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143B1 -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 Google Patents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143B1
KR100999143B1 KR1020080036546A KR20080036546A KR100999143B1 KR 100999143 B1 KR100999143 B1 KR 100999143B1 KR 1020080036546 A KR1020080036546 A KR 1020080036546A KR 20080036546 A KR20080036546 A KR 20080036546A KR 100999143 B1 KR100999143 B1 KR 100999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floor panel
luggage bar
wire frame
lugg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008A (ko
Inventor
정동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143B1/ko
Priority to US12/272,293 priority patent/US8172298B2/en
Priority to CN2008101807597A priority patent/CN101565007B/zh
Priority to DE102008061990A priority patent/DE102008061990A1/de
Publication of KR2009011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가 소개된다. 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에 따르면, 간단한 부품들을 이용하여 제조원가와 작업공수를 줄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시트백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시트백 강도, 러기지바, 와이어 프레임

Description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Reinforcement For Rear Seat Back}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리어 시트백을 트렁크 내부 물품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에는 각종 물품이 수납되는데, 차량의 급정거시 그 물품은 관성에 의해 전진하고, 리어 시트의 시트백에 충돌한다. 리어 시트에 탑승한 승객은 시트백을 통해 그 충격을 전달받고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어 시트백에는 강도 보강 구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의 필요성은 점차 법규로써 강화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시트백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리어 시트백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리어 시트백에는 여러 형상의 러기지바가 설치되어 왔다.
이하에서는 종래 개발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를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하기 서술될 구조가 출원 전 공지되었음을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일 예로, 저가형 차량의 경우는 시트백 의 쿠션 패드를 와이어 프레임이 부착하고,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과 플로어 패널 사이에 러기지바를 장착하며, 그 위에 와이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트백의 강도를 보강하였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를 살펴본다. 저가형 차량의 경우, 원가절감의 필요상 최소한의 부재와 작업공수를 통하여 최대한의 강도 보강효과를 달성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기지바(90)를 두 개만 사용하였고, 격자형 와이어 프레임(70)으로 시트백을 지지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러기지바(90)는, 두 개의 러기지바(90)를 "V"형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상단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에 볼팅하고, 하단은 플로어 패널(30)에 볼팅하였다. 와이어 프레임(70)은 시트백을 지지하도록 시트백에 부착되었고, 상단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에 마련된 와이어 브라켓(12)에 거치되며, 하단에는 하향 굴곡된 고정부(72)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플로어 패널(30)에 볼팅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에 따르면, 와이어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의 상단의 좌,우 및 중앙부에 세 개의 와이어 브라켓(12)을 마련하였고, 플로어 패널과의 고정을 위해 좌,우 및 중앙부에 고정부(72)를 마련하며, 각각을 모두 볼팅하여,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현저히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간단한 구조임에도 설치 조립에 많은 비용이 투입되어 저가형 차량의 제작 목표에도 부합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 프레임의 설치시 소모되는 부품과 작업공수를 줄여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시트백의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와 플로어 패널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가 마련된 러기지바; 및 상기 러기지바의 거치부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러기지바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는 러기지바의 상단이 굴곡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러기지바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가조립을 위해 그 하단에 플로어 패널의 통공에 끼워지는 가이드핀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는 와이어 프레임이 거치되는 와이어 브라켓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은 플로어 패널에의 고정을 위해 그 하단부 와이어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러기지바와 함께 플로어 패 널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에 따르면, 적은 개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리어 시트백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며,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에 마련되는 브라켓의 개수를 줄이고, 이를 러기지바의 형상 변형으로 대체하여 원가를 절감하면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프레임 하단의 중앙 고정부를 러기지바의 하단 고정부와 일치시키고 함께 플로어 패널에 고정함으로써, 고정 작업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에 대하여 살펴본다.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러기지바(B)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마련되며, 그 형상은 중공의 봉형으로써 양 끝단은 고정을 위해 납작하게 프레스된 형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러기지바(B)는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러기지바를 "V"자 형으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는 와이어 프레임을 거치하는 것으로서, 별물로 마련하여 설치하거나, 러기지바(B)를 굴곡시켜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형상은 와이어 프레임(700)의 와이어를 거치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와이어 프레임(700)은 여려 형상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격자형으로 짜여진 와이어들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와이어 프레임(700)은 플로어 패널(200)에의 고정을 위해 그 하단부 와이어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720)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부(720)는 와이어 프레임(700)의 하단부에 마련된 좌, 우측 고정부(724) 및 중앙 고정부(722)로 구성토록 한다.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에는 와이어 프레임(700)이 거치되는 와이어 브라켓(12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와이어 프레임(700)은 러기지바(B)에 거치된 후 그 프레임(700)에 시트백이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시트백에 설치된 후 러기지바(B)에 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고하여 가장 적합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일 실시 예를 살펴본다.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러기지바(B)는 좌측의 제1 러기지바(500), 우측의 제2 러기지바(600)로 구성되고, 와이어 프레임(700)이 설치되어 트렁크의 수하물(300)로부터 시트백을 보호한다. 각각의 러기지바는 V형으로 배치되어 상단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에, 하단은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고정"이라는 수단은 구체적으로 볼팅 결합, 리벳 결합, 용접 결합 등이 가능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체결과 분리가 용이한 볼팅 결합이 유용하다.
