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819B1 - 참소금 - Google Patents

참소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819B1
KR101000819B1 KR1020100060980A KR20100060980A KR101000819B1 KR 101000819 B1 KR101000819 B1 KR 101000819B1 KR 1020100060980 A KR1020100060980 A KR 1020100060980A KR 20100060980 A KR20100060980 A KR 20100060980A KR 101000819 B1 KR101000819 B1 KR 10100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temperature
hours
weight ratio
seaw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용
전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오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오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오투
Priority to KR1020100060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참소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일정온도범위로 높여 일정온도에 도달하게 한 후 일정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한 후 세라믹 반응로에서 방랭하여 일정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구운 소금 일정량을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미네랄, 광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영양물질 추출물과 교반혼합하여 추출물 내 포함되어 있는 에탄올 증발과 동시에 영양물질이 구운 소금에 함침되도록 한 후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제조함으로써, 소금의 고유 기능인 조미기능과 함께 영양분을 부가하여 줌으로써 영양식품으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참소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참소금{SALT}
본 발명은 참소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참소금이라 함은 구운소금에 영양성분을 부가하기 위하여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광물, 미네랄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영양물질을 소금에 함침시켜 제조된 것이라고 본 발명에서는 정의한다.
소금은 공기나 물처럼 인간과 모든 생명체의 생존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필수 무기물일 뿐만 아니라 식생활에서는 음식의 맛과 질을 향상시키고 식품의 적당하 조직감 유지를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소금은 짠맛을 내는 조미효과와 항미생물 활성을 이용하여 식품의 저장과 가공 등에 이용되는데 거의 모든 식품, 특히 우리나라의 발효식품 중 김치, 된장, 간장, 젓갈 등의 제조과정에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 가공염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천일염인 경우 해수를 저류지로 유입시킨 후 자연증발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소금 중에서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식염으로 많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천일염의 경우에는 바닷물의 오염될 경우에는 바닷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성분 등이 소금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체로 유입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점차, 천일염보다는 가공염을 사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공염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구운 소금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구운 소금들은 대부분 녹는점이 800℃, 끓는점이 1,400℃인 소금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열공정을 거쳐 가공하는 방법이 공통적인데, 그 굽는 방식에 따라 다시 구분하여 보면,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서 800℃ 이상 고온으로 구워 불순물과 간수, 유해성분을 제거한 구운 소금과 황토 항아리에 천일염을 800℃이 고온에서 구워낸 황토소금, 보다 높은 온도인 1,300℃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 소금이 있으며, 사찰 등지에서 제조되어 오던 가공염의 일종으로 천일염을 대나무속에 다져 넣고 대나무 입구와 진흙을 반죽하고 봉하고 1,000 ~ 1,400℃로 가열하여 제조하는 죽염 및 대체염(KCl)을 이용한 저나트륨 소금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구운 소금과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94219호의 '해양 심층수로부터 생산된 소금과 옻을 이용하여 구운소금을 제조하는 방법',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65268호의 숯가마를 이용한 구운 소금 제조방법',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132032호의 '갯벌 구운소금 제조방법'에 구운 소금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운 소금의 경우에는 불순물 및 유해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소금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는 있으나, 천일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미네랄 성분등이 많이 제거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참소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과는 상이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94219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65268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132032
