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618B1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618B1
KR100995618B1 KR1020080134950A KR20080134950A KR100995618B1 KR 100995618 B1 KR100995618 B1 KR 100995618B1 KR 1020080134950 A KR1020080134950 A KR 1020080134950A KR 20080134950 A KR20080134950 A KR 20080134950A KR 100995618 B1 KR100995618 B1 KR 100995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ock
lock arm
detection
det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495A (ko
Inventor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 부재를 대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시소와 유사하게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를 관통하도록 창 형태의 로크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두 하우징(10, 50)이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39)와 로크 구멍(22)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로부터 로크 아암(15)의 경사 지지점[레그부(16)]보다 약간 뒤의 위치로 연장되고 로크 구멍(22)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보강 리브(23)가 로크 아암(1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23)는 로크 아암(15)의 전단부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접속 검출 기능을 갖는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번호 2007-80621은 시소(seesaw)와 유사하게 기울어질 수 있는 판형 로크 아암을 갖는 제1 하우징과, 대기 위치와 검출 위치 사이에서 로크 아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 부재와, 제1 하우징과 접속될 수 있는 제2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로크 아암의 전단부를 관통하도록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두 하우징이 접속되기 전에, 대기 위치의 검출 부재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와 로크 구멍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를 향한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두 하우징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은, 그 전단부가 제2 하우징의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는 중에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 때에, 검출 부재는 로크 아암과 함께 기울어지고, 래칭 돌기는 로크 구멍과 결합 상태로 유지되므로, 검출 부재는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남아 있다. 두 하우징 이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은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로크 돌기와 로크 구멍을 결합시키며, 이로써 두 하우징을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하며, 로크 구멍과 결합된 래칭 돌기는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으로부터 분리되며, 이로써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커넥터에 따르면,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두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관통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아암의 전단부는 비교적 낮은 강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검출 위치를 향하여 작용하는 가압력이 검출 부재로부터 로크 아암에 강하게 가해지면, 로크 아암의 전단부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로크 구멍을 래칭 돌기로부터 해제시키며, 이로써 검출 부재는 대기 위치로부터 검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 부재를 대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하우징과 접속 가능한 하우징과,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될 수 있게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 설치되고 그 전단부를 관통하거나 그 전단부를 우묵하게 한 창(window) 형태의 로크 구멍(lock hole)이 형성되어 있는 로크 아암과,
래칭 돌기를 구비하고, 대기 위치와 검출 위치 사이에서 로크 아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 부재를 포함하고,
대기 위치의 검출 부재는,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와 로크 구멍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하우징을 상대 하우징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은 상대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며, 검출 부재는 로크 아암과 함께 기울어지며,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 돌기를 로크 구멍과 결합하여,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고, 로크 구멍과 결합된 래칭 돌기는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으로부터 해제되어,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되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가 로크 아암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로크 아암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검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검출 부재의 래칭 돌기로부터 로크 구멍의 구멍 에지에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크 아암의 전단부는 로크 구멍이 래칭 돌기로부터 해제될 정도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는 로크 아암의 전단 또는 그 근방 위치로부터 로크 아암의 경사 지지점(inclination supporting point) 뒤의 위치로 연장되고, 및/또는 로크 구멍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에 복수의 보강 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검출 부재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검출 부재가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판의 형태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의 형성 영역은, 보강 리브의 형성 범위 밖에서, 래칭 돌기가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검출 부재의 부분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검출 부재의 후단 또는 후단 근방에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부는 연결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대 커넥터는, 접속 과정에서 로크 아암과 상호 작용하는 로크 돌기를 갖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과,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될 수 있게 제1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그 전단부를 관통하는 창 형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로크 아암과,
래칭 돌기를 구비하고, 대기 위치와 검출 위치 사이에서 로크 아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 부재와,
로크 돌기를 구비하고 제1 하우징과 접속 가능한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대기 위치의 검출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와 로크 구멍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은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며, 검출 부재는 로크 아암과 함께 기울어지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 은 탄성 복원되어 로크 돌기를 로크 구멍과 결합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고, 로크 구멍과 결합된 래칭 돌기는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으로부터 해제되어,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되며,
로크 아암의 전단으로부터 로크 아암의 경사 지지점 뒤의 위치로 연장하고 로크 구멍의 폭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보강 리브가 로크 아암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한 쌍의 보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로크 아암의 전단부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검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검출 부재의 래칭 돌기로부터 로크 구멍의 구멍 에지에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크 아암의 전단부는 로크 구멍이 래칭 돌기로부터 해제될 정도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에는 한 쌍의 보강 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보강 리브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 리브의 강성이 증가하고, 보강 리브에 의해 로크 아암의 전단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이 증대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부는, 검출 부재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고 검출 부재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판의 형태이다.
