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29B1 - 원추형 밸브 부재 - Google Patents

원추형 밸브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29B1
KR101006629B1 KR1020030074491A KR20030074491A KR101006629B1 KR 101006629 B1 KR101006629 B1 KR 101006629B1 KR 1020030074491 A KR1020030074491 A KR 1020030074491A KR 20030074491 A KR20030074491 A KR 20030074491A KR 101006629 B1 KR101006629 B1 KR 101006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ember
lubricating oil
conical valve
supply por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646A (ko
Inventor
가와까미쯔까사
Original Assignee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류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16K1/38Valve members of conical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5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conical shaped valv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윤활유의 공급구를 갖고 내부에 윤활유가 유통되는 파이프를 구비한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상기 실린더의 공급구측을 폐쇄하는 하측 밀봉면을 가진 원추형 밸브 부재에 있어서, 이 원추형 밸브 부재는 대략 원기둥형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상기 상측 모서리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그 중간 부분 외측이 실린더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립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윤활유 공급시에 상기 파이프의 입구를 폐쇄하는 상측 밀봉면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급구와 원추형 밸브 부재의 밀봉면의 밀봉성 및 립과 실린더 내벽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원추형 밸브 부재, 스프링, 피스톤, 파이프, 가이드 로드

Description

원추형 밸브 부재 {CONE-SHAPED VALVE MEMB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바닥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를, 이를 성형하는 형과 함께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가 이용되는 정량 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가 이용되는 정량 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종래의 원추형 밸브 부재의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9는 종래의 원추형 밸브 부재가 이용되는 정량 밸브의 일예를 동작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원추형 밸브 부재가 이용되는 정량 밸브의 일예를 동작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 원추형 밸브 부재
T : 정량 밸브
1 : 실린더
2 : 공급구
4 : 토출구
6 : 파이프
6a : 입구
8 : 스프링
9 : 피스톤
10 : 본체
10a : 측연부
11 : 하측 밀봉면
12 : 상측 밀봉면
15 : 공급측 실린더
16 : 토출측 실린더
17 : 관통 구멍
20 : 립
20a : 기단부
20b : 선단부
21 : 가이드 로드
22 : 선단부 주연
23 : 밀봉부
24 : 볼록조
30 : 상면
40 : 상형
41 : 하형
본 발명은, 오일이나 그리이스 등의 윤활유가 유통되는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원추형의 립을 구비한 원추형 밸브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추형 밸브 부재는 오일이나 그리이스 등의 윤활유를 토출하는 정량 밸브에 이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174251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원추형 밸브 부재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유의 공급구(2)를 갖고 내부에 윤활유가 유통되는 파이프(6)를 구비한 정량 밸브(T)에 있어서의 실린더(1) 내의 상기 윤활유의 공급구(2)와 파이프(6) 사이의 공간에 마 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추형 밸브 부재는 고무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원추형 밸브 부재(V)는,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실린더(1)의 공급구(2)측을 폐쇄하는 하측 밀봉면(11)을 가진 대략 원기둥형의 본체(1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의 상측에 윤활유의 공급시에 파이프(6)의 입구(6a)를 폐쇄하는 상측 밀봉면(12)을 설치하고 있다. 상측 밀봉면(12)은 본체(10)보다도 반경이 작은 원기둥형 부재(1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측연부(10a)에는 이 측연부(10a)로부터 본체(10)와 분기하여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고, 선단 주연부(22)의 외측이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립(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하측에는 하측 밀봉면(1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대략원기둥형으로 상기의 공급구(2)와 동축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추형 밸브 부재(V)를 이용한 정량 밸브(T)에 있어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의 공급구(2)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상방측으로 이동하고, 토출구(4)로 연통한 파이프(6)의 입구(6a)를 상측 밀봉면(12)으로 폐색하는 동시에, 립(20)이 내측으로 직경 축소하여 윤활유를 통과시킨다. 통과한 윤활유는 항상 공급구(2)측으로 스프링(8)에 의해 압박되는 피스톤(9)을 이 스프링(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압박하고, 이 압박에 의해 형성되는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되어 간다. 또한, 이 피스톤(9)의 압박에 의해 토출측 실린더실(16)에 충전된 윤활유가 파이프(6)와 연통되는 관통 구멍(17)으로부터 압출되어 토출구(4)로부터 토출되어 간다. 그 후, 피스톤(9)의 토출구(4)측의 단부면이 실린더(1) 내의 정지 단차부(18)에 접촉하여 정 지하면 토출이 종료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9)의 스트로크만큼의 윤활유가 토출된다.