본 발명에서는 구운 소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빠져나가는 미네랄 성분 등의 유효성분을 보충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익한 영양물질을 소금에 함침시킴으로써 소금의 고유 기능인 조미기능과 함께 영양식품으로서의 기능성을 갖는 참소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5℃/min로 온도를 높여 800 ~ 1,400℃의 온도에 도달하게 한 후 3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한 후 세라믹 반응로에서 방랭하여 60 ~ 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구운 소금 50 ~ 80wt%를,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미네랄, 광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와 교반혼합하여 영양물질 추출물이 구운 소금에 함침되도록 한 후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40 ~ 125mesh로 분쇄하여 제조된 참소금을 주요 기술적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식물성 영양물질은 매실, 인삼, 오미자, 솔잎, 댓잎, 감잎, 닭의장풀, 방아, 쇠비르, 양모밀, 진피, 오가피, 치자, 구기자, 당귀, 울금, 오미자, 목단피, 황백, 금은화, 방기, 대추, 상엽, 두충, 갈근, 복분자, 인동초, 산약, 유근피, 산죽, 감초, 뽕나무, 뽕열매, 현미, 깨, 고삼, 황백, 정향, 오배자, 사철쑥, 지칭개, 뽀리뱅이, 꿀풀, 광대나물, 향나무, 상백피, 삼덩굴, 단삼, 키위, 파인애플, 포도, 배, 수박, 사과, 포도, 귤, 복숭아, 감, 멜론, 자두, 참외, 가지, 감자, 고구마, 느타리버섯, 당근, 더덕, 도라지, 마, 밤, 부추, 브로콜리, 배추, 호박, 깻잎, 미나리, 냉이, 시금치, 콩나물, 파, 양파, 마늘, 버섯, 고추, 샐러리, 오이, 우엉, 연근, 치커리, 케일, 파슬리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50 ~ 75% 에탄올(주정)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이고,
상기 동물성 영양물질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칠면조고기, 고등어, 오징어, 낙지, 새우, 갈치, 꽁치, 조기, 동태, 멸치, 미꾸라지, 뱀장어, 광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열수에서 60 ~ 90℃에 도달한 직후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 1.5 시간동안 방치하여 추출된 추출물이며,
상기 해조류 영양물질은 다시마(Laminaria japonica), 톳, 곰피, 우뭇가사리, 미역, 대황(Eisenia bicyclis), 참모자반(Sargassum fulvellum), 구멈쇠미역(Agarum cribrosum), 톳(Hizikia fusiformis), 감태(Ecklonia cav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50 ~ 75% 에탄올(주정)과 1:1 ~ 10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양물질은 매실, 인삼, 솔잎, 오가피, 치자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 에탄올(주정)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식물성 추출물 20 ~ 50w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징어, 낙지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열수에서 60 ~ 90℃에 도달한 직후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 1.5 시간동안 방치하여 추출된 동물성 추출물 20 ~ 50wt% 및
다시마, 미역, 참모자반, 톳, 감태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 에탄올(주정)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식물성 추출물 2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참소금은 구운 소금 제조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손실된 미네랄 등의 소금의 유효성분을 보충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용한 영양성분을 함침시켜 소금을 제조함으로써, 구운소금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영양소금으로서의 기능성을 보완하여, 소금의 고유 기능인 조미기능에 부가하여 영양성분으로 활용이 가능한 참소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의 기술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참소금은 먼저 천일염을 구워 구운 소금을 제조한 후, 이와 같이 제조된 구운 소금을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미네랄, 광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영양물질 추출물과 교반혼합한 후 건조 및 분쇄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구운 소금은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5℃/min로 온도를 높여 800 ~ 1,400℃의 온도에 도달하게 된 후 3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한 후 세라믹 반응로 내에서 방랭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세라믹 반응로에서의 유해성분 제거과정을 살펴보면, 400 ~ 450℃의 온도 범위에서 천일염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물과 비소가 제거되고, 550 ~ 600℃의 온도 범위에서 비소, 산화물, 카드뮴이 제거되며, 700 ~ 800℃에서 납, 내화성 유기물, 칼슘, 마그네슘 등 산화물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구운 소금은 천일염 내에 포함되어 있던 불순물, 간수, 다이옥신 등의 유해성분이 굽는 과정에서 제거되며, 굽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pH 9이상의 높은 알칼리성을 갖는다. 이는 다량의 무기물류 및 유기물이 함유되어 있는 천일염을 높은 온도에서 구울 경우 소금 내의 구성 변화 및 구성성분의 분자구조의 변화로 인해 알칼리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또한, 구운 소금은 높은 온도에서 구울수록 염도가 감소하게 되며, 천일염 내에 있는 일부 유기물이나 무기염류 등이 고온으로 굽는 과정에서 탄화성분들로 바뀌고 검게 변하면서 침전물이 생기기도 한다. 이와 같은 침전물은 불용성분으로서, 이와 같은 불용성분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운 소금 제조과정에서 굽는 온도를 800 ~ 1400℃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천일염을 구워 구운 소금은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미네랄, 광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출물과 교반혼합하게 되는 데, 이때 구운 소금의 온도는 60 ~ 80℃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운 소금의 온도가 60℃ 미만인 경우에는 추출물의 함침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80℃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손실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구운 소금의 온도는 함침 및 유효성분의 손실을 고려하여 60 ~ 8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5℃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구운 소금과 영양물지 추출물의 혼합비율은 구운 소금 50 ~ 80wt%와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이다.