검출 부재가 판형의 연결부와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대기 위치로부터 검출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 검출 부재를 연결부를 안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부의 형성 영역은, 보강 리브의 형성 범위 밖에서, 래칭 돌기가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검출 부재의 부분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이다.
검출 부재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 위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검출 부재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검출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가 확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연결부 형성 영역이 검출 부재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부가 검출 부재 근처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검출 부재를 위한 변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검출 부재의 후단에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부는 연결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한다.
로크 아암과 함께 검출 부재의 경사 변위에 초점을 맞추면, 연결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하는 조작부가 검출 부재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검출 부재를 대기 위치와 검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로크 아암을 로크 해제하여 로크 구멍을 로크 돌기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에 조작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로크 아암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 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로크 아암이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 설치된 커넥터의 하우징을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과 연결하는 연결 단계로서, 로크 아암은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될 수 있고, 이 로크 아암에는 로크 아암의 전단부를 관통하거나 그 전단부를 우묵하게 한 창 형태의 로크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로크 아암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결 단계와,
래칭 돌기를 구비하고, 대기 위치와 검출 위치 사이에서 로크 아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검출 부재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로서, 대기 위치의 검출 부재는,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와 로크 구멍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하우징을 상대 하우징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은 상대 하우징에 설치된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며, 검출 부재는 로크 아암과 함께 기울어지며,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 돌기를 로크 구멍과 결합하여, 하우징과 상대 하우징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고, 로크 구멍과 결합된 래칭 돌기는 로크 돌기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으로부터 해제되어,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되는 것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는 로크 아암의 전단 또는 그 근방 위치로부터 로크 아암의 경사 지지점 뒤의 위치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및/또는 로크 구멍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로크 아암에 복수의 보강 리브의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더라도, 이들 실시예의 각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로크 아암의 강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검출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검출 부재의 래칭 돌기로부터 로크 구멍의 구멍 에지에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라도, 로크 아암의 전단부는 로크 구멍이 래칭 돌기로부터 해제될 정도로 변형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50)이 접속되어 있거나 접속 가능하며, 두 하우징 중 어느 하나, 특히 제1 하우징(10)에, 그 위에 또는 그 내부에 장착되거나 장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 부재(30)에 의해 두 하우징(10, 50)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 50)의 연결측을 전방, 앞쪽 또는 전방측으로 지칭한다.
