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065B1 -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065B1
KR101001065B1 KR1020090016035A KR20090016035A KR101001065B1 KR 101001065 B1 KR101001065 B1 KR 101001065B1 KR 1020090016035 A KR1020090016035 A KR 1020090016035A KR 20090016035 A KR20090016035 A KR 20090016035A KR 101001065 B1 KR101001065 B1 KR 10100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case
spare tire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557A (ko
Inventor
유키카즈 니즈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3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케이스의 부착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케이스(60)에는 빈공간(42) 내에 끼워져들어가며, 관통홀(4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중공부(71)를 갖는 케이스 본체(70), 케이스 본체(70)로부터 관통홀(41)을 향하여 연장되며, 해당 관통홀(41)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중공부(71)에 연통되고, 샤프트(5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 구멍(101)을 갖는 원통부(100), 케이스 본체(70)와 원통부(100)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 본체(70)가 관통홀(41)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단차부(7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SPARE TIRE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케이스의 부착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로는 너트 부재와 이 너트 부재에 조여넣는 볼트 부재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의 단락 번호 "0010", 도 1 참조).
상기한 종래의 너트 부재는 브라켓의 부착 구멍에 볼트 부재의 조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하여 부착하였었다(예컨대 특허문헌 1의 단락 번호 "0021", 도 16 및 도 17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 2001-97253호(단락 번호 "0010", 단락 번호 "0021", 도 1, 도 16 및 도 17)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고정구에서는 볼트 부재의 조임 방향과 너트 부재의 부착 방향이 일치하였으므로, 볼트 부재에 빠짐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 너트 부재도 브라켓의 부착 구멍으로부터 빠지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은 점에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케이스의 부착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손잡이부를 통하여 샤프트를 용이하게 조여넣거나 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나사부를 포함하여 샤프트를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조 공정이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4,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인접하는 분할편을 힌지부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부로부터 분할편을 절곡시킴으로써 너트 부재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금속제 스프링인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제외하고, 샤프트, 케이스 및 너트 부재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도시한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괄호 안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 번호도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도면 번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의 고정구(10)이다.
둘째, 고정구(10)에는, 예컨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1)고정부(40)
고정부(40)는, 예컨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를 고정하는 것이다.
(2)샤프트(51)
샤프트(51)는, 예컨대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의 휠(21)의 부착 구멍(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길이의 중간에 나사부(53)를 적어도 갖는 것이다.
(3)케이스(60)
케이스(60)는, 예컨대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1)의 나사부(53)를 조여넣을 수 있는 나사 구멍(81)을 가지며, 고정부(40)에 고정되는 것이 다.
셋째, 케이스(60) 내에는, 예컨대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4)너트 부재(80)
너트 부재(80)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81)의 내경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5)중공부(71)
중공부(71)는, 예컨대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80)를 샤프트(51)의 조임 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이다.
(6)경사면(72)
경사면(72)은,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해당 중공부(71)의 내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너트 부재(80)의 나사 구멍(81)의 내경을 축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7)탄성 바이어스 수단(예컨대 스프링(90))
탄성 바이어스 수단(예컨대 스프링(90))은,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 내에서 너트 부재(80)를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넷째, 고정부(40)에는,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8)관통홀(41)
관통홀(41)은,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60)가 고정되는 안팎으로 관통하는 것이다.
(9)빈공간(42)
빈공간(42)은 관통홀(41)과 고정부(40)가 고정되는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60)를 끼워넣을 수 있는 것이다.
다섯째, 케이스(60)에는, 예컨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10)케이스 본체(70)
케이스 본체(70)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빈공간(42) 내에 끼워져들어가며, 관통홀(4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중공부(71)를 갖는 것이다.
(11)원통부(100)
원통부(100)는, 예컨대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0)로부터 관통홀(41)을 향하여 연장되고, 해당 관통홀(41)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중공부(71)에 연통되며, 샤프트(51)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 구멍(101)을 갖는 것이다.
(12)단차부(73)
단차부(73)는, 예컨대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0)와 원통부(100)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 본체(70)가 관통홀(41)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샤프트(51)에는, 예컨대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샤프트(5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손잡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샤프트(51)는 나사부(53)를 포함하여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4,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너트 부재(80)에는, 예컨대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1)분할편(120 내지 122)
분할편(120 내지 122)은, 예컨대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81)의 주위를 둘러싸며,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평행하게 분할된 복수 개의 것이다.
