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326B1 -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 Google Patents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326B1
KR100996326B1 KR1020080025890A KR20080025890A KR100996326B1 KR 100996326 B1 KR100996326 B1 KR 100996326B1 KR 1020080025890 A KR1020080025890 A KR 1020080025890A KR 20080025890 A KR20080025890 A KR 20080025890A KR 100996326 B1 KR100996326 B1 KR 10099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wine
liquor
fermented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605A (ko
Inventor
정헌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정헌배인삼주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정헌배인삼주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정헌배인삼주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32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flavouring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고유의 효능과 풍미가 유지되고 음용 시 부드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삼 혼성주를 제조할 때 인삼과 알콜 향미를 조화롭게 하여 인삼주를 마시는 느낌을 부드럽게 함과 아울러 인삼의 주요성분이 보다 많이 함유되도록 하여 인삼주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의 발효 시 원료 인삼을 첨가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발효 단계에서 제조된 인삼 발효주를 단식 증류하여 인삼 증류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인삼 증류주를 인삼 발효주의 제조 시 발생되는 주박과 함께 침출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삼혼성주, 인삼발효주, 인삼증류주, 증류주원액, 숙성

Description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MAKING METHOD OF GINSENG MIXED LIQUOR AND THEREFROM MAKING GINSENG MIXED LIQUOR}
본 발명은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삼 고유의 효능과 풍미가 유지되고 음용 시 부드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인삼주는 주로 약용주이었고, 이에 따라 우리 전통 생약의 복용법에 준하는 차원에서 인삼주의 복용형태를 다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 쌀과 누룩을 인삼과 함께 발효시켜 발효액 전체를 마시는 탁주 복용법과, 2) 상기 복용법대로 빚은 인삼탁주를 여과하여 복용하는 법과, 3)고도의 소주에 인삼을 침출하여 묵혀서 마시는 법과, 4) 인삼으로 빚은 탁주를 소주로 내려 마시는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현재 가장 음용되고 있는 인삼주의 주된 유형은 주정에 인삼을 침출시킨 3)번째 형태인 혼성주(Liqueur) 형태의 인삼주로서, 비교적 제법이 단순하 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도 소주를 원액으로 하여 인삼을 뿌리 채 담궈 두는 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기존 주류에 첨가물 형식으로 인삼을 첨가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민속주 형식으로 제조되는 경우도 있는 바, 민속주 형식으로 제조되는 경우 발효방식으로 발효과정에 인삼을 첨가시켜 인삼 발효주를 만드는 방법과 이렇게 만들어진 인삼 발효주를 단식 증류하여 간단한 숙성을 거치는 인삼 증류주가 있다.
현 주세법에서 정하는 인삼주의 원료처리에서 침출, 저장, 배합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원료처리: 4년근 이상의 인삼을 정선 및 세척하고 원료주류는 주정(알코올 량: 95%)을 알코올분 40∼50도로 희석, 활성탄소로 탈취하여 침출 농도를 낮춘다.
2. 침출: 탈취 정제주정에 인삼을 혼합하여 침출시킨다. 이때, 침출 인삼 사용량은 알코올분 35도의 제품 200리터 기준으로, 수삼의 경우 4년근 이상의 것으로 12㎏이상, 수삼 및 미삼 혼용시에는 4년근 이상 수삼 6㎏이상 및 미달량은 미삼으로 보충하되 건조된 미삼 4㎏은 수삼 12㎏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주세사무처리규정 제38조 2항2호가(2) 참조).
3. 저장: 침출 후 거친 맛의 숙성을 위해 저장하며, 저장기간(침출기간 포함)은 180일 이상으로 한다〔주세사무처리규정 제38조 2항 4호 참조〕.