또, 피스톤(9)은 파이프(6)의 외측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또한 실린더(1)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는 O링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공급구(2)로부터의 윤활유의 공급이 정지되어 공급 구멍(2)측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압박력에 의해 피스톤(9)이 공급구(2)측으로 압박되어, 파이프(6)의 공급구(2)측에 설치한 단차형의 스톱퍼(19)에 접촉한다. 이 피스톤(9)의 압박에 의해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된 윤활유의 압력이 높아져, 원추형 밸브 부재(V)가 공급구(2)측으로 이동하고, 공급구(2)의 단차부(2a)를 하측 밀봉면(11)으로 폐색한다. 또한, 립(20)이 확대 개방되어, 선단 주연부(22)가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되고 밀봉되어 윤활유의 공급구(2)측으로의 유출을 억지한다. 그리고, 원추형 밸브 부재(V)의 공급구(2)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파이프(6) 입구(6a)의 폐쇄가 해제되어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된 윤활유가 입구(6a)로부터 파이프(6)로 유입된다. 한편, 피스톤(9)의 이동에 의해 토출측 실린더실(16)이 부압이 되므로, 파이프(6)로 유입된 윤활유는 관통 구멍(17)으로부터 토출측 실린더실(16)로 유입하고, 다음 토출분의 윤활유로서 저류된다. 이러한 조작이 반복되어, 정량의 윤활유가 토출구(4)로부터 토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원추형 밸브 부재(V)에 있어서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의 공급구(2)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상방측으로 이동하고, 파이프(6)로 연통한 파이프(6)의 입구(6a)를 상측 밀봉면(12)으로 폐색한다. 이 경우,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상측 밀봉면(12)이 형성된 기둥형 부재(13)는 본체(10)보다도 반경이 작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랜 사용에 의해 기둥형 부재(13)가 쉽게 쓰러지거나, 쉽게 버클링되거나,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버리거나 한다. 이와 같이, 원추형 밸브 부재(V)의 내구성을 손상시키는 사태가 만일 발생되면, 상측 밀봉면(12)에 의한 밀봉이 불안정해져 밀봉 불량을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원추형 밸브 부재(V)의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또한, 공급구(2)와 가이드 로드(21) 사이의 간극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의해서도, 공급구(2)와 밀봉면(12)과의 밀봉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성형시에 상형(40)과 하형(41)의 분리선이 립(20)의 선단 주연부(22)가 되므로, 선단 주연부(22)에 버어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립(20)의 선단 주연부(22)에 버어를 발생하면 립(20)의 밀봉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상측 밀봉면에 의한 밀봉을 안정화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립부의 밀봉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원추형 밸브 부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원추형 밸브 부재는 윤활유의 공급 구를 갖고 내부에 윤활유가 유통되는 파이프를 구비한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상기 실린더의 공급구측을 폐쇄하는 하측 밀봉면을 가진 원추형 밸브 부재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밸브 부재는 대략 원기둥형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상기 상측 모서리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외측이 실린더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립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윤활유의 공급시에 상기 파이프의 입구를 폐쇄하는 상측 밀봉면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가 윤활유의 공급시에 파이프의 입구를 폐쇄하고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파이프로부터 떨어지는 동작이 반복되지만, 본체는 종래의 기둥형 부재와 비교해 크기 때문에 그 만큼 자세가 안정되어 쉽게 쓰러지거나, 쉽게 버클링되거나,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버리거나 하는 등의 사태가 거의 없어진다. 또한, 밀봉면도 커지기 때문에 파이프로부터 상대적으로 받는 힘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어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그 결과, 상측 밀봉면 형성부의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므로,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상측 밀봉면에 의한 밀봉이 안정화되어 밀봉 불량이 생기는 사태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상기 공급구에 가이드되어 상기 본체와 동축의 가이드 로드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외측에 상기 공급구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조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로드에 설치된 볼록조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가 실린더 내에서 기울어지는 일이 없어지므로, 상측 밀봉면이 파이프에 균등하게 접촉한다. 따라서, 이 점에서도 쉽게 쓰러지거나, 쉽게 버클링되거나,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버리거나 하는 등의 사태가 거의 없어져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상기 립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외주 상에 실린더에 탄성 접촉하여 밀봉을 행하는 밀봉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를 성형하는 형으로서 립의 선단부 외주로 분리하는 것을 사용해도, 밀봉부에는 형의 분리선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밀봉부에 버어를 발생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버어에 의해 밀봉성을 손상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봉부의 선단부를 단면 산 형태로 형성한 구성으로 하면, 정상부가 탄성 접촉되므로 밀봉이 확실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V)를 도시하고 있다. 이 원추형 밸브 부재(V)는 고무 등의 적절한 재질로 일체 성형되어, 상기와 동일한 정량 밸브(T)에 이용되는 것이다.