제1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단자 수납부(11)와 단자 수납부(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관형 피팅부(12)의 일체의 조립체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며, 단자 수납부(11)와 관형 피팅부(12) 사이에 구획된 전방측이 개방된 관형 공간이 접속 공간(13)으로서 작용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암형 단자 피팅(14)이 단자 수납부(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평행한 방향]으로 긴 로크 아암(15)이 단자 수납부(11)의 상면(외면)에 일체로 또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5)은, 하나 이상의 종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종방향 중심 위치)에 형성된 (바람직한 경사 지지점으로서의)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레그부(16)에 의해 단자 수납부(11)의 외면(상면)에 지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15)은, 전후 방향으로 길고 협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대칭인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아암부(17)와, 길이 방향으로 레그부(16)에 인접한 위치 또는 레그부 바로 앞의 위치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복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아암부(17)를 연결하는 베이스판(18)과, 아암부(17)의 전단 또는 그에 근처 부분을 연결하는 로크부(19)를 구비하고, 레그부(16)는 아암부(17)의 내면(하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아암부(17)에는, 그 외측면의 외단(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옆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안내 리브(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20)는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로크 아암(15)은 통상적으로, 두 아암부(17)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크 자세(locking posture)로 유지되어 있고, 전방측[로크부(19)]이 레그부(16)를 지지점으로 하여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과 교차하는 방향, 예컨대 실질적으로 상방[단자 수납부(11)의 외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로킹 해제 자세(unlocking posture)로 시소와 유사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로크 아암(15)이 로킹 해제 자세로 탄성 변형되는 때에 로크 아암(15)과의 간섭을 피하도록 관형 피팅부(12)의 외벽(상부벽)에는 컷아웃(21)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양) 아암부(17), 로크부(19) 및 베이스판(18)의 전단 에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창 구멍(window hole) 형태의 개구를 갖고, 이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외면(상면)으로부터 내면(하면)에 이르기까지 로크 아암(15)을 관통하거나 오목하게 한 로크 구멍(22)으로서 작용한다.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는 로크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낮지만, 이러한 관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로크 아암(15)의 적어도 전단부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리브(23)는 (바람직하게는 양) 아암부(17)의 외면(상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그 형성 영역은 아암부(17)[로크 아암(15)]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연속하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리브(23)는 협소하고 길며,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방향(CD) 및/또는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과 평행하게 연속해서 연장된다. 한 쌍의 보강 리브(23)의 전단부에 있어서, 외단(상단) 에지(기립하여 있는 단부 에지)는 하향으로, 내향으로 또는 하우징(10)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후 방향으로 이들 경사부가 형성되는 형성 영역은 아암부(17)의 전단으로부터 로크 구멍(22)에 대응하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로크 구멍(22)의 실질적으로 중심 위치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크 구멍(2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 쌍의 보강 리브(2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리브(20)는 보강 리브(23)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 아암(15)은 한 쌍의 보강 리브(23)의 외단(상단) 에지를 연결하는 연결부(24)와 일체로 또는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24)는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판이며, 전후 방향으로 그 형성 영역은 레그부(16) 바로 앞의 위치 및/또는 로크 구멍(22)의 전단 에지 바로 뒤의 위치로부터 보강 리브(23)[아암부(17)]의 후단에 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으로부 터 후단으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접속 및 분리 방향(CSD)]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제한 홈(25)이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연결부(24)의 내면(하면)[베이스판(18)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판(18), 한 쌍의 보강 리브(23) 및/또는 연결부(24)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이 개방 전단 및/또는 후단을 갖는 안내 공간(26)으로서 작용한다.
검출 부재(3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협소하고 긴)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의 상단 에지를 연결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판부(32)와,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바람직하게는 그 후단) 및 평탄한 판부(32)(바람직하게는 후단 에지)와 연속하는 조작부(33)와,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 사이에서 조작부(33)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의) 연장부(34)의 일체의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홈(35)이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고, 검출 부재(30)는, 안내 리브(20)와 안내 홈(35)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대기 위치(SP)와 이 대기 위치(SP)보다 전방에 위치한 검출 위치(DP)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MD)을 따라 로크 아암(15)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평탄한 판부(32)와 연장부(34) 모두는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전단보다 약간 뒤의 위치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부(34) 의 하면에 두꺼운 부분(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꺼운 부분(36)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34)의 영역은 수직 방향[로크 아암(15)의 탄성 변형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규정된 또는 특정된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탄성 변형을 갖는 고강성 부분(37)으로서 작용한다. 연장부(34)의 전단부, 즉 고강성 부분(37)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부(34)의 전단에 이르는 영역은, 수직 방향 두께(즉, 강성)가 바람직하게는 고강성 부분(37)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의) 탄성편(38)으로 작용한다. 전단부보다 약간 뒤의 위치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래칭 돌기(39)가 상기 탄성편(38)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예컨대, 3개)의 제한 리브(40)가 연장부(34)의 외면(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검출 부재(30)가 대기 위치(SP)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장부(34)[탄성편(38)]는 안내 공간(26)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및/또는 제한 리브(40)와 제한 홈(25)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하며, 이로써 로크 아암(15)에 대한 연장부(34)의 측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로크 아암(15)에 대한 연장부(34)의 측방향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좌측 및/또는 우측) 측면으로부터 연장부(34)를 유지하는 (한 쌍의) 보강 리브(23)에 의해 또한 방지된다. 로크 아암(15)에 대한 검출 부재(30)의 측방향 이동은 (한 쌍의) 보강 리브(23)의 외측면과 (한 쌍의) 측부 프레임(31)의 접촉에 의해 (또한)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34)는 로크 아암(15)에 대한 수직 이동이 바람직하게는 베이스판(24)과 연결부(2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됨으로써 방지된다. 전후 방향으로 연결부(24)의 형성 영역과 관련해서는, 탄성편(38)이 외측으로 또는 위쪽으로 탄성 변형될 때에 탄성편(38)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연결부(24)의 전단이 바람직하게는 탄성편(38)의 후단 뒤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탄한 판부(32)의 하면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연결부(24)의 외면(상면)과 대향하거나 접촉하여 그 외면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연장부(34)와 평탄한 판부(32)는 연결부(2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사이에 유지하고 있다.
