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817B1 - 직각 커넥터 - Google Patents

직각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817B1
KR101869817B1 KR1020160183898A KR20160183898A KR101869817B1 KR 101869817 B1 KR101869817 B1 KR 101869817B1 KR 1020160183898 A KR1020160183898 A KR 1020160183898A KR 20160183898 A KR20160183898 A KR 20160183898A KR 101869817 B1 KR101869817 B1 KR 101869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assurance member
locking
lever
position assu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훈희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본 발명은 직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각 커넥터의 레버를 제1위치(해제 위치)에서 제2위치(결합 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직각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되는 대응 커넥터가 압착되고, 레버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설치된 위치보장부재(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락킹해제위치에서 락킹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제2위치에 확실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직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를 차지하지 아니하면서도 확실히 레버의 위치를 락킹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락킹의 해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커넥터를 분리해야 할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각 커넥터{Right Angle Connector}
본 발명은 직각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각 커넥터의 레버를 제1위치(해제 위치)에서 제2위치(결합 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직각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되는 대응 커넥터가 압착되고, 레버가 제2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레버에 설치된 위치보장부재(CP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를 락킹해제위치에서 락킹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레버가 제2위치에 확실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직각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들은 그들을 통하는 전기 신호가 사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압착 결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전해지는 전기 신호들이 자동차의 작동 또는 자동차의 안전(가령 에어백 시스템 등)과 관련된 경우에는 전기 커넥터의 확실한 연결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사고가 발생하거나, 진동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전기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억지끼움 방식으로 커넥터들이 연결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일측 커넥터에는 압착홈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레버를 설치하고, 타측 커넥터에는 압착홈 프로파일에 끼워지는 돌기를 설치하여서, 두 커넥터를 연결할 때 압착홈 프로파일에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를 해제위치에서 결합위치로 회전시켜 두 커넥터의 압착을 유지하는 방식이 적용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압착을 위한 레버가 충격 등에 의해 해제위치로 되돌아오는 현상이 발생하면 두 커넥터의 압착은 해제되고, 전기적으로 커넥터가 분리되어 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두 커넥터가 압착된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위치보장부재가 더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위치보장부재는 조립이 불편하고, 부피를 차지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확실히 위치를 보장할 수 있도록 레버의 위치를 락킹할 수 있는 위치보장부재와 레버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킹의 해제가 용이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에 터미널 케이블(90)과 플러그(90)가 각각 설치되고, 터미널 케이블(90)의 체결 방향과 플러그(90)의 결합 방향이 소정의 각을 가지고 상호 교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플러그(90) 설치부의 양측에 마련된 제1힌지부(11); 측면부(31)에 상기 제1힌지부(11)에 체결되는 제2힌지부(32)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11, 3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적어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레버(30); 상기 레버(30)의 측면부(31)에 마련되고, 대응 커넥터의 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레버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안착홈 프로파일(33);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레버(30)의 두 측면부(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4); 상기 연결부(34) 상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3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된 걸림후크(12)가 삽입 체결되는 걸림홈(36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365)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연결레그(362)를 통해 상기 연결부(34)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34)에 대해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레그(362)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레그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요동 가능한 바디플레이트(361)를 포함하는 가이드안착부(36);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체결되며 락킹해제위치와 락킹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위치보장부재(50); 및 상기 위치보장부재(50)에 마련된 캔틸레버(54)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락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지되 상기 걸림후크(12)가 걸림홈(365)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지는 돌기부(5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0)가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365)에 상기 걸림후크(1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져 있었던 돌기부(55)가 걸림후크(12)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상기 걸림홈(365)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걸림홈(365)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를 상기 락킹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에 걸려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락킹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후단부에 마련된 락킹스토퍼(56)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와 상기 연결부(34)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부(34) 쪽으로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레그(262)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365)이 마련된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가 연결부(34)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걸림홈(365)이 상기 걸림후크(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면가이드(366)가 마련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캔틸레버(54)의 기초부가 상기 한 쌍의 상면가이드(366)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양측 단부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홈(521)이 마련되어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레그(362)와 연결되는 바디플레이트(361)의 저면에는 위치보장부재(5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리브(363)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36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플레이트(361)의 