원추형 밸브 부재(V)는 오일이나 그리이스 등의 윤활유의 공급구(2)를 갖고, 내부에 윤활유가 유통되는 파이프(6)를 구비한 정량 밸브(T)에 있어서의 실린더(1) 내의 상기 윤활유의 공급구(2)와 파이프(6)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어 있다. 이 원 추형 밸브 부재(V)는,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실린더(1)의 공급구(2)측을 폐쇄하는 하측 밀봉면(11)을 가진 대략 원기둥형의 본체(1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의 상측에 윤활유의 공급시에 파이프(6)의 입구(6a)를 폐쇄하는 상측 밀봉면(12)을 설치하고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밀봉면(12)은 본체(10)의 상면(30)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측 모서리부(10a)에는 이 상측 모서리부(10a)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되고, 외측이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립(20)이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립(20)의 기단부(20a)[본체의 상측 모서리부(10a)]와 선단부(20b)(22) 사이의 외주 상에 실린더(1)에 탄성 접촉하여 밀봉을 행하는 밀봉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부(23)의 선단부는 단면 산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산 형태의 정상부가 실린더(1)의 내면에 접촉한다. 또한, 외측의 선단 주연부(22)도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한다.
또한, 본체(10)의 하측에는 하측 밀봉면(1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대략 원기둥형으로 상기의 공급구(2)와 동축에 설치되는 가이드 로드(2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로드(21)의 외측에는, 공급구(2)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조(2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24)는, 가이드 로드(21)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120 °마다)으로 3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21)의 하측 부분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V)를 제조할 때는,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하는 상형(40) 및 하형(41)에 의해 성형한다. 상형(40)은 립(20)의 내측면 및 립(20)의 단부면을 성형하고, 하형(41)은 립(20)의 외측면을 포함하는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외측을 성형한다. 이 경우,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는 원추형의 립(20)의 내측면을 상형(40)으로 성형하므로, 이형시 상형(40)이 용이하게 떨어져 성형이 용이해진다. 이 이형시, 상형(40)과 하형(41)의 분리선이 립(20)의 선단 주연부(22)가 되므로, 선단 주연부(22)에 버어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밀봉부(23)는 립(20)의 기단부(20a)와 선단부(20b) 사이의 외주 상에 형성되고, 이 부분에는 버어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밀봉부(23)의 밀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성형 후는 버어 등을 제거하는 마무리 처리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에,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V)를 상기의 정량 밸브(T)에 이용한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량 밸브(T)에 있어서는 실린더(1)의 공급구(2)로부터 윤활유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윤활유의 압력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토출구(4)로 연통한 파이프(6)의 입구(6a)를 상측 밀봉면(12)으로 폐색하는 동시에, 립(20)이 내측으로 직경 축소하여 윤활유를 통과시킨다. 통과한 윤활유는, 항상 공급구(2)측으로 스프링(8)에 의해 압박되는 피스톤(9)을 이 스프링(8)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압박하고, 이 압력에 의해 형성되는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되어 간다. 또한, 이 피스톤(9)의 압박에 의해, 토출측 실린더실(16)에 충전된 윤활유가 파이프(6)와 토출측 실린더실(16)과 연통하는 관통 구멍(17)으로부터 압출되 어 토출구(4)로부터 토출되어 간다. 그 후, 피스톤(9)의 토출구(4)측의 단부면이 실린더(1) 내의 정지 단차부(18)에 접촉하여 정지하면 토출이 종료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9)의 스트로크만큼의 윤활유가 토출된다.
