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677B1 -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 Google Patents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677B1
KR100521677B1 KR10-2003-0037218A KR20030037218A KR100521677B1 KR 100521677 B1 KR100521677 B1 KR 100521677B1 KR 20030037218 A KR20030037218 A KR 20030037218A KR 100521677 B1 KR100521677 B1 KR 100521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bars
cargo
van
part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6038A (ko
Inventor
윤경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677B1/ko
Publication of KR2004010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Abstract

본 발명은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밴형 자동차의 격벽의 전후 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분리수단의 위치를 전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운전을 하며,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1,1',2,2'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2)(2')은 그 양단을 화물적재공간(L)의 양측벽 즉 트림에 상하 일정간격을 둠과 동시에 트림과 일정간격을 두고 스크류(3)(4)로 고정한 것이며, 상기 가이드 레일(1)(1')(2)(2')은 일측에 2개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으로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1')(2)(2')은 양측벽에 리어 글래스(G)를 설치할 경우에는 리어 글래스(G)를 가로질러 고정하여서 리어 글래스의 보호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5는 격벽부재로서, 상기 격벽부재(5)는 적어도 2개의 바(6)(6')를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바(7)(7')로 연결하고, 바(6')의 하단에 U형 바(8)를 플로워에 근접되게 연결하며, 상기 바(6)(6')의 양단에 지지링(9)(9')(10)(10')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지지링(9)(9')(10)(10')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2')에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지지한 것이다.
12는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수단(12)은 상기 지지링(9)(9')(10)(10')에 슬롯(13)을 형성하고, 슬롯(13)의 일측에 고정편(14)을 설치하여 바(6)(6')의 양단에 볼트(15)로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PARTITION DEVICE OF VAN TYPE AUTOMOBILE}
본 발명은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밴형 자동차의 격벽의 전후 위치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밴형 자동차는 화물적재공간과 승객탑승공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화물의 승객탑승공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적재공간과 승객탑승공간 사이를 분리수단으로 구획하도록 법령으로 규제하고 있다.
상기 화물적재공간과 승객탑승공간의 분리수단은 승합차형 밴은 화물적재공간과 승객탑승공간을 격벽에 의하여 밀폐형으로 분리하고, 승용차형 밴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하방은 격판(20)의 양측과 하방을 센터 필라와 플로워에 브라켓(21)을 설치하여 스크류(22)로 고정하고, 상기 격판(20)의 상방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보호봉(23)(23')을 센터 필라에 설치한 원통형 지지구(24)(24')에 삽입한 후 볼트(25)로 고정하여서, 상기 격판(20) 및 보호봉(23)(23')이 영구 고정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시트이고, 27은 리어 글래스이다.
그러나 상기한 분리수단은 영구 고정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으로 신체조건이 큰 탑승자가 시트를 신체조건에 부합되게 조절하기 위하여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할 때 간섭되어 불편하고, 또한 탑승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시트백을 눕힐 수 없기 때문에 안전운전에 제약을 받는 것이다.
상기한 불편과 제약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부의 운전자는 분리수단을 철거하고 있는 실정이나, 분리수단을 철거할 경우에는 분리수단의 설치목적의 달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화물이 탑승자에게 침입되어 더욱더 큰 사고의 위험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분리수단의 위치를 전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안전운전을 하며,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적재공간의 양측벽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양단을 고정한 적어도 2개씩의 가이드 레일과; 적어도 2개의 바를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양단을 각각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지지한 격벽부재와; 상기 바의 양단에 각각 설치한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1',2,2'는 가이드 레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1)(1')과 가이드 레일(2)(2')은 그 양단을 화물적재공간(L)의 양측벽 즉 트림에 상하 일정간격을 둠과 동시에 트림과 일정간격을 두고 스크류(3)(4)로 고정한 것이며, 상기 가이드 레일(1)(1')(2)(2')은 일측에 2개를 설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으로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1)(1')(2)(2')은 양측벽에 리어 글래스(G)를 설치할 경우에는 리어 글래스(G)를 가로질러 고정하여서 리어 글래스의 보호기능을 하도록 한 것이다.
5는 격벽부재로서, 상기 격벽부재(5)는 적어도 2개의 바(6)(6')를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바(7)(7')로 연결하고, 바(6)의 하단에 U형 바(8)를 플로워에 근접되게 연결하며, 상기 바(6)(6')의 양단에 지지링(9)(9')(10)(10')을 각각 설치하여 상기 지지링(9)(9')(10)(10')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2')에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지지한 것이며, 상기 지지링(9)(9')(10)(10')의 내면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의 탄성링(11)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부재(5)에는 격판(11)(11')을 분리할 수 있게 부설하는 것이다.
12는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수단(12)은 상기 지지링(9)(9')(10)(10')에 슬롯(13)을 형성하고, 슬롯(13)의 일측에 고정편(14)을 설치하여 바(6)(6')의 양단에 볼트(15)로 고정함으로써 지지링(9)(9')(10)(10')의 내경이 축소되면서 바(6)(6')가 가이드 레일(1)(1')(2)(2')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바(6)(6')가 고정될 때 지지링(9)(9')(10)(10')의 내면에 설치한 탄성링(11)이 가이드 레일(1)(1')(2)(2')에 큰 마찰접촉을 함으로써 고정시 임의로 위치변동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시트이고, 17은 후방시야 확보구멍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격벽부재(5)의 바(6)(6')가 도 3과 같이 시트(16)의 후방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화물적재공간(L)에 화물을 적재함으로써 주행시 화물이 시트(16)측으로 침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격벽부재(5)의 위치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신체조건이 큰 탑승자가 시트를 신체조건에 부합되게 조절(후진)하거나 시트백을 눕혀 편안한 휴식을 하려고 할 때에는 고정수단(12)의 스크류(15)를 이완시켜서 지지링(9)(9')(10)(10')을 가이드 레일(1)(1')(2)(2')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한 다음 격벽부재(5)를 후방으로 밀므로써 시트(16)의 후방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시트(16)를 후진시키거나 시트백을 눕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물적재공간(L)에 적재되는 화물의 양이 적어서 주행시 화물이 요동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격벽부재(5)의 지지링(9)(9')(10)(10')을 가이드 레일(1)(1')(2)(2')에서 슬라이딩시켜 화물을 테일 게이트 등의 차체 후방측으로 밀어서 테일 게이트와 격벽부재(5) 사이에 화물을 구속시킴으로써 화물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화물적재공간(L)에 적재되는 화물의 부피(중량)가 클 때에는 격판(11)(11')을 분리하여 자동차의 무게를 경감할 수 있고, 또한 화물적재공간(L)에 적재되는 양이 적을 때에는 상부 격판(11)을 분리하여 후방시계 확보를 양호하게 할 수 있음으로 안전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물적재공간의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격벽부재의 바의 양단을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지지하여 격벽부재의 위치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였음으로 탑승자가 안전운전을 함과 동시에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향상되고, 또한 화물의 요동을 방지함으로써 화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상태 종단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것의 설치상태 종단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1', 2, 2' : 가이드 레일 5 : 격벽부재 6, 6' : 바
9, 9', 10, 10' : 지지링 11, 11' : 격판 12 : 고정수단

