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605B1 -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605B1
KR101000605B1 KR1020057024678A KR20057024678A KR101000605B1 KR 101000605 B1 KR101000605 B1 KR 101000605B1 KR 1020057024678 A KR1020057024678 A KR 1020057024678A KR 20057024678 A KR20057024678 A KR 20057024678A KR 101000605 B1 KR101000605 B1 KR 10100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received
feature information
capt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644A (ko
Inventor
야스유끼 다노우에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2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4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 H04N1/0025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hotographic apparatus, e.g. a photographic printer or a projector with an apparatus for taking photographic images, e.g.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의 촬상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카메라 블록(10)에 의한 촬상 화상과 함께,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을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신하여, 이들 화상을 선택하여 비디오 카세트(111)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다. 또한,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을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 무선 송신한다. 제어부(60)의 처리에 의해,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합성하여 동시에 표시한 합성 화상을 LCD(80)에 표시하고, 터치 패널(90)을 이용해 선택한 화상의 데이터를 자기 테이프에 기록한다.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화상 선택 수단, 합성 화상, 자기 테이프

Description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촬상 장치에 의해 화상이 촬상되었을 경우에 적합한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동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가정용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비디오 카메라는, 자체 기기로 촬영하여 기록한 화상 신호를 재생하여, 내장되어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외부의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다른 촬상 장치나 화상 기록 장치로부터 통신 케이블 등을 통해 수신한 화상 신호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자신의 촬상부에서 촬상한 영상 신호를 집음부에서 집음한 음성 신호와 함께, 내장된 무선 송신기 등을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 장치도 고려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11-306663호 공보(단락 번호 [0013]∼[0018], 도 1 참조)).
한편, 방송국 등의 업무용의 분야에서는, 복수의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 신호로부터, 임의의 화상 신호를 선택해 기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또한, 화상 신호 선택시에, 미리 촬영 대상을 결정해 두고, 그 촬영 대상이 찍히고 있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선택하는 방법도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대상의 사람에 관한 데이터나 카메라의 설치 상황 등의 데이터를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해 두고, 소형 발신기를 휴대하고 있는 사람이 출입 금지 구역에 가까워지면, 이 소형 발신기를 안테나에 의해 검지하고, 검지한 신호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검색한 데이터에 기초해 카메라의 선택 및 제어를 행하는 감시 카메라 자동 제어 장치가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평9-46694호 공보(단락 번호 [0014]∼[0019], 도 1 참조)). 또한, 촬영 대상의 사람에게 무선 태그를 휴대시킴으로써도, 마찬가지의 선택 및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의 등에서, 각 참가자용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설치해 두고, 마이크로부터의 발언자의 음성 레벨에 따라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절환하도록 하는 시스템도 고려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가정용 비디오 카메라의 보급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운동회나 결혼식 등에서, 복수의 관객이나 출석자가 비디오 카메라를 지참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자신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뿐만 아니라, 타인의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그러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없었다.
또한, 비디오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화상과 함께 음성의 수록도 행하고 있지만, 복수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절환하는 경우, 화면상의 신의 변 화나 그때에 생기는 화면의 흐트러짐과 비교하여, 절환을 사이에 둔 음성의 연결되는 방법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이, 시청자에 대해 더 큰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음성 절환시의 불쾌감을 저감하는 것은, 종래, 고려되지 않았었다.
또한, 촬영되고 있는 복수의 화상 중에서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 둔 대상이 촬영되어 있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기록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 특허공개 평9-46694호 공보와 같이, 촬영 대상의 사람에게 소형 발신기나 무선 태그 등을 휴대시키는 방법은, 화상이나 음성의 송수신과는 별도로 이러한 소형 발신기나 무선 태그 등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을 도입해야만 하여, 장치 코스트의 상승이나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각 촬영 대상자가 발언한 음성 레벨에 기초하여 화상을 절환하는 방법은, 회의 등의 특정의 용도에 적절한 것으로서 범용성이 낮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의 촬상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촬상 장치에 의한 촬상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의 촬상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화상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촬상 장치로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1개 이상의 외부의 촬상 장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 화상과,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송신되고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수단에 의해 화상을 촬상함과 함께, 외부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송신된 화상을 통신 수단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 화상과,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송신되고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한다. 화상 인식 수단은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유저는 표시 제어 수단에 표시된 화상을 열람하여, 원하는 화상을 기록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수단을 이용해 촬상 화상의 신호를 외부의 촬상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복수의 촬상 장치간에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을 서로 송수신하여,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 기록 방법으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촬상 장치가,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한 촬상 화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과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화상 기록 방법에서는, 화상을 촬상하고 있는 각 촬상 장치에 있어서,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의 신호가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송신됨과 함께,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한 촬상 화상의 신호가 수신되어,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이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이들 화상 중에서 원하는 화상이 선택되어 그 신호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복수의 촬상 장치간에서,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과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한 촬상 화상을 서로 송수신하여,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촬상 장치의 유저는, 화면상에 표시된 화상을 열람하여 원하는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 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부내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1개의 비디오 디코더를 이용한 신장 복호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표시한 합성 화상의 화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할 때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화상 인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해 기록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부내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a 및 도 8b는 화상 인식 처리의 예로서 색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1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제2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제3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경기장 트랙의 주자를 촬영하는 경우의 카메라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촬상 장치로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적용했을 경우를 상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을 촬상하고, 디지털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로 이루어지는 카메라 시스템을 상정한다.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는 무선 통신에 의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는, 각각 자체 기기에서 촬상한 화상의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 송신하는 기능과, 다른 기기에서 촬상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는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카메라 시스템이 적용되는 상황으로서는, 예를 들면, 운동회나 스포츠, 결혼식, 파티 회장 등에서, 복수의 관전자나 출석자가 각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를 지참하고 있는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에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유저는 기록하는 화상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기회를 놓치는 일이 적어진다 고 하는 효과가 생긴다.