상기 구운 소금의 혼합비율이 50wt% 미만인 경우에는 소금의 고유 기능인 조미기능이 떨어지게 되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영양물질의 함침에 의한 영양보충 기능성이 떨어지게 되어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구운 소금의 혼합비율은 추출물에 대해 50 ~ 8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추출물의 용량이 20wt% 미만인 경우에는 참소금의 영양보충 기능성이 떨어지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소금의 고유 기능인 조미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추출물은 참소금의 조미기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영양성분으로서의 기능성을 갖기 위해서, 구운 소금에 대해 20 ~ 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운소금과 추출물의 혼합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배합비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단위: ㎏)
구운 소금 추출물
배합예 1 50 50
배합예 2 52 48
배합예 3 56 44
배합예 4 58 42
배합예 5 62 38
배합예 6 66 34
배합예 7 68 32
배합예 8 72 28
배합예 9 76 24
배합예 10 80 20
그리고, 상기 표 1의 배합예 중 참소금의 조미기능과 영양물질의 함침에 따른 영양기능성의 확보 및 생산단가를 고려하여 보았을 때, 배합예 9에 따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양물질은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 미네랄, 광물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으로,
상기 식물성 영양물질은 매실, 인삼, 오미자, 솔잎, 댓잎, 감잎, 닭의장풀, 방아, 쇠비르, 양모밀, 진피, 오가피, 치자, 구기자, 당귀, 울금, 오미자, 목단피, 황백, 금은화, 방기, 대추, 상엽, 두충, 갈근, 복분자, 인동초, 산약, 유근피, 산죽, 감초, 뽕나무, 뽕열매, 현미, 깨, 고삼, 황백, 정향, 오배자, 사철쑥, 지칭개, 뽀리뱅이, 꿀풀, 광대나물, 향나무, 상백피, 삼덩굴, 단삼, 키위, 파인애플, 포도, 배, 수박, 사과, 포도, 귤, 복숭아, 감, 멜론, 자두, 참외, 가지, 감자, 고구마, 느타리버섯, 당근, 더덕, 도라지, 마, 밤, 부추, 브로콜리, 배추, 호박, 깻잎, 미나리, 냉이, 시금치, 콩나물, 파, 양파, 마늘, 버섯, 고추, 샐러리, 오이, 우엉, 연근, 치커리, 케일, 파슬리 중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동물성 영양물질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칠면조고기, 고등어, 오징어, 낙지, 새우, 갈치, 꽁치, 조기, 동태, 멸치, 미꾸라지, 뱀장어, 광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해조류 영양물질은 다시마(Laminaria japonica), 톳, 곰피, 우뭇가사리, 미역, 대황(Eisenia bicyclis), 참모자반(Sargassum fulvellum), 구멈쇠미역(Agarum cribrosum), 톳(Hizikia fusiformis), 감태(Ecklonia cava)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미네랄 영양물질은 알루미늄(aluminum), 안티모니(antimony), 바륨(barium), 베릴륨(beryllium), 비스무트(bismuth), 붕소(boron), 브로민(bromine), 칼슘(calcium), 탄소(carbon), 세륨(Cerium), 세슘(Cesium), 염화물(Chloride), 크로뮴(chromium), 코발트(Cobalt), 구리(Copper), 디스프로슘(Dysprosium), 에르븀(Erbium), 유로퓸(Europium), 플루오린(Fluorine), 가돌리듐(Gadolinium), 갈륨(Gallium), 저마늄(Germanium), 금(Gold), 하프늄(Hafnium), 홀뮴(Holmium), 인듐(Indium), 아이오딘(Iodine), 이리듐(Iridium), 철(Iron), 라타넘(Lanthanum), 리튬(Lithium), 루테튬(Lutetium), 마그네슘(Magnesium), 망가니즈(Manganese), 몰리브데넘(Molybdenum), 네오디듐(Neodymium), 나이아신(Niacin), 니켈(Nickel), 나이오븀(Niobium), 오스뮴(Osmium), 팔라듐(Palladium), 인(Phosphorous), 백금(Platinum), 칼륨(Potassium), 프라세오디듐(Praseodymium), 레늄(Rhenium), 로듐(Rhodium), 루비듐(Rubidium), 루테늄(Ruthenium), 사마륨(Samarium), 스칸듐(Scandium), 셀레늄(Selenium), 규소(Silicon), 은(Silver), 나트륨(Sodium), 스트론튬(Strontium), 황(Sulfur), 탄탈럼(Tantalum), 탈륨(Thallium), 토륨(Thorium), 텔루륨(Tellurium), 터븀(Terbium), 주석(Tin), 티타늄(Titanium), 바나듐(Vanadium), 이테류붐(Ytterbium), 이트륨(Yttrium), 아연(Zinc), 지르코늄(Zirconium)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며,
상기 광물 영양물질은 운모, 게르마늄, 맥반석, 세피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식물성 영양물질의 추출은 식물성 영양물질과 50 ~ 75%의 에탄올(주정)을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50 ~ 80℃에서 10 ~ 20분간 가열 추출한 후 온도를 10 ~ 45℃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식물성 영양물질과 75%의 에탄올(주정)을 1:1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80℃에서 15분간 가열 추출한 후 온도를 25℃로 낮춰 4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상기 동물성 영양물질의 추출은 열수추출에 의한 것으로, 동물성 영양물질과 물을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60 ~ 90℃에 도달한 직후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 1.5시간 동안 방치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상기 해조류 영양물질의 추출은 식물성 영양물질의 추출과 동일한 방법에 의한다.
