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020Y1 -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020Y1
KR200221020Y1 KR2020000027328U KR20000027328U KR200221020Y1 KR 200221020 Y1 KR200221020 Y1 KR 200221020Y1 KR 2020000027328 U KR2020000027328 U KR 2020000027328U KR 20000027328 U KR20000027328 U KR 20000027328U KR 200221020 Y1 KR200221020 Y1 KR 2002210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nut
fitting
groov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걸
Original Assignee
최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걸 filed Critical 최종걸
Priority to KR2020000027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0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0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020Y1/ko

Links

Landscapes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체결대상인 피체결물에 끼워지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몸체부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너트의 내경과 연통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끼움홈에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 삽입되고, 상기 끼움홈의 끼움공에 일단이 돌출되게 삽입된 끼움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너트의 내경에 볼트의 체결시 볼트의 몸체부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에 고정부재의 끼움부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즉 고정부재의 고정력으로써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을 높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볼트 및 너트가 풀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BOLT AND NUT STRUCTURE HOLD UNTIE}
본 고안은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너트의 외주연에 너트 내경과 연통되게 끼움공이 형성된 끼움홈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에 자체 탄성력이 구비되고, 끼움부를 갖는 링 타입의 고정부재를 삽입시키면, 끼움홈에는 고정부재의 내주연이 삽입되고, 고정부재의 끼움부는 끼움홈의 끼움공에 돌출되게 삽입됨으로써 너트의 내경에 볼트의 체결시 볼트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에 고정부재의 끼움부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볼트 및 너트가 풀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 및 너트는 통상 2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물체를 단일체로서 체결 조립하는 용도로서 자동차부품 조립, 전자부품조립, 가구조립 등의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볼트 및 너트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볼트 및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는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00)(110)에 끼워지는 볼트(200)와, 볼트(20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3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200) 및 너트(3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셔(400)가 볼트(200) 및 너트(200)에 내측에 삽입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 체결구조로써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00)(11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체결물(100)(110)에 형성된 끼움공(111)을 통하여 볼트(200)를 관통시킨 다음, 볼트(200)의 나사부에 너트(300)를 체결시키면, 볼트(200)에 너트(300)가 나사 체결된다.
이에 따라 피체결물(100)(110)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볼트(200)와 너트(300)에 와셔(400)를 삽입시키게 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트 및 너트의 결합구조는 외부의 충격 및 진동으로 인하여 볼트로부터 너트의 체결력이 쉽게 해제됨으로써 피체결물에 대한 체결력이 약화되거나 상실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와셔를 삽입하여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을 유지하였으나, 이는 체결력을 장시간 유지하게 되면 이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쉽게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이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체결대상인 피체결물에 끼워지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몸체부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에 상기 너트의 내경과 연통되도록 수평을 유지하여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끼움홈에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 삽입되고, 상기 끼움홈의 끼움공에 그 일단이 돌출되게 삽입된 끼움부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볼트 및 너트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트 12 : 몸체부
13 : 걸림홈 20 : 너트
22 : 끼움홈 24 : 끼움공
30 : 고정부재 32 : 끼움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구조는, 체결대상인 피체결물(1)(2)에 끼워지는 볼트(10)와, 볼트(10)에 나사 체결되는 너트(20)와, 너트(2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10)는 피체결물(1)(2)에 끼워지고, 외경에 나사부가 형성된 몸체부(12)와, 몸체부(12)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볼트(10)의 몸체부(12)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의 걸림홈(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걸림홈(13)은 볼트(10)의 몸체부(12) 외경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길이 방향으로 약 6개 정도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20)는 외주연에 원형의 끼움홈(22)이 형성되고, 끼움홈(22)에는 너트(20)의 내경과 연통되도록 수평으로 끼움공(24)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2)는 너트(20) 외주연에는 너트(20)의 강도를 고려하여 일면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즉, 너트(20) 외주연 중앙부에 끼움홈(22)을 형성하게 되면, 스패너 등의 공구로써 너트(20)를 조이게 될 때 강도가 저하된다.
그리고, 끼움홈(22)의 깊이는 상기 고정부재(30) 외경이 돌출되지 않은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적정 내경을 갖고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금속재질의 링 타입으로 형성되는 데, 이 고정부재(30)를 적정 길이를 절단하여 개방부(31)를 형성하고, 개방부(31)의 일측을 내측으로 절곡시켜 끼움부(32)를 형성하게 된다.
즉, 고정부재(30) 내주면이 너트(20)의 끼움홈(22)에 탄력적으로 삽입되고,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가 끼움홈(22)의 끼움공(24)에 그 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된다.
이때, 볼트(10)를 너트(20)에 체결시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 단부가 볼트(10)의 몸체부(12)에 형성된 반원형의 걸림홈(13)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볼트(10)와 너트(12)의 풀림이 방지된다.
그리고,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 단부는 반원형의 걸림홈(13)에 걸리기가 용이하도록 그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체결 대상인 한쌍의 피체결물(1)(2)에 볼트(10)의 몸체부(12)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너트(20) 외주연의 끼움홈(22)에 고정부재(30)의 개방부(31)를 일치시키고, 고정부재(30)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고정부재(30)의 개방부(31)가 재질의 특성상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너트(20)의 끼움홈(22)에 삽입되어 고정부재(30)의 내주면이 너트(20)의 끼움홈(22)에 돌출되지 않은 범위에서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가 너트(20)의 끼움홈(22)에 형성된 끼움공(24)에 삽입되어 너트(20) 내경으로 단부가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볼트(10)의 몸체부(12)에 너트(20)를 삽입시키고, 스패너 등의 공구로써 볼트(10)의 머리부(14) 및 너트(20)를 회전시켜 상호 체결시키게 된다. 그러면,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가 자체의 탄성력으로써 너트(20)의 끼움홈(22)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볼트(10)의 걸림홈(13)이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볼트(10) 및 너트(20)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 볼트(10) 및 너트(20)가 회전되면서 볼트(10)의 몸체부(12)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13)으로부터 고정부재(30)의 끼움부(32)의 단부가 자체 탄성력으로 이탈되면서 몸체부(12) 외경을 타고 넘어 다음 걸림홈(13)으로 순차적으로 삽입됨으로써 볼트(10) 및 너트(20)의 체결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너트의 외주연에 너트 내경과 연통되도록 끼움공이 형성된 끼움홈을 형성하고, 이 끼움홈에 자체 탄성력이 구비된 끼움부를 갖는 링 타입의 고정부재를 삽입시키면, 끼움홈에는 고정부재의 내주연이 삽입되고, 고정부재의 끼움부는 끼움홈의 끼움공에 돌출되게 삽입됨으로써 너트의 내경에 볼트의 체결시 볼트의 몸체부 외경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홈에 고정부재의 끼움부 단부가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어, 즉 고정부재의 고정력으로써 볼트 및 너트의 체결력을 높여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볼트 및 너트가 풀려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체결대상인 피체결물에 끼워지는 볼트와,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볼트(10)의 몸체부(12) 외경에는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걸림홈(13)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20)의 외주연에는 원형의 끼움홈(2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22)에 상기 너트(20)의 내경과 연통되도록 끼움공(24)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20)의 끼움홈(22)에 내주면이 탄력적으로 밀착 삽입되고, 상기 끼움홈(22)의 끼움공(24)에 일단이 돌출되게 삽입된 끼움부(32)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볼트(10)의 걸림홈(13)에 선택적으로 걸리게 되는 고정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KR2020000027328U 2000-09-29 2000-09-29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KR2002210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28U KR200221020Y1 (ko) 2000-09-29 2000-09-29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328U KR200221020Y1 (ko) 2000-09-29 2000-09-29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020Y1 true KR200221020Y1 (ko) 2001-04-16