양측 단부가 상기 수용홈(521)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363)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후크(364)가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364)의 경사면(3641)은 락킹 해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후크(364)의 스토퍼면(3642)은 락킹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후크(523)가 마련되고,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락킹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후크(523)의 스토퍼면(5232)은 락킹 해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를 락킹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상기 제1후크(364)의 경사면(3641)을 타고 넘게 되고, 상기 경사면들(5231, 36412)에 의해 상기 제2후크가 제1후크를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스토퍼면들(3642, 5232)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가이드안착부(36)로부터 락킹 해제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걸림홈(365)에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돌기부(55)가 삽입된 상태로 간섭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후크(364)의 스토퍼면(3642)과 상기 제2후크(523)의 스토퍼면(5232)이 마주하여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후크(523)의 측면이 상기 수용홈(521)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걸림홈(365)은 상기 한 쌍의 보강리브(36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선단부에는 상기 제2후크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면과 스토퍼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2후크보다 더 큰 크기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체결후크(5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후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524)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524)는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와 락킹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후크의 후방에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버(30)는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에 걸린 위치를 커버하는 커버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는 커버플레이트(51)로부터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커버플레이트(51)의 하부에 상기 캔틸레버(54)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락킹스토퍼(56)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측면부(5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를 차지하지 아니하면서도 확실히 레버의 위치를 락킹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전기적인 접속이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락킹의 해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커넥터를 분리해야 할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암형 커넥터의 제1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제2사시도,
도 3은 수형 커넥터에 결합되기 전, 커넥터 하우징 및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수형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및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각각 결합위치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수형 커넥터에 대한 결합을 완료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각각 결합위치와 락킹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에 체결되는 레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위치보장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레버의 커버부를 단면 처리하여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레버의 커버부를 단면 처리하지 않고 위치보장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터미널 방향으로 바라본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보장부재의 상부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위치보장부재의 하부 사시도,
도 12는 레버의 가이드안착부에 위치보장부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레버의 가이드안착부에 위치보장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보장부재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위치보장부재가 락킹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을 연결레그 위치에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도 14를 연결레그 위치에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도 3의 측면 단면도,
도 18은 도 4의 측면 단면도,
도 19는 도 5의 측면 단면도,
도 20은 도 4의 레버와 위치보장부재 부분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 그리고
도 21은 도 5의 레버와 위치보장부재 부분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암형 커넥터의 제1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제2사시도, 도 3은 수형 커넥터에 결합되기 전, 커넥터 하우징 및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수형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및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각각 결합위치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수형 커넥터에 대한 결합을 완료하기 위해, 커넥터 하우징 이에 설치된 레버와 위치보장부재가 각각 결합위치와 락킹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에 체결되는 레버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 위치보장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레버의 커버부를 단면 처리하여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레버의 커버부를 단면 처리하지 않고 위치보장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터미널 방향으로 바라본 후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위치보장부재의 상부 전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위치보장부재의 하부 사시도, 도 12는 레버의 가이드안착부에 위치보장부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레버의 가이드안착부에 위치보장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위치보장부재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위치보장부재가 락킹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도 13을 연결레그 위치에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4를 연결레그 위치에서 단면 처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로서 직각 커넥터(1)인 것이 예시되고, 이에 대응하는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서 90도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절곡된 부위를 기준으로 길게 연장된 부분과 짧게 연장된 부분을 구비하며, 길게 연장된 부분은 터미널 케이블(80)이 설치되는 부분이고, 짧게 연장된 부분은 플러그(90)가 연장된 부분이 된다. 즉 터미널 케이블(90)의 체결 방향과 플러그(90)의 결합 방향이 소정의 각을 가지고 상호 교차하며, 이들은 하우징 내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90)는 암형 플러그이며, 상기 터미널 케이블(80)이 설치되는 부분과 하우징(10)의 단부는 밀봉 처리되고, 상기 플러그(90)가 내장된 하우징(10)의 단부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됨으로써, 대응하는 수형 커넥터가 상기 플러그(90)에 체결될 때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하우징 내부가 외부로부터 수밀된다.
하우징이 절곡된 부위의 양 측면이면서 상기 플러그(90)가 설치된 부분의 양 측면에는 외향 돌출된 형태의 제1힌지부(11)가 한 쌍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부(11)의 측방향으로는 후술할 레버(3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범위 제한키(111)가 마련된다.