상기 광물질 또는 미네랄 영양물질은 1,200 ~ 1,300℃에서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유리형태로 제조한 후, 상기 유리를 물과 함께 가열하여 액상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영양물질은 영양기능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 식물성, 동물성 및 해조류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매실, 인삼, 솔잎, 오가피, 치자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의 에탄올(주정)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식물성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징어, 낙지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열수에서 60 ~ 90℃에 도달한 직후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 1.5 시간동안 방치하여 추출된 동물성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 및
다시마, 미역, 참모자반, 톳, 감태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의 에탄올(주정)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해조류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단위: ㎏)
매실, 인삼, 솔잎, 오가피, 치자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추출물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징어, 낙지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추출물 다시마, 미역, 참모자반, 톳, 감태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추출물
배합예 1 20 50 30
배합예 2 21 40 39
배합예 3 22 32 46
배합예 4 23 30 47
배합예 5 25 25 50
배합예 6 30 24 46
배합예 7 35 23 42
배합예 8 40 22 38
배합예 9 45 21 34
배합예 10 50 20 30
상기 매실(Prunus mume)은 한방과 민간에서는 뿌리, 잎, 꽃과 미숙매실은 건위, 지갈, 지리, 거담, 주독, 해독, 피로 회복, 곽란, 진통, 각기병, 살균, 구토, 해열, 발한, 숙취, 변비, 역리 및 구충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약재로 이용되어 왔고, 말린 매실은 해독 및 구충 등의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매실은 구연산을 포함한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섬유소와 무기질이 풍부하여 주로 매실주, 매실차, 매실주스, 매실장아찌, 매실액기스, 매실환, 매실김치, 매실절임, 매실장, 매실찜, 매실음료 및 매실식초 등으로 가공되어 현대 식생활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식물학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예로부터 한방처방에서 중요한 약제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것이다. 인삼제품은 4 ~ 6년간 재배하여 8 ~ 10월 사이에 채굴한 수삼을 원료로 하여 제조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인삼은 크게 홍삼류와 백삼류 및 수삼으로 구분되며, 인삼의 약리효능의 전승약효는 원기회복, 해열, 혈압조정, 소염 항균작용, 신경강장제, 건위 및 지갈, 간 기능강화, 이뇨작용, 지혈작용, 강심작용, 종양치료 작용, 당뇨병치료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인삼의 효능은 사포닌 성분을 비롯한 신체의 생리기능을 조절하는 다양한 약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솔잎의 성분으로는 α-oinene, β-pinene, camphene등의 정유성분, quercetin, kaempferol 등 flavonoid류, 수지 등이 있으며 구성성분으로는 수분 58.1%, 단백질 4.5%, 지질 3.9%, 당질 19.6%, 섬유소 13.3%, 회분 0.6% 정도가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솔잎을 이용하여 약술 형태로 하여 소염작용과 통증을 진정시키고 피를 멎게하며 마비를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 습진, 옴, 신경쇠약증, 탈모, 비타민 C 부족 등의 치료에 쓰인다. 이와 같은 솔잎은 새순을 생식도 하고 솔잎 죽, 솔잎경단, 소나무 껍질 죽, 소나무 껍찔 떡, 송화주, 솔 씨 등 중요한 구황식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orus)는 인삼과 같은 두릅나무과(araliacea) Acanthopanax 속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한의학에서는 신농본초에서 '성질은 따뜻하고 복통, 소아불능행을 치료한다'고 하였고, 동의보감에서는 '치풍보허하고 또한 풍비와 통풍의 증세를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본초강목등에서는 강장, 강정, 중풍, 신경통, 당뇨 등에 이용한다고 하였다. 특히 오가피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성분인 eleutheroside E는 T세포 증가작용, 정력증대와 학습력 향상, 면역세포활성, 콜레스테롤 수치저하, 전립선 기능 강화, 간기능 개선, 항암효과 등을 갖는다.
