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159Y1 - 플랜지 너트 구조 - Google Patents

플랜지 너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159Y1
KR200385159Y1 KR20-2005-0006874U KR20050006874U KR200385159Y1 KR 200385159 Y1 KR200385159 Y1 KR 200385159Y1 KR 20050006874 U KR20050006874 U KR 20050006874U KR 200385159 Y1 KR200385159 Y1 KR 200385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lange
fastening
flange nut
loos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
Original Assignee
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 filed Critical 김경
Priority to KR20-2005-0006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1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means of washers, spring washers, or resilient plates that lock against the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2Locking by means of special shape of work-engaging surfaces, e.g. notched or toothed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기계부품, 전장부품, 구조물 등을 볼트로 체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너트 구조가 개시된다.
종래의 와셔붙이 너트는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셔를 크게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프링, 와셔를 개재하여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특히 상향 작업의 경우에는 체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힘이 든다고 하는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너트(20)의 플랜지부(22) 내측 선단에는 결합부(23)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23)의 외측에는 저면에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풀림 방지용 돌기(33)를 형성한 조임부재(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너트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플랜지 너트에 조임부재가 결합됨으로써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특히 상향 작업의 경우에는 체결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며, 조임부재가 경사면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면에 풀림 방지용 돌기 및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더욱 증대되고 너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플랜지 너트 구조{Structure of flange nut}
본 고안은 플랜지 너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 너트에 조임부재를 결합시켜 결합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플랜지 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는 볼트에 나사로 체결되어 하나 이상의 기계부품이나 전기부품 또는 구조물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계요소로서, 대략 외형은 육각형의 너트가 주류를 이루고 사각형의 너트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은 내측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기능적인 특징에 따라서 윗면에 너트의 풀림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분할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홈붙이 너트와, 날개 모양의 손잡이가 형성된 나비너트,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 구멍이 관통되어 있지 않은 박스형 너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너트는 체결된 상태에서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체결 상태가 해제되어 수시로 죄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너트의 일측면에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 너트도 있으나, 이는 플랜지의 접촉면이 작게 되어 체결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플랜지의 접촉면을 크게 하는 것은 단조 가공에 따른 제약으로 한계가 있다.
종래에도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너트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7168호로 개시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0)에는 와셔(11)를 개재하여 너트(12)가 체결되는데, 상기 와셔(11)의 내측면에 경사요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12)의 하측에는 상기 경사요부(11a) 내에 삽입되는 경사돌부(12a)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12)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에 와셔를 개재하여 너트가 체결되는데, 상기 와셔의 내측에 형성된 경사요부 너트의 경사돌부가 삽입됨으로써 너트의 체결시 회전 작동에 의해 너트와 와셔가 서로 강하게 압박하여 너트와 볼트의 체결이 견고하게 되어 외부 작용에 의한 너트의 풀림 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하향 작업 즉, 작업자가 하측을 보고 너트를 볼트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작업자의 상측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는 상향 작업인 경우에는 볼트에 와셔 및 너트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그 조립 및 체결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이는 힘이 약하여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너트가 풀리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향 작업시 너트의 조립 및 체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체결력이 증대되어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랜지 너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플랜지 너트 구조는,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너트의 플랜지부 내측 선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의 외측에는 저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풀림 방지용 돌기를 형성한 조임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너트 구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플랜지 너트에 조임부재가 결합됨으로써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특히 상향 작업의 경우에는 체결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며, 조임부재가 경사면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면에 풀림 방지용 돌기 및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더욱 증대되고 너트의 풀림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에서 조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의 결합 단면도로서, 볼트(10)에 체결되는 플랜지 너트(20)는 내측면에 암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선단에는 플랜지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나사부(21)의 끝단에는 연장부(2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3)의 외측에는 조임부재(30)가 삽입 고정되는데, 상기 조임부재(30)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면(31)의 저면 내측 가장자리에는 결합홈(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32)에는 상기 연장부(23)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고정되어 진다.
상기 조임부재(30)는 연장부(23)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임부재(30)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조임부재(30)의 상부면에는 죔시 플랜지 너트(2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용 돌기(33)가 복수 게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고정하고자 하는 구조물(A)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돌기(34)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또는 고정하고자 하는 구조물(A)에 볼트(10)를 관통시킨 후 그 선단에 플랜지 너트(20)를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10)에는 조임부재(30)가 연장부(23)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와셔를 결합하거나 삽입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플랜지 너트(20)를 볼트(10)에 체결하는 것만으로 작업이 완료되며, 따라서 볼트(10) 및 플랜지 너트(20)의 체결 작업이 편리하게 되는데, 이는 볼트(10)의 체결 작업이 상향 작업인 경우에는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트(10)를 체결하게 되면 조임부재(30)가 경사면(31)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면에 풀림 방지용 돌기(33) 및 결합돌기(34)가 형성됨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증대됨과 아울러 진동이나 충격 등의 외부적인 환경이나 조건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플랜지 너트에 조임부재가 결합으로써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특히 상향 작업의 경우에는 체결작업이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되며, 조임부재가 경사면을 가지고 상부 및 하부면에 풀림 방지용 돌기 및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상태가 더욱 증대되고 너트의 풀림이 방지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너트 구조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에서 조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플랜지 너트 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볼트 20: 플랜지 너트
21: 암나사부 23: 연장부
30: 조임부재 31: 경사면
32: 결합홈 33: 풀림 방지용 돌기
34: 결합돌기