제1 러기지바(500)의 상단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의 좌측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플로어 패널(200)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그 상단에는 굴곡된 거치부(522)가 형성된다. 제2 러기지바(600)의 상단은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의 우측부에 고정되고, 하단은 플로어 패널(200)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그 상단에는 굴곡된 거치부가 형성된다. 시트백 와이어 프레임(700)은 시트백을 지지하기 위해 격자형으로 형성되어 시트백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단은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은 제1 러기지바(500) 또는 제2 러기지바(600) 하단의 고정부와 함께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다.
각 러기지바의 하단은, 상기 플로어 패널(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제1 러기지바(500)의 하단은 좌측에, 제2 러기지바(600)의 하단은 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체적인 러기지바들의 배치는 "V"자형을 이루며 시트백을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도 4를 참고하여 러기지바의 가체결 구조를 살펴본다. 제1 러기지바의 하단 고정부(540) 또는 제2 러기지바의 하단 고정부(6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플로어 패널(200)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42)이 구비되어, 러기지바(500)의 고정 전에 가이드핀(542)이 통공에 삽입됨으로써 조립위치가 정하여진다. 이를 통하여 제1 러기지바(500) 또는 제2 러기지바(600) 또는 양자 모두(500,600)를 가이드핀(542)으로 가체결하고, 와이어 프레임(700)의 하단과 함께 최종적으로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시트백 와이어 프레임(700)의 하단 중앙부에는 와이어의 일부가 연장 굴곡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중앙 고정 부(722)가 구비되고, 그 중앙 고정부(722)는 상기 가이드 핀(542)이 구비된 러기지바의 하단 고정부(540)와 함께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러기지바(500)의 하단 고정부(540)에 가이드핀(542)을 마련하여 가체결하고, 이를 와이어 프레임(700)의 중앙 고정부(722)와 함께 플로어 패널(200)에 볼팅 결합하는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와이어 프레임의 설치를 살펴본다.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각 러기지바의 상단 고정부(520)에는 굴곡된 거치부(522)를 형성하고, 시트백 와이어 프레임(700)의 상단 좌,우측은 각각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중앙부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에 설치된 와이어 브라켓(120)에 거치된다. 거치부(522)는 와이어의 거치를 위한 것으로서 여러가지 형상이 가능하나, 바람직한 실시 예로는 러기지바(B)의 상단을 굴곡시켜 그 상단과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가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그 간격 사이로 와이어 프레임(700)의 와이어가 상방에서 삽입되며 거치되는 것이다. 하단의 좌측 및 우측부에는 와이어의 일부가 연장 굴곡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측방 고정부(724)가 구비되며, 각 측방 고정부(724)는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조립순서를 살펴본다. 우선 제1 러기지바(500)의 상단(520)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에 볼팅하고, 하단(540)의 가이드핀(542)을 플로어 패널(200)의 통공에 삽입한다. 제2 러기지바(600)의 상단(620)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100)에 볼팅하고 하단(640)을 플로어 패널(200)에 볼팅한다. 와이어 프레임(700)의 상단을 좌,우 측 거치부(522) 및 와이어 브라켓(120)에 거치하고, 하단의 중앙 고정부(722)를 제1 러기지바(500)와 함께 플로어 패널(200)에 볼팅하며, 양 측방 고정부(724)를 볼팅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A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의 B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어 패키지 트레이 패널 120 : 와이어 브라켓
200 : 플로어 패널 500 : 제1 러기지바
522 : 거치부 542 : 가이드핀
600 : 제2 러기지바 700 : 시트백 와이어 프레임
720 : 고정부 722 : 중앙 고정부
724 : 측방 고정부 B : 러기지바

Claims (7)

  1. 삭제
  2. 차량의 리어 시트백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시트백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로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바(B)는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3. 차량의 리어 시트백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시트백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로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522)는 러기지바(B)의 상단이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4. 차량의 리어 시트백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시트백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로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고