상기 치자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치자나무의 열매이며, 예부터 가정에서 식품의 착색료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는 담즙분비 촉진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등을 나타내어 한방에서 황달, 간질환 및 소염제로 사용되어 왔다. 치자의 성분 중 genipin을 이용하여 항염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치료제의 개발이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다시마는 갈조류에 속하는 해양식물로 비타민 B1, B2, C, niacin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인, 철, 마그네슘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하효과와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피부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 등 인체에 유해한 물질 제거, 비만방지 및 금속이온과의 반응시 중금속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 알긴산이 있어 육류의 소비가 많은 현대 식생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000ppm 이상의 요오드를 함유하고 있는 훌륭한 무기질 공급원이다.
상기 미역은 갈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서, 미역을 구성하는 성분 중 수분을 제외하면 단백질, 탄수화물, 무기질이 주성분인데, 이 중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콩, 어육 단백질과 유사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유황, 요오드, 철 등이 풍부히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함량은 5550 IU로서 다른 식품 재료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미역의 alginic acid는 산성 복합 다당류로서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중금속 배출작용, 장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정장작용이 탁월하여 대장암의 발생 억제 및 배변촉진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의 상승 억제작용, 혈당 상승 억제 및 인슐린 절야 효과, 식용색소 및 계면활성제 등의 독성 방지효과 등의 기능 특성을 갖는다.
상기 모자반의 종류에는 지충이, 미양베모자반, 짝잎모자반, 쌍발이모자반, 톱니모자반, 구슬모자반, 괭이생이모자반이 있으며, 이 중 모자반과(Sargassaceae)를 대표하는 식용의 양식 대상종은 모자반(S. fulvellum)이며, 흔히 '참몰' 또는 '참모자반'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모자반은 옛날 농촌에서 소위 말밥이나 말죽(모쟁이죽) 등의 구황식으로 이용되었으며 나물로도 애용되어 왔으며,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한방으로서 항종양이나 소염용의 약으로 쓰거나 차로서 음용하기도 하였다.
상기 톳(Hijikia fusiforme)은 해조류의 일종인 갈조식물(phaeophyta)인 모자반과의 바닷말로서, 생체 내 고지혈증, 항콜레스테롤 및 항응고활성, 항산화효과를 가지며, 다른 해조류에 비해 칼슘, 철, 요오드 같은 무기질, 비타민 등이 풍부하다.
상기 감태(Eclonia cava kjellman)는 갈조식물문(Phaeophyta) 갈조식물강(Phaeophyceae) 다시마목(Laminariales) 다시마과(Lamin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갈조류로 우리 나라에서는 모자반과 함께 가장 큰 해조류이다. 감태는 식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항산화성, 항암성, 항 고혈압성 등 여러가지 기능성을 가지며, 특히 감태의 주요 성분인 phlorotannin은 phloroglucinol을 기본 구성단위로 하는 폴리페놀 화합물로 phlorotannin 활성은 혈전생성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심혈관 보호효과, 항바이러스활성 등의 결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운 소금과 영양물질 추출물을 교반 혼합한 후에는 영양물질이 함침된 구운소금을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40 ~ 125mesh로 분쇄함으로써 참소금의 제조가 완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운 소금은 60 ~ 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교반 혼합 과정은 60 ~ 8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구운 소금을 영양물질 추출물과 혼합한 후 600 ~ 800rpm으로 2 ~ 4시간 동안 교반과정을 거친 다음,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교반속도가 600rpm 미만인 경우에는 구운 소금에 영양물질의 함침율이 떨어지고, 800rpm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함침율의 변화가 미미하여 교반속도를 증가시키는 의미가 없다. 또한 교반시간이 2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함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4시간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미 충분히 함침이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그 이상의 시간 소요는 무의미하다.
