탄올 및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현탁제(예: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소르비탄에스테르, 셀룰로스유도체 및 수소화 식용유지), 미세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 및 트라가칸트,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연고제, 크림제 및 겔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타르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및 산화 아연 또는 이들 물질의 혼 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투여방법은 일반적으로 환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바람직한 투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투여대상, 투여방법, 증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투여회수는 1일 2회 이상이 바람직하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회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투여방법, 투여량 및 투여회수들은 특히 치료할 객체의 체질 특이성 및 체중, 질병의 종류 및 심도, 제형의 성질, 의약품 투여의 성질, 및 투여기간 또는 간격을 고려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아토피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외용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토피를 치료하기 위해 뱀딸기 추출물을 적당히 희석하여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고제는 상기 기재된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인 본 발명의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 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는 어성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일반 피부염, 무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및 참고예 1 내지 4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뱀딸기를 이용하여 참고예 1(80% 에탄올 추출물),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실시예), 참고예 2(상기 에탄올 추출물로부터의 헥산분획물), 참고예 3(상기 에탄올 추출물로부터의 부탄올분획물) 및 참고예 4(수층분획물)들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인터루킨 4의 생성량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쥐의 비만세포주(RBL-2H3 세포)에 10ng/㎖의 항-DNP(디니트로페닐)-IgE를 18시간 감작시킨 후, 1 내지 20㎍/㎖의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을 각각 처리하고, 24시간 후, 상층액을 얻어 ELISA를 수행하여 인터루킨 4의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 모두가 DNP-BSA 감작에 의해 증가된 인터루킨 4의 생성량을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의 인터루킨 6의 생성량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의 단구세포주(THP-1 세포)에 LPS(1㎍/㎖)를 처리하면 인터루킨 6이 분비된다. 상기 THP-1에 상기 실시예를 처리한 후, 1시간 후, LPS로 활성화시켜 24시간 후, ELISA를 수행하여 상층액에서 인터루킨 6를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는 농도의존적으로 인터루킨 6의 분비를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TARC의 분비 억제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사람의 피부 섬유모세포주(skin fibroblast cells)에 인터루킨 4(10ng/㎖)와 TNF-α(10ng/㎖)를 처리하면 TARC가 분비된다.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을 각각 10㎍/㎖로 처리하고, 1시간 후, 인터루킨 4와 TNF-α로 활성화시켜 48시간 뒤 ELISA를 수행하여 상층액에서 TARC를 측정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 모두에서 감소를 보였으나, 그 중 상기 실시예가 가장 많이 감소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상기 실험예 3에서 억제효과가 가장 우수한 상기 실시예를 사람의 섬유모세포에 각각 농도별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인터루킨 4와 TNF-α로 활성화시켜 48시간 뒤, ELISA와 RT-PCR을 통해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백질과 mRNA 수준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TARC를 억제시킨 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질세포에서 분비되는 TARC는 과잉생산으로 인해 Th2 세포를 침윤시켜 아토피 병변을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 TARC의 분비 억제는 아토피 병변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실험예 5
사람의 단구세포주(THP-1 세포)에 LPS(1㎍/㎖)를 처리하면 MCP-1이 분비된다. 상기 THP-1에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을 각각 10㎍/㎖로 처리한 후, 1시간 뒤, LPS로 활성화시키고, 24시간 후, ELISA를 수행하여 상층액에서 MCP-1을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참고예 1, 참고예 2 및 실시예에서 각각 감소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 실시예가 가장 많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사람의 단구세포주(THP-1 세포)에 LPS(1㎍/㎖) 또는 진드기 항원을 처리하면 MCP-1이 분비된다. 상기 THP-1에 상기 실시예를 0.1, 1 및 10㎍/㎖으로 각각 처리한 후, 1시간 뒤 LPS 또는 진드기 항원으로 활성화시켜 24시간 뒤, ELISA를 이용하여 상층액에서 MCP-1을 측정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농도의존적으로 MCP-1의 분비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농도별 독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을 쥐의 비만세포주(RBL-2H3 세포)에 1 내지 20㎍/㎖로 처리한 후, 24시간 뒤, WST-1 키트를 이용하여 세포 생장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내지 20㎍/㎖의 농도의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 모두에서 세포의 생장을 억제하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을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 세포)에 각각 처리하였을 때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은 감소하지 않았으므로, 이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에 의한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 세포)의 유주운동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 및 참고예들의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24시간 처리했을 때의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100%)에 비하여 1㎍/㎖의 농도에서는 상기 참고예 1에 의해 감소되었고, 10㎍/㎖의 농도에서는 상기 참고예 1, 참고예 2 및 실시예들에 의해 20 내지 40%의 유주운동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유주운동의 억제는 곧 앞서의 발명의 배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싸이토카인 및/또는 케모카인에 의한 세포로의 이끌림의 정도를 나타내며, 유주운동의 감소는 곧 병변의 완화 내지는 치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실험예 10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부분획물들을 다음과 같이 분획하여 수득하고, 이들을 구분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기호 실험실 명칭 기호 실험실 명칭
A1 DuCh3EA-1` A8 DuCh3EA-8
A2 DuCh3EA-2 A9 DuCh3EA-9
A3 DuCh3EA-3 AK1 DuCh3EA-K1(포몰산(Pomolic acid))
A4 DuCh3EA-4 AK2 DuCh3EA-K2(우르손(Ursolic acid))
A5 DuCh3EA-5 AK3 DuCh3EA-K3(유스카프산(Euscaphic acid))
A6 DuCh3EA-6 AK4 DuCh3EA-K4(마슬린산(Maslinic acid))
A7 DuCh3EA-7 AK8 DuCh3EA-K8(토멘틱산(Tormentic acid))
실험예 10-1
사람의 단구세포주(THP-1 세포)에 아토피 및 천식의 주요 항원인 진드기 추출물(1㎍/㎖)을 처리하면 MCP-1와 인터루킨 6가 분비된다. 여기에 상기 실험예 10의 부분획물들을 10㎍/㎖로 각각 처리한 후, 1시간 뒤, 진드기 항원(1㎍/㎖)으로 활성화시켜, 24시간 뒤, ELISA를 이용하여 상층액의 MCP-1와 인터루킨 6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A-1, A-2, A-8 및 A-9들은 MCP-1과 인터루킨 6의 생성 모두를 강하게 억제시켰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도 13에서 M은 매질(media), DP는 진드기 항원, Dexa는 덱사메타손(양성대조군)을 의미한다.