(2)힌지부(130 내지 131)
힌지부(130 내지 131)는, 예컨대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편(120 내지 122)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청구항 6)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 이외에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케이스(60)와 너트 부재(80)를 합성 수지로 개별적으로 성형하였다.
둘째, 탄성 바이어스 수단에는,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스프링(90)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케이스의 부착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를 통하여 샤프트를 조여넣거나 풀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나사부를 포함하여 샤프트를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조 공정이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4,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4,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분할편을 힌지부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힌지부로부터 분할편을 절곡시킴으로써 너트 부재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6)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 이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금속제 스프링인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제외하고 샤프트, 케이스 및 너트 부재를 수지제로 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도면의 설명)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고정구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고정구의 일부 분해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다이얼을 각각 나타내며, 도 4는 측면도, 도 5는 평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케이스 본체를 각각 나타내며, 도 7은 평면도, 도 8은 덮개를 닫은 상태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12는 너트 부재를 각각 나타내며, 도 9는 측면도, 도 10은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분할편을 힌지부로부터 절곡시킨 상태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고정구의 부착 과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3은 샤프트의 삽입전의 일부 단면도, 도 14는 샤프트를 삽입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15는 샤프트를 삽입한 후 회전시킨 상태의 일부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고정구(10))
도 1 내지 도 3에서 10은 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고정구(10)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20)를 트렁크(도시 생략) 내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또한, 스페어 타이어(20)의 부착 위치로서 트렁크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실내, 차체의 하면, 백도어 등일 수도 있다.
트렁크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를 수납할 수 있는 원형으로 패인 타이어 수납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의 바닥면의 중심에는 단면이 C형 채널 형태인 금속제 고정부(40)가 용접되어 있다.
고정부(40)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고정부(40)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관통홀(41)
관통홀(4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벽의 상하를 관통한다. 관통홀(41)에는 후술하는 고정구(10)의 케이스가 고정되어 있다.
(2)빈공간(42)
빈공간(4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벽, 좌우의 측벽,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의 바닥면에서 대략 "ㅁ"자형으로 둘러싸인 내측에 형성된다. 빈공간(42)에는 후술하는 고정구(10)의 케이스가 끼워져들어간다.
한편, 스페어 타이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에 맞추어 끼워져들어간다. 이 때, 스페어 타이어(20)의 휠(21)의 중심의 부착 구멍(22)이 고정부(40)의 관통홀(41)에 정합된다.
고정구(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3) 및 (4)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3)다이얼(50)
(4)케이스(60)
또한, 고정구(10)의 부품은 상기한 (3) 및 (4)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부품을 추가할 수도 있다.
(다이얼(50))
다이얼(50)은, 도 1, 도 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형태이며, 고정부(40)에 고정된 후술하는 케이스(60)의 나사 구멍(81)에 조여져들어가는 것이다. 다이얼(50)은 고도의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이얼(50)에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1) 내지 (3)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1)샤프트(51)
(2)손잡이부(52)
(3)나사부(53)
또한, 다이얼(5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샤프트(51))
샤프트(51)는,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20)의 휠(21)의 부착 구멍(22)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길이의 중간에 나사부(53)를 적어도 갖는 것이다.
샤프트(51)의 선단부에는 나사부(53)가 없는 부분이 필요한데, 그 이외에는 모두 나사부(53)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샤프트(51)의 선단부의 외경, 즉 나사부(53)의 하측의 외경을 나사부(53)의 골 부분의 외경 이하, 예컨대 골 부분의 외경과 같게 설정함으로써 후술하는 너트 부재(80)를 나사 구멍(81) 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나사부(53)의 하단부를 샤프트(51)의 선단부로부터 샤프트(51)의 전체 길이의 약 1/4의 높이의 위치로 하고, 나사부(53)의 상단부를 약 1/2의 높이의 위치로 하며, 나사부(53)의 전체 길이를 샤프트(51)의 전체 길이의 약 1/4의 길이와 같게 설정하였다.
