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046Y1 - 배관 연결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046Y1
KR200481046Y1 KR2020150003218U KR20150003218U KR200481046Y1 KR 200481046 Y1 KR200481046 Y1 KR 200481046Y1 KR 2020150003218 U KR2020150003218 U KR 2020150003218U KR 20150003218 U KR20150003218 U KR 20150003218U KR 200481046 Y1 KR200481046 Y1 KR 2004810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lamp
nut
bolt member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2020150003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0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0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0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는 연결 대상인 배관들을 집을 수 있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볼트 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가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되는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재의 외면을 따라 다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된 형태인 다각면을 가지는 다각면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너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몸체의 상기 관통 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몸체에는 상기 너트 몸체의 측면에서 외부와 상기 관통 홀을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몸체를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너트 몸체의 각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에 고정 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 수단의 말단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볼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클램프 본체,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볼트 부재가 다각면 형성부를 포함하며, 너트 부재가 연통 홀을 포함함에 따라, 고정 수단의 말단이 다각면 형성부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되어, 고정 수단에 의해 너트 부재에 대한 볼트 부재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적용 중에 장시간 사용, 주변 진동 등에 의해서도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클램프{Clamp for pipe connecting}
본 고안은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배관 연결용 클램프는 반도체, 엘씨디, 엘이디, 오엘이디, 태양전지 등을 제조하는 설비의 무수히 많은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배관들의 연결 지점에 적용되는 것으로, 연결 대상인 배관들의 각 말단을 집어 연결시켜 주는 것이다.
이러한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이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들이 원형 링 형태의 클램프 본체에 의해 집힌 상태에서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된 볼트 부재가 클램프 본체의 타 측 방향에서 너트 부재에 결합되고, 그 너트 부재가 조여지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적용된 공장, 설비 등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너트 부재가 임의로 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이 임의로 해제되어 가스 누출 등이 발생되어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07-0043455호, 공개일자: 2007.04.25., 발명의 명칭: 배관 연결용 클램프
본 고안은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적용 중에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목적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는 연결 대상인 배관들을 집을 수 있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볼트 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가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되는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재의 외면을 따라 다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된 형태인 다각면을 가지는 다각면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너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몸체의 상기 관통 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몸체에는 상기 너트 몸체의 측면에서 외부와 상기 관통 홀을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몸체를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너트 몸체의 각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에 고정 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 수단의 말단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볼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클램프 본체, 볼트 부재 및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볼트 부재가 다각면 형성부를 포함하며, 너트 부재가 연통 홀을 포함함에 따라, 고정 수단의 말단이 다각면 형성부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되어, 고정 수단에 의해 너트 부재에 대한 볼트 부재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적용 중에 장시간 사용, 주변 진동 등에 의해서도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상부를 확대하여 내려다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너트 부재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내부가 보이게 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를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상부를 확대하여 내려다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서 볼트 부재와 너트 부재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너트 부재를 반투명하게 처리하여 내부가 보이게 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는 클램프 본체(110)와, 볼트 부재(120)와, 너트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110)는 연결 대상인 배관들을 집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배관들을 감쌀 수 있도록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클램프 본체(110)는 한 쌍의 반구체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반구체가 회동 연결체(115)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벌어지거나 서로 근접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반구체가 서로 근접되면 상기 클램프 본체(110)가 원형 링 형태로 상기 배관을 클랭핑, 즉 집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한 쌍의 반구체가 서로 벌어지면 상기 클램프 본체(110)가 상기 배관들에게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 부재(120)는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일 측에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것이고, 상기 너트 부재(130)는 상기 클램프 본체(110)가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부재(120)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볼트 부재(120)는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일 측, 상세히는 상기 한 쌍의 반구체 중 하나의 상부에 회동축(11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볼트측 본체 연결부(121)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123)와, 상기 볼트측 본체 연결부(121)와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123)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다각면을 포함하는 다각면 형성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 부재(120)는 상기 볼트측 본체 연결부(121),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 및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12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에는 상기 볼트 부재(120)의 외면을 따라 여러 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된 형태인 다각면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의 단면은 육각형 등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 부재(130)는 상기 볼트 부재(120)가 관통되는 관통 홀(134)이 형성된 너트 몸체(131)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몸체(131)의 상기 관통 홀(134)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123)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도면 번호 132는 상기 너트 몸체(131)의 외곽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외력 인가부이다.
상기 너트 몸체(131)에는 상기 너트 몸체(131)의 측면에서 외부와 상기 관통 홀(134)을 연통시키는 연통 홀(133)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 몸체(131)에서 상기 볼트 부재(120)가 삽입되는 입구 부근에 상기 연통 홀(133)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재(120)가 돌출되는 출구 부근의 내면에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너트 몸체(131)를 상기 볼트 부재(120)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123)와 상기 너트 몸체(131)의 각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연통 홀(133)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의 다각면 중 하나의 다각면과 마주하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133)에 육각 렌치 볼트 등의 고정 수단(140)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 수단(140)의 말단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 수단(140)에 의해 상기 너트 부재(130)에 대한 상기 볼트 부재(12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볼트 부재(120)와 상기 너트 부재(130)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통 홀(133)은 상기 너트 몸체(131)의 다방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통 홀(133)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고정 수단(140)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같은 사이각을 이루면서 상기 연통 홀(133)은 세 개 이상 상기 너트 몸체(131)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홀(133) 중 상기 클램프 본체(110) 쪽에 위치된 것에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 수단(140)을 결합시키기 힘들 것이나, 복수 개의 상기 연통 홀(133) 중 상기 클램프 본체(110) 쪽에 위치된 것을 제외한 다른 것들에는 외부에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 수단(140)을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너트 부재(130)가 상기 볼트 부재(120)의 외측 방향으로 멀어진 상태가 되도록 풀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반구체가 서로 멀어져 상기 클램프 본체(110)가 벌어진 형태가 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110)의 벌어진 사이로 배관들의 연결 부분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반구체가 근접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110)가 닫힌 형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반구체 중 상기 볼트 부재(120)가 연결된 것이 아닌 다른 것 쪽까지 상기 볼트 부재(120)가 회동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볼트 부재(120)가 상기 너트 부재(130)를 관통하여 상기 너트 부재(130)가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너트 부재(1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볼트 부재(120)와 상기 너트 부재(130)의 각 나사산의 맞물림 정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연통 홀(133)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연통 홀(133)에 상기 고정 수단(140)이 관통되도록 회전되면, 상기 고정 수단(140)의 말단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의 일 다각면에 닿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너트 부재(130)에 대한 상기 볼트 부재(12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수단(140)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122)의 일 다각면에서 분리되도록 역회전시켜 주면, 상기 너트 부재(130)에 대한 상기 볼트 부재(120)의 회전이 다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가 클램프 본체(110), 볼트 부재(120) 및 너트 부재(13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부재(120)가 다각면 형성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130)가 연통 홀(133)을 포함함에 따라, 고정 수단(140)의 말단이 다각면 형성부(122)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고정 수단(140)에 의해 상기 너트 부재(130)에 대한 상기 볼트 부재(12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상기 볼트 부재(120)와 상기 너트 부재(130)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의 적용 중에 장시간 사용, 주변 진동 등에 의해서도 배관 연결용 클램프(100)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드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배관 연결용 클램프에 의하면, 배관 연결용 클램프의 적용 중에 배관 연결용 클램프가 임의로 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배관 연결용 클램프 110 : 클램프 본체
120 : 볼트 부재 130 : 너트 부재
140 : 고정 수단