또, 도 2에서는 예로서 3대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가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카메라 시스템은 2대 이상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도 1에서는 대표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도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블록(10), 카메라 신호 처리부(20), 비디오 인코더(30), 비디오 디코더(40), 음성 처리부(50), 제어부(60), LCD 컨트롤러(70), LCD(80), 터치 패널(90), 입력부(100), 테이프 데크부(110) 및 무선 통신 모듈(120)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블록(10)은 복수의 렌즈 등이 설치된 광학 블록,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 전처리 회로 및 광학 블록이나 CCD를 위한 드라이버, 타이밍 생성 회로 등(모두 도시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 블록(10)은 광학 블록에 입사된 빛을 촬상 소자에 의해 광전 변환하고, 전처리 회로에 의해 샘플 홀드나 AGC(Auto Gain Control) 처리를 더 실시하여, A/D 변환을 행해 디지털 방식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광학 블록이나 촬상 소자의 동작은, 제어부(6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는 카메라 블록(10)으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AWB(Auto White Balance) 처리, AF(Auto Focus) 처리, AE(Auto Exposure) 처리 등의 카메라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30) 및 제어부(60)에 출력된다.
비디오 인코더(30)는 카메라 신호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 등의 소정의 동화상 데이터 포맷으로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여,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60)에 공급한다.
비디오 디코더(40)는 제어부(60)로부터 수취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60)에 공급한다.
음성 처리부(50)는 앰프나 A/D 변환기, D/A 변환기, 압축 부호화/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하는 처리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 음성 처리부(50)에는, 마이크로폰(51) 및 스피커(52)가 접속되어 있다. 음성 처리부(50)는 마이크로폰(51)에 의해 집음된 음성 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다시 MPEG-AUDIO 방식 등의 소정의 음성 데이터 포맷으로 압축 부호화하여, 제어부(60)에 출력한다. 또, 이 밖에 예를 들면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외부 입력 단자를 설치하고, 이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음성 처리부(50)에서 압축 부호화하여, 제어부(60)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된 음성의 부호화 데이터를 신장 복호화 처리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증폭하여, 스피커(52)로부터 재생 출력한다.
제어부(60)는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 전체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로서, 예를 들면 CPU, RAM, ROM 등이 시스템 버스를 통해 접속된 구성(모두 도시하 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 제어부(60)에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형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으로 이루어지는 ROM에 미리 기억된 프로그램이 CPU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의 각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DRAM(Dynamic RAM) 등으로 이루어지는 RAM은 처리의 도중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등, 주로 CPU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LCD 컨트롤러(70)는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LCD(80)에 표시시키는 화상 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LCD(80)에 공급하여, 화상을 표시시킨다. 또한, LCD(80)에는 터치 패널(90)이 설치되어 있고, 유저가 화면상을 손가락이나 지시기구로 가압함으로써 입력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입력부(100)는 이 밖의 각종 버튼이나 레버, 다이얼 등에 의해 구성된다. 터치 패널(90) 및 입력부(100)에서 입력 조작이 행해지면, 이들로부터 제어부(60)에 대해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테이프 데크부(110)에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 자체 기기 테이프가 내장된 비디오 카세트(111)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된다. 테이프 데크부(110)는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된 화상이나 음성 등의 데이터를 변조하여, 비디오 카세트(111) 내의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입한다. 또한, 자체 기기 테이프로부터 읽어낸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0)에 공급한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변조 방식을 이용한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 및 RF 트랜시버나, 베이스밴 드 처리, 제어부(60)와의 인터페이스 처리 등을 행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통신 순서에 따라, 외부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802.11g 방식의 무선 LAN 등이 이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서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촬상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을 개시하기 전에 있어서, 피사체로부터의 빛이 카메라 블록(10)의 촬상 소자에 의해 광전 변환되어 전처리가 행해져,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가 카메라 신호 처리부(20)에 입력된다. 카메라 신호 처리가 더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60)를 통해 LCD 컨트롤러(7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LCD(80)에 카메라 쓰루 화상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부(100)에서 화상 기록을 위한 조작 입력이 행해지면, 촬상된 화상 데이터가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로부터 비디오 인코더(30)에 송출되어 압축 부호화 처리되어, 소정의 동화상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고,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제어부(60)에 입력된다. 한편, 마이크로폰(51)으로 집음된 음성 신호는, 음성 처리부(50)에서 압축 부호화 처리되어 소정의 음성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되어,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제어부(60)에 입력된다.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제어부(60)에서 다중화되어 테이프 데크부(110)에 출력되고, 소정의 변조 처리 등이 실시된 후, 비디오 카세트(111)내의 자체 기기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비디오 카세트(111)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테이프 데크부(110)에 의해 읽어내어진 데이터가, 제어부(60)에서 비디오 스트림과 오디오 스트림으로 분리된다.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40)에서 신장 복호화 처리되어, 제어부(60)를 통해 LCD 컨트롤러(7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LCD(80)에서 재생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오디오 스트림은 음성 처리부(50)에서 신장 복호화 처리되어, 스피커(52)로부터 음성이 재생 출력된다.
