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6420B1 -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6420B1
KR100666420B1 KR1020050022673A KR20050022673A KR100666420B1 KR 100666420 B1 KR100666420 B1 KR 100666420B1 KR 1020050022673 A KR1020050022673 A KR 1020050022673A KR 20050022673 A KR20050022673 A KR 20050022673A KR 100666420 B1 KR100666420 B1 KR 10066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snakeberr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406A (ko
Inventor
태경환
전혁
성순기
김성수
이성권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한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한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한농
Publication of KR20060044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뱀딸기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면역 억제능,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능, 싸이토카인(cytokine) 분비 조절 등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증 개선, 홍반 개선, 표피 재생, 항균 작용 및 피부 진정 효과 등을 나타내어 아토피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치료를 위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r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extracts from Duchesnea chrysantha as active ingredients}
도 1은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의 면역 억제능을 혼합 림프구 반응실험을 통해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의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T-세포에서 분비되는 싸이토카인(cytokine)인 인터루킨(interleukin) 4와 감마-인터페론(γ-interferon)의 분비에 대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의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 아토피 피부염 패널(panel)에 대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의 사용 전, 후 아토피 피부염의 경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뱀딸기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뱀딸기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는 1925년 코카(Coca)가 선천적으로 음식물과 흡입성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의 결과로 피부염이나 천식, 고초열이 나타나는 경향을 아토피라고 기술한 이후부터 쓰이게 된 피부질환으로서 아토피성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이외에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이 있다. 아토피는 알러지 반응을 수반하며 이 중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혹은 재발성 피부염으로, 피부 병변의 특징적인 모양 및 분포와 개인 혹은 가족의 아토피 병력을 가지는 즉, 아토피성 체질(유전적 소인)을 타고난 경우에 발생하는 매우 흔한 피부 질환이다. 대개 아토피 피부염은 영, 유아기 - 특히 생후 2개월 전후에 시작되는데 이 중 약 50%가 생후 2세 이전에 발생하고, 거의 5세 이전에 증상이 나타나는 반면 성인에서 처음 증상이 나타나는 예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 성장과 더불어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지며 유아기 발생 환자의 절반 이상이 2세 전에 호전된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과 인설로 시작하여 심해지면 수포 및 장액성 삼출액과 가피를 보이는 급성 증상으로 진행한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인 소양증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해서 피가 날 정도로 긁게 되며, 가려움- 긁기-가려움의 악순환으로 계속 악화되며,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태선화 현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근래에 전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기오염, 주거 환경의 변화로 항원에 대한 노출 증가, 모유 수유의 감소, 소아기 감염 질환의 감소 등을 그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1995년 대한 소아과 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에서 시행한 전국적 역학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의 경우 12~24%, 중학생의 경우 6~8%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적이 있으며, 2000년도에는 초등학생의 24.9%, 중학생의 12.8%가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것을 비롯하여 성인 아토피 피부염도 국내에서 그 빈도가 점증하고 있다.
상기의 아토피 피부질환은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비면역학적 기전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 글로불린 E(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속발성 면역 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원발성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기능 장애가 면역 글로불린 E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속발성 면역 반응 외에도 원발성 면역 반응이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다(이기영, 최신알레르기 진료, 한국의학사, 서울, 2001, pp23~52).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 장애는 약 80%까지 발생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러스 및 피부 사상균 등에 의한 피부 감염증에 대하여 감수성이 증가되고 접촉 알레르겐에 대한 감수성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과거에는 T-세포 성숙 결핍설, CD8+ 억제 T-세포의 수적 감소 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최근엔 CD4+ T-세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B 세포로부터 면역글로불린 E의 생성을 유도 또는 촉진하는 인터루킨(interleukin) 4, 5와 증폭시키는 인터루킨 6 등을 분비하는 T-세포는 CD4+ T-세포 중 Th2 세포인데 아토피 질환자들의 피부에서 Th1 세포에 비하여 Th2 세포가 높게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싸이토카인(cytokine)들은 비만세포, 대식세포, 호염구 등의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히스타민(histamine), 루코트리엔(leukotrie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일산화질소(NO) 등의 분비를 촉진하게 되고 이들 염증 매개 물질이 피부의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토피 피부질환에서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피부 세포의 세포막을 형성하는 지질 중 감마 리놀렌산(γ-linolenic acid)의 결핍이 보고된 점이다. 