    상기 러기지바(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가조립을 위해 그 하단에 플로어 패널(200)의 통공에 끼워지는 가이드핀(5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5. 차량의 리어 시트백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시트백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로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에는 와이어 프레임(700)이 거치되는 와이어 브라켓(1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6. 차량의 리어 시트백에 충격이 가해질 때 그 시트백을 보호하기 위한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로서, 리어 패키지 트레이(100)와 플로어 패널(200) 사이에 설치되며, 거치부(522)가 마련된 러기지바(B); 및 상기 러기지바(B)의 거치부(522)에 거치되며, 하단이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와이어 프레임(700);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프레임(700)은 플로어 패널(200)에의 고정을 위해 그 하단부 와이어의 일부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7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러기지바(B)와 함께 플로어 패널(20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KR1020080036546A 2008-04-21 2008-04-21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KR100999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46A KR100999143B1 (ko) 2008-04-21 2008-04-21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US12/272,293 US8172298B2 (en) 2008-04-21 2008-11-17 Reinforcement for rear seat backs
CN2008101807597A CN101565007B (zh) 2008-04-21 2008-12-02 后座背部用加强件
DE102008061990A DE102008061990A1 (de) 2008-04-21 2008-12-12 Verstärkung für eine Rücksitz-Rückenleh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546A KR100999143B1 (ko) 2008-04-21 2008-04-21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008A KR20090111008A (ko) 2009-10-26
KR100999143B1 true KR100999143B1 (ko) 2010-12-08

Family

ID=4107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546A KR100999143B1 (ko) 2008-04-21 2008-04-21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72298B2 (ko)
KR (1) KR100999143B1 (ko)
CN (1) CN101565007B (ko)
DE (1) DE102008061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4053B2 (en) * 2008-12-19 2013-04-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eat back assembly with integral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445149B1 (ko) * 2009-08-04 2014-09-29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충격 로드 전달 구조물을 가지는 시트 조립체
US8348332B2 (en) * 2009-12-11 2013-01-08 Honda Motor Co., Ltd. Partition structure and installation structure for installation part
JP5704458B2 (ja) * 2011-04-14 2015-04-22 スズキ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の連結構造
FR2977544B1 (fr) * 2011-07-04 2013-08-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barriere arriere amovible de protection et des moyens empechant le repositionnement du dossier de la banquette arriere en l'absence de cette barriere de protection
JP5929693B2 (ja) * 2012-10-15 2016-06-08 マツダ株式会社 異種金属部材の接合構造
JP5652623B2 (ja) * 2013-03-14 2015-01-1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の後部構造
DE102013021692A1 (de) * 2013-12-19 2015-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sitzelement
US9446687B2 (en) * 2015-01-29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ectable fixed and rotational seat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frame
JP6790985B2 (ja) * 2017-04-18 2020-11-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締結構造、シートバック、及び締結部品
USD944699S1 (en) * 2017-07-24 2022-03-01 Westin Automotive Products, Inc. Vehicle security parti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A (ja) 1997-07-23 1999-02-09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リヤシート
KR100521677B1 (ko) 2003-06-10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2189A (en) * 1951-01-13 1952-12-16 Patent License Corp Electrically conductive luggage rack having adjustable lighting fixtures