하우징이 절곡된 부위에서 나머지 하나의 측면에는 외향 돌출된 형태의 걸림후크(12)가 마련된다. 걸림후크(12)는 경사면(121)과 걸림면(122)을 구비하는데, 경사면(121)은 상기 플러그(90)가 노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되고, 걸림면(122)은 상기 플러그(90)가 노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레버(30)는 연결부(34)와, 상기 연결부(34)의 양단에서 연결부로부터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측면부(31)를 구비한다. 상기 측면부(31)에는 상기 제1힌지부(11)의 돌기 형태와 대응하는 홀 형태의 제2힌지부(3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 형태의 제2힌지부(32)의 내주면의 일부 구간에는, 상기 회전범위 제한키(111)가 수용되는 회전범위 제한키홈(321)이 마련된다. 상기 제한키홈(321) 내에 제한키(111)가 수용되어 그 범위 내에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레버(30)는 도 3에 도시된 제1위치와, 도 4에 도시된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범위는 대략 90도 정도이며, 상기 제1위치는 대응 커넥터에 대한 연결이 해제되는 해제위치가 되고, 상기 제2위치는 대응 커넥터에 대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결합위치가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힌지부(11) 주변에는 소정의 홈 형태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의 측면부(31) 내면에는 상기 홈 형태에 부드럽게 걸릴 수 있는 돌기형상부가 마련되어, 상기 레버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기형상부가 상기 제1힌지부 주변의 홈 형태에 끼워짐으로써 레버(30)가 제1위치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는 클릭감을 제공한다.
상기 레버(30)의 측면부(31)에는 레버가 도 3에 도시된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플러그(90) 노출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이 정렬되고, 레버가 도 4에 도시된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힌지부(11, 32)의 위치와 가까워지는 곡선 홈 형태의 압착홈 프로파일(33)이 마련된다.
레버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90)에 대응 커넥터를 끼우며 대응 커넥터에 있는 돌기를 상기 압착홈 프로파일(33)에 삽입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0)를 제2위치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압착홈 프로파일(33)은 상기 힌지부(11, 32) 쪽으로 점점 가깝게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대응 커넥터의 돌기는 도 3에 도시된 압착홈 프로파일(33)의 개방 부위에서 점점 힌지부(11, 32) 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대응 커넥터는 직각 커넥터(1)의 플러그(90)와 압착 접속된다. 물론 이때 두 커넥터 사이의 실링부재가 압착되어 수밀이 유지된다.
상기 연결부(34)는 레버(30)가 제1위치와 제2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하우징(10)과 간섭되지 아니하여 레버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하우징(10)과는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어 레버(30)의 궤적이 차지하는 공간을 줄임으로써, 보다 좁은 공간에서도 레버의 회전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4)에는 상기 레버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후크와 고정되어 레버의 제2위치를 유지해주는 가이드안착부(36) 구조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34)에는 한 쌍의 연결레그(362)를 통해 상기 연결부(34)의 표면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바디플레이트(361)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361)는 상기 연결레그(362)를 중심으로 선단부(레버가 제2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노출부위와 가까운 부분)와 후단부(레버가 제2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노출부위와 먼 부분)가 각각 연장되어 나온 평판 형태이다.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에는 상기 레버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앞서 설명한 걸림후크(12)가 끼워지는 걸림홈(365)이 마련된다. 한편 바디플레이트(361)는 상기 걸림후크(12)가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와 연결레그(362)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레그로부터 선단부와 후단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보강리브(363)가 한 쌍 마련된다. 이러한 보강리브(363)는 연결레그(362)를 중심으로 바디플레이트(361)가 요동할 때 바디플레이트의 휨 강성을 보강해주게 된다.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양측 단부는 상기 보강리브(363)보다 더 측방으로 외향 연장된다.