또한, 촬상한 화상을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가 제어부(60)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20)에 입력되어, 소정의 무선 통신 순서에 따라 무선 송신된다.
또한,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에서 촬상되어, 무선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제어부(60)에 입력되어 비디오 스트림이 분리된다. 이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 디코더(40)에서 신장 복호화 처리되고, 복호화된 화상 데이터는 제어부(60)를 통해 LCD 컨트롤러(70)에 출력되어, 수신한 화상이 LCD(80)에 표시된다. 또한, 입력부(100) 혹은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응답하여,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은 제어부(60)로부터 테이프 데크부(110)에 출력되어, 비디오 카세트(111)내의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또한, 이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신한 화상과 함께 음성을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경우에서도, 음성 처리부(50)에서 압축 부호화 처리된 음성 데이터가 항상 자체 기기 테이 프에 기록된다.
그런데,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는 카메라 블록(10)에서 촬상되어 있는 화상과 함께,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에서 촬상되어 있는 화상을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수신하고, 이들 화상을 합성하여 LCD(80)에 동시에 표시하여, 원하는 화상을 선택해 그 데이터를 비디오 카세트(111)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동작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부(60)내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에서 촬상된 화상을 각각 화상 A, 화상 B, 화상 C라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각 화상을 합성 표시하기 위한 화상 합성부(61)와, 각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기록 제어부(62)와, 수신한 신호로부터 화상 신호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63)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합성부(61)에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로부터의 카메라 쓰루 화상(화상(A))의 데이터와, 비디오 디코더(40)에 의해 신장 복호화된 화상(B 및 C)의 각 데이터가 입력된다. 화상 합성부(61)는 입력된 이들 화상을 1개의 화면상에 합성한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LCD 컨트롤러(70)에 출력한다. 이 합성 화상에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기록하도록 선택된 화상이 가장 크게 표시되고, 그 이외의 화상이 종속 화면이나 분할 화면으로서 보다 작게 표시된다.
기록 제어부(62)에는 비디오 인코더(30)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화상(A)의 데이터와, 데이터 분리부(63)에 의해 수신 신호로부터 분리된 화상(B 및 C)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기록 제어부(62)는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들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테이프 데크부(110)에 출력하여, 비디오 카세트(111)내의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데이터 분리부(63)는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한 수신 신호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로부터 각각 송신된 화상(B 및 C)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기록 제어부(62) 및 비디오 디코더(4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의 사이에서 무선 LAN에 의해 통신이 행해지는 것으로 하면, 각 카메라 간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는 “애드호크 모드”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이 경우, 1개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의 촬상 화상을 다른 1개 혹은 복수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송신하기 위해, 1개의 통신 채널이 이용된다. 따라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로부터의 각 화상(B 및 C)의 수신을 위해, 각각 개별의 통신 채널을 이용한 통신이 행해진다. 데이터 분리부(63)는 각 통신 채널의 수신 패킷을 식별하여 화상(B 및 C)의 각 데이터를 추출한다.
또한, 데이터 분리부(63)에서 분리된 화상(B 및 C)의 데이터는, 각각 비디오 디코더(40)에 의해 신장 복호화 처리되어, 화상 합성부(61)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에 의해 복수의 화상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는, 복수 계통의 화상을 신장 복호화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수신한 화상의 수만 큼 비디오 디코더(40)를 설치하여, 각 화상의 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혹은, 1개의 비디오 디코더(40)를 이용하여, 각 화상의 신장 복호화 처리를 시분할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도 4는 1개의 비디오 디코더(40)를 이용한 신장 복호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제어부(60)내의 RAM을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64)로서 사용한다. 이 버퍼(64)는 압축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화상(A∼C)의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는 영역(64a∼64c)과,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화상(B 및 C)의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는 영역(64d 및 64e)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들 버퍼 영역은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나 비디오 인코더(30), 비디오 디코더(40)에 접속된 프레임 메모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데이터 분리부(63)는 수신 패킷으로부터 화상(B 및 C)의 각 데이터를 분리하여, 각각을 영역(64d 및 64e)에 순차적으로 기입한다. 또한, 데이터 분리부(63)는, 예를 들면, 수신한 화상수에 부합한 채널수와, 화상을 식별하기 위한 채널 번호를 포함하는 채널 정보를, 비디오 디코더(40)에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예로서, 화상(B 및 C)에 각각 “Ch-1”, “Ch-2”의 채널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비디오 디코더(40)는 통지된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버퍼(64)에 대한 판독 및 기입의 영역을 판단한다. 채널 정보에 의해 2개의 채널이 통지되었을 경우는, 우선 “Ch-1”에 대한 처리로서 영역(64d)으로부터 화상(B)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처리 결과를 영역(64b)에 기입한다. 다음으로, “Ch-2 ”의 처리로서 영역(64e)으로부터 화상(C)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처리 결과를 영역(64c)에 기입한다. 이들 처리를 예를 들면 소정 화소수씩 교대로 행함으로써, 2계통의 화상(B 및 C)에 대한 신장 복호화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화상 합성부(61)에서 생성되어, LCD(80)에서 표시되는 화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표시한 합성 화상의 화면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자체 기기에서의 촬상과 함께, 다른 기기로부터의 화상을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합성부(61)의 처리에 의해 각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하는 합성 화상을 생성하여 LCD(80)에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에 대해 터치 조작함으로써, 기록하는 화상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도 5에 도시하는 합성 표시 화상(200)은 친화면(201)과 2개의 종속 화면(202 및 2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친화면(201)에는 기록 대상으로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이 표시되고, 종속 화면(202 및 203)에는 선택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90)을 이용하여, 유저가 종속 화면(202 또는 203)에 대해 터치 조작을 행하면, 선택된 종속 화면(202 또는 203)의 화상이 기록됨과 함께, 그 화상과 친화면(201)의 화상이 바뀌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합성 표시 화상(200)에 의해 기록 가능한 모든 화상을 동시에 열람하면서, 기록할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 각 화상(A, B 및 C)의 합성 화상은, 상기의 화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면을 분할해 각각의 영역에 화상(A, B 및 C)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 다. 또한, 선택에 응답하여 표시 영역을 변경하지 않고, 표시 영역의 테두리의 색을 변화시키는 등, 선택된 화상을 명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자체 기기에서 촬상한 화상을 항상 가장 크게 표시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화상 기록이 행해질 때의 처리를 플로우차트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6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할 때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61에서, 화상(A, B 및 C)이 LCD(80)상에 합성되어 표시된다. 도 4와 같은 구성의 경우,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로부터 출력된 화상(A)의 데이터가, 버퍼(64)의 영역(64a)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 및 3)로부터의 화상(B 및 C)의 각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40)에 의해 신장 복호화 처리되어, 처리후의 각 데이터가 영역(64b 및 64c)에 순차적으로 기입된다. 여기에서, 화상 합성부(61)는 화상의 선택에 따라, 버퍼(64)로부터의 판독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화상의 합성을 행한다. 또, 초기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자체 기기에서 촬상한 화상(A)이 선택된 상태로 하여, 이 화상(A)을 친화면(201)에 표시시킨다.