탄성편(38)의 래칭 돌기(39)는 외측(상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 구멍(22)에 들어가고, 래칭 돌기(39)의 전면(前面)은 바람직하게는 뒤로부터 로크 구멍(22)의 전단 에지[로크부(19)의 후면]와 맞물리거나 맞물릴 수 있어 래칭 돌기(39)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결합 작용에 의해, 검출 부재(30)는 검출 위치(DP)로의 이동(전방 이동)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는 상태로 대기 위치(SP)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어 있다. 조작부(33)는 로크 아암(15)의 후단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하여 전방 압박 조작, 후방 견인 조작 및 하향 가압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50)은 단자 유지부(51)와 단자 유지부(51)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52)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형 단자 피팅(53)이 단자 유지부(5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53)의 선단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탭(54)이 단자 유지부(51)의 전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리 셉터클(5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리셉터클(52)의 상부 벽의 상면(외면)에 로크 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돌기(55)의 전면[접속 조작 중에 제1 하우징(10)에 마주하는 표면]이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안내 경사부(56)의 일부이거나 일부를 형성하며, 및/또는 그 후면은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로킹 표면(57)의 일부이거나, 일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하우징(10, 50)을 접속할 때에, 검출 부재(30)는 대기 위치(SP)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두 하우징(10, 50)은 리셉터클(52)을 접속 공간(1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도록 서로 더 근접하고 있거나 근접할 수 있다. 그 후,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로크부(19)]는 로크 돌기(55)의 안내 경사부(56)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자체의 경사(inclination)에 의해, 로크 아암(15)은, 로크부(19)가 안내 경사부(56)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딩)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로킹 해제 자세로 또는 로킹 해제 자세를 향하여 탄성 변형된다. 이 때에, 검출 부재(30)는 또한 로크 아암(15)과 함께 기울어져 전단부[탄성편(38)]를 외측으로 또는 상향으로 변위시킨다. 두 하우징(10, 50)이 아직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이러한 부분 접속 상태에서, 래칭 돌기(39)는 로크부(19)[로크 구멍(22)]와 결합 상태로 남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 작용에 의해, 검출 부재(30)는 검출 위치(DP)를 향한 이동 또는 검출 위치로의 이동을 방지하면서 대기 위치(SP)에 유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두 하우징(10, 50)의 접속 작업을 더욱 진행시켜 두 하우징(10, 50)이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하면, 로크부(19)가 로크 돌기(55)를 통과하므로, 로크 아암(15)은 로킹 자세로 또는 로킹 자세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된다. 로크 아암(1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됨에 따라, 로크부(19)는 로크 돌기(55)의 로킹 표면(57)과 결합하고, 이러한 결합 작용에 의해, 두 하우징(10, 50)은 실질적으로 적절한 접속 상태에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하우징(10,50)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로 로크되어 있으면, 로크부(19)가 로크 돌기(55)를 통과하므로, 뒤로부터 로크부(19)와 결합된 래칭 돌기(39)는 로크 돌기(55) 상에서 이동하여 내측 또는 하향 변위를 방지한다. 따라서 로크 아암(15)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됨에 따라, 탄성편(38)은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로크부(19)]에 대하여 (외측 또는 상측으로) 상대 변위되고, 그 결과 탄성편(38)은 로크부(19)로부터 (외측 또는 상측으로) 결합 해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래칭 돌기(39)와 로크부(19)는 결합 해제되고, 검출 부재(30)는 검출 위치(DP)로 또는 검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이동 방향(MD) 또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조작부(33)는 실질적으로 대기 위치(SP)의 검출 부재(30)를 보다 전방에 위치한 검출 위치(DP)를 향해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뒤로부터 압박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검출 부재(30)를 검출 위치(DP)를 향해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래칭 돌기(39)는 바람직하게는 로크 돌기(55)의 외면(상면) 으로부터 로크부(19)의 외면(상면)으로 이동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부(19)의 상면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에 실질적으로 도달한 때에, 래칭 돌기(39)는 로크부(19)를 통과한다. 