4. 배합: 침출원액에 첨가물료를 넣고 물을 가해 규격도수를 맞춘다. 이때 원액의 사용비율은 주세사무처리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액 100%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되는 인삼 침출주의 경우, 인삼의 유효성분을 에틸알코올 또는 메틸알코올로 상온 추출하거나 또는 가온 추출하여 엑기스를 제조하고 이를 주정에 첨가하여 조합하거나 알코올 중에 인삼뿌리를 침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 혼화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인삼주의 제조방법은 추출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이를 단축하고자 가온 추출할 때에는 향미가 휘산되고 가열에 의한 전분의 호화(糊化)현상(전분에 물을 충분히 가하고 가열하면 70∼75℃ 정도의 온도에서 전분입자의 모양은 없어지고 전체가 반투명한 상태의 콜로이드상의 물질이 되는 현상)이 일어나서 추출과 여과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2-57896호로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를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0483435호로 등록받았다,
상기한 인삼 혼성주 제조 방법 및 인삼 혼성주는 쌀의 발효 시 원료 인삼을 첨가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인삼 발효주를 단식증류하여 인삼 증류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인삼 증류주를 원료 인삼과 함께 침출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인삼 발효주 제조단계에서는 2단 담금법의 전통 약주 제조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인삼을 2단 담금 시 다른 원료와 함께 첨가시켜 발효시킨 술덧을 압착 및 여과하여 인삼 발효주를 얻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증류주에 다시 새로운 인삼을 넣고 숙성 및 침출 공정을 거치게 되면 인삼의 색상과 향미가 너무 강해 인삼주를 마실 때 독한 느낌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증류 공정에서 인삼의 주요성분이 휘발하지 못하는 관계로 인삼 고유의 성분을 거의 수득하지 못하게 되어 인삼주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삼 혼성주를 제조할 때 인삼과 알콜 향미를 조화롭게 하여 인삼주를 마시는 느낌을 부드럽게 함과 아울러 인삼의 주요성분이 보다 많이 함유되도록 하여 인삼주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쌀의 발효 시 원료 인삼을 첨가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발효 단계에서 제조된 인삼 발효주를 단식 증류하여 인삼 증류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인삼 증류주를 인삼 발효주의 제조 시 발생되는 주박과 함께 침출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삼혼성주에 발효공정의 주박을 첨가하여 혼성 공정을 진행하여, 인삼의 유효성분이 최대한 추출되어 인삼 고유의 효능과 풍미를 유지함과 아울러 인삼주의 강한 향과 맛을 부드럽게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삼주의 음용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은, 인삼 발효주 제조 단계에서는 2단 담금법의 전통 약주 제조방법을 기본으로 하며 인삼을 2단 담금 시 다른 원료와 함께 첨가시켜 발효시킨 술덧을 압착 및 여과하여 인삼 발효주를 얻는다.
즉, 쌀의 발효 시 원료 인삼을 첨가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인삼 발효주를 단식증류하여 인삼 증류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제조된 인삼 증류주를 원료 인삼과 함께 침출 및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료로는 수삼, 홍삼, 백삼등의 건삼을 사용하고, 발효원료로는 쌀 중량 대비 수삼은 1∼5중량%로 첨가되며, 건삼의 경우에는 0.4∼2중량%로 첨가된다.
원료 인삼의 첨가량이 각각 5중량% 및 2중량%를 넘으면, 인삼 특유의 맛, 향, 그리고 색깔 등이 너무 진하여 음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을 주고, 각각 1중량% 및 0.4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인삼의 효능 발현이 만족스럽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인삼 증류주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한 발효단계에서 얻어진 인삼 발효주를 단식증류기로 증류하여 증류가 시작된 후 처음 약간의 초류를 뺀 본류를 알 코올 함량이 약 45%가 되도록 하여 인삼 증류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침출 및 숙성 단계에서는, 인삼 증류주의 발효 시 발생된 주박(술찌게미)을 수거하여 인삼증류주와 함께 항아리와 같은 숙성 용기에 넣고 장기간 침출 및 숙성시킨 후, 다시 압착 및 여과 과정을 거처 적절한 알코올 도수로 조합(調合, 블랜딩)하여 인삼 혼성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주박을 증류주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키게 되면 인삼주의 알콜성분이 독하게 느껴지지 않고 인삼의 향미는 조화롭게 하면서, 인삼의 주요성분이 증류주에 보다 많이 침출되도록 함으로써, 부드럽게 인삼주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 혼성주 제조 시 인삼의 적정 첨가량과 상기 각 단계의 적정 인삼첨가비율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전통적 약주방법을 활용한 인삼 발효주 제조시 수삼 첨가량을 총 쌀 첨가 중량 대비 1∼15%비율로 달리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한 다음, 하기 물성 평가항목별 절차에 따라 측정하여 표1에 나타내었다.
