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153U -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153U
KR19980067153U KR2019970011678U KR19970011678U KR19980067153U KR 19980067153 U KR19980067153 U KR 19980067153U KR 2019970011678 U KR2019970011678 U KR 2019970011678U KR 19970011678 U KR19970011678 U KR 19970011678U KR 19980067153 U KR19980067153 U KR 19980067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astened
elastic washer
loosening
preven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1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상수
Original Assignee
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상수 filed Critical 현상수
Priority to KR2019970011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153U/ko
Publication of KR19980067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153U/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1)(12)에 끼워지는 나사(13)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물(11)의 표면상에 사각형의 고정홈(11b)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13)와 피체결물(11)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사각형의 탄성와셔(14)를 별도 형성하되, 탄성와셔(14)의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14a)을 원형 배열형성하는 한편, 상기 나사(13)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홈(13a)을 원형배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일단 체결조립되면 여하한 외부충격이나 지속적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호체결상태인 나사와 피체결물이 불의하게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체결상태를 장기간 유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본 고안은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나사와 피체결물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사각형의 탄성와셔를 별도 형성하고, 상기 탄성와셔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을 피체결물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일단 체결조립되면 여하한 외부충격이나 지속된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호체결상태인 나사와 피체결물이 불의하게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체결상태를 장기간 유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나사는 통상 2개 이상으로 분리형성되는 물체를 단일체로서 체결조립하는 용도로서 전자부품조립, 가구조립 등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즉, 나사의 사용은 2개의 피체결물이 겹쳐지도록 하여 각각의 피체결물에 형성된 결합홀이 일치되도록 한 후 상기 결합홀에 나사를 결합하여 2개의 피체결물을 단일체로서 결합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나사 결합구조는 피체결물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규칙적인 진동이 연속적으로 가해질 경우 피체결물로부터 나사가 이탈되어 단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야 할 피체결물이 상호 분리되어 제품의 성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나사와 피체결물 사이에 스프링와셔나 치와셔를 결합하여 나사와 피체결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피체결물로부터 나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 또한 피체결물에 충격이나 연속적인 진동이 가해지게 되면 스프링와셔나 치와셔가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피체결물로부터 나사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나사와 피체결물 사이에 결합되는 사각형의 탄성와셔를 별도 형성하되, 탄성와셔의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을 원형배열 형성하는 한편, 상기 나사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원형배열 형성함으로써, 일단 체결조립되면 여하한 외부충격이나 지속적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호체결상태인 나사와 피체결물이 불의하게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체결상태를 장기간 유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나사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나사13a : 걸림홈
14 : 탄성와셔14a : 걸림편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체결대상인 피체결물에 끼워지는 나사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물의 표면상에 사각형의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와 피체결물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사각형의 탄성와셔를 별도 형성하되, 탄성와셔의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을 원형 배열형성하는 한편, 상기 나사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원형배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상기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나사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나사(13)와 탄성와셔(14)로 대별 구성된다.
상기 나사(13)는 피체결물(11)(12)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11a)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13)의 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13a)을 원형 배열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와셔(14)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그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14a)을 원형배열 형성하여 상기 나사(1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3a)에 걸리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피체결물(11)의 표면에는 상기 탄성와셔(14)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사각형의 고정홈(11b)을 형성하였는데, 이때, 상기 고정홈(11b)의 중심부에는 결합홀(11a)이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대상물인 2개의 피체결물(11)(12) 중 나사(13)와 접하게 되는 피체결물(11)에 형성된 사각형의 고정홈(11b)에 탄성와셔(14)를 결합하여 탄성와셔(14)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피체결물(11)(1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11a)에 나사(13)를 삽입하여 2개의 피체결물(11)(12)이 단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나사(13)가 피체결물(11)(12)에 결합될 때, 피체결물(11)의 고정홈(11b)에 고정되어 있는 탄성와셔(14)의 걸림편(14a)이 나사(1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3a)에 걸리게 되어 나사(13)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나사(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체결물(11)(12)에 결합될 때, 나사(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에는 탄성와셔(14)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편(14a)이 나사(13)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13a)에 삽입되면서 걸림편(14a)이 걸림홈(13a)의 벽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나사(13)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1)(12)에 끼워지는 나사(23)에 있어서;
피체결물(11)의 결합홀(11a) 부근에 다수의 고정홀(11c)을 원형배열 형성하고, 상기 나사(23)의 외주면에 일정넓이의 플랜지(23a)를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다수의 끼움홀(23b)을 원형배열 형성하여 일치되는 고정홀(11c)과 끼움홀(23b)에 별도의 고정핀(24)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피체결물(11)(12)에 나사(23)를 결합하여 2개의 피체결물(11)(12)을 단일체로 결합시키고자 할 때, 피체결물(11)(12)의 결합홀(11a)에 나사(23)를 끼워넣어 피체결물(11)(12)을 상호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23)의 플랜지(23a)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끼움홀(23b)과 피체결물(1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홀(11c) 중 일치되는 끼움홀(23b)과 고정홀(11c)에 별도의 고정핀(24)을 결합함으로써, 피체결물(11)(12)에 결합된 나사(23)가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피체결물(11)(12)로부터 나사(23)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끼움홀(23b)과 고정홀(11c)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24)을 이탈시킴으로써 피체결물(11)(12)로부터 나사(23)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사와 피체결물 사이에 결합되는 사각형의 탄성와셔를 별도 형성하되, 탄성와셔의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을 원형배열 형성하는 한편, 상기 나사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원형배열 형성함으로써, 일단 체결조립되면 여하한 외부충격이나 지속적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호체결상태인 나사와 피체결물이 불의하게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체결상태를 장기간 유지토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이다.