이 경우, 가이드 로드(21)에 설치되는 볼록조(24)가 공급구(2)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되므로, 원추형 밸브 부재(V)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움직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실린더(1) 내에서 기울어지는 사태가 방지되므로, 파이프(6)의 입구(6a)를 상측 밀봉면(12)으로 폐색할 때, 상측 밀봉면(12)이 파이프(6)에 균등하게 접촉한다. 이에 의해, 밀봉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공급구(2)로부터의 윤활유 공급이 정지되어 공급 구멍(2)측으로 유압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8)의 압박력에 의해 피스톤(9)이 공급구(2)측으로 압박되어, 파이프(6)의 공급구(2)측에 설치한 단차형 스톱퍼(19)에 접촉한다. 이 피스톤(9)의 압박에 의해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된 윤활유의 압력이 높아져 원추형 밸브 부재(V)가 공급구(2)측으로 이동하고, 공급구(2)의 단차부(2a)를 하측 밀봉면(11)으로 폐색한다. 또한, 립(20)이 확대 개방되어, 선단 주연부(22)가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고 밀봉하여 윤활유의 공급구(2)측으로의 유출을 억지한다. 그리고, 원추형 밸브 부재(V)의 공급구(2)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파이프(6) 입구(6a)의 폐쇄가 해제되므로, 공급측 실린더실(15)에 충전된 윤활유가 입구(6a)로부터 파이프(6)로 유입된다. 한편, 피스톤(9)의 이동에 의해 토출측 실린더실(16)이 부압이 되므로, 파이프(6)에 유입된 윤활유는 관통 구멍(17)으로부터 토출측 실린더실(16)에 유입하여, 다음 토출분의 윤활유로서 저류된다.
이 경우, 립(20)의 밀봉부(23)가 실린더(1)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지만, 종래와 같이 립(20)의 선단 주연부(22)에 의해 밀봉된 경우와 비교하여 밀봉부(23)에는 형의 분리선에 의한 영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버어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공급구(2)측으로 이동할 때의 립(20)의 밀봉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어, 확실하게 토출측 실린더실(16)에 윤활유를 저류할 수 있다.
즉, 원추형 밸브 부재(V)의 성형 후는 버어 등을 제거하는 마무리 처리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래도 립(20)의 선단 주연부(22)에 버어가 다소 남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원추형 밸브 부재(V)는 밀봉을 밀봉부(23)로 행하므로, 이 버어가 영향을 미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부(23)의 선단부가 단면 산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정상부가 탄성 접촉되어 그 만큼 밀봉이 확실해진다.
이와 같이, 도6 및 도7에 도시한 동작이 반복되어 정량의 윤활유가 토출구(4)로부터 토출된다. 이 경우, 실시 형태에 관한 원추형 밸브 부재(V)에 의하면, 상측 밀봉면(12)은 본체(10)의 상면(30)으로 형성하였으므로, 본체(10)는 종래의 기둥형 부재(13)(도8)와 비교해 크기 때문에 그 만큼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밀봉면도 커지기 때문에 파이프(6)로부터 상대적으로 받는 힘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원추형 밸브 부재(V)에 있어서의 쉽게 쓰러지거나, 쉽게 버클링되거나,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버리거나 하는 등의 사태가 거의 없어져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그 결과, 상측 밀봉면(12) 형성부의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어 있으므로,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상측 밀봉면(12)에 의한 밀봉이 안정화되어, 밀봉 불량이 발생되는 사태가 방지된다.
