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245B1 - 수지 볼록판 - Google Patents

수지 볼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245B1
KR100999245B1 KR1020070109440A KR20070109440A KR100999245B1 KR 100999245 B1 KR100999245 B1 KR 100999245B1 KR 1020070109440 A KR1020070109440 A KR 1020070109440A KR 20070109440 A KR20070109440 A KR 20070109440A KR 100999245 B1 KR100999245 B1 KR 10099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nvex plate
resin convex
barc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615A (ko
Inventor
유키히로 후쿠시마
사토루 니시야마
šœ지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ublication of KR2008004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N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FOR SURFACES USED IN PRINTING MACHINES FOR PRINTING, INKING, DAMPING, OR THE LIKE; PREPARING SUCH SURFACES FOR USE AND CONSERVING THEM
    • B41N1/00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 B41N1/12Printing plates or foils; Materials therefor non-metallic other than stone, e.g. printing plates or foils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s in an organic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2Letterpress printing, e.g. book printing
    • B41M1/04Flexographic printing

Landscapes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Forme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 볼록판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부(1a)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2)가 형성된 수지 볼록판으로서, 상기 인쇄부(1a)와는 다른 부분의 내부 또는 이면에 바코드(5)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사용 빈도 등의 관리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수지 볼록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 볼록판{RESIN PLATE}
본 발명은 각종 인쇄에 이용되는 수지 볼록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쇄용 볼록부의 표면에 다수의 미소 볼록부가 형성된 수지 볼록판이 플렉소 인쇄 등의 볼록판 인쇄 방식의 각종 인쇄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이용한 인쇄 장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액을 공급하는 인쇄액 공급 수단(31), 표면에 다수의 규칙적인 오목형 셀이 형성된 인쇄액 전이 수단(아니록스롤)(32), 인쇄액량 조절 수단(닥터롤)(33), 및 그 자체의 표면에 수지 볼록판(35)이 장착된 인쇄 롤(34)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액 전이 수단(32)으로부터 수지 볼록판(35)의 미소 볼록부 사이에 전이, 충전된 인쇄액을 인쇄 스테이지(36)상에 고정된 피인쇄체(37)의 표면에 전사되도록 되어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77690호 참조).
상기 수지 볼록판(35)은 1회 사용만으로 폐기되지 않고, 반복 사용되므로, 이 반복 사용에 의해 미소 볼록부 사이에 충전된 인쇄액을 피인쇄체(37)의 표면에 전사할 때, 미소 볼록부가 마모 등이 되어 열화되고, 이 열화가 심해지면 수지 볼록판(35)을 신품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상기 열화의 정도는 작업자 등 이 육안으로 판단할 뿐만 아니라 수지 볼록판(35)의 사용 빈도 등에 따라서도 판단된다. 즉, 공장 등에서 신품의 수지 볼록판(35)을 구입할 때, 그 수지 볼록판(35)의 이면에 품명, 품번 등을 각인하고, 또한 이 각인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35)의 이력표를 퍼스컴상에 작성해두고(즉,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 수지 볼록판(35)마다 이력표를 작성해두고), 각 수지 볼록판(35)의 사용마다 그 사용 일시,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을 각 이력표에 기록하고, 다음 회의 사용 시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수지 볼록판(35)의 각인을 조사하고, 이 각인으로 퍼스컴을 조작하여 이 각인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35)의 이력표를 퍼스컴의 화면상에 비추고, 이 이력표의 기록을 보고 사용 빈도를 조사하고, 그 사용 빈도에 따라서 사용하거나 폐기하여 신품과 교환할지를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품명, 품번 등의 각인을 확인한 후, 이 각인으로 퍼스컴을 조작하여 퍼스컴상의 화면에 이력표를 비추고, 사용 빈도를 조사하는 것은 퍼스컴의 입력 검색에 힘이 들고 시간도 요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 빈도 등의 관리를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볼록판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은 인쇄부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수지 볼록판으로서, 상기 인쇄부와는 다른 부분의 내부 또는 이면에 바코드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에서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취한다.