Claims (2)

  1.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1)(12)에 끼워지는 나사(13)에 있어서;
    상기 피체결물(11)의 표면상에 사각형의 고정홈(11b)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13)와 피체결물(11)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사각형의 탄성와셔(14)를 별도 형성하되, 탄성와셔(14)의 중심부에는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다수의 걸림편(14a)을 원형 배열형성하는 한편, 상기 나사(13)의 저면에 다수의 걸림홈(13a)을 원형배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2.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1)(12)에 끼워지는 나사(23)에 있어서;
    피체결물(11)의 결합홀(11a) 부근에 다수의 고정홀(11c)을 원형배열 형성하고, 상기 나사(23)의 외주면에 일정넓이의 플랜지(23a)를 형성하되 그 중심부에 다수의 끼움홀(23b)을 원형배열 형성하여 일치되는 고정홀(11c)과 끼움홀(23b)에 별도의 고정핀(24)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KR2019970011678U 1997-05-23 1997-05-23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KR19980067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678U KR19980067153U (ko) 1997-05-23 1997-05-23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1678U KR19980067153U (ko) 1997-05-23 1997-05-23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153U true KR19980067153U (ko) 1998-12-05

Family

ID=6967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1678U KR19980067153U (ko) 1997-05-23 1997-05-23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15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661A (ko) * 2013-05-09 2014-1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체인 스프로킷 체결용 와셔
KR101508221B1 (ko) * 2013-05-30 2015-04-06 주식회사 일원테크 볼트 풀림 방지용 고정부재
KR20180076789A (ko) * 2016-12-28 2018-07-06 평화산업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의 모터마운트 브라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661A (ko) * 2013-05-09 2014-11-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의 체인 스프로킷 체결용 와셔
KR101508221B1 (ko) * 2013-05-30 2015-04-06 주식회사 일원테크 볼트 풀림 방지용 고정부재
KR20180076789A (ko) * 2016-12-28 2018-07-06 평화산업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의 모터마운트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8209852B2 (en) Arrangement for locking the screws of electric terminals
KR200415224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 방지 구조
KR101172868B1 (ko) 록크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
KR20190116779A (ko) 풀림방지 볼트, 너트
KR19980067153U (ko) 풀림방지수단이 부가된 나사 결합구조
US10465738B2 (en) Lock threaded assembly
KR200385159Y1 (ko) 플랜지 너트 구조
KR19980083807A (ko) 풀림방지형 볼트, 너트 앗세이
KR200221020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JPH066271Y2 (ja) 弛み防止ナット
KR20010000985U (ko) 체결장치
KR20035421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CA235311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moulded enclosures
KR19990037846A (ko) 록킹너트
KR19990037847A (ko) 록킹너트
RU2044173C1 (ru) Резьб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0188480Y1 (ko) 매설너트
KR200173974Y1 (ko) 컨넥터의 기판고정구조
KR200254141Y1 (ko) 가구용 나사체결구
KR19980015937U (ko) 스피커 커버 체결구조
KR101554428B1 (ko) 풀림 방지 체결장치
KR200185255Y1 (ko) 클램프 커플링
KR200346252Y1 (ko) 풀림 방지용 너트
KR890007755Y1 (ko) 렌치형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