단계 S62에서, 터치 패널(90)을 이용한 화상의 선택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판단한다. 선택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는 단계 S63으로 진행되고,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는 단계 S64로 진행된다.
단계 S63에서, 화상 합성부(61)는 단계 S62에서의 선택에 따라, LCD(80)의 표시 화면을 절환한다. 도 5와 같은 합성 표시 화상(20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 버퍼(64)로부터의 판독 위치를 제어하여, 선택된 화상을 친화면(201)에 표시시킨다.
단계 S64에서, 입력부(100)에 설치된 소정의 스위치로부터의 제어 신호, 혹은 LCD(80)상에 표시한 스위치 버튼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응답하여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유무에 기초해, 기록 개시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작이 있었을 경우는 단계 S65로 진행되고, 없었던 경우는 단계 S62로 복귀한다.
단계 S65에서, 이때 선택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를 음성 처리부(50)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와 함께, 비디오 카세트(111)의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한다. 또, 기록하는 음성 데이터로서는, 음성 처리부(50)로부터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와 함께 다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혹은, 가반형의 반도체 메모리 등의 다른 기록 매체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66에서, 단계 S62와 마찬가지로, 화상의 선택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행해졌을 경우는 단계 S67로 진행되고,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단계 S68로 진행된다.
단계 S67에서, 화상 합성부(61)는 단계 S66에서의 선택에 따라, LCD(80)의 표시 화면을 절환한다. 이와 함께, 기록 제어부(62)는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절환하여, 선택된 화상을 테이프 데크부(110)에 기록시킨다. 또, 이때에, 음성 데이터 는 절환하지 않고, 계속하여 기록을 행한다.
단계 S68에서, 입력부(100) 혹은 터치 패널(90)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유무에 기초해 기록 동작을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66으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마찬가지 구성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복수 대 존재함으로써,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있어서, 자체 기기에서 촬상한 촬상 화상뿐만이 아니라, 외부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상되어 송신된 화상을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하여, 원하는 화상을 선택해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유저에게 있어서,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촬상된 화상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기록하는 화상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기회를 놓치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기록 가능한 화상을 합성하여 LCD(80)에 동시에 표시시켜, 원하는 화상을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모든 화상을 열람하면서 선택 조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화상의 선택에 관계없이, 음성 처리부(50) 등으로부터의 1계통의 음성 데이터를 상시 기록함으로써, 화상 절환시의 음성이 연결되는 방법이 부자연스럽게 되어, 재생시에 시청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이 없어져, 기록하는 콘텐츠의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상기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서는, 화상(A, B 및 C)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하고 있었지만, 이들 화상을 합성한 합성 화 상의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화상의 합성 위치를, 터치 패널(90) 등으로부터의 선택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화상 합성부(61)에서 생성된 합성 화상의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30)에 출력해 압축 부호화 처리시키고, 처리후의 데이터를 테이프 데크부(110)에 출력하여,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따라서, 2계통의 화상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병행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선택해 기록했을 경우에, 그 송신원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해, 화상을 선택한 것을 무선 통신에 의해 통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지를 받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는, 예를 들면, LCD상에 표시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의 틀의 색을 바꾸는 등,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이 다른 기기에서 기록되어 있는 것이 명시되어, 유저가 이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형예는 화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기록 대상의 각 화상에 원하는 피사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에 기초하여 기록하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도 7은 자체 기기의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화상 인식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해 기록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부(60)내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변형예로서 나타내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7에서는, 도 3에서 도시한 디 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제어부(60)는 화상 합성부(61), 기록 제어부(62), 데이터 분리부(63) 외에, 피사체의 특징을 설정하기 위한 특징 설정부(65)와, 설정된 특징을 갖는 피사체를 화상으로부터 인식하는 화상 인식 처리부(66)와, 우선 순위의 설정에 부합하여 기록할 화상을 통지하는 우선 순위 판정부(67)를 구비하고 있다.