감마 리놀렌산의 결핍은 필수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서 델타-6-디세추라아제(δ-6-desaturase)의 기능 결손에 의하여 리놀레산(linoleic acid)으로부터 감마 리놀렌산으로의 합성 장애로 인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이후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합성을 조절하지 못해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감마 리놀렌산의 결핍으로 피부 지질막의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여 과도한 수분 유출등이 일어남으로써 피부 장벽이 허물어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이때 세균 등의 2차 감염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현재까지 알려진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기전, 증상 등을 감안 하여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결과 천연 또는 합성의 면역억제제, 항히스타민제제, 스테로이드 제제 등 다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면역 억제제로는 싸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A, FK506(타크로리무스, Tacrolimus; Wasik 등, Immunopharmacology 20:57-61, 1990)와 SDZ ASM981(피메크로리무스, Pimecrolimus; Grassberger 등, Br. J. Dermatology 141:264-273, 1999)이 각광받고 있다. 반면 기존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은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효과는 있으나 외용 또는 경구용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 사용 환자들에 있어서 피부가 엷어지는 현상 및 골다공증의 유발, 어린이의 경우 성장 저해 등 그에 따른 국소 및 전신 부작용으로 인하여 임상적으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으며 효능이 우수한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는 한국, 중국 및 아시아 일부 지역에 야생하는 민간 약용 식물로 이용되어 온 다년초로서, 한방에서는 사매라고 불리며 월경불순, 염증, 해열, 중풍, 해독, 어혈 해소 등에 사용되어 왔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982, pp432). 뱀딸기 추출물 내에 포함되는 주요 생리활성 물질로는 리놀레산(linoleic acid),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트리아콘타놀(triacontanol), 루페올(lupeol), 프리델린(friedelin), 베타-아미린(β-amyrin), 쿼시트린(quercitrin) 및 엘라지 산 글리코시드(ellagic acid glycoside)인 두체시드 A(ducheside A) 및 B가 보고되어 있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뱀딸기 추출물은 살모넬라/마이크로좀 시스템(Salmonella/microsomal system)과 에임즈 테스트(Ames test) 상에서 돌연변이를 억제하는 항 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낸바 있었고(Lee와 Lin, Mutation Research, 204:229-234, 1988) 에테르 추출물에서 미생물에 대한 억제활성이 관찰되었으며(이인란, 한국생활과학연구원 논집 36:143-150, 1985), 물 추출물에서 분리된 렉틴은 면역 증강 활성을 나타내어 비장 세포 증식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정가진, 충남대학교 약대 약학논문집 10:39-45, 1994). 또한, 80% 아세톤 추출물에서 분리된 페놀성 화합물은 인간 종양 세포주인 PC14와 MKN45에 대해서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Lee, I. R. and Kim, Y.H., Arch. Pharm. Res., 9(1):1-4, 1986; Lee, I.R and Yang M.Y., Arch. Pharm. Res., 17(6):476-479, 1994A).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던 중 뱀딸기 추출물이 면역 억제능,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및 싸이토카인 분비 조절능을 나타냄을 관찰하고, 이를 실제 아토피 환자를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아토피 증세가 상당히 완화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아토피 질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뱀딸기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되는 뱀딸기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atopy)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되는 뱀딸기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는 95~100℃의 열수를 통해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알콜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상기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알콜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상기 알콜 수용액은 50% 이상의 알콜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면역 억제 및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싸이토카인 분비 조절을 통하여 아토피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뱀딸기 추출물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반응 억제능,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 싸이토카인 분비 억제능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뱀딸기 추출물의 면역반응 억제 활성은 혼합 림프구 반응실험(Mixed lymphocytes response assay)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뱀딸기 추출물은 5 μg/ml의 농도에서 59.8%의 면역 억제능을 보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면역 억제능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82.4%의 우수한 면역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인 싸이클로스포린 A를 사용하였는데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싸이클로스포린 A보다 동일 농도에서 10% 정도 면역억제능이 낮게 나타났으나, 천연 추출물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우수한 면역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BALB/c 마우스의 복강에서 복강 대식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일산화질소 생성유도효소 (i-NOS)의 활성을 유도하고, 배양액으로 유리되는 일산화질소의 함량을 측정하여 뱀딸기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뱀딸기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검토한 결과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은 면역 억제능에서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쿼시트린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5 μg/ml의 농도에서 62.6%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ALB/c 마우스로부터 분리한 비장세포를 이용하여 뱀딸기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분비능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양성 대조군인 싸이클로스포린과 덱사메타손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라 인터루킨 4와 감마 인터페론의 감소가 나타났다. 뱀딸기 추출물의 경우도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인터루킨 4의 분비가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감마 인터페론의 분비능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싸이토카인 조절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뱀딸기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이용하여 피부질환을 가지는 실험 참가인에 대한 피부질환 치료효과를 실험하였다. 