즉,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에서는 그 자체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인쇄부와는 다른 부분의 내부 또는 이면에 바코드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장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복수의 수지 볼록판마다 이력표를 작성하고, 각 수지 볼록판의 사용마다 그 사용 일시,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을 이력표에 기록하면, 다음 회 사용 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수지 볼록판의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에서 판독하여, 이와 동시에 이 바코드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의 이력표를 퍼스컴의 화면 상에 비출 수 있고, 이 작업에 힘이나 시간이 들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력표의 기록을 보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수지 볼록판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여, 그대로 사용할지 폐기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볼록판이 볼록판 본체의 이면에 베이스필름이 접합되어 배접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 볼록판으로서 상기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체의 이면에 접착체층을 통해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적층체를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보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의 이면에 바코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한, 상기 적층체의 이면에 바코드를 형성한 것은 이 바코드를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볼록판의 이면에 바코드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 볼록판이 연질인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그 이면에 복잡한 형상의 바코드를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볼록판의 내부 또는 이면에 바코드가 표시된 시트체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트체의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바코드를 인쇄 등에 의해 표시하거나 시트 자체를 바코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복잡한 형상의 바코드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투명한 광경화성 수지 재료제의 볼록판 본체이고, 탄성이 있는 평판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볼록판 본체(1)에는 그 일측면(표면)에 대략 사각형 평판 형상의 인쇄부(1a)가 1개 또는 복수개(이 실시형태에서는 4개) 돌출 설치되어 있다. "2"는 상기 각 인쇄부(1a)의 표면에 다수 형성된 미소 볼록부(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b"는 판 본체 장착 시의 구부림용 홈부이고, "1c"는 지그 장착 고정부이다.
상기 볼록판 본체(1)에는 그외의 측면(이면)에 투명한 베이스 필름(3)이 접합되어 배접되어 있고(도 2 참조), 상기 볼록판 본체(1)와 베이스 필름(3)으로 이루어진 투명한 적층체(4)로 상기 수지 볼록판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4)에는 상기 각 인쇄부(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예를 들면, 볼록판 본체(1)의 외주부)의 이면(이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필름(3)의 이면)에 1차원 또는 2차원 코드로 이루어진 바코드(5)가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각설되어 있다. 이 바코드(5)에는 소정의 사항(예를 들면, 품명, 품번, 로트 번호, 형번, 제조년월일 등)이 표시되어 있고, 투명한 볼록판 본체(1)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볼록판 본체(1)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유리판을 준비하고, 계속해서 이 유리판상에 네가필름을 놓고, 이 네가필름상에 투명한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일정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계속해서 액상 광경화성 수지의 표면에 투명한 베이스 필름(3)을 놓고, 이 베이스 필름(3)을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상기 네가필름을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하여 광경화성 수지 재료제의 평판체(6a)(이 평판체(6a)에는 그 표면에 다수의 인쇄부(1a), 홈부(1b)가 형성되고, 각 인쇄부(1a)의 표면에 다수의 미소 볼록부(2)가 형성되어 있음)와 베이스 필름(3)으로 이루어진 적층물(6)(도 3 참조, 이 도 3에서는 미소 볼록부(2)는 도시하지 않음)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상기 적층물(6)을 레이저 가공 장치에 설정하고, 이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물(6)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이면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사항이 표시된 바코드(5)를 평판체(6a)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적층체(4)를 다수 제작한다. 