또한, 나사부(53)의 높이 위치나 전체 길이는 상기한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손잡이부(52))
손잡이부(52)는 샤프트(51)의 일단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단부로부터 원형으로 튀어나오며, 그 외경을 스페어 타이어(20)의 휠(21)의 중심의 부착 구멍(22)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또한, 손잡이부(52)의 상면에는 손잡이부(52)를 회전시켰을 때의 미끄럼 방지구로서 단면이 꽃모양이나 결정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53))
나사부(53)는 샤프트(51)의 높이의 중간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케이스(60)의 나사 구멍(81)에 조여넣는 것이다.
(케이스(60))
케이스(60)는, 도 1, 도 2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40)에 고정되며, 다이얼(50)을 조여넣을 수 있는 후술하는 나사 구멍(81)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6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부품을 구비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1) 내지 (3)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1)케이스 본체(70)
(2)너트 부재(80)
(3)스프링(90)
또한, 케이스(60)의 부품은 상기한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 본체(70))
케이스 본체(70)는,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40)에 고정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너트 부재(80) 및 스프링(90)이 수납된다 . 케이스 본체(7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빈공간(42) 내에 끼워져들어가며, 관통홀(41)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케이스 본체(70)에는,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갖는다.
또한, 다음과 같은 (1) 내지 (5)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1)중공부(71)
(2)원통부(100)
(3)단차부(73)
(4)덮개(110)
(5)잠금턱(74)
또한, 케이스 본체(70)의 각 부분은 상기한 (1) 내지 (5)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공부(71))
중공부(71)는, 도 13 내지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80)를 샤프트(51)의 조임 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하는 것이다.
중공부(71)의 내측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72)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7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해당 중공부(71)의 내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후술하는 너트 부재(80)의 나사 구멍(81)의 내경을 축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원통부(100))
원통부(10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0)로부터 관통홀(41)을 향하여 연장되며, 해당 관통홀(41)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통부(100)에는,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원통부(100)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삽입 구멍(101)
삽입 구멍(101)은 원통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중공부(71)에 이르고, 중공부(71)에 연통되며, 샤프트(51)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2)턱부(102)
턱부(102)는 케이스 본체(70)를 고정부(4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턱부(102)는 후술하는 단차부(73)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방에 위치하며, 원통부(100)의 외주로부터 탄성적으로 한 쌍 돌출된다.
(단차부(73))
단차부(73)는, 도 1,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70)와 원통부(100) 사이에 위치하며, 케이스 본체(70)가 관통홀(41)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110))
덮개(110)는 케이스 본체(70)의 하측에 힌지부(111)를 통하여 연접되며, 중공부(71)의 개구 하면의 일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덮개(110)에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덮개(110)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1)힌지부(111)
힌지부(111)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10)를 케이스 본체(70)의 하측에 연접하는 것으로서,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2)개구부(112)
개구부(112)는, 도 3, 도 7,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뒷면을 관통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다이얼(50)의 샤프트(51)가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구부(112)의 내경은 중공부(71)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은 상태의 덮개(110)의 상면과 후술하는 너트 부재(80)의 하면 사이에서 후술하는 스프링(90)을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3)후크부(113)
후크부(113)는,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10)를 닫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잠금턱(74)에 걸어맞춤되며, 덮개(110)를 닫은 상태로 잠그기 위한 것으로서, 단면 L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잠금턱(74))
잠금턱(74)은, 도 3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10)를 닫은 상태에서 후크부(113)가 걸리는 것으로서 탄성을 부여하였다.
(너트 부재(80))
너트 부재(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구멍(81)의 내경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너트 부재(80)는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너트 부재(80)의 내주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의 경사면(72)과 평행하게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80)에는 다음과 같은 각 부분을 구비한다.
또한, 너트 부재(80)의 각 부분은 다음과 같은 (1) 및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제 1 내지 제 3 분할편(120 내지 122)
분할편(120 내지 122)은,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3개 있고, 나사 구멍(81)의 주위를 둘러싸며,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평행하게 분할된 것이다.
또한, 분할편(120 내지 122)의 개수로서 3개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각 분할편(120 내지 122)의 내측면에는,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부(123 내지 125)가 형성되어 있다.