이에 따라, 탄성편(38)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측 또는 하향으로) 탄성 복원되고, 이러한 탄성 복원에 의해, 래칭 돌기(39)는 앞으로부터 로크부(19)에 결합한다.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조작부(33)는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15)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한다.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해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가를 기초로 하여 두 하우징(10, 50)의 적절한 접속이 검출된다. 달리 말하면, 두 하우징(10, 50)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해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제1 하우징(10)과 제2 하우징(50)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부재(30)가 실질적으로 검출 위치(DP)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편(38)은 관형 피팅부(12)의 상부 벽의 전단부[제한부(27)] 내측에 또는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측 또는 상측으로) 변위되거나 편향될 수 없다. 이에 따라, 검출 부재(30)와 함께 로크 아암(15)이 로킹 해제 자세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두 하우징(10, 50)은 서로 확실하게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된다.
두 하우징(10, 50)을 분리할 때에, 조작부(33)를 파지하거나 조작하여 검출 위치(DP)의 검출 부재(30)를 대기 위치(SP)를 향하여 또는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킨다. 이러한 동작 중에, 탄성편(38)이 (외측 또는 상측으로) 탄성 변형 되는 중에, 래칭 돌기(39)가 로크부(19) 상에서 이동하거나 및/또는 로크 돌기(55)의 외면(상면) 상으로 이동한다. 이 때에, 탄성편(38)은 제한부(27)로부터 후방으로 간격을 둔 위치로 이동하므로, (외측 또는 상측으로) 변위되거나 편향될 수 있다.
그 후, 조작부(33)를 조작하면(하향 또는 내측으로 가압하면), 로크 아암(15)은 검출 부재(30)와 함께 로킹 해제 자세로 탄성 변형된다. 로크 아암(15)의 이러한 탄성 변형에 의해, 로크부(19)는 (외측 또는 상측으로) 변위되어 로크 돌기(55)로부터 해제되므로, 로크부(19)[로크 구멍(22)]와 로크 돌기(55)에 의한 로킹 작용이 해제된다. 그 후, 로크 아암(15)이 로킹 해제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두 하우징(10, 50)을 서로 멀어지게 당기거나 분리할 수 있다. 로크 아암(15)이 로킹 해제 자세로 탄성 변형됨에 따라, 로크부(19)는 탄성편(3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는 중에 (외측 또는 상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전방으로부터 래칭 돌기(39)와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 작용에 의해, 검출 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대기 위치(SP)에 로크되어 있다. 두 하우징(10, 50)이 분리된 후에, 로크 아암(15)을 로킹 자세로 탄성 복원시키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동작 중에, 검출 부재(30)는 래칭 돌기(39)가 로크부(19)와 결합 상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대기 위치(SP)에 유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로크 아암(15)의 전단으로부터 로크 아암(15)의 경사 지지점[레그부(16)] 뒤의 위치로 연장하고 로크 구멍(22)의 폭방향 측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에 배치된 하 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보강 리브(23)가 로크 아암(1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한 쌍의) 보강 리브(23)를 형성함으로써, 로크 아암(15)의 전단부의 강성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두 하우징(10, 50)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검출 위치(DP)를 향하는 방향으로 검출 부재(30)의 래칭 돌기(39)로부터 로크 구멍(22)의 구멍 에지에 강한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크 아암(15)의 전단부는 로크 구멍(22)이 래칭 돌기(39)로부터 해제될 정도로 변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검출 부재(30)는 대기 위치(SP)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로크 아암(15)에는 (한 쌍의) 보강 리브(23)를 연결하는 연결부(24)가 또한 형성되어 있고, 보강 리브(23)의 강성은 연결부(24)에 의한 이러한 연결 구조에 의해 증가한다. 따라서 보강 리브(23)에 의해 로크 아암(15)의 전단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이 개선된다.