Family

ID=7308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328U KR200221020Y1 (ko) 2000-09-29 2000-09-29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0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428B1 (ko) 2014-06-19 2015-09-18 주식회사 사람들 풀림 방지 체결장치
KR200481046Y1 (ko) * 2015-05-20 2016-08-08 김태화 배관 연결용 클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428B1 (ko) 2014-06-19 2015-09-18 주식회사 사람들 풀림 방지 체결장치
KR200481046Y1 (ko) * 2015-05-20 2016-08-08 김태화 배관 연결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3039A (en) Shock isolating mount
KR20050041447A (ko) 자동차용 볼트 및 클램프의 체결구조
EP4074993A1 (en) Rotation-stopping and disengagement-stopping gasket, fastening connection mechanism and fastening method
US6095481A (en) Breakaway shock isolating mount
GB2272951A (en) Preventing loosening of screwthreaded fasteners
KR200221020Y1 (ko)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JP2011127752A (ja) ロックワッシャ
KR20010077809A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200197004Y1 (ko) 풀림 방지 볼트 조립체
KR20030073767A (ko)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부재
JPH08121451A (ja) 弛み防止ナット
KR19980027812U (ko) 풀림방지용 고정 너트 구조
KR200381417Y1 (ko) 볼트에 결합된 너트가 이탈되지 않는 크램프
KR200235137Y1 (ko) 풀림방지용 볼트
KR102072406B1 (ko) 압륜 어셈블리
KR20030066925A (ko) 너트 풀림 방지용 체결볼트
KR19990039586U (ko) 파이프 연결구
KR0121853Y1 (ko) 스패너
KR20090067777A (ko) 체결기구
KR20040091819A (ko) 와셔 일체형 록 너트
KR20010000985U (ko) 체결장치
KR200158468Y1 (ko) 엔진의 스파크 플러그 분해조립 렌치
KR200355612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CA1304097C (en) Shock isolating mount
KR20000072765A (ko) 진동 볼트 및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