보강리브(363)의 측면에는 외향 연장되는 형태의 제1후크(364)가 돌출 형성된다. 제1후크(364)는 선단부 쪽으로 스토퍼면(3642)을 구비하고, 후단부 쪽으로 경사면(3641)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홈(365)은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 쪽에 마련되고, 바디플레이트의 폭을 기준으로는 중앙부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상부에는 후술할 위치보장부재(50)의 캔틸레버(54)의 기초 부분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상면가이드(366)를 구비한다. 이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레버(3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4)의 상부에는 커버부(35)가 마련된다. 커버부는 상기 가이드 안착부(36) 및 상기 가이드 안착부(36)에 결합되는 위치보장부재(50)를 외부로부터 커버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불측의 외력에 의해 바디플레이트가 연결레그를 기준으로 요동하거나, 상기 위치보장부재가 움직여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위치보장부재(50)는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위치보장부재(50)는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위치보장부재(5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선단부 쪽으로 이동하면 위치보장부재(50)는 락킹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후단부 쪽으로 이동하면 위치보장부재(50)는 락킹해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위치보장부재(50)는 상기 가이드안착부(36)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상부 일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51), 상기 커버플레이트(51)의 양측에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부(52),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51)의 후방과 측면부(52)의 후방에 연결되는 락킹스토퍼(56)를 구비한다. 커버플레이트, 측면부, 락킹스토퍼는 대략 서로 직?u하는 세 평면이 만나는 형상으로서 그 구조만으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1)의 저면에는 전후 방향, 즉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캔틸레버(54)가 마련된다. 커버플레이트(51)와 겹쳐지는 부분에 마련된 캔틸레버(54)의 기초부는 상술한 바디플레이트(361)의 상면가이드(36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캔틸레버의 기초부와 상면가이드는 서로 협력하여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방향으로의 이동은 안내하고, 위치보장부재가 슬라이드 방향에 직교하는 양측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은 방지해 준다.
상기 캔틸레버(54)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외팔보 형태로 길게 연장되고, 그 선단부에는 하방, 즉 바디플레이트(36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기부(5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55)는 상기 위치보장부재가 락킹해제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바디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바디플레이트에 형성된 걸림홈(365)에 끼워질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걸림후크(12)가 걸림홈에 끼워지는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캔틸레버 구조로 슬라이드 이동 가이드 기능과 걸림홈 체결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를 간단하고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부(52)의 내측에는 상술한 바디플레이트(361)의 양측면으로서 상기 보강리브(363)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는 수용홈(521)이 전후방향으로 길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수용홈(521)이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양단부의 안내를 받게 되어,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수용홈 구조는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는 위치보장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52) 내측에는, 상기 수용홈(521)을 규정하며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후크(522), 제2후크(523), 및 돌기(524)를 구비한다. 즉 이들 구성은 수용홈을 규정함은 물론 후술할 기능도 함께 가지게 된다.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락킹 방향, 즉 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후크(523)의 스토퍼면(5232)은 락킹 해제 방향, 즉 후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를 가이드안착부(36)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상기 제1후크(364)의 경사면(3641)을 타고 넘게 되고, 상기 경사면들(5231, 36412)에 의해 상기 제2후크가 제1후크를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스토퍼면들(3642, 5232)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가이드안착부(36)로부터 락킹 해제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후크(522)는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선단부에 마련된다. 체결후크의 경사면과 스토퍼면 역시 상기 제2후크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다만 체결후크(522)는 상기 제2후크보다 더 큰 크기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불측의 외력에 의해 위치보장부재(50)가 가이드안착부(36)로부터 이탈되는 방향(후방을 향하는 방향, 락킹해제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후크보다 더 큰 형태의 체결후크(522)는 상기 제1후크(364)와 확실히 걸리게 되어 위치보장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위치보장부재를 레버에 조립할 때에는 제1후크와 경사면을 서로 타고 넘어 조립은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524)는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후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돌기(524)는 제1후크를 넘을 필요가 없어 단순히 실질적인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524)는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와 락킹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후크의 후방에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와 마주하여 위치보장부재의 이동을 안내한다.
[레버와 위치보장부재의 작동 구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레버와 위치보장부재의 작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17은 도 3의 측면 단면도, 도 18은 도 4의 측면 단면도, 도 19는 도 5의 측면 단면도, 도 20은 도 4의 레버와 위치보장부재 부분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 그리고 도 21은 도 5의 레버와 위치보장부재 부분을 단면 처리한 사시도이다.
레버는 해제 위치인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회전 이동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가 제1위치에 있을 때에는 돌기부(55)의 배면으로부터 걸림후크(12)가 삽입되지 않는다. 레버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위치보장부재(50)의 돌기부(55)는 상기 걸림홈(36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위치보장부재가 락킹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위치에서,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의 스토퍼면은 서로 마주하게 된다. 즉 이러한 위치보장부재의 위치는 락킹해제위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제2위치로 회전시키면(이 때 대응 커넥터는 플러그 쪽으로 압착됨), 상기 걸림홈(365)에 상기 걸림후크(1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져 있었던 돌기부(55)가 걸림후크(12)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상기 걸림홈(365)으로부터 이탈한다. 걸림홈(365)은 캔틸레버(54)의 단부에 위치하므로, 캔틸레버가 탄성 변형의 범위 내에서 휘며 걸림홈(365)은 별 무리 없이 걸림홈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보장부재(50)를 전진시켜 락킹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락킹위치까지 위치보장부재(50)를 이동시키면, 위치보장부재의 후단부에 마련된 락킹스토퍼(56)가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와 맞닿음은 물론, 바디플레이트(361)와 연결부(34) 사이의 공간, 즉 연결레그에 의해 서로 이격된 공간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위치보장부재는 더 이상 앞으로 전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후단부에 마련된 락킹스토퍼(56)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와 상기 연결부(34) 사이의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해 상기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부(34) 쪽으로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레그(262)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365)이 마련된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가 연결부(34)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걸림홈(365)이 상기 걸림후크(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캔틸레버(54)의 선단부에 마련된 돌기부(55)는 캔틸레버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면과 걸리게 된다.