또한, 연결부(24)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에 평행한 판의 형태이고, 검출 부재(30)의 연장부(34)의 외면(상면) 및 검출 부재(30)의 평탄한 판부(32)의 내면(하면)은, 검출 부재(30)가 대기 위치(SP)와 검출 위치(DP)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실질적으로 연결부(24)와 슬라이딩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검출 부재(30)는 연결부(2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연결부(24)가 검출 부재(30)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에 상응하는 영역 위에 형성되어 있으면, 연결부(24)는 검출 부재(30)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변형 공간을 구획하도록 검출 부재(30)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커넥터가 확대된다(높이가 증가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24)의 형성 영역은, 보강 리브(23)의 형성 범위[즉, 탄성편(38)과 간섭하지 않는 영역] 밖에서, 래칭 돌기(39)가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검출 부재(30)의 부분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부(24)가 검출 부재(30)에 더 근접하게 되는 경우에도, 탄성편(38)을 위한 변형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넥터는 소형화될 수 있다(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로크 아암(15)과 함께 검출 부재(30)의 경사 변위에 초점을 맞추면, 조작부(33)는 대기 위치(SP)와 검출 위치(DP) 사이의 가동 범위에 있어서 검출 부재(30)가 위치되어 있는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부(24)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조작부(33)가 검출 부재(3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단지) 조작부(33)를 조작함으로써, 대기 위치(SP)와 검출 위치(DP) 사이에서 검출 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로크 아암(15)을 언로크하고 로크 구멍(22)을 로크 돌기(55)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크 아암(15)에 조작부(33)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로크 아암(15)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부재를 대기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창 형태의 로크 구멍 또는 리세스(22)가 시소와 유사하게 탄성 변위될 수 있는 로크 아암(15)을 관통하거나 오목하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두 하우징(10, 50)이 아직 접속되어 있 지 않은 상태에서,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것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로크 구멍(22)과 래칭 돌기(39)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로크 아암(15)의 전단(또는 이에 인접한 위치)으로부터 로크 아암(15)의 경사 지지점[레그부(16)]보다 약간 뒤의 위치로 연장하고 로크 구멍(22)(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보강 리브(23)가 로크 아암(1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강 리브(23)는 로크 아암(15)의 전단부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연결부가 판 형상이지만, 연결부는 한 쌍의 보강 리브 사이를 교차하는 빔일 수도 있다.