이 바코드(5)는 레이저광 조사 시에 레이저광에 의해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형성된 것이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적층물(6)을 제작한 후, 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고, 이들 절단된 각 적층물(6)(즉, 적층체(4))(도 4 참조)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바코드(5)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 볼록판을 이용하여 그 이력 등을 관리할 경우에는 우선 공장 등에서 신품의 수지 볼록판을 구입하면, 이 수지 볼록판의 바코드(5)(이 바코드(5)는 신품의 수지 볼록판마다 다른 사항이 표시되어 있음)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의 이력표를 퍼스컴상에 작성하고, 상기 바코드(5)를 바코드 리더(도시하지 않음)로 판독함으로써 퍼스컴의 화면상에 그 이력표가 비춰지도록 설정해 둔다. 그리고, 상기 신품의 수지 볼록판을 사용할 때마다 작업자 등이 그 사용 일시,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의 사용에 관한 데이터를 이력표에 입력하고, 상기 신품의 수지 볼록판의 사용 전에는 이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으로부터 바코드(5)를 바코드 리더로 판독하고, 퍼스컴의 화면상에 비춰지는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의 기록을 보면서 사용 빈도 등을 조사하여 이번회도 사용할 지,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여 신품과 교환할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볼록판의 이면에 설치된 바코드(5)를 바코드 리더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하고, 이와 동시에 이 바코 드(5)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의 이력표를 퍼스컴의 화면상에 비추고, 이 이력표의 기록을 보면서 사용하고자 하는 수지 볼록판의 사용 빈도를 조사할 수 있고, 이 작업에 힘이나 시간이 들지 않고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베이스필름(3)이 탄성이 있는 연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이면에 복잡한 형상의 바코드(5)를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정확히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상 광경화성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에 광증감제나 열안정화제 등을 첨가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베이스 필름(3)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바코드(5)로서는 일차원 코드, 이차원 코드 등의 각종 것이 이용된다.
상기 볼록판 본체(1)는 그 두께(인쇄부(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두께)가 0.25~1.50mm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3)의 두께는 50~600㎛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적층체(4)의 이면의 바코드 형성 예정 부분에 바코드(5)를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광 조사 위치 데이터는 미리 레이저 가공 장치에 X, Y의 이차원 좌표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이저광 조사를 실시하는 레이저로서는 YAG 레이저, CO2 레이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코드(5)를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 필름(3)의 이면으로부터 그 전체 두께에 걸쳐 형성해도 좋고, 레이저광 조사 시에 레이저광을 베이스 필름(3)을 관통시킴으로써 평판체(6a)(즉, 볼록판 본체(1))의 이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고, 베이스 필름(3)의 표면과 볼록판 본체(1)의 이면의 양쪽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바코드(5)를 볼록판 본체(1)의 이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적층체(4)(도 4 참조, 이 적층체(4)의 이면에 바코드(5)는 각설되어 있지 않음)의 이면에 투명한 감압형 접착제층(7)을 통해 투명한 합성수지제의 보강 시트(8)가 적층되어 있고, 이 보강 시트(8)의 이면에 볼록판 본체(1)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바코드(5)가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각설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물(6)(도 3 참조)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이용한다.
이 적층 장치는 상기 적층물(6)을 화살표 방향(A)으로 송급하는 송급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보강 시트(8)를 감는 제 1 롤(11)과, 이형제 시트(12)의 표면에 거의 균일한 두께의 감압형 접착제층(7)이 형성된 접착제 시트(13)를 감는 제 2 롤(14)과, 이형제 시트(12)를 감아 부착하는 제 3 롤(15)과, 제 4~제 6 롤(16~18)을 구비하고, 제 4 롤(16)에 의해 제 1 롤(11)로부터 취출되는 보강 시트(8)의 표면에 제 2 롤(14)로부터 취출되는 접착제 시트(13)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눌러 전사한 후(접착제 시트(13)의 이형제 시트(12)는 제 3 롤(15)에 감아 부착됨), 제 5, 제 6 롤(17, 18)에 의해 감압형 접착제층(7)이 전사된 보강 시트(8)와 상기 송급 장치에 의해 화살표 방향(A)으로 보내지는 적층물(6)을 가압하여, 보강 시트(8)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적층물(6)의 이면에 접착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7에 도시한 적층체(4')를 다수 제작한다. 계속해서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가공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체(4')의 이면(즉, 보강 시트(8)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이면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사항이 표시된 바코드(5)를 평판체(6a)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볼록판을 보강 시트(8)로 보강할 수 있다.