Claims (2)

  1. 연결 대상인 배관들을 집을 수 있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서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볼트 부재; 및
    상기 클램프 본체가 조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부재는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 측에 연결되는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볼트측 본체 연결부와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 사이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부재의 외면을 따라 다방향으로 평면이 형성된 형태인 다각면을 가지는 다각면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된 너트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 몸체의 상기 관통 홀의 내면에는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의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 몸체에는 상기 너트 몸체의 측면에서 외부와 상기 관통 홀을 연통시키는 연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 몸체를 상기 볼트 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볼트측 나사산 형성부와 상기 너트 몸체의 각 나사산이 서로 맞물려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 홀에 고정 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 수단의 말단이 상기 다각면 형성부 중 일 다각면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볼트 부재와 상기 너트 부재의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홀은 상기 너트 몸체의 다방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연통 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고정 수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20150003218U 2015-05-20 2015-05-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04810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18U KR200481046Y1 (ko) 2015-05-20 2015-05-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18U KR200481046Y1 (ko) 2015-05-20 2015-05-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046Y1 true KR200481046Y1 (ko) 2016-08-08

Family

ID=5671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18U KR200481046Y1 (ko) 2015-05-20 2015-05-20 배관 연결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0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804B1 (ko) 2020-12-17 2022-01-17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20Y1 (ko) * 2000-09-29 2001-04-16 최종걸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KR20070043455A (ko)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130006222U (ko) * 2012-04-19 2013-10-29 (주)지에스티산업 힌지형 클램프
KR20150036884A (ko) * 2013-09-30 2015-04-08 (주)지오피케이 체결용 볼트와 너트 조립체
KR20150053071A (ko) * 2013-11-07 2015-05-15 광주환경공단 풀림 방지용 체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20Y1 (ko) * 2000-09-29 2001-04-16 최종걸 볼트 및 너트 풀림방지 구조
KR20070043455A (ko)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130006222U (ko) * 2012-04-19 2013-10-29 (주)지에스티산업 힌지형 클램프
KR20150036884A (ko) * 2013-09-30 2015-04-08 (주)지오피케이 체결용 볼트와 너트 조립체
KR20150053071A (ko) * 2013-11-07 2015-05-15 광주환경공단 풀림 방지용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804B1 (ko) 2020-12-17 2022-01-17 주식회사 후손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8606B2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keeper
JP4936196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継ぎ構造
US9009937B2 (en) Sleeve removal tool and sleeve removal method
JP2010043678A (ja) 緩み止めボルト
KR20170038177A (ko) 나사 연결체를 위한 인장 디바이스, 나사 연결체를 조이기 위한 방법 및 나사산구비 너트
KR200481046Y1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101095818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RU2554155C1 (ru) С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81746B1 (ko) 고강도 클램프
AU2015207223B2 (en) Sensor affixing device
KR200461770Y1 (ko) 꼬임 방지용 슈벨
JP2013079722A (ja) ホースクランプ用トルクコントロールキャップ
KR20090121861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2006057698A (ja) チェーンクランプ装置
JP2009044890A (ja) 電線設備具
JP6154731B2 (ja) 電力設備用ストッパー
JP5986222B2 (ja) 締結装置
SA519401418B1 (ar) مجموعة قفل كابل
JP2011247363A (ja) クランプ
JP2012233535A (ja) 締付固定装置
US788161A (en) Clamp.
CN103138208B (zh) 电缆穿管用夹具
JP2013181549A (ja) ホース用の継手機構
KR200476843Y1 (ko) 접이식 라쳇 렌치
JP3154641U (ja) 継ぎナ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