(2) 연결부의 형성 영역은, 래칭 돌기가 로크 돌기 상에서 이동함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검출 부재의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보강 리브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이들 보강 리브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4) 검출 부재의 조작부에 추가하여, 로크 아암에 특정의 조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서는 로크 구멍(22)이 로크 아암(15)을 완전히 관통하는 관통 구멍으로서 설명되어 있지만, 로크 구멍은 완전히 관통하지 않고 로크 아암(15)을 오목하게 한 오목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출 부재가 대기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2는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3은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두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고 검출 부재가 대기 위치로부터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검출 부재가 대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X-X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검출 부재를 검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달한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 7은 검출 부재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검출 부재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9는 검출 부재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는 제1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검출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검출 부재의 후면도이고,
도 12는 검출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검출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검출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 하우징(하우징)
15 : 로크 아암
16 : 레그부(경사 지지점)
22 : 로크 구멍
23 : 보강 리브
24 : 연결부
30 : 검출 부재
33 : 조작부
39 : 래칭 돌기
50 : 제2 하우징(상대 하우징)
55 : 로크 돌기

Claims (10)

  1. 상대 하우징(50)과 접속 가능한 하우징(10)과,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될 수 있게 하우징(10) 상에 또는 내에 설치되고 그 전단부를 관통하거나 그 전단부를 우묵하게 한 창(window) 형태의 로크 구멍(22; lock hole)이 형성되어 있는 로크 아암(15)과,
    래칭 돌기(39)를 구비하고, 대기 위치(SP)와 검출 위치(DP) 사이에서 로크 아암(1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검출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 위치(SP)의 검출 부재(30)는,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39)와 로크 구멍(22)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하우징(10)을 상대 하우징(5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15)은 상대 하우징(50)에 설치된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검출 부재(30)는 로크 아암(15)과 함께 기울어지며,
    상기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50)이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15)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 돌기(55)를 로크 구멍(22)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50)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고, 로크 구멍(22)과 결합된 래칭 돌기(39)는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22)으로부터 해제되어,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5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되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3)가 로크 아암(15)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3)는 로크 아암(15)의 전단 또는 그 근방 위치로부터 로크 아암(15)의 경사 지지점(16; inclination supporting point) 뒤의 위치로 연장되고, 로크 구멍(2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15)에 복수의 보강 리브(2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2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4)는, 검출 부재(30)의 이동 방향(MD)과 평행하고 검출 부재(30)가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판의 형태인 것인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4)의 형성 영역은, 보강 리브(23)의 형성 범위 밖에서, 래칭 돌기(39)가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될 수 있는 검출 부재(30)의 부분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인 것인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재(30)의 후단 또는 후단 근방에 조작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조작부는 연결부(24)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에 따른 커넥터 및 이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상대 커넥터는, 접속 과정에서 로크 아암(15)과 상호 작용하는 로크 돌기(55)를 갖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50)을 구비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8.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는 접속 방법으로서,
    로크 아암(15)이 하우징(10) 상에 또는 내에 설치된 커넥터의 하우징(10)을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50)과 연결하는 연결 단계로서, 상기 로크 아암(15)은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될 수 있고, 이 로크 아암에는 로크 아암의 전단부를 관통하거나 그 전단부를 우묵하게 한 창(window) 형태의 로크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로크 아암으로부터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연결 단계와,
    래칭 돌기(39)를 구비하고, 대기 위치(SP)와 검출 위치(DP) 사이에서 로크 아암(15)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검출 부재(30)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로서, 상기 대기 위치(SP)의 검출 부재(30)는,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에 아직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래칭 돌기(39)와 로크 구멍(22)의 결합에 의해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인 제공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을 상대 하우징(5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로크 아암(15)은 상대 하우징(50)에 설치된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하여 탄성적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검출 부재(30)는 로크 아암(15)과 함께 기울어지며,
    상기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50)이 접속된 상태에 도달한 때에, 로크 아암(15)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 돌기(55)를 로크 구멍(22)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과 상대 하우징(50)은 서로 분리 불가능하게 로크되고, 로크 구멍(22)과 결합된 래칭 돌기(39)는 로크 돌기(55)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구멍(22)으로부터 해제되어,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검출 부재(3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5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3)는 로크 아암(15)의 전단 또는 그 근방 위치로부터 로크 아암(15)의 경사 지지점(16; inclination supporting point) 뒤의 위치로 연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로크 구멍(2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인 접속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15)에 복수의 보강 리브(2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24)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접속 방법.