[표1]
수삼함량
(중량%)
청주도 ALC T.A A.A pH
1% 11 18.7 2.5 1.4 4.16
2% 10 18.5 2.6 1.4 4.18
3% 12 18.9 2.6 1.4 4.23
4% 12 18.9 2.7 1.4 4.50
5% 10 18.5 2.5 1.6 4.54
6% 12 19.1 2.6 1.7 4.57
7% 12 18.7 2.6 1.7 4.58
8% 5 17.2 3.1 1.4 4.38
9% 8 17.6 3.3 1.4 4.41
10% 10 18.0 3.2 1.7 4.47
11% 16 18.4 3.2 1.3 4.44
12% 17 18.2 3.1 1.3 4.44
13% 15 18.4 3.3 1.6 4.49
14% 16 18.6 3.2 1.8 4.53
15% 14 18.4 3.3 1.8 4.57
ㆍ청주도: 인삼주의 당성분을 측정하기 위해 10ml의 시료를 취해 품온을 15℃로 고정시킨 후, 청주도계와 보메계를 이용하여 청주도를 측정하였다.
ㆍALC(알코올 정량): 시료 100ml를 정확히 취해 플라스크에서 증류한 다음, 증류액을 항온수조에서 15℃로 고정시킨 다음, 비중계를 이용하여 공기와 증류수의 비중을 측정한 후, 시료를 측정하여 공기와 물의 비중과 비교하여 알코올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ㆍT.A.(총 산도): 인삼주 내 총산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 여액 100ml를 취해 페놀프탈레인 지시약과 BTB-NR 지시약을 몇 방울 가하고 중화되는데 소비되는 0.1N NaOH 용액의 용량(ml)을 총 산도로 측정하였다.(국세청 기술연구소의 주류제조 교본의 주류분석교본 참조)
ㆍA.A(아미노산도): 인삼주 내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총 산도를 측정한 시료를 10ml의 포르말린 용액으로 역적정을 한 다음, 이때 중화시키는데 소비되는 0.1N NaOH 용액의 용량(ml)을 총 아미노산도로 측정하였다.(국세청기술연구 소의 주류제조교본의 주류분석교본 참조)
ㆍBrix(브릭스도, 당의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 당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체 150g과 물 150ml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브릭스계의 시도(示度)와 온도를 측정한 후, Brix 온도보정표를 이용하여 온도보정을 한 다음 2배하여 브릭스도로 측정하였다.
상기한 표1로부터 전통적 약주방법을 활용한 인삼 발효주 제조 시 수삼 첨가량은 총 쌀 첨가 중량 대비 1~10중량%인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삼 발효 공정에서 건삼의 종류별 물성 측정결과를 하기한 표2에 나타내었다.
[표2]
인삼종류 pH 산도 알콜(%) 온도 비중 당도
개성인삼 4.47 2.3 16.5 27 1.006 16.5
풍기인삼 4.50 2.3 16.7 27 1.005 15.5
개성인삼 4.60 3.6 17.9 25 1.004 13
강원도인삼 4.55 3.5 17.6 25 1.002 13.5
전북인삼 4.35 5.9 17.2 27 1.008 14
금산인삼 4.16 3.8 17.1 25 1.002 13
금산인삼 4.17 3.7 17.2 25 1.002 12.5
개성인삼 4.42 4.2 17.4 25 1.009 13
또한, 전통적 약주방법을 활용하여 인삼 침출주를 제조하기 위해 알코올 도수 45%짜리 원료주정에 발효공정에서 사용된 주박을 원액총량 대비 15%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상기한 숙성기간에 따른 특성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주정 알코올 45%를 원주로 하여 주박을 침출시킨 후 3개월 이상 숙성과정을 1개월 간격으로 색도, 탁도,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변화를 하기 절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3]
저장기간(일)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탁도(%) 폴리페놀(mg/L)
0 94.95 -0.75 4.44 93.17 4.78
30 95.34 -0.78 2.92 91.37 4.85
60 95.40 -1.00 2.83 94.92 9.93
90 95.92 -0.75 3.07 86.71 12.00
ㆍ색도: 색차계(HunterLab Color QUEST II)를 이용해 3번씩 측정하여 Hunter scale에 의해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 값으로 나타내었다.