바코드(5)를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상기 보강 시트(8)로서 합성수지제의 가요성 부재가 이용된다. 합성수지제의 보강 시트(8)로서는 종래 공지된 폴리에스테르판(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크릴산계 판(폴리아크릴산계 필름) 등의 각종 합성수지판, 합성 수지 필름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감압형 접착제층(7)을 구성하는 감압형 접착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것,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감압형 접착제, 폴리초산비닐계 감압형 접착제가 이용된다. 이와 같은 보강 시트(8), 감압형 접착제층(7)은 투명할 필요가 있다.
한편, 바코드(5)를 수지 볼록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상기 보강 시트(8)로서 합성수지제의 가요성 부재 이외에 금속제의 가요성 부재 를 이용하고, 이에 바코드(5)를 수지 볼록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제의 보강 시트(8)로서는 종래 공지된 알루미늄판(알루미늄박), 구리판(구리박) 등의 각종 금속판, 금속박이 이용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합성수지제의 가요성 부재, 감압형 접착제층(7)은 투명해도 투명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보강 시트(8)는 그 강성이 볼록판 본체(1), 베이스 필름(3)이나 감압형 접착제층(7)의 강성 보다도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크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시트(8)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보강 시트(8)로서 일정 이상의 두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시트(8)로서 그 강성이 볼록판 본체(1), 베이스 필름(3)이나 감압형 접착제층(7)의 강성과 동일하거나 낮은 것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이형제 시트(12)의 표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거의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는(감압형 접착제를 거의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도포 수단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롤 코팅기나 나이프 코팅기 등에 의한 코팅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제 시트(12)의 표면에 감압형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은 상온 분위기하에서 실시해도 좋고, 가열 분위기하에서 실시해도 좋다. 상기 공정을 가열 분위기하에서 실시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에 있어서, 감압형 접착제층(7)을 보강 시트(8)의 표면에 누르기 위한 제 4 롤(16)을 가열해도 좋고,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일정한 고온으로 유지된 실(고온실) 내에 설치하는 등, 상기 공정을 고온실 내에서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가열된 제 4 롤(16)과 고온실 을 병용해도 좋다. 이와 같은 가열 또는 고온은 상온 보다도 약간 높아서 좋고, 예를 들면 40~60℃의 범위 내에서 좋다. 이와 같이 상기 공정을 가열 분위기하에서 실시하면 제 5, 제 6 롤(17, 18)에 의해 송급 장치에 의해 보내지는 적층물(6)의 이면에 보강 시트(8)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가압, 접착할 수 있고, 저커핑성의 수지 볼록판이 얻어진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시트(13)를 보강 시트(8)의 이면에 눌러 감압형 접착제층(7)을 전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착제 시트(13)를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누르고, 이에 감압형 접착체층(7)을 전사해도 좋다. 또한, 이 공정을 가열 분위기하에서 실시할 경우에는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전사하기 위한 롤(도시하지 않음)을 가열해 둘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수지 볼록판(즉, 그 자체의 이면에 바코드(5)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설된 적층체(4))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통해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보강 시트(8)가 적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내부에 바코드(5)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그 자체의 이면에 바코드(5)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설된 적층물(6)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물(6)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 보강 시트(8) 를 접착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8에 도시한 수지 볼록판을 다수 제작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볼록판의 이면에 각설된 바코드(5)를 보강 시트(8)로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수지 볼록판을 보강 시트(8)로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 감압형 접착제층(7), 보강 시트(8)로서는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동일한 것이 이용된다. 또한, 바코드(5)를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상기 감압형 접착제층(7), 보강 시트(8)는 투명해도 투명하지 않아도 좋지만, 바코드(5)를 수지 볼록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하게 할 경우에는 상기 감압형 접착제층(7), 보강 시트(8)는 투명할 필요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적층체(4)(도 4 참조)의 이면(즉,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시트체)(9)가 접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도 10 참조. 도 10에서는 바코드(5)는 도시하지 않음). 상기 바코드(5)는 상기 볼록판 본체(1)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표시 시트(9)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4)의 이면에 바코드(5)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설되어 있지 않다. 그 이외의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 선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평판체(6a)와 베이스 필름(3)으로 이루어진 적층물(6)(이 적층물(6)의 이면에 바코드(5)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설되어 있지 않음)(도 3 참조)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상기 적층물(6)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표시 시트(9)를 접착 테이프 등으로 바코드(5)가 평판체(6a)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부착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적층체(4)를 다수 제작한다.