특징 설정부(65)는 화상 인식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의 특징에 대한 입력 설정을 받아, 화상 인식 처리부(66)에 통지한다. 입력 설정은, 예를 들면, LCD(80)상에 표시한 화상으로부터, 대상으로 하는 피사체를 터치 패널(90)을 이용한 클릭 조작이나 드래그 조작에 의해 선택하거나, 혹은 입력부(100)의 소정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색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것 등에 의해 행해진다.
화상 인식 처리부(66)는 카메라 신호 처리부(20)로부터의 화상(A)의 데이터, 및 비디오 디코더(40)에 의해 신장 복호화 처리된 화상(B 및 C)의 데이터로부터, 특징 설정부(65)로부터 통지된 특징 정보에 기초해 화상 인식 처리를 행하고,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을 우선 순위 판정부(67)에 통지한다.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화상 인식 처리부(66)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복수 통지되었을 경우, 혹은 그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통지되지 않았을 경우에, 터치 패널(90) 혹은 입력부(100)를 이용해 입력된 우선 순위의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화상 합성부(61) 및 기록 제어부(62)에 대해 통지한다. 화상의 우선 순위의 정보는 터치 패널(90)이나 입력부(100)로부터의 유저의 조작 입력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다.
여기에서, 도 8a 및 도 8b는, 화상 인식 처리의 예로서 색인식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적용 가능한 화상 인식 처리로서, 예를 들면 색인식 처리를 들 수 있다. 이 처리에서는, 피사체상의 특징적인 특정의 색을 특징 정보로서 이용하여, 이 색이 화상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운동회의 경기자를 기록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주위에 그다지 존재하지 않는 특징적인 색의 리본을 그 경기자에게 붙이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8a는 처리 대상의 화상의 화소 배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화상내의 어느 영역에, 예로서 CL1∼CL4까지의 4종류의 색의 화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화상 인식 처리부(66)는 입력된 화상의 각 화소의 색정보로부터, 소정 영역내에서의 각 색의 화소수를 누적 연산하여,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히스토그램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특징 설정부(65)에 의해 미리 설정한 원하는 색의 화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기록할 화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 이외에는, 예를 들면, 형상의 특징점에 기초하여 대상 피사체를 화상 중에서 추출하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인물의 얼굴의 기하학적 특징의 정보(눈, 입, 코 등의 얼굴 조작의 형상, 배치 등으로 이루어진다)를 이용하거나, 혹은, 얼굴 전체의 형상을 일반적인 농담 2차원 화상으로서 포착하는 것 등에 의해, 그 인물의 얼굴을 패턴 인식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대상의 화상의 부호화 방식으로서 오브젝트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면, 대상의 피사체를 추출하는 정밀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7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화상 인식 처리부(66)는 입력 화상 중에서, 대상의 피사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그 화상을 우선 순위 판정부(67)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통지된 화상이 1개뿐이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그 통지된 화상을 그대로 화상 합성부(61) 및 기록 제어부(62)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화상 합성부(61)는, 예를 들면 통지된 화상을 친화면에 표시시키는 등, 선택된 화상을 명시한 화상을 생성하여, LCD(80)에 표시시킨다. 이와 함께, 기록 제어부(62)는 통지된 화상을 선택해 테이프 데크부(110)에 출력하여,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시킨다.
또한, 화상 인식 처리부(66)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복수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미리 설정된 화상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통지된 화상 중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선택하여, 화상 합성부(61) 및 기록 제어부(62)에 통지한다. 이 우선 순위는 유저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짧은 위치에 설치된 카메라의 우선 순위를 높게 하거나, 혹은, 피사체에 대한 각도에 따라, 보다 양호한 화상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의 우선도를 높게 하는 등과 같은 순위의 설정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인식 처리부(66)에 의해, 대상의 피사체가 어느 화상으로부터도 추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미리 설정한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화상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화상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3가지의 예를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도 9는 제1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91에서, 화상 인식 처리부(66)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우선 순위 판정부(67)에 대해 1개라도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단계 S92로 진행하고, 1개도 통지되지 않았을 경우는 단계 S93으로 진행한다.
단계 S92에서,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통지된 화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고, 이 화상을 화상 합성부(61) 및 기록 제어부(62)에 통지한다. 이 결과, 선택된 화상이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단계 S93에서,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모든 화상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여, 이 화상을 화상 합성부(61) 및 기록 제어부(62)에 통지한다. 이 결과, 선택된 화상이 자체 기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이상의 제1 화상 선택 방법은, 예를 들면, 야구 중계 등과 같이, 기본적인 화상을 촬영하며,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선택되는 카메라를 미리 알고 있고, 그 외의 카메라의 화상으로 절환되는 일이 압도적으로 적게 되는 경우 등에 적합하다.
도 10은 제2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01 및 S102는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인식 처리부(66)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1개라도 통지되었을 경우에,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통지된 화상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통지한다. 또한, 단 계 S101에서, 화상이 1개도 통지되지 않았을 경우는, 단계 S1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03에서, 당해 화상 스트림의 기록 개시시부터 현재까지,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1개도 통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04로 진행하고, 1개라도 통지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4에서,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모든 화상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여 통지한다.
단계 S105에서, 그 이전에 마지막으로 통지되어 선택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으로서 선택하여 통지한다.