(2)힌지부(130 내지 131)
힌지부(130 내지 131)는, 도 9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편(120 내지 122)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총 2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90))
스프링(90)은 탄성 바이어스 수단의 일례로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 내에서 너트 부재(80)를 샤프트(51)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90)은 금속제이며, 그 외경이 중공부(71)의 내경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케이스(60)의 조립 방법)
다음, 상기한 구성을 갖는 케이스(6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스 본체(70)의 중공부(71)의 개구 하면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80), 스프링(90) 순으로 끼워넣는다.
너트 부재(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힌지부(130 내지 131)를 절곡하여 3개의 분할편(120 내지 122)을 대략 도너츠 형태로 미리 조립해 둔다.
너트 부재(80), 스프링(90) 순으로 끼워넣은 후, 덮개(110)를 힌지부(111)로부터 절곡하여 닫는다.
이 때, 덮개(110)의 후크부(113)가 케이스 본체(70)의 잠금턱(74)에 걸어맞춤되며, 또한 덮개(110)를 닫는 방향으로 누르면 잠금턱(74)이 일단 휘고, 그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원된 잠금턱(74)의 상방으로 후크부(113)가 딸깍 소리를 내며 끼워져들어가 덮개(110)가 닫힌 상태로 잠긴다.
덮개(110)가 닫히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의 덮개(110)의 상면과 중공부(71) 내의 너트 부재(80)의 하면 사이에서 스프링(90)이 압축된다. 따라서, 너트 부재(80)는 스프링(90)이 압축 복원력에 의해 상방 쪽으로 눌려져서 중공부(71) 내를 상승한다.
또한, 너트 부재(80)의 최고 상승 위치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중공부(71) 내의 천장면에 부딪치는 위치에서 규제되어 있다.
너트 부재(80)가 상승하면, 그 외주면이 중공부(71) 내의 경사면(72)에 눌려 나사 구멍(81)의 내경을 축소시킨다.
즉, 너트 부재(8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분할편(120 내지 122)을 힌지부(130 내지 131)로부터 절곡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나사 구멍(81)의 내경은 자유단부 측에 위치하는 제 1 분할편(120)과 제 3 분할편(122)간 거리와 관련이 있으며, 제 1 분할편(120)의 자유단부와 제 3 분할편(122)의 자유단부가 접근함으로써 나사 구멍(81)의 내경이 축소된다.
(고정구(10) 사용 방법)
다음, 상기한 조립 방법에 의해 조립한 케이스(60)와 다이얼(50)로 구성되는 고정구(10)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케이스(60)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부(40)에 부착해 둔다.
케이스(60)를 빈공간(42)에 끼워넣고, 빈공간(42)의 내부로부터 원통부(100)를 관통홀(41)에 맞추어 상방에서 하방 쪽으로 삽입한다. 원통부(100)를 삽입하면, 턱부(102)가 관통홀(41)의 내측 가장자리에 눌려 삽입 구멍(101) 내에 휘어져들어간다. 턱부(102)가 삽입 구멍(101)을 통과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딸깍 소리를 내며 복원되며, 후술하는 단차부(73)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고정부(40)의 상벽 을 상하 방향에서 끼워 유지함으로써 케이스(60)가 고정부(40)에 고정된다.
다음, 스페어 타이어(20)의 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페어 타이어(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에 맞추어 끼워넣는다.
이 때, 스페어 타이어(20)의 휠(21)의 중심의 부착 구멍(22)이 고정부(40)의 관통홀(41)에 정합된다.
다음, 다이얼(50)의 샤프트(51)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21)의 부착 구멍(22)을 통하여 고정부(40)에 관통홀(41)에 고정된 케이스(60)의 삽입 구멍(101)에 맞추어 삽입한다.
샤프트(51)를 삽입하면, 그 선단부가 관통홀(41)로부터 중공부(71) 내로 진행하여 너트 부재(80)에 이른다.
이 때, 너트 부재(80)는, 중공부(71)의 경사면(72)이 캠면으로 작용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 속에서 상승하여 나사 구멍(81)의 내경이 축소되어 있다. 이 때의 나사 구멍(81)의 최소 내경이 다이얼(50)의 샤프트(51)의 외경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샤프트(51)의 선단부에 눌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80)가 하강한다. 너트 부재(80)가 하강하면, 경사면(72)에 의해 중공부(71)의 내경이 서서히 넓어지므로, 나사 구멍(81)의 내경도 서서히 확대된다.