즉 위치보장부재가 락킹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걸림홈(365)에 걸림후크(12)가 끼워진 상태에서,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가 눌리지 않게 되어 바디플레이트의 선단부가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위치보장부재의 락킹위치는 상기 바디플레이트와 락킹스토퍼의 전후 방향 간섭, 그리고 상기 돌기부(55)와 바디플레이트의 전후 방향 간섭에 의해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커버부(35)가 이를 덮고 있기 때문에, 돌기부(55)가 들어올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불측의 외력에 의해 위치보장부재가 락킹위치에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부(35) 하부에 마련된 약간의 공간으로 공구나 손을 넣어 돌기부(55)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위치보장부재를 락킹해제방향으로 밀어 락킹해제위치에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위치보장부재(50)의 락킹스토퍼(56) 부분을 눌러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를 누르고 선단부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레버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락킹스토퍼 부분을 누르면, 크기가 큰 체결후크(522)가 그 힘을 지지해주어, 바디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락킹스토퍼는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보다 상기 연결레그에서 더 멀리 배치되므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도 바디플레이트의 선단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직각 커넥터
10: 하우징
11: 제1힌지부
111: 회전범위 제한키
12: 걸림후크
121: 경사면
122: 걸림면
30: 레버
31: 측면부
32: 제2힌지부
321: 회전범위 제한키홈
33: 압착홈 프로파일
34: 연결부
35: 커버부
36: 가이드안착부
361: 바디플레이트
362: 연결레그
363: 보강리브
364: 제1후크
3641: 경사면
3642: 스토퍼면
365: 걸림홈
366: 상면가이드
50: 위치보장(CPA)부재
51: 커버플레이트
52: 측면부
521: 수용홈
522: 체결후크
523: 제2후크
5231: 경사면
5232: 스토퍼면
524: 돌기
54: 캔틸레버
55: 돌기부
56: 락킹스토퍼
80: 터미널 케이블
90: 플러그

Claims (12)

  1. 양단에 터미널 케이블(90)과 플러그(90)가 각각 설치되고, 터미널 케이블(90)의 체결 방향과 플러그(90)의 결합 방향이 소정의 각을 가지고 상호 교차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플러그(90) 설치부의 양측에 마련된 제1힌지부(11);
    측면부(31)에 상기 제1힌지부(11)에 체결되는 제2힌지부(32)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11, 3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적어도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하는 레버(30);
    상기 레버(30)의 측면부(31)에 마련되고, 대응 커넥터의 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레버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힌지부(11, 32)와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안착홈 프로파일(33);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레버(30)의 두 측면부(3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34);
    상기 연결부(34) 상에 마련되고, 상기 레버(30)가 제2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된 걸림후크(12)가 삽입 체결되는 걸림홈(365)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365)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연결레그(362)를 통해 상기 연결부(34)와 연결되되 상기 연결부(34)에 대해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레그(362)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연결레그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요동 가능한 바디플레이트(361)를 포함하는 가이드안착부(36);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체결되며 락킹해제위치와 락킹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위치보장부재(50); 및
    상기 위치보장부재(50)에 마련된 캔틸레버(54)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락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지되 상기 걸림후크(12)가 걸림홈(365)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지는 돌기부(55);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30)가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홈(365)에 상기 걸림후크(12)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365)에 끼워져 있었던 돌기부(55)가 걸림후크(12)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상기 걸림홈(365)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걸림홈(365)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를 상기 락킹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에 걸려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락킹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후단부에 마련된 락킹스토퍼(56)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와 상기 연결부(34)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후단부가 상기 연결부(34) 쪽으로 가까워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레그(362)를 기준으로 상기 걸림홈(365)이 마련된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가 연결부(34)로부터 들어올려져 상기 걸림홈(365)이 상기 걸림후크(1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양측 단부를 감싸며 수용하는 수용홈(521)이 마련되어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측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레그(362)와 연결되는 바디플레이트(361)의 저면에는 위치보장부재(50)의 슬라이드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보강리브(363)이 구비되고,
    상기 보강리브(363)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바디플레이트(361)의 양측 단부가 상기 수용홈(521)에 수용되며,
    상기 보강리브(363)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후크(364)가 마련되고, 상기 제1후크(364)의 경사면(3641)은 락킹 해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후크(364)의 스토퍼면(3642)은 락킹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2후크(523)가 마련되고,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락킹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후크(523)의 스토퍼면(5232)은 락킹 해제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를 락킹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후크(523)의 경사면(5231)은 상기 제1후크(364)의 경사면(3641)을 타고 넘게 되고,