실험 참가인 대부분에서 일주일 이내에 증상이 완화된 경험을 하였으며 주요 완화증상으로는 각질층의 진정효과, 가려움증과 홍반의 감소, 짓무름 감소 등과 함께 표피의 재생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질환 및 여드름 등의 다른 피부질환에도 상당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이용한 치료를 통해 표피의 해열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가 진정효과를 보이고, 아울러 항균작용을 통해 면역증강 효과가 나타나 아토피 환자의 가려움증 개선 효과 및 표피재생 효과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까지 뚜렷한 약물 개발이 전무한 상태에서 독성이 없으면서 만성적인 면역질환과 아토피성 피부질환에 우수한 임상결과를 토대로 한 생약제인 뱀딸기는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유할 수 있다고 예측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내 뱀딸기 추출물의 유효 함량은 1 ppm 내지 500 ppm인 것이 바람직하며 1 ppm 내지 50 pp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은 과도한 면역반응에 의하여 야기되는 면역 세포 매개성 염증 반응의 일종인 아토피 피부염 및 여드름 등의 피부 질환에 대한 화장품, 의약품 등에 치료제 또는 치료 보조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질환에는 아토피 피부염, 알러지 피부염, 습진, 건선, 여드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은 사용가능한 담체 또는 분산제, 현탁화제, 또는 안정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화장품, 목욕용품, 비누, 의약품 연고류, 동물 의약품 또는 팩 제품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 및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시에 비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용액제, 현탁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패드제, 크림제, 연고제, 겔제, 정제 또는 환제로 제조될 수 있다.
용액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면 물,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유, 낙화생유, 동백유, 알로에베라, 글리세린, 천연옥수수 배종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아몬드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글리세롤 포름알코올, 테티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존제로서 메틸 또는 프 로필-p-히드록시벤조에이트 또는 솔브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탁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액상 희석제 (예: 물, 에틸알코올 및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현탁제 (예: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소르비탄 에스테르, 셀룰로스 유도체 및 수소화 식용유지), 미세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 및 트라가칸트,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연고제, 크림제 및 겔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타르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규산, 활석 및 산화 아연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투여방법은 일반적으로 환부에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바람직한 투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일 투여량은 투여대상, 투여방법, 증상에 따라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뱀딸기 추출물이 1 내지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여 회수는 1일 2회 이상이 바람직하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회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여량은 변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특히 치료할 객체의 체질 특이성 및 체중, 질병의 종류 및 심도, 제형의 성질, 의약품 투여 의 성질, 및 투여기간 또는 간격을 고려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아토피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외용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토피를 치료하기 위해 뱀딸기 추출물을 적당히 희석하여 피부에 직접 도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연고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연고제는 상기 기재된 아토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수용성 물질인 본 발명의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을 5 ㎖/㎏의 용량으로 랫트에 단회 도포하여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복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한 결과, 상기 도포량으로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은 무해한 생약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 1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의 전초를 재료로 사용하여 뱀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뱀딸기 줄기 및 잎 부위를 채취한 후 물로 깨끗이 씻어 일주일간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전초 100 g을 건조물 대비 10배 부피의 물을 넣고 95 ~ 10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건조시켜 10 g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 2
뱀딸기 전초 100 g을 건조물 대비 10배 부피의 에탄올을 넣고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 후 진공건조하여 15 g의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 3
뱀딸기 전초 100 g을 건조물 대비 10배 부피의 메탄올을 넣고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추출물을 여과 및 진공 건조하여 10 g의 메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뱀딸기 추출물의 효능 측정
<1-1> 뱀딸기 추출물의 면역억제능 측정
면역반응 억제활성은 혼합 림프구 반응실험(Mixed lymphocytes response assay)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간략히 BALB/c 마우스와 C57BL/6 마우스의 비장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포는 각각 RPMI-1640 배지에 재부유시키고 한쪽 마우스로부터 분리된 비장세포는 마이토마이신(mitomycin) C를 처리하여 세포분열을 정지시킨 후 RPMI-1640 배지로 수회 세척한 다음 세포수를 각각 조정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혼합하여 1x106 cells/well의 세포수로 96-웰 플레이트에 가한 후, 시료와 콘에이(ConA, concanavalin A)를 가한 후 4일간 37℃,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비장세포의 배양 종료 4시간 전에 XTT 시약을 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 후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면역억제능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비율로 정하였다.