ㆍ탁도: Diod-Array Spectrophotometer(HEWLETT PACKARD)를 이용하여 430nm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ㆍ폴리페놀 함량: 0.45㎛ syringe filter(XPERTEK)로 여과한 시료 100㎕에 증류수 900㎕와 0.1N Folin-Ciocalteaureagent 5ml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뒤, 포화 탄산나트륨 4ml를 첨가하였다. 2시간 동안 방치한 후, HEWLETT PACKARD Diodd Array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해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Singleton and Rossi법)
상기 표 3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명도는 증가하였으며, 숙성 효과의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의 함량 변화는 기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90일에는 처음의 2.5∼3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삼주의 제조공정을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원료>
쌀은 국내 쌀 30㎏, 인삼은 수삼의 경우 1.5kg(발효주 제조시 총 쌀 첨가 중량의 5%, 침출시 침출 원주량의 2.5%), 홍삼, 백삼 등 건삼의 경우 600g(발효주 제조시 총 쌀 첨가 중량의 2%, 침출시 침출 원주량의 1%로), 물 약 45ℓ정도를 준비하였고, 침출 및 숙성 용기로는 항아리를 사용하였으며, 발효를 위해 개량 누룩(증자용 발효제) 및 건조효모를 사용하였다.
1단계: 인삼 발효주 제조
(1차 담금)
① 원료쌀(10㎏)을 깨끗한 물로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세척하였다.
② 쌀이 적당한 수분을 갖도록 3시간 가량 깨끗한 물에 쌀을 침지시켰다.
③ 물에 부풀은 쌀을 소쿠리에 담아 30분 정도 물기를 제거하였다.
④ 물기가 빠진 쌀을 30분 가량 시루나 찜통으로 찐 다음, 다시 30분 정도 뜸을 들여 고두밥(찐쌀)으로 만들었다.
⑤ 고두밥(찐쌀)을 깨끗한 실내에 펼쳐서 실온으로 서서히 식혔다.
⑥ 약 25℃의 깨끗한 물 15ℓ(원료량의 약 1.5배)를 술독에 넣었다.
⑦ 개량 누룩(미곡원료중량의 0.7% : 70g)과 건조 효모(미곡원료중량의 0.7% : 70g)를 술독에 넣었다.
⑧ 2시간이 지난 후, 술독에 고두밥(찐 쌀)을 넣고 고르게 섞어준 다음 뚜껑을 느슨하게 닫아두었다.
⑨ 1차 담금 후 6시간이 경과한 후, 부풀어오른 술덧을 잘 저어서 재료가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담금상태의 온도를 약 25~27℃로 유지하였 다.
⑩ 일정한 간격으로, 재료가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잘 저어주었다.
(2차 담금)
⑪ 1차 담금 후 3일째 되는 날 2차 담금을 시작하였다. 깨끗하게 씻은 수삼 1.5kg(원료 총 쌀 중량의 5%)에 물 5ℓ를 첨가하여 믹서로 곱게 갈아서 술독에 넣고 여기에 다시 물 25ℓ를 추가로 넣었다.
이때, 백삼, 홍삼 등 건삼을 넣을 경우에는 600g(원료 총 쌀 첨가 중량 대비 2%)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⑫ 약 쌀 20㎏의 고두밥을 만들어 술독에 넣어 잘 섞어주고 개량 누룩( 2차 미곡원료중량의 0.7% : 140g)을 술독에 넣었고 뚜껑을 느슨하게 덮는다.
⑬ 2차 담금 후 6시간이 경과한 다음, 잘 저어주었다. 이때, 온도는 약 25∼27℃로 유지시켰다.
⑭ 1차 담금 후 7∼8일이 지나 발효가 정지되면, 주박(술지게미)를 거르고 깨끗한 용기에 담고 저온실에 보관하여 추가 발효시켰다.
⑮ 3일 정도 지난 후, 압착 및 여과하여, 인삼 발효주 약 70ℓ(알코올 도수 약17%)를 제조하였다.