KR1020080134950A 2007-12-26 2008-12-26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KR100995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34505 2007-12-26
JP2007334505A JP5119909B2 (ja) 2007-12-26 2007-12-26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495A KR20090071495A (ko) 2009-07-01
KR100995618B1 true KR100995618B1 (ko) 2010-11-22

Family

ID=4069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950A KR100995618B1 (ko) 2007-12-26 2008-12-26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2385B2 (ko)
JP (1) JP5119909B2 (ko)
KR (1) KR100995618B1 (ko)
CN (1) CN101471514B (ko)
DE (1) DE10200806050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35B1 (ko) 2017-12-06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배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0820B2 (ja) * 2007-12-05 2012-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41477B2 (ja) * 2008-11-04 2013-11-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6859B2 (ja) * 2009-07-09 2014-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1049074A (ja) * 2009-08-27 2011-03-10 Create Pro:Kk コネクタ装置
WO2013092310A1 (en) * 2011-12-23 2013-06-27 Delphi Connection Systems Holding France Electrical connectors assembly with connector positionning assurance
US9543702B2 (en) * 2013-05-08 2017-01-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6150172B2 (ja) 2014-02-28 2017-06-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170489A (ja) * 2014-03-07 2015-09-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19670B2 (ja) * 2014-05-27 2017-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7100B2 (ja) 2014-12-22 2019-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2335B2 (ja) 2014-12-22 2018-1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35849B2 (ja) 2014-12-22 2018-1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27521B2 (ja) 2014-12-22 2018-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92481B2 (ja) * 2015-04-29 2018-03-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7988B2 (ja) * 2015-07-22 2018-03-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81543B2 (ja) * 2015-09-07 2018-02-2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030B2 (ja) * 2016-05-30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869817B1 (ko) * 2016-12-30 2018-07-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직각 커넥터
JP6560273B2 (ja) * 2017-02-06 2019-08-14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コネクタ
JP2018195413A (ja) * 2017-05-16 2018-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用レバー
DE112018004653T5 (de) * 2017-08-31 2020-07-09 Yazaki Corporation Elementen-Verriegelungsstruktur
WO2019045038A1 (ja) * 2017-08-31 2019-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US10186803B1 (en) * 2018-04-05 2019-01-22 Delphi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lock
KR102647188B1 (ko) * 2018-11-14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CN109607162B (zh) * 2018-12-14 2020-12-29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机设计研究所 一种方向可调止动装置
US11251560B2 (en) * 2019-03-11 2022-02-1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with multiple latches
JP7221926B2 (ja) * 2020-12-25 2023-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621A (ja) * 2005-09-13 2007-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2654A (en) * 1983-02-07 1984-07-3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integral latch
JP3810285B2 (ja) * 2001-06-12 2006-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2003142209A (ja) * 2001-11-07 2003-05-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031374B2 (ja) * 2003-01-16 2008-01-09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4483529B2 (ja) * 2004-09-28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40571A (ja) * 2006-11-30 2008-06-1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8293722A (ja) * 2007-05-23 200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0621A (ja) * 2005-09-13 2007-03-29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0435B1 (ko) 2017-12-06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배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22385B2 (en) 2010-05-25
CN101471514A (zh) 2009-07-01
JP2009158263A (ja) 2009-07-16
US20090170362A1 (en) 2009-07-02
KR20090071495A (ko) 2009-07-01
CN101471514B (zh) 2013-02-13
JP5119909B2 (ja) 2013-01-16
DE102008060503A1 (de) 2009-07-02
DE102008060503B4 (de) 201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618B1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KR10100238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JP5810980B2 (ja) コネクタ
JP5768802B2 (ja) コネクタ
JP5751196B2 (ja) コネクタ
KR101221704B1 (ko) 커넥터
US8845362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locking lance with reinforcement ribs
JP2007080621A (ja) コネクタ
JP2003142209A (ja) コネクタ
JP4385984B2 (ja) コネクタ
JP2009043648A (ja) コネクタ
WO2018211560A1 (ja) コネクタ
WO2020137454A1 (ja) コネクタ
KR101676884B1 (ko) 커넥터
US10903604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that restricts excessive deflection of the lock arm
CN102437475A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US6431896B2 (en) Connector
JP4375244B2 (ja) コネクタ
US20200153145A1 (en) Connector
WO2022255068A1 (ja) コネクタ
JP6828835B2 (ja) コネクタ
JP6642109B2 (ja) コネクタ
WO2023223807A1 (ja) コネクタ
JP4821652B2 (ja) コネクタ
JP521225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