Claims (7)

  1. 화물적재공간의 양측벽에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양단을 고정한 적어도 2개씩의 가이드 레일과; 적어도 2개의 바를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그 양단에 지지링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링을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할 수 있게 삽입 지지한 격벽부재와; 상기 지지링에 슬롯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슬롯의 일측에 고정편을 설치하여 바에 볼트로 고정한 고정수단으로 구성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격벽부재에 격판을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바에 U형 바를 플로워에 근접되게 연결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은 리어 글래스를 가로질러 고정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링의 내면에 탄성링을 설치한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KR10-2003-0037218A 2003-06-10 2003-06-10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KR100521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18A KR100521677B1 (ko) 2003-06-10 2003-06-10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218A KR100521677B1 (ko) 2003-06-10 2003-06-10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38A KR20040106038A (ko) 2004-12-17
KR100521677B1 true KR100521677B1 (ko) 2005-10-17

Family

ID=3738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218A KR100521677B1 (ko) 2003-06-10 2003-06-10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6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143B1 (ko) 2008-04-21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41A (ja) * 1984-07-14 1986-02-0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後部荷室の荷置き台
JPH10119651A (ja) * 1996-10-22 1998-05-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ハンガー兼用セパレーター
KR200204672Y1 (ko) * 2000-05-29 2000-12-01 권부성 밴형 화물 자동차의 회동 가능한 격벽
US6547298B2 (en) * 2000-07-26 2003-04-15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Reconfigurable intermediate panel for use in a vehicle
KR20040043064A (ko) * 2002-11-15 2004-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러기지 멤버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641A (ja) * 1984-07-14 1986-02-03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後部荷室の荷置き台
JPH10119651A (ja) * 1996-10-22 1998-05-12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のハンガー兼用セパレーター
KR200204672Y1 (ko) * 2000-05-29 2000-12-01 권부성 밴형 화물 자동차의 회동 가능한 격벽
US6547298B2 (en) * 2000-07-26 2003-04-15 Meritor Light Vehicle Technology, Llc Reconfigurable intermediate panel for use in a vehicle
KR20040043064A (ko) * 2002-11-15 2004-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러기지 멤버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143B1 (ko) 2008-04-21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시트백 강도 보강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038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827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좌석 장치
CN111516566B (zh) 交通工具用座椅
US8011713B2 (en) Seat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such a seat arrangement
US9931999B2 (en) Back panel lower clip anchorage features for dynamic events
US8366191B2 (en) Center child safety restraint system for two occupant rear seat with center console
US20200307489A1 (en)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GB2380168B (en) A barrier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US9010863B2 (en) Bus seating system
JP2000238560A (ja) 自動車のシート
KR100521677B1 (ko) 밴형 자동차의 격벽장치
US8573649B2 (en) Passenger automobile without B-column
JP2008265401A (ja) 荷室を有する車両
KR100756957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시트의 시트벨트 버클 고정구조
JPH07205755A (ja) 構造簡単な取り付け機構を備えた乗客拘束システム
IE980168A1 (en) A method and a floor supporting framework for extending the¹goods carrying floor space in a vehicle.
JP5933608B2 (ja) 車載用ペットキャリーバッグ保持具
EP1689609A1 (en) Vehicle child seat assembly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US20230347792A1 (en) Adjustable vehicle seat attachment system
JP6114602B2 (ja) 自動車用座席
CN111448100A (zh) 用于机动车中的儿童座椅的固定装置以及具有这种固定装置的机动车
EP2752135B1 (en) Temporary sleeping arrangement
EP3068662B1 (en) Arrangement in a vehicle seat
KR0124366Y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접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