[수학식 1]
면역억제능 (%) = (ODmax-ODsample/ODmax-ODmin)ⅹ100
상기의 수학식 1에서,
ODmax는 ConA와 배지를 첨가한 경우의 세포의 증식도,
ODmin은 ConA를 첨가하지 않고 배지만 첨가한 경우의 세포의 증식도,
ODsample은 ConA와 시료를 동시에 첨가한 경우의 세포의 증식도를 나타낸다.
양성 대조군으로 싸이클로스포린 A와 함께 뱀딸기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면역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뱀딸기 추출물은 5 μg/ml의 농도에서 59.8%의 면역 억제능을 보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따라 면역 억제능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82.4%의 우수한 면역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인 싸이클로스포린 A를 사용하였는데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싸이클로스포린 A보다 동일 농도에서 10% 정도 면역억제능이 낮게 나타났으나, 천연 추출물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우수한 면역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1-2> 뱀딸기 추출물의 일산화질소 (NO) 생성 저해 활성 측정
BALB/c 마우스의 복강에 멸균된 10% 펩톤(peptone)수를 주사한 3일 후, 복강으로부터 대식세포를 얻기 위해 RPMI-1640 배지를 복강에 주입하고 복강액을 세척하였다. 세척된 복강액을 원심 분리하여 복강 대식세포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대식세포는 세포수를 5 x 106 cells/ml로 조정하여 RPMI-1640 배지에 재부유시킨 후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00 ml씩 분주하고 2일간 37℃, 5% 이산화탄소(CO2)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 상등액을 제거하고 RPMI-1640(0.5% FBS 첨가) 80 ml과 시료 10 ml을 가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일산화질소 생성유도효소 (i-NOS)의 활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 l mg을 각 웰에 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으로 유리되는 일산화질소의 함량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Sigma사)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검량선은 NaNO3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수학식 2]
NO 생성 저해율 (%) = (NOmax-NOsample/NOmax-NOmin) x 100
상기의 수학식 2에서,
NOmax는 LPS와 배지만 첨가한 경우의 NO 분비량,
NOmin은 LPS를 첨가하지 않고 배지만 첨가한 경우의 NO 분비량,
NOsample은 LPS와 sample을 동시에 첨가한 경우의 NO 분비량을 나타낸다.
뱀딸기 추출물의 염증성 인자인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능을 검토한 결과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은 면역 억제능에서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쿼시트린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5 μg/ml의 농도에서 62.6%의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뱀딸기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분비억제능 측정
BALB/c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실험예<1-1>과 같이 분리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1x106 cells/well로 접종하였다. 여기에 ConA 1 μg과 시료를 가한 후 3일간 37oC, 5% CO2 환경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 상등액을 새로운 플레이트에 옮기고 싸이토카인을 측정하기 전까지 -20℃에서 보관하였다. 배지 중으로 분비된 싸이토카인은 Biosource사의 마우스 IFN-γ ELISA 키트와 IL-4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제조 회사의 지침에 따라 실험한 후 405 nm에서 분비된 싸이토카인 양을 측정하였다.