US2939740A (en) * 1957-06-13 1960-06-07 Ford Motor Co Vehicle seat construction
US3873127A (en) * 1973-10-01 1975-03-25 Kain S Research And Dev Compan Multi-purpose bicycle rack
US5447360A (en) * 1993-09-30 1995-09-05 Hoover Universal, Inc. Side impact seat back structure
US5575533A (en) * 1994-02-25 1996-11-19 Concept Analysis Corp. Blow molded seat frame with integral reinforcement
US5967054A (en) * 1996-04-30 1999-10-19 R & G Ventures, Llc Removable cargo shelf assembly for a vehicle
US5931527A (en) * 1996-05-03 1999-08-03 D'onofrio; Giulio Seat back mounted cargo shelf
KR19980056500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격벽 구조
FR2793745B1 (fr) 1999-05-18 2001-07-2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tructure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articulee autour de pivots emboites
AT3804U1 (de) * 1999-05-27 2000-08-25 Tcg Unitech Ag Sitzlehne für ein kraftfahrzeug
JP4182592B2 (ja) * 1999-06-11 2008-11-19 マツダ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構造
US6296291B1 (en) * 2000-09-28 2001-10-0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Reinforced vehicle seat back
JP4058276B2 (ja) * 2002-02-20 2008-03-0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フレーム構造
JP3861732B2 (ja) * 2002-04-01 2006-12-20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荷室構造
DE60328509D1 (de) * 2002-11-08 2009-09-03 Johnson Controls Tech Co Sitzkissenhalter für einen klappsitz
DE10301283B3 (de) * 2003-01-15 2004-07-01 Euromotive Ges.M.B.H. & Co. Kg Rücksitzlehne für einen Fahrzeugrücksitz
JP4649849B2 (ja) * 2004-03-02 2011-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機構の取付構造
KR100590947B1 (ko) * 2004-06-07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마그네슘 합금재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성형방법
JP4836422B2 (ja) * 2004-08-26 2011-12-14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
US7128273B2 (en) * 2005-03-24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credit card adapter
KR20080036546A (ko) 2005-05-17 2008-04-28 리라이언스 라이프 사이언시스 프라이빗. 리미티드 포유류 세포를 사용한 인간 배아줄기 세포주의 확립
KR100706392B1 (ko) * 2005-11-18 200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해치백 스타일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09A (ja) 1997-07-23 1999-02-09 Takashimaya Nippatsu Kogyo Kk 車輌用リヤシート
KR100521677B1 (ko) 2003-06-10 2005-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008A (ko) 2009-10-26
US8172298B2 (en) 2012-05-08
US20090261636A1 (en) 2009-10-22
CN101565007B (zh) 2013-05-08
CN101565007A (zh) 2009-10-28
DE102008061990A1 (de)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43B1 (ko)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KR101894605B1 (ko) 차량용 에너지 흡수 좌석
CN109131169B (zh) 汽车电池安装结构
JP4853627B2 (ja) 自動車のシュラウド支持構造
JP5861490B2 (ja) 車体後部構造
US9434285B2 (en) Frame structure for seat back
JP2017013639A (ja) 車両用シートレール
US7281755B2 (en) Vehicle support structure with floor impact movement restriction device
US9114742B2 (en) Vehicle seat
US20080315609A1 (en) Attaching structure of split type seat back for vehicle
JP2004149038A (ja) 燃料タンクモジュールの取付構造
JP2009051390A (ja) シートバック保護構造
KR102365399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회전방지장치
US10576845B2 (en) Vehicle seat
CN106032150B (zh) 车辆及其后围板总成
JP7331594B2 (ja) 電装部品支持構造
KR200487165Y1 (ko)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
CN108608911B (zh) 靠背锁止机构和车辆
KR101321093B1 (ko) 차량 시트 벨트용 버클 조립체의 클립
KR20070060387A (ko) 차량 리어 시트의 장착 구조
JPWO2014045423A1 (ja) 車両用シート
CN219584008U (zh) 车辆座椅
KR102344315B1 (ko) 차량용 방범 겸용 비말 차단 패널
KR20100060370A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브라켓의 장착어셈블리
KR200341952Y1 (ko) 차량용 접이식 시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