또한, 상기 적층물(6)을 제작한 후, 이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고, 이들 절단된 각 적층물(6)(즉, 적층체(4))(도 4 참조)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표시 시트(9)를 접착 테이프 등으로 부착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시트(9)에 바코드(5)를 인쇄하여 복잡한 형상의 바코드(5)를 정확히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시트(9)를 적층물(6)의 이면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어떤 수단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시트(9)의 표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체층을 통해 상기 표시 시트(9)를 적층물(6)의 이면에 직접 고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 표시 시트(9)는 투명해도 좋고, 투명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표시 시트(9)는 합성수지제라도 금속제(예를 들면 구리제)라도 좋고, 이 경우에는 상기 표시 시트(9)의 표면에 바코드(5)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각설되어 있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바코드(5)가 표시 시트(9)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지만, 표시 시트(9)의 이면에 인쇄되어 있어도(이 경우에는 바코드(5)가 수지 볼록판의 이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하게 됨), 표시 시트(9)의 표리 양면에 인쇄되어 있어도(이 경우에는 바코드(5)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양쪽에서 판독 가능해게 됨) 좋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적층체(4')(도 7 참조)의 이면(즉, 보강 시트(8)의 이면)에, 표면 및 이면의 적어도 한쪽에 바코드(5)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9)가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의 수지 볼록판(즉, 그 자체의 이면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9)가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된 적층체(4))의 이면(즉,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통해 보강 시트(8)가 적층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내부에 바코드(5)(도 1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하여 그 자체의 이면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9)가 접착 테이프(양면 테이프라도 좋음)등에 의해 고정된 적층물(6)(도 12 참조)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이용하여 감압형 접착제층(7)이 전사된 보강 시트(8)와, 송급 장치에 의해 보내지는 적층물(6)을 가압하고, 보강 시트(8)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적층물(6)의 이면에 접착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11에 도시한 적층체(4)를 다수 제작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수지 볼록판에 대해 각각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통해 보강 시트(8)를 접착, 고정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볼록판의 이면에 각설된 바코드(5)를 보강 시트(8)로 보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수지 볼록판을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도 있다. 즉, 우선 상하 2장의 유리판을 준비하고, 계속해서 하측 유리판상에 네가 필름을 얹어 설치하고, 이 네가 필름상에 투명한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계속해서 액상 광경화성 수지 표면에 다른 공정에 의해 미리 제작해 둔(광투과성을 가짐) 접합체 시트를 서로 겹치고(이 때, 접합체 시트의 내부에 고정된,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표시 시트(9)가 액상 광경화성 수지에 대해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함), 계속해서 상기 접합체 시트상에 상측 유리판을 얹어 설치하고, 이 상측 유리판측으로부터 상기 접합체 시트를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하측 유리판측으로부터 네가필름을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한 후, 얻어진 적층물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실시한다.