또한, 가이드 로드(21)에 설치되는 볼록조(24)에 의해 원추형 밸브 부재(V)가 실린더(1) 내에서 기울어지는 사태가 방지되고, 그로 인해 상측 밀봉면(12)이 파이프(6)에 균등하게 접촉되므로, 이 점에서도 쉽게 쓰러지거나, 쉽게 버클링되거나,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버리거나 하는 사태가 거의 없어져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본 발명의 원추형 밸브 부재를 구비한, 예를 들어 오일이나 그리이스의 윤활유를 토출하는 정량 밸브는 공작 기계, 산업 기계 혹은 건설 기계 등의 각종 기계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윤활유의 공급구를 갖고 내부에 윤활유가 유통하는 파이프를 구비한 실린더 내에 설치되고, 윤활유의 비공급시에 상기 실린더의 공급구측을 폐쇄하는 하측 밀봉면을 가진 원기둥형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윤활유의 공급시에 상기 파이프의 입구를 폐쇄하는 상측 밀봉면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외측이 실린더의 내벽에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립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원추형 밸브 부재에 있어서,
    상기 립을 상기 상측 밀봉면의 상측 모서리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하여 형성하고, 또한 상기 립의 선단부의 선단부 주연과, 상기 립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의 외주 상의, 2개소에 상기 실린더에 탄성 접촉하여 밀봉을 행하는 2개의 밀봉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밸브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상기 공급구로 가이드되어 상기 본체와 동축의 가이드 로드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로드의 외측에 상기 공급구의 내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밸브 부재.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4491A 2002-10-25 2003-10-24 원추형 밸브 부재 KR101006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0384 2002-10-25
JP2002310384A JP4160359B2 (ja) 2002-10-25 2002-10-25 笠型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646A KR20040036646A (ko) 2004-04-30
KR101006629B1 true KR101006629B1 (ko) 2011-01-07

Family

ID=32455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491A KR101006629B1 (ko) 2002-10-25 2003-10-24 원추형 밸브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60359B2 (ko)
KR (1) KR101006629B1 (ko)
CN (1) CN1003669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7732B2 (ja) * 2009-03-09 2012-12-12 日立機材株式会社 油圧式ダンパ用油圧弁および油圧式ダン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73U (ja) * 1984-01-26 1985-08-17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逆止弁
JPH07174248A (ja) * 1993-12-22 1995-07-11 Riyuube Kk 笠型バルブ
JPH08189576A (ja) * 1995-01-06 1996-07-23 Toyota Motor Corp 逆止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28328Y (zh) * 1992-06-18 1993-03-17 李强 半自动定量给水阀门及手动阀门
JPH07174251A (ja) * 1993-12-22 1995-07-11 Riyuube Kk 定量バルブ
JP2001330164A (ja) * 2000-05-22 2001-11-30 Mikuni Adec Corp 二方向弁
JP4120160B2 (ja) * 2000-12-01 2008-07-16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2002235863A (ja) * 2001-02-07 2002-08-23 Nok Corp 液体遮断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73U (ja) * 1984-01-26 1985-08-17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逆止弁
JPH07174248A (ja) * 1993-12-22 1995-07-11 Riyuube Kk 笠型バルブ
JPH08189576A (ja) * 1995-01-06 1996-07-23 Toyota Motor Corp 逆止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646A (ko) 2004-04-30
JP2004144213A (ja) 2004-05-20
CN1499114A (zh) 2004-05-26
CN100366968C (zh) 2008-02-06
JP4160359B2 (ja)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0800A (en) Valved male luer
KR102523452B1 (ko) 주사기용 피스톤-스토퍼
JP3422899B2 (ja) 固定具打ち込み工具
JPH0198773A (ja) バルブ装置
KR20140134319A (ko) 공압 디스펜서용 플런저
KR20140075690A (ko) 액체 펌프, 피스톤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JP4701879B2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並びに、吐出弁機構、吸入弁機構、及びバルブ
CN108291603A (zh) 阻尼器改进
KR101006629B1 (ko) 원추형 밸브 부재
KR940010868B1 (ko) 피스톤로드를 밀봉하기 위한 관형부재
KR100952385B1 (ko) 수동 구동 분사기
JP3596053B2 (ja) 泡噴出ポンプ
JP3720054B2 (ja) トリガ式液体吐出器
US20180281253A1 (en) Gas exhausting device for injection mold
JPH11294135A (ja) エンジンのオイル抜き用プラグ
JP4116523B2 (ja) ボールペン
CN210334028U (zh) 一种模架自动润滑导柱导套组件
KR100342301B1 (ko) 자동차용 마스터 실린더
US10641296B2 (en) Accumulator piston, in particular for a pressure medium accumulator of a hydraulic unit of an electronically slip-controllable vehicle brake system
CN218663214U (zh) 一种全塑左右自锁乳液泵
CN217916880U (zh) 轮胎模具弹簧气孔套
KR20140049940A (ko) 차량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 어셈블리용 슬리브의 제조 방법
KR200171410Y1 (ko) 핑거 스프레이용 퍼스트 밸브 구조
CN115743907A (zh) 一种全塑左右自锁乳液泵
KR100301561B1 (ko) 클러치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실 오일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