확대된 나사 구멍(81)의 내경이 샤프트(51)의 외경 이상이 되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51)가 나사 구멍(81) 속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샤프트(51)의 나사부(53)가 나사 구멍(81)에 도달하면, 이 때의 나사 구멍(81)의 최소 내경을 나사부(53)의 최대 외경 미만으로 설정하였으므로, 샤프트(51)의 나사 구멍(81) 속으로의 진행이 정지된다.
다음, 다이얼(50)을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51)의 나사부(53)가 나사 구멍(81) 속을 진행한다. 이 때, 너트 부재(80)가 나사부(5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부(71) 속에서 상승하여 나사 구멍(81)의 내경이 축소된다.
다이얼(50)의 손잡이부(52)의 하면이 휠(21)의 상면에 맞닿을 때까지 다이얼(50)을 충분히 조여넣음으로써 스페어 타이어(20)는 타이어 수납 오목부(30)의 바닥과 손잡이부(52)의 하면 사이에 끼여 타이어 수납 오목부(30) 내에 고정된다.
한편, 스페어 타이어(20)를 분리할 때에는 다이얼(50)을 나사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케이스(60) 및 휠(21)의 부착 구멍(22)에서 빼내면 된다.
도 1은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고정구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고정구의 일부 분해 단면도
도 4는 다이얼의 측면도
도 5는 다이얼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케이스 본체의 평면도
도 8은 덮개를 닫은 상태의 케이스 본체의 측면도
도 9는 너트 부재의 측면도
도 10은 너트 부재의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XI-X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2는 분할편을 힌지부로부터 절곡한 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고정구의 부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샤프트의 삽입전의 일부 단면도
도 14는 샤프트를 삽입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15는 샤프트를 삽입한 후 회전시킨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구 20 - 스페어 타이어
21 - 휠 22 - 부착 구멍
30 - 타이어 수납 오목부 40 - 고정부
41 - 관통홀 42 - 빈공간
50 - 다이얼 51 - 샤프트
52 - 손잡이부 53 - 나사부
60 - 케이스 70 - 케이스 본체
71 - 중공부 72 - 경사면
73 - 단차부 74 - 잠금턱
80 - 너트 부재 81 - 나사 구멍
90 - 스프링(탄성 바이어스 수단) 100 - 원통부
101 - 삽입 구멍 102 - 턱부
110 - 덮개 111 - 힌지부
112 - 개구부 113 - 후크부
120~122 - 제 1 ~ 제 3 분할편 123~125 - 암나사부
130~131 - 힌지부

Claims (6)

  1.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스페어 타이어의 휠의 부착 구멍에 삽입될 수 있으며, 길이의 중간에 나사부를 적어도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나사부를 조여넣을 수 있는 나사 구멍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는,
    상기 나사 구멍의 내경을 변경시킬 수 있는 너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를 상기 샤프트의 조임 방향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하는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해당 중공부의 내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너트 부재의 상기 나사 구멍의 내경을 축소시키기 위한 경사면과,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너트 부재를 상기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기 위한 탄성 바이어스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케이스가 고정되는 안팎으로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바닥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를 끼워넣을 수 있는 빈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빈공간 내에 끼워져들어가며, 상기 관통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중공부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케이스 본체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향하여 연장되며, 해당 관통홀의 내경 이하의 외경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중공부에 연통되고, 상기 샤프트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 구멍을 갖는 원통부와,
    상기 케이스 본체와 상기 원통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본체가 상기 관통홀로부터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단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해당 샤프트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나사부를 포함하여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나사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평행하게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편과,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편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나사 구멍의 주위를 둘러싸며, 상기 샤프트의 조임 방향과 평행하게 분할된 복수 개의 분할편과,
    인접하는 적어도 한 쌍의 분할편을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너트 부재를 합성 수지로 개별적으로 성형하며,
    상기 탄성 바이어스 수단에는 금속제 스프링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KR1020090016035A 2008-09-10 2009-02-25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KR10100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2237 2008-09-10
JP2008232237A JP2010064588A (ja) 2008-09-10 2008-09-10 スペアタイヤの固定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557A KR20100030557A (ko) 2010-03-18
KR101001065B1 true KR101001065B1 (ko) 2010-12-14

Family

ID=4201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035A KR101001065B1 (ko) 2008-09-10 2009-02-25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064588A (ko)
KR (1) KR101001065B1 (ko)
CN (1) CN1016708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7125A (zh) * 2011-01-26 2011-10-0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自拧式备胎固定装置
JP5943380B2 (ja) * 2012-04-23 2016-07-0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のフック外れ防止構造
ITMI20132050A1 (it) * 2013-12-10 2015-06-11 Tres Srl Sistema di fissaggio per una ruota di scorta per un veicolo a motore.