도 11은 제3 화상 선택 방법에 따른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S111 및 S112는 도 9 및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인식 처리부(66)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1개라도 통지되었을 경우에, 우선 순위 판정부(67)는 통지된 화상 중에서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통지한다. 또한, 단계 S111에서, 화상이 1개도 통지되지 않은 경우는, 단계 S1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13 및 S114는 도 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당해 화상 스트림의 기록 개시시부터 현재까지, 대상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화상이 통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1개도 통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모든 화상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여 통지한다. 또한, 단계 S113에서 화상이 그 이전에 1개라도 통지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115로 진행된다.
단계 S115에서, 그 이전에 마지막으로 통지되어 선택한 화상보다, 1단계만큼 우선 순위가 낮은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으로서 선택하여 통지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제2 및 제3 화상 선택 방법을 이용했을 경우의 효과를, 경기장의 트랙의 주자를 촬영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2는 경기장의 트랙의 주자를 촬영하는 경우의 카메라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경기장의 트랙(301)상을 달리는 주자(302)를 촬영하기 위해, 3대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카메라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는 각각 트랙(301)의 스타트 지점 부근, 중간 지점 부근 및 골 지점 부근을 촬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3대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에서는 트랙(301)의 전역을 촬영할 수는 없어, 각 촬영 대상 영역의 사이에 촬상 화상에 비치지 않는 영역(303 및 304)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주자(302)를 스타트 지점으로부터 골 지점까지 촬영하고 있는 동안에는, 화면상에 주자가 표시되지 않는 기간이 생기게 된다.
그런데, 어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3)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부터도 대상의 피사체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선택하는 방법을 채용하면, 대상의 피사체를 인식할 수 없게 될 때마다,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1개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 반드시 복귀하여 버리므로, 화면의 천이가 부자연스럽게 되어, 도 12와 같은 상황에서의 촬영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낸 제2 화상 선택 방법에서는, 모든 촬상 화상으 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또한 기록 개시 시점으로부터 피사체의 인식이 1회라도 행해졌을 경우에는, 그 이전에 마지막으로 선택되어 있던 화상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촬영의 도중에 부자연스럽게 동일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 복귀해 버리는 일은 없다.
도 12와 같은 상황에서의 촬영을 생각하면, 우선, 주자(302)가 스타트하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부터 주자(302)가 인식되어, 이 촬상 화상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주자(302)가 영역(303)에 접어들면, 촬상 화상으로부터 주자(302)를 인식할 수 없게 되지만, 이때 도 10의 단계 S105의 처리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 의한 촬상 화상이 계속하여 선택된다. 그리고, 그 후에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부터 주자(302)가 인식되게 되어, 이 촬상 화상이 선택되게 된다. 따라서, 주자(302)가 달리고 있는 사이에 예를 들면 부자연스럽게 스타트 지점의 영상이 기록되게 되는 것이 없어져, 신이 원활하게 천이하도록 하는 동화상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 나타낸 제3 화상 선택 방법에서는, 모든 촬상 화상으로부터 대상의 피사체를 인식할 수 없고, 또한 기록 개시 시점으로부터 피사체의 인식이 1회라도 행해졌을 경우에는, 그 이전에 마지막으로 선택되어 있던 화상보다 1단계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화상이 선택된다. 따라서, 제2 화상 선택 방법과 마찬가지로, 도중에 우선 순위가 높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의한 촬상 화상이 부자연스럽게 삽입되는 일이 없어진다.
도 12와 같은 상황에서의 촬영시에,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 2, 3)의 순서 로 높은 우선 순위를 설정했을 경우를 생각하면, 스타트한 주자(302)는 우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1)에서 촬상되고, 이 주자(302)가 영역(303)에 접어들면,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2)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 절환된다. 이 절환후에, 절환된 촬상 화상상에 주자(302)가 나타나게 되어, 이어 영역(304)에 도달하면, 이번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3)에 의한 촬상 화상으로 절환된다. 그리고, 그 후에 마찬가지로 절환된 촬상 화상상에 주자(302)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주자(302)의 이동 방향에 합치한 자연스러운 화상의 절환이 행해지므로, 보다 고품질의 동화상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으로부터 화상 인식에 의해 대상의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화상을 자동적으로 선택해 기록하는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유저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수신 화상을 열람하지 않고, 자체 기기에 의한 촬영에만 집중하면서, 보다 양호한 내용의 콘텐츠를 자체 기기의 기록 매체에 기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특히 동화상의 촬영 기능을 구비하는 것) 등의 다른 촬상 장치에 대해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선택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그 밖에, 가반형의 반도체 메모리, 하드 디스크나 광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화상 기록 장치에 대해 적용하 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혹은 하드 디스크나 광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이용한 비디오 레코더 등에 대해, 복수의 카메라로부터의 촬상 화상을 무선 통신 등에 의해 수신하고, 이들을 합성하여 외부의 모니터상에 동시에 표시하면서, 화상을 선택해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러한 화상 기록 장치를, 상기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복수 대 존재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하여, 각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원하는 화상을 선택해 기록함으로써, 양호한 내용의 동화상 콘텐츠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또한, 각 화상을 개별적으로 기록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합성 화상을 기록 매체에 기록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느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인식에 의해 어떤 피사체를 추출하고, 그 이외의 화면 영역을 단색의 배경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원래 화상의 배경으로 합성한다. 합성하는 화상은 수신하고 있는 화상으로부터 선택 가능하게 한다.