상기 건조과정은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열풍건조는 상기 영양물질이 함참된 구운소금을 열풍건조기에 넣은 후 70 ~ 80℃로 열풍건조하게 되며, 상기 동결건조는 -50℃ 이하의 급속 동결고에서 동결시킨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일반 가공염, 특히 구운 소금의 경우에는 굽는 과정에서 유해물질이 제거되어 일반 정제염에 비하여 인체에 유익하였으나, 구운 소금 역시 소금이 갖는 조미기능에 머무는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참소금은 구운 소금에 영양성분이 추가되어 구성됨으로 인해 조미기능과 함께 영양성분을 인체에 제공할 수 있어 기존의 제품을 대체하여 시판할 경우 그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할 것이다.

Claims (5)

  1. 천일염을 세라믹 반응로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5℃/min로 온도를 높여 800 ~ 1,400℃의 온도에 도달하게 한 후 3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한 후 세라믹 반응로에서 방랭하여 60 ~ 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구운 소금 50 ~ 80wt%를,
    식물성, 동물성, 해조류의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와 교반혼합하여 영양물질 추출물이 구운 소금에 함침되도록 한 후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과정을 거친 다음 40 ~ 125mesh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에 있어서,
    상기 영양물질 추출물은 매실, 인삼, 솔잎, 오가피, 치자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 에탄올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식물성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오징어, 낙지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열수에서 60 ~ 90℃에 도달한 직후 30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 1.5 시간동안 방치하여 추출된 동물성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 및
    다시마, 미역, 참모자반, 톳, 감태를 동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50 ~ 75% 에탄올과 1:1 ~ 100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40 ~ 50℃에서 10 ~ 20분간 추출한 후 온도를 20 ~ 30℃로 낮춰 3 ~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제조된 해조류 영양물질 추출물 20 ~ 5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참소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00060980A 2010-06-28 2010-06-28 참소금 KR10100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80A KR101000819B1 (ko) 2010-06-28 2010-06-28 참소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80A KR101000819B1 (ko) 2010-06-28 2010-06-28 참소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819B1 true KR101000819B1 (ko) 2010-12-13

Family

ID=4351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80A KR101000819B1 (ko) 2010-06-28 2010-06-28 참소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8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69B1 (ko) * 2015-12-02 2017-12-15 영천시 한방 소재가 포함된 조미 소금과 이를 활용한 조미 김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4437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봉황천종삼중앙연구소 홍삼 희귀 진세노사이드 5종 함유 기능성 소금
KR102363750B1 (ko) 2021-08-18 2022-02-15 류성선 바이오 미네랄 구운소금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469B1 (ko) * 2015-12-02 2017-12-15 영천시 한방 소재가 포함된 조미 소금과 이를 활용한 조미 김 및 그 제조 방법
KR102324437B1 (ko) * 2021-05-10 2021-11-11 주식회사 봉황천종삼중앙연구소 홍삼 희귀 진세노사이드 5종 함유 기능성 소금
KR102363750B1 (ko) 2021-08-18 2022-02-15 류성선 바이오 미네랄 구운소금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9209B (zh) 一种即食猪排的制作方法
CN103584073A (zh) 一种食用菌风味食品的制备方法
KR101013533B1 (ko) 흑마늘 숙성 소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78461B1 (ko) 식품 첨가물
KR101826907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7347A (ko)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기능성 소금
KR101446396B1 (ko) 법제방법, 위염 및 대장염용 식품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위염 및 대장염용 식품조성물
KR101000819B1 (ko) 참소금
CN104026506A (zh) 一种保健马蹄粉及其制备方法
KR100980249B1 (ko) 해물삼계탕의 제조방법
CN105475977A (zh) 一种腊肉酱料
KR101200092B1 (ko) 한방 동자 복숭아 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4430720A (zh) 黄秋葵、菌、藻植物组合物制作功能性饼干的方法
KR102122126B1 (ko) 아로니아와 홍삼엑기스가 첨가된 비비큐 소스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536017A (zh) 即食什锦菌菇的制作方法
KR20070005954A (ko) 기능성 건수산물 및 젓갈의 제조방법
CN105685954A (zh) 保健营养素香肠的制作方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CN106307113A (zh) 一种全营养羊肉捞饭肉汁及其制成的羊肉捞饭
KR101805793B1 (ko) 산야초를 포함한 항암 및 항산화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65935A (zh) 一种金银花清热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8740156A (zh) 一种刺梨茶及其制备方法
KR102621081B1 (ko) 조개 및 해산물류의 양념소스 제조방법
KR102563919B1 (ko) 진세노사이드 함유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