상기 접합체 시트는 투명한 베이스 필름(3)과, 광투과성이나 가요성을 갖는 보강 시트(8)가 감압형 접착체층(7)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 것이며, 베이스 필름(3) 과 감압형 접착제층(7) 사이의 소정 위치에 광투과성이나 가요성을 갖는 표시 시트(9)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접합체 시트를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 적층 장치는 베이스 필름(3)(이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는 그 소정 위치에 표시 시트(9)가 접착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을 화살표 방향(A)으로 송급하는 송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보강 시트(8)를 감는 제 1 롤(11)과, 이형제 시트(12)의 표면에 거의 균일한 두께의 감압형 접착제층(7)이 형성된 접착제 시트(13)를 감는 제 2 롤(14)과, 이형제 시트(12)를 감는 제 3 롤(15)과, 제 4~제 6 롤(16~18)을 구비하고, 제 4 롤(16)에 의해 제 1 롤(11)로부터 취출되는 보강 시트(8)의 표면에 제 2 롤(14)로부터 취출되는 접착제 시트(13)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눌러 전사한 후(접착제 시트(13)의 이형제 시트(12)는 제 3 롤(15)에 감아 부착됨), 제 5, 제 6 롤(17, 18)에 의해 감압형 접착제층(7)이 전사된 보강 시트(8)와, 송급 장치에 의해 화살표 방향(A)으로 보내지는 베이스 필름(3)을 가압하고, 보강 시트(8)의 감압형 접착제층(7)을 표시 시트(9)와 함께 베이스 필름(3)의 이면에 접착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도 6에 도시한 적층 장치를 이용하여 수지 볼록판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3의 적층물(6)의 이면에 표시 시트(9)를 고정하지 않고, 도 6의 적층 장치의 감압형 접착제층(7)에 표시 시트(9)를 고정하고, 감압형 접착제층(7)이 전사된 보강 시트(8)와, 송급 장치에 의해 보내지는 적층물(6)을 가압할 때, 이 적층물(6)의 이면에 감압형 접착제층(7)을 표시 시트(9)와 함께 접착, 고정해도 좋다.
도 14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 적층체(4)(도 4 참조)의 볼록판 본체(1)의 이면에, 표면에 바코드(5)(도 14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9)가 매설되어 있고, 이에 의해 수지 볼록판의 내부에 바코드(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코드(5)는 볼록판 본체(1)의 표면측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표시 시트(9)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다. 그 이외의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도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지 볼록판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즉, 우선 그 자체의 표면의 소정 위치에, 표면에 바코드(5)가 인쇄된 종이제의 표시 시트(9)가 접착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된 투명한 베이스 필름(3)을 제작한다. 계속해서 유리판을 준비하고, 이 유리판상에 네가필름을 놓고, 이 네가필름상에 투명한 액상 광경화성 수지를 일정한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계속해서 액상 광경화성 수지의 표면에 상기 베이스 필름(3)을 그 표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놓고, 이 베이스 필름(3)을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상기 네가 필름을 통해 자외선 등의 광조사를 실시하고, 광경화성 수지 재료제의 평판체(6a)와 베이스 필름(3)으로 이루어진 적층물(6)(도 3 참조)을 제작한다. 그 후, 상기 적층물(6)을 소정 형상으로 절단하여, 도 14에 도시한 적층체(4)를 다수 제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일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상기 수지 볼록판의 단면도,
도 3은 적층물의 단면도,
도 4는 적층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기 수지 볼록판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상기 수지 볼록판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상기 수지 볼록판의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13은 상기 수지 볼록판의 다른 제조 방법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수지 볼록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15는 종래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인쇄부 2 : 미소 볼록부
5 : 바코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인쇄부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수지 볼록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와는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의 이면에 바코드가 레이저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코드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볼록판.
  5. 인쇄부의 표면에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된 수지 볼록판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와는 다른 부분에 대응하는 수지 볼록판 내부 또는 이면에 바코드가 표시된 시트체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바코드가 수지 볼록판의 표면측 및 이면측의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판독 가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볼록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볼록판은 볼록판 본체의 이면에 베이스 필름이 접합되고 배접되어 이루어진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볼록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이면에 접착체층을 통해 금속 또는 합성수지판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볼록판.