    상기 경사면들(5231, 3641)에 의해 상기 제2후크가 제1후크를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스토퍼면들(3642, 5232)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상기 가이드안착부(36)로부터 락킹 해제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상면에는 상기 위치보장부재의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상면가이드(366)가 마련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캔틸레버(54)의 기초부가 상기 한 쌍의 상면가이드(366)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수직을 이루는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안착부(36)의 걸림홈(365)에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돌기부(55)가 삽입된 상태로 간섭되어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후크(364)의 스토퍼면(3642)과 상기 제2후크(523)의 스토퍼면(5232)이 마주하여 상기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523)의 측면이 상기 수용홈(521)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365)은 상기 한 쌍의 보강리브(363)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선단부에는 상기 제2후크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경사면과 스토퍼면이 마련되되 상기 제2후크보다 더 큰 크기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체결후크(5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에서 상기 제2후크가 마련된 위치보다 더 후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돌기(524)가 마련되고,
    상기 돌기(524)는 위치보장부재(50)가 락킹해제위치와 락킹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제1후크의 후방에서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상기 돌기부(55)가 상기 바디플레이트(361)의 선단부에 걸린 위치를 커버하는 커버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측면부(52)는 커버플레이트(51)로부터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기 커버플레이트(51)의 하부에 상기 캔틸레버(54)가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위치보장부재(50)의 락킹스토퍼(56)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1)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측면부(5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183898A 2016-12-30 2016-12-30 직각 커넥터 KR10186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98A KR101869817B1 (ko) 2016-12-30 2016-12-30 직각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98A KR101869817B1 (ko) 2016-12-30 2016-12-30 직각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817B1 true KR101869817B1 (ko) 2018-07-20

Family

ID=63103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98A KR101869817B1 (ko) 2016-12-30 2016-12-30 직각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8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09A (ko) 2021-06-30 2023-01-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DE102022204731A1 (de) 2022-05-13 2023-11-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495A (ko) * 2007-12-26 2009-07-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JP2010108872A (ja) * 2008-10-31 2010-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30126163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503507B1 (ko) * 2014-04-09 2015-03-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1495A (ko) * 2007-12-26 2009-07-01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그 접속 방법
JP2010108872A (ja) * 2008-10-31 2010-05-1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30126163A (ko) * 2012-05-11 2013-11-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KR101503507B1 (ko) * 2014-04-09 2015-03-18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4009A (ko) 2021-06-30 2023-01-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DE102022204731A1 (de) 2022-05-13 2023-11-16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anordn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368Y1 (ko)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770346B2 (ja) コネクタ
US5827086A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KR100946917B1 (ko) 위치 확정 장치를 구비하는 레버 결합식 커넥터 어셈블리
US9281614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members
EP2362498B1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3708419B2 (ja) ロック保障機構付きコネクタ
JP6981844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H09219255A (ja) 二重ロックコネクタ
US20150056841A1 (en) Connector assembly with spring operated secondary lock
US9048574B2 (en) Spring lock connector
JP7386523B2 (ja) コネクタロック機構
US9071021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US7267569B2 (en) Connector with a shorting terminal
JPH09180820A (ja)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9099805B2 (en) Spring lock type connector
KR101869817B1 (ko) 직각 커넥터
JP4962787B2 (ja) コネクタ
CN111193155B (zh) 连接器
JP2018195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4075288B2 (ja) コネクタ
JP3903885B2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JP2015215985A (ja) 嵌合検知コネクタ
JP4924901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4924902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