CN106218738B (zh) * 2016-07-19 2019-03-29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车用备轮拆装结构及车辆
CN106564534A (zh) * 2016-10-25 2017-04-1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备胎安装结构及汽车
CN108789491A (zh) * 2018-06-13 2018-11-13 卞亚林 一种用于机器人的紧固软材料表面的螺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50B1 (ko) 1999-12-30 2003-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0480U (ja) * 1983-10-24 1985-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固定装置
JPH0159786U (ko) * 1987-10-13 1989-04-14
JPH0681830A (ja) * 1992-09-01 1994-03-22 Mineichi Iwamoto ナット
JP3178632B2 (ja) * 1993-03-16 2001-06-25 スズキ株式会社 スペアタイヤ格納装置。
JP3201917B2 (ja) * 1994-11-09 2001-08-27 株式会社ニフコ ワンタッチナット
JPH08239064A (ja) * 1995-03-01 1996-09-17 Piolax Inc スペアタイヤの固定構造
JP2001097253A (ja) * 1999-09-29 2001-04-10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スペアタイヤの留め構造
JP2002250323A (ja) * 2001-02-23 2002-09-06 Mitsumi Electric Co Ltd ナット
JP3750931B2 (ja) * 2002-02-06 2006-03-01 株式会社三ツ知 連結具と、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装置
JP2004116696A (ja) * 2002-09-27 2004-04-15 Kaoru Taneichi ナット
JP2005067432A (ja) * 2003-08-26 2005-03-17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スペアタイヤ取付構造
KR100599289B1 (ko) * 2004-06-23 2006-07-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고정홀더
CN2717773Y (zh) * 2004-07-06 2005-08-17 马永涛 备用轮胎防盗安装架
US7954679B2 (en) * 2004-07-20 2011-06-07 Honda Motor Company, Ltd. Retention system for a spare tire
JP4049385B2 (ja) * 2004-08-04 2008-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後部のスペアタイヤ保持構造
FR2883832B1 (fr) * 2005-03-31 2007-05-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e fixation d'une roue de secours d'un vehicule
JP2008068706A (ja) * 2006-09-13 2008-03-27 Toyota Motor Corp スペアタイヤ固定構造
KR100788070B1 (ko) * 2006-10-27 2007-12-2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550B1 (ko) 1999-12-30 2003-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64588A (ja) 2010-03-25
KR20100030557A (ko) 2010-03-18
CN101670857A (zh) 2010-03-17
CN101670857B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065B1 (ko)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구
US5326082A (en) Self locking, snap mounted attachment device
US4828444A (en) Plastic push-on nut
US20170284437A1 (en) Stud Clip Insert for Panel Hole
EP2058242B1 (en) Fastener for fastening a component to a stud
KR102045345B1 (ko) 센서 설치도구
US20050095080A1 (en) Structure for coupling bolt and clamp for automobile
EP3022475A1 (en) Pipe clip with locking feature
US7374249B2 (en) Non-axisymmetrical wheel cover retention apparatuses and assemblies
WO2003042556A1 (fr) Corps de montage a fixer sur un corps de boulon et corps d'ecrou
US6250524B1 (en) Spare-tire fastening structure
US20030147720A1 (en) Fastener for variously sized studs
US20070274801A1 (en) Slide lock fastener
US6361261B1 (en) Fastener assembly with interference element
JP3224171B2 (ja) 締結装置
US3361455A (en) Steering post
US20200232499A1 (en) Fastening clip
JPWO2019035273A1 (ja) クリップ
US20220341457A1 (en) Fasteners
JPS6243130Y2 (ko)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JP3199913U (ja) フィン固定金具
KR200244172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손잡이
KR200464795Y1 (ko) 조립형 앵커볼트유닛
KR200447325Y1 (ko) 마운팅볼트 푸시체결이 가능한 파스너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