KR1020070109440A 2006-11-30 2007-10-30 수지 볼록판 KR100999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4032A JP4875475B2 (ja) 2006-11-30 2006-11-30 樹脂凸版
JPJP-P-2006-324032 2006-11-30
JPJP-P-2006-00320432 2006-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615A KR20080049615A (ko) 2008-06-04
KR100999245B1 true KR100999245B1 (ko) 2010-12-07

Family

ID=3948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440A KR100999245B1 (ko) 2006-11-30 2007-10-30 수지 볼록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75475B2 (ko)
KR (1) KR100999245B1 (ko)
CN (1) CN101190617B (ko)
HK (1) HK1117470A1 (ko)
TW (1) TW2008461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0853B2 (ja) * 2009-03-31 2014-05-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凸版印刷版並びに凸版印刷版の製版方法及び装置
JP4616410B1 (ja) * 2010-03-23 2011-01-19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大形樹脂凸版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大形樹脂凸版
US9477152B2 (en) * 2012-09-27 2016-10-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inting form precursor having indicia and a method for preparing a printing form from the precursor
KR101392279B1 (ko) 2012-12-21 2014-05-07 주식회사 맥스포 식물 공장의 생산량 예측 방법
JP6499841B2 (ja) * 2014-09-12 2019-04-10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フレキソ印刷版
CN104669772A (zh) * 2015-03-19 2015-06-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印刷凸版
CN111448518B (zh) * 2017-12-08 2023-08-01 恩熙思德国有限公司 识别用于制造凸版结构的凸版前体的方法
GB2601579B8 (en) * 2021-06-08 2023-10-11 Proshim Supplies Uk Ltd A double-sided adhesive flexographic printing plate underlay
BE1030088B1 (nl) * 2021-12-23 2023-07-26 Athena Graphics Methode voor identificeren van een flexoplaa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025A (ja) 2002-07-16 2004-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識別ラベル付印刷物および商品の注文方法
JP2004262002A (ja) 2003-02-28 2004-09-24 Toppan Printing Co Ltd 二次元バーコードの印刷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6025A (ja) 2002-07-16 2004-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商品識別ラベル付印刷物および商品の注文方法
JP2004262002A (ja) 2003-02-28 2004-09-24 Toppan Printing Co Ltd 二次元バーコードの印刷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846188A (en) 2008-12-01
HK1117470A1 (en) 2009-01-16
JP2008137209A (ja) 2008-06-19
KR20080049615A (ko) 2008-06-04
JP4875475B2 (ja) 2012-02-15
CN101190617A (zh) 2008-06-04
CN101190617B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245B1 (ko) 수지 볼록판
JP7223748B2 (ja) 電子部品が埋め込まれた取引カード及び製造プロセス
US20100113118A1 (en) Rfid-incorporated game c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8147061A1 (en) Method of fabricating smart display card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2008535697A5 (ko)
JP2014117833A (ja) 加飾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50400B1 (ko) 필름시트의 라미네이션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법
TWI488756B (zh) 製造熱可逆記錄媒體的方法及製造該熱可逆記錄媒體的裝置
CN105751670A (zh) 印刷用树脂原版的制造方法及柔版印刷版
JP2002028896A (ja) 透視光学系付金型及び位置合わせ方法
TWM455925U (zh) 具有可讀訊息的矽橡膠薄片
WO2022163112A1 (ja) Rfidラベル、rfid記録媒体、rfidラベルの製造方法
JP2006024107A (ja) Rfidインレットの積層方法、及びrfidインレット積層体
RU132378U1 (ru) Пресс-подушка из силиконового каучука
JP2005044059A (ja) Icカードの製造方法
JP2007316893A (ja) Icメディアの製造方法及びicメディア
JP3110137U (ja) Rfid用カバーシートとこれを印刷するための印刷台紙
JP6331142B2 (ja) Icカードを製造する方法
JP5556865B2 (ja) カード、カード製造方法
JPH0880696A (ja) メモリカ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22102A (ja) 電子情報記録カード及び電子情報記録カードの製造方法
JP2003168094A (ja) lCカードの製造方法及びlCカードの製造装置
JP5853509B2 (ja) 枠体付電子部品、枠体付電子部品の製造方法、カードの製造方法、カード
JP2006178549A (ja) Icカード作製方法、icカード作製装置及びicカード
JP2005339462A (ja) Icカード及びicカ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