또한, 다른 네트워크, 특히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로부터 복수의 화상을 수신하고, 선택하여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트리밍 배신되고 있는 동화상과, 다른 Web 페이지상의 정지 화상이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정지 화상 등을 리얼 타임으로 합성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인터넷상의 다수의 콘텐츠나, 소지하고 있는 콘텐츠를 간편하게 선택해 합성하여, 별도의 콘텐츠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서는, 자체 기기에서 촬상한 촬상 화상 뿐만 아니라, 외부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송신된 화상을 통신 수단 을 통해 수신하고, 이들을 합성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시켜, 표시된 화상을 열람하여, 원하는 화상을 화상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시켜,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록하는 화상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기회를 놓치는 일이 적어진다. 또한, 통신 수단을 이용해 촬상 화상의 신호를 외부의 촬상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촬상 장치간에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을 서로 송수신하여,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기록 방법에서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복수의 촬상 장치간에서, 자체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과 다른 기기에 의한 촬상 화상을 서로 송수신하여, 화상을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촬상 장치의 유저는 화면상에 표시된 화상을 열람하여 원하는 화상을 선택해, 기록 매체에 기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촬상 장치의 유저는 기록하는 화상의 내용을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 기회를 놓치는 일이 적어진다.

Claims (13)

  1. 화상을 촬상하여 기록하는 촬상 장치로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과,
    1개 이상의 외부의 촬상 장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 화상과,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서 촬상되어 송신되고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촬상 화상을 상기 외부의 촬상 장치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1 계통의 음성의 입력을 받는 음성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음성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음성을, 선택한 화상의 신호와 함께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 중의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인식된 경우,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해당 화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가 높은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어느 화상으로부터도 인식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화상 및 상기 수신 화상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와 그 이전에 최후로 행해진 화상의 선택 이력을 기초로 하여 화상을 선택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9. 입력된 화상을 기록하는 화상 기록 장치로서,
    외부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되어 송신된 화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화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화상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복수의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화상 기록 방법으로서,
    어느 하나의 상기 촬상 장치가,
    다른 촬상 장치가 촬상한 촬상 화상의 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과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고,
    상기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자신이 촬상한 촬상 화상 및 상기 다른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 화상 중에서, 상기 화상 인식 처리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인식된 화상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의 화상의 기록 중에,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어느 화상으로부터도 인식되지 않을 때,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해당 기록의 개시부터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화상으로부터 인식된 적이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최후로 인식한 화상을 선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에의 화상의 기록 중에, 상기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어느 화상으로부터도 인식되지 않을 때, 상기 기록 제어 수단은, 해당 기록의 개시부터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가 화상으로부터 인식된 적이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특징 정보에 대응하는 피사체를 최후로 인식한 화상보다 상기 우선 순위가 1단계 낮은 화상을 선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상기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화상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정보는 피사체 상의 특정의 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1020057024678A 2003-06-26 2004-06-23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KR101000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2626 2003-06-26
JP2003182626A JP4292891B2 (ja) 2003-06-26 2003-06-26 撮像装置、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644A KR20060028644A (ko) 2006-03-30
KR101000605B1 true KR101000605B1 (ko) 2010-12-10

Family

ID=3354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678A KR101000605B1 (ko) 2003-06-26 2004-06-23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25015B2 (ko)
EP (1) EP1638326B1 (ko)
JP (1) JP4292891B2 (ko)
KR (1) KR101000605B1 (ko)
CN (2) CN100499775C (ko)
WO (1) WO2005002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891B2 (ja) * 2003-06-26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US9148585B2 (en) * 2004-02-26 2015-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recording
JP5055686B2 (ja) 2004-05-13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方法
EP1713253A1 (en) * 2005-04-14 2006-10-18 Thomson Licensing Camera system with PIP in viewfinder
CN1941884A (zh) 2005-09-27 2007-04-0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信号无线传输方法和装置以及显示设备
JP4878218B2 (ja) 2006-06-02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機能を備えた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41709B2 (ja) * 2006-06-29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978324B2 (ja) * 2007-06-14 2012-07-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記録装置、画像記録システム、画像再生方法
WO2009018391A1 (en) 2007-07-30 2009-02-05 Ziba Design, Inc. Components of a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JP5056359B2 (ja) 2007-11-02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5098966B2 (ja) * 2008-11-20 2012-12-12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JP5282959B2 (ja) * 2009-03-31 2013-09-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09367B2 (ja) * 2009-10-23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DK177946B9 (da) * 2009-10-30 2015-04-20 Maersk Oil Qatar As Brøndindretning
KR101251391B1 (ko) * 2009-12-18 2013-04-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복수의 단말기간 영상공유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CN110798586A (zh) * 2010-02-19 2020-02-14 株式会社尼康 电子设备
US20110242002A1 (en) * 2010-03-30 2011-10-06 Jonathan Kaplan Hand-held device with a touch screen and a touch strip
EP2617186B1 (en) 2010-09-13 2021-11-03 Contour IP Holding, LLC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configured for remote image acquisition control and viewing
TWI439134B (zh) * 2010-10-25 2014-05-21 Hon Hai Prec Ind Co Ltd 三維場景數位影像監控系統及方法
US9369635B1 (en) * 2011-01-07 2016-06-14 Apptopus, Inc. Director/camer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multi-camera video production