뱀딸기 추출물의 싸이토카인 분비능에 대한 효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 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인 싸이클로스포린과 덱사메타손의 경우, 농도 증가에 따라 인터루킨 4와 감마 인터페론의 감소가 나타났다. 뱀딸기 추출물의 경우도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인터루킨 4의 분비가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감마 인터페론의 분비능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이 싸이토카인 조절능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실험예 2> 뱀딸기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 참가인에 대한 피부질환 치료효과 실험
뱀딸기 추출물의 효과를 2004년 2월에서 4월까지 3개월 간 18명의 피부질환 실험 참가인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이들 18명은 13세 미만의 어린이가 9명, 13-20세 미만 청소년이 4명, 성인이 5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실험 참가인에게는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고지하고 2주 사용 분량의 추출물을 나눠 주고 실험에 참가시켰으며 추출물의 도포부위는 팔, 다리, 종아리, 손바닥, 코, 얼굴 전체, 등, 몸 전체, 발바닥 등이다. 이들 실험 참가인의 주요 피부질환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아토피 피부염 14명, 여드름 1명, 일반 피부염 1명, 무좀 2명이었으며, 남녀의 성비는 8:10 이었다. 이들 실험 참가인들로부터 사용 전과 후의 증상 완화 정도를 실험 참가인 본인이 직접 기술하거나 어린 아이의 경우 보호자가 대신 기록하게 하였다.
뱀딸기 추출물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
연령대 증상 증상정도 완화일수 완화증상
12세 이하(9명) 아토피 (14명) 매우심함 (4명) 1-2일 (5명) 홍반 감소 (9명)
13-19세(4명) 여드름 (1명) 심함 (10명) 3-4일 (6명) 가려움증 감소 (12명)
20세 이상(5명) 피부염 (1명) 보통 (2명) 5-6일 (2명) 짓무름 감소 (2명)
무좀 (2명) 경미함 (2명) 7일 이후(4명) 무반응 (1명) 태선 감소 (1명)
실험 결과는 상기의 표 1도 4와 같이 실험 참가인 대부분에서 일주일 이내에 증상이 완화된 경험을 하였으며 주요 완화증상으로는 각질층의 진정효과, 가려움증과 홍반의 감소, 짓무름 감소 등과 함께 표피의 재생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은 아토피 피부질환 및 여드름 등의 다른 피부질환에도 상당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뱀딸기 추출물은 면역 억제 및 일산 화질소 생성 억제 및 싸이토카인 분비 조절 등에 작용하여 표피의 각질층 진정작용, 홍반 감소, 가려움증 소멸작용, 항균작용, 면역 억제 및 조절 작용, 염증 매개 물질 억제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에 적용함으로써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되는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일반 피부염, 무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뱀딸기 추출물은 95~100℃의 열수를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 수용액은 50% 이상의 알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물,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되는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억제제.
  8. 제 1항에 있어서, 뱀딸기 추출물은 일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뱀딸기 추출물은 싸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50022673A 2004-03-18 2005-03-18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6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579 2004-03-18
KR1020040018579 2004-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6A KR20060044406A (ko) 2006-05-16
KR100666420B1 true KR100666420B1 (ko) 2007-01-11

Family

ID=3714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673A KR100666420B1 (ko) 2004-03-18 2005-03-18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10B1 (ko) * 2007-01-30 2011-09-3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33910B1 (ko) * 2010-04-07 2013-02-18 고인순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30125492A (ko) * 2012-05-09 2013-11-19 (주)아모레퍼시픽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76587A (ko) * 2016-12-28 2018-07-06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뱀딸기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06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60418B1 (ko)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66420B1 (ko) 뱀딸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ang et al. Efficacy and action mechanisms of a Chinese herbal formula on experimental models of atopic dermatitis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27928B1 (ko) 섬바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0850B1 (ko) 진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민성 피부 질환치료제
KR20050052838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160249B1 (ko)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68910B1 (ko) 뱀딸기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14502B1 (ko) 꽃송이버섯, 동충하초, 및 송로버섯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가려움증, 및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150095012A (ko)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57896B1 (ko) 위령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32553A (ko) 잠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용 조성물
KR101121514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1118A (ko) 석곡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55108B1 (ko) 백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34264B1 (ko) 거북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09913A (ko) 순비기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4848B1 (ko) 알러지 치료용 미모사의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27927B1 (ko) 부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아토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9667A (ko) 7, 8, 4&#39;&#39;-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090127853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