실험예 10-2
줄기세포 인자(stem cell factor)에 의한 사람의 비만세포주(HMC-1 세포)의 유주운동에 있어서 상기 실험예 10의 부분획물들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부분획물들을 10㎍/㎖의 농도에서 24시간 처리하였다. 대조군을 100%로 하였을 때의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A1, A4, AK4 및 AK8이 약한 감소효과를, 그리고 A5, A7, A8 및 A9은 강한 억제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0-3
상기 실험예 10의 부분획물들을 1, 10 및 100㎍/㎖으로 비만세포주인 HMC-1 세포에 처리했을 때의 세포독성을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1㎍/㎖에서는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지 않았으나, 10㎍/㎖와 100㎍/㎖으로 처리했을 때에는 일부의 부분획물들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실시예들을 종합한 결과,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이 섬유모세포에서의 TARC 생산의 억제효과, 단구에서의 조직의 변형과 섬유화의 주요 케모카인 및 싸이토카인인 MCP-1, 인터루킨 6, 인터루킨 4의 생성 억제효과, 줄기세포 인자에 의한 비만세포의 유주운동에 대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의 억제효과 및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과 어성초의 혼합물의 항알러지효과를 확인하고, 세포독성에 대하여 실험하여 무독성 또는 저독성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그리고 여기에 어성초를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아토피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토피나 아스마와 같은 알러지성 질환에 대한 경감 및/또는 치료효과를 갖는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과 어성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뱀딸기의 에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2. 뱀딸기의 에탄올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한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질환 및 아스마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어성초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및 아스마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이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일반 피부염, 무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질환 및 아스마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70009579A 2007-01-30 2007-01-30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6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79A KR101068910B1 (ko) 2007-01-30 2007-01-30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579A KR101068910B1 (ko) 2007-01-30 2007-01-30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93A KR20080071393A (ko) 2008-08-04
KR101068910B1 true KR101068910B1 (ko) 2011-09-30

Family

ID=3988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79A KR101068910B1 (ko) 2007-01-30 2007-01-30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10B1 (ko) * 2010-04-07 2013-02-18 고인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30125492A (ko) * 2012-05-09 2013-11-19 (주)아모레퍼시픽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406A (ko) * 2004-03-18 2006-05-16 주식회사 동부한농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81293A (ko) * 2006-02-10 2007-08-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406A (ko) * 2004-03-18 2006-05-16 주식회사 동부한농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70081293A (ko) * 2006-02-10 2007-08-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약학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393A (ko) 2008-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u et al. Sea buckthorn (Hippophaë rhamnoides L.) oil improv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via inhibition of NF-κB and STAT1 activation
Liu et al. Effects of taraxasterol on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WO200612388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herb medicine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Sung et al. Topical application of an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Illicium verum suppresses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Sung et al. Inhibitory effects of Drynaria fortunei extract on house dust mite antigen-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KR101146234B1 (ko) 배롱나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Wu et al.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d Dendrobium tosaense on atopic dermatitis murine model
Park et al. Korean red ginseng water extract alleviates atopic dermatitis-like inflammatory responses by negative regu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ing pathway in vivo
Gu et al. Total flavonoids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improve MC903-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KR101262813B1 (ko) 소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181321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Efficacy and action mechanisms of a Chinese herbal formula on experimental models of atopic dermatitis
KR101127928B1 (ko) 섬바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8910B1 (ko)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6420B1 (ko)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rk et al. I. inflexus (Thunb.) kudo extract improves atopic dermatitis and depressive-like behavior in Df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disease
KR101127929B1 (ko)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Cho et al. Sam So Eum, a herb extract, as the remedy for allergen-induced asthma in mice
KR101064848B1 (ko) 알러지 치료용 미모사의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21514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0815B1 (ko) 지방산 또는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보습 또는 항아토피용 조성물
KR101068375B1 (ko) 생지황, 석창포, 고삼, 자초 및 황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Mohajerani et al. Medicinal plants as a source of future anti-pruritic drugs: A comprehensive review.
Ryuk et al. Pinus koraiensis needle or cone extracts alleviate atopic dermatitis symptoms by regulating immunity and suppressing inflammation in HaCaT cells and Nc/Nga m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