2단계: 인삼 증류주 제조
① 1단계에서 제조된 인삼 발효주 약 70ℓ를 단식증류기에 넣고(이때, 거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포제를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초류에서 총 증류 술덧량의 3%를 제거한다.
② 초류 제거 후 본류에서 알코올 도수 약 45%(약 25ℓ)로 종료한 후, 말류에서 본류 수득후의 초류와 섞어서 재증류시켜 인삼 증류주를 회수하였다.
3단계: 인삼 혼성주의 제조
① 제조된 인삼 증류주 25ℓ와 발효공정에서 발생된 주박 4.5Kg을 항아리에 넣고 온도 5~15℃의 저장고에서 30일 이상 침출 및 숙성시켰다.
② 이렇게 만들어진 인삼 증류주를 알코올 도수 40%로 조합(調合)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쌀의 발효 시 원료 인삼을 첨가하여 인삼 발효주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한 발효 단계에서 제조된 인삼 발효주를 단식 증류하여 인삼 증류주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인삼 발효주의 제조 시 발생되는 주박을 증류주 대비 15중량%로 첨가하여 30일에서 90일동안 침출 및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효 공정에서 1차 담금 시 누룩과 효모를 1차 담금 미곡 원료 중량의 0.7%로 첨가하고, 2차 담금에서 누룩을 2차 미곡 원료 총중량의 0.7%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KR1020080025890A 2008-03-20 2008-03-20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KR10099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90A KR100996326B1 (ko) 2008-03-20 2008-03-20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890A KR100996326B1 (ko) 2008-03-20 2008-03-20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05A KR20090100605A (ko) 2009-09-24
KR100996326B1 true KR100996326B1 (ko) 2010-11-23

Family

ID=4135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890A KR100996326B1 (ko) 2008-03-20 2008-03-20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3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263B1 (ko) * 2009-11-06 2012-06-22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청산녹수 초고압처리 원료미를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252350B1 (ko) * 2010-11-01 2013-04-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평주가 홍삼을 첨가한 일반 증류주의 제조 방법
KR101697504B1 (ko) * 2014-11-06 2017-02-02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홍삼증류주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435B1 (ko) * 2002-09-24 2005-04-14 정헌배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435B1 (ko) * 2002-09-24 2005-04-14 정헌배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605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203B1 (ko) 쌀과 보리를 기재로 한 홍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되는 홍주
CN110452798A (zh) 一种调配型低度绿茶米酒的制备方法
CN112877165A (zh) 一种发酵型女贞苹果酒及其制备方法
KR101212469B1 (ko) 맹종죽순 전통약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6326B1 (ko)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KR100864941B1 (ko) 산삼배양근을 함유하는 오크통 숙성 리큐르의 제조방법
KR101354010B1 (ko) 국화막걸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41374A (zh) 一种茶叶酒及其制备方法
KR100483435B1 (ko) 인삼 증류주를 기재로 하는 인삼 혼성주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인삼 혼성주
KR100648000B1 (ko) 산삼 배양근 추출액과 산삼 배양근을 함유한 리큐르의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주류
CN112063464A (zh) 一种高抗氧化活性的茶啤酒及其制备方法
KR100921692B1 (ko) 석창포와 연 그리고 알칼리수를 이용한 약주의 제조방법 및그 약주
KR20130077397A (ko) 연약주 제조방법
KR100291553B1 (ko) 송이버섯을 재료로 하는 술의 제조방법
CN110387307A (zh) 一种甜香型茶醋及其制备方法
CN105907527B (zh) 一种干型葡萄红曲黄酒及其酿制方法
KR20150026490A (ko) 팽화 수수 발효주의 제조방법
CN110903937A (zh) 一种汉麻籽提取物、露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00030013A (ko) 복분자 맥주의 제조방법
KR101189032B1 (ko) 산촌 솔잎 특주의 제조방법
KR102667797B1 (ko) 풍미가 우수한 증류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증류주
KR100969858B1 (ko) 더덕을 첨가 발효시킨 기능성 더덕 약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886295A (zh) 一种崇明老白酒品质改良的方法
CN105558164A (zh) 一种液态组合软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220066A (zh) 一种茶叶酒的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