JP2012175175A (ja) * 2011-02-17 2012-09-10 Nikon Corp 画像記憶装置、カメラおよび撮影システム
KR101302803B1 (ko) * 2011-05-26 2013-09-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5967473B2 (ja) * 2011-06-03 2016-08-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5861564B2 (ja) * 2012-06-01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110988B1 (en) 2013-03-14 2015-08-18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aggregating and presenting multiple videos of an event
JP5720711B2 (ja) * 2013-03-21 2015-05-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102072509B1 (ko) * 2013-06-03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20150027934A (ko) * 2013-09-04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각도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355319B2 (ja) * 2013-11-13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映像再生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03841322A (zh) * 2014-02-20 2014-06-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及协同拍照方法
US10932103B1 (en) * 2014-03-21 2021-02-23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position of a user relative to a tote
EP3127325A4 (en) * 2014-03-31 2018-02-14 Karen Chapman Viewing system and method
US9313449B2 (en) * 2014-04-30 2016-04-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Cross-device information exchange via web browser
WO2016140293A1 (ja) 2015-03-05 2016-09-0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6561724B2 (ja) * 2015-09-24 2019-08-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079392A (ja) * 2015-10-20 2017-04-27 株式会社レイトロン 無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装置
KR101730115B1 (ko) * 2016-10-04 2017-04-26 주식회사 삼십구도씨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10447965B2 (en) * 2016-10-04 2019-10-15 39Degrees 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JP6558379B2 (ja) * 2017-01-17 2019-08-1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6402816B2 (ja) * 2017-10-27 2018-10-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948512A (zh) * 2017-11-29 2018-04-20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智能终端
CN116320782B (zh) * 2019-12-18 2024-03-2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芯片
US11910103B2 (en) * 2020-07-28 2024-02-20 Eys3D Microelectronics, Co. Electronic system and image aggregation method thereof
JP6815555B1 (ja) * 2020-09-02 2021-01-20 Kddi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690A (ja) 1990-06-19 1992-02-20 Fujitsu Ltd テレビ会議録画制御方式
JP2776654B2 (ja) * 1991-08-06 1998-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会議システムの回線切替方式
JPH06197335A (ja) 1992-12-24 1994-07-15 A W New Hard:Kk テレビ電話
JPH06325180A (ja) 1993-05-14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自動追跡装置
JPH07115611A (ja) * 1993-10-18 1995-05-02 Toshiba Corp 撮像装置
US5572248A (en) * 1994-09-19 1996-11-05 Teleport Corporation Tele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ace-to-face, non-animated teleconference environment
JPH0946694A (ja) 1995-07-31 1997-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監視カメラ自動制御装置
JP3766999B2 (ja) * 1995-12-28 2006-04-1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H09233458A (ja) * 1996-02-28 1997-09-05 Toshiba Corp 画像選択方法および画像選択装置
JP4280337B2 (ja) 1998-10-09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359837B1 (en) * 1999-06-30 2002-03-19 Casio Computer Co., Ltd. Camera, camera system,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timepiece, and link system for camera and timepiece
US7015954B1 (en) * 1999-08-09 2006-03-21 Fuji Xerox Co., Ltd. Automatic video system using multiple cameras
JP3955170B2 (ja) 2000-07-03 2007-08-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検索システム
JP3656823B2 (ja) 2000-09-04 2005-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監視方法および自動監視装置
US7450156B2 (en) 2000-09-13 2008-11-11 Fujifil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7003795B2 (en) * 2001-06-26 2006-02-21 Digeo, Inc. Webcam-based interface for initiating two-way video communication
US20030041333A1 (en) * 2001-08-27 2003-02-27 Allen Paul 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nswering and recording video calls
JP4292891B2 (ja) * 2003-06-26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US20060007317A1 (en) * 2004-07-07 2006-01-12 Rehn-Lieh Lin Method for displaying remote images
JP4419759B2 (ja) * 2004-09-01 2010-02-2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システム
US7619658B2 (en) * 2004-11-15 2009-11-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ing seamless composite images without requiring overlap of source images
US9082456B2 (en) * 2005-01-31 2015-07-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JP2007028555A (ja) * 2005-07-21 2007-02-01 Sony Corp カメラ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55671B (zh) 2011-04-20
US7725015B2 (en) 2010-05-25
CN100499775C (zh) 2009-06-10
CN1813473A (zh) 2006-08-02
KR20060028644A (ko) 2006-03-30
EP1638326A4 (en) 2011-02-09
WO2005002218A1 (ja) 2005-01-06
EP1638326B1 (en) 2014-07-09
US20060280496A1 (en) 2006-12-14
US20100209078A1 (en) 2010-08-19
CN101355671A (zh) 2009-01-28
US8045850B2 (en) 2011-10-25
EP1638326A1 (en) 2006-03-22
JP4292891B2 (ja) 2009-07-08
JP2005020385A (ja)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605B1 (ko) 촬상 장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US8866943B2 (en) Video camera providing a composite video sequence
US8520088B2 (en) Storing a video summary as metadata
US20130235223A1 (en) Composite video sequence with inserted facial region
US8000558B2 (en) Thumbnail generating apparatus and image shooting apparatus
JP5457092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合成画像表示方法
WO2011099299A1 (ja) 映像抽出装置、撮影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1005096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encoding apparatus
CN102055906A (zh) 指导拍摄的方法和设备
US20090136211A1 (en) Recording apparatus, video camera and posi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6319491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5990903B2 (ja) 画像生成装置
JP4371170B2 (ja) 撮像装置、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6583458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6583457B2 (ja) 撮像装置及び制御方法
JP596392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カメラの合成画像表示方法
JP5774731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合成画像表示方法
JP5654148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合成画像表示方法
JP2010263611A (ja) 映像撮影装置
JP6332963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302886A (ja) 撮像装置、撮像制御プログラム、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制御プログラム
JP2005348050A (ja) 映像装置及び映像出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