Claims (2)

  1.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플랜지 너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너트(20)의 플랜지부(22) 내측 선단에는 결합부(23)가 형성되고, 이 결합부(23)의 외측에는 저면에 경사면(31)이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풀림 방지용 돌기(33)를 형성한 조임부재(3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너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30)는 저면에 복수 개의 결합돌기(3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너트 구조.
KR20-2005-0006874U 2005-03-15 2005-03-15 플랜지 너트 구조 KR200385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74U KR200385159Y1 (ko) 2005-03-15 2005-03-15 플랜지 너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874U KR200385159Y1 (ko) 2005-03-15 2005-03-15 플랜지 너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159Y1 true KR200385159Y1 (ko) 2005-05-24

Family

ID=4368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874U KR200385159Y1 (ko) 2005-03-15 2005-03-15 플랜지 너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1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50B1 (ko) * 2008-01-17 2014-01-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파킹브레이크의 실린더어셈블리
WO2017200206A1 (ko) * 2016-05-18 2017-11-23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압력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550B1 (ko) * 2008-01-17 2014-01-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차량용 파킹브레이크의 실린더어셈블리
WO2017200206A1 (ko) * 2016-05-18 2017-11-23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압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10060465B2 (en) Anti-loosening bolt
US8209852B2 (e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screws of electric terminals
KR200415224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20190116779A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KR101172868B1 (ko) 록크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KR102076483B1 (ko) 풀림 방지 볼트 및 너트 보호캡.
KR20180102343A (ko) 이중나사선 볼트 및 이중결합너트
KR100988489B1 (ko) 풀림방지용 너트캡
KR100858636B1 (ko) 보울트 또는 너트의 체결/해제 지지구
US20120282060A1 (en) Loose resistant nut fastener
KR200418894Y1 (ko) 풀림방지너트
KR20180043692A (ko) 풀림 방지 체결구
KR200465057Y1 (ko) 풀림방지형 체결부재
KR20150135982A (ko) 카운터싱크 와셔
KR100554195B1 (ko) 볼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볼트체결구조
KR200433723Y1 (ko) 풀림방지와샤
KR200303222Y1 (ko) 볼트ㆍ너트의 풀림방지구
KR102173191B1 (ko) 도난 방지와 풀림 방지를 위한 볼트와 너트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KR20140059385A (ko) 볼트 풀림 방지구조
CN211288403U (zh) 敲紧螺母组件
KR100613125B1 (ko) 레벨푸트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90005484U (ko) 풀림 방지형 렌치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