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148B1 -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148B1
KR100994148B1 KR1020100068041A KR20100068041A KR100994148B1 KR 100994148 B1 KR100994148 B1 KR 100994148B1 KR 1020100068041 A KR1020100068041 A KR 1020100068041A KR 20100068041 A KR20100068041 A KR 20100068041A KR 100994148 B1 KR100994148 B1 KR 100994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acrylate
gravure printing
shell
aqueous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원
황미옥
Original Assignee
(주)아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팩 filed Critical (주)아팩
Priority to KR102010006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148B1/ko
Priority to CN2011101232958A priority patent/CN10233705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쉘과, 유기산, 유화제, 중합개시제, 연쇄이동제 및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과, 쉘을 형성한 다음 유기산을 혼합하여 쉘을 수용화 시키고, 여기에 코어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유화액을 합하여 코어를 제조한 후 숙성, 냉각시키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택성이 좋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고온의 롤러에 끈적이며 달라붙지 않아 작업성이 우수하고, VOC가 발생되지 않으며, 인쇄적성이 우수한 벽지용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Cationic resin composition for aqueous gravure printing and a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벽지에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소재에 따라 종이벽지, 합성수지벽지, 섬유벽지 등으로 구분되나, 그 자체가 합성수지로 되어있는 제품뿐만 아니라 종이벽지도 인쇄 잉크, 광택제 등에 쓰인 합성 화학물질, 도배하는데 쓰여지는 합성 풀에서 유해물질 등이 유독가스화 되어 휘발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독가스로 인하여 의욕저하, 두통, 현기증과 불면증이 생길 수 있으며, 천식이 유발되고, 다른 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 이러한 유독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벽지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벽지의 경우 기재 상에 잉크를 사용하여 인쇄하여 얻어진 인쇄층을 구비하며, 이때 사용되는 잉크는 일반적으로 착색제, 보조제 및 용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벽지에 인쇄층은 주로 스크린 기법 또는 그라비아 기법으로 인쇄되어 얻어지는데, 잉크를 구성하는 수지가 유성인 경우 VOC 가 다량 방출되고, 고온인 그라비아 잉크 롤러에 유성 수지가 끈적하게 들러붙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그라비아 인쇄에 의하여 인쇄층을 구비하는 벽지에 사용되는 수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도입하고 이로 쉘과 코어상으로 제조함으로써 고온의 그라비아 잉크 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끈적하게 들러붙지 않아 작업성이 개선되고 인쇄적성 등이 개선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VOC 발생이 감소되고, 작업성과 인쇄적성 및 광택성이 개선된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쉘과, 유기산, 유화제, 중합개시제, 쇄이동제 및 수성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례로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성 용매에 유화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85 ℃ 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쉘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연쇄이동제와 함께 혼합하여 쉘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쉘을 숙성시킨 다음 70 ℃로 냉각하고 유기산을 혼합하여 쉘을 수용화 시키는 단계; 수성 용매에 유화제와 코어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고 70 ℃에서 유지한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용화시킨 쉘과 코어를 혼합하여 70 ℃에서 80 분간 교반한 후 60 분간 숙성시킨 다음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먼저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쉘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EA),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 아크릴로나이트릴(Acrilonitrile, AN), 스틸렌(Styrene monomer, SM),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DAM),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acrylate, 2-EHA) 및 2-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2-Hydroxy hexylacrylate, 2-HEMA)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코어와 쉘을 구성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1 : 9 내지 9 : 1 중량비, 바람직하기로는 2 : 8 내지 8 : 2 에서만 반응이 안정적이다. 쉘 비율이 높아지면 광택성이 향상이 되나, 내수성 저하의 우려가 있으므로, 광택과 내수성을 고려한 측면에서 코어와 쉘을 구성하는 단량체의 비율은 4 : 6 중량비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쉘을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코어를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게 되면 인쇄적성과 광택이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게 되나 과량 사용하게 되면 내수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상기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중에 5 내지 25 중량%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5 중량%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상기한 취지에 적합하다.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 중에 적어도 1 개의 수산기 및 카르보닐기 유래의 수산기(카르복실기 및 카르본산 에스테르기를 기본으로 하는 카르보닐기를 제외)를 함유하는 중합 가능한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 단량체로서, 구체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 나이트릴, 스틸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틸렌이나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코어를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사용하게 되면 인쇄적성을 향상에 더욱 좋으나, 과량 사용하게 되면 황변 현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상기 스틸렌은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중에 최대 10 중량%, 아크릴로나이트릴은 최대 4 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유기산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호박산 및 초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쉘을 형성한 후 수용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용화 정도에 따라 광택도가 변하기 때문에 유기산의 선택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구연산의 경우 재용해성이 용이한 반면 내수성 저하의 우려가 있고, 호박산의 경우에는 내수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재용해성이 구연산과 비교하여 조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초산은 내수성의 저하가 가장 없고, 재용해성이 구연산과 비교하여 조금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유기산의 선택에 따라 쉘의 수용화 정도와 내수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구연산과 호박산을 혼합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수성은 내부 가교 모노머의 사용으로 향상될 수 있으며, 코어-쉘 반응 비율 및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유기산은 사용되는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6 내지 8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유화제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수성 용매에 용해되어 유화액을 더욱 잘 형성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양이온성이므로 양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구성 성분 간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유화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상기 비이온성 유화제로는 엔피 프리타입의 HLB가 16 내지 17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이온성 유화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알킬 에톡시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화제는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4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화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적으면 반응성이 떨어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많으면 내수 백탁성 및 접착력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광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코어-쉘의 입자 크기를 작게 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데, 입자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유화제의 사용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수지 조성물 중에서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이 가능한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암모늄 퍼설페이트, 포타슘 퍼설페이트, 소듐 퍼설페이트,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오아미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의 사용이 적어지면 수지의 분자량이 높아져서 광택이나 내수성 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수지 조성물의 반응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안정성을 고려하여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중합개시제는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4 내지 0.6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연쇄이동제는 수지 조성물 중에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들의 중합도를 조절하여 분자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이 가능한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것을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연쇄이동제로는 티오 글리콜산 유도체, 머캅탄계 화합물, β-머캅토 프로피온산 유도체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n-도데실머캅탄(nDM), 에틸헥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2-Ethylhexyl 3-Mercapto propionate, EHMP)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쇄이동제는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2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0.4 내지 1 중량부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광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코어-쉘을 구성하는 성분의 분자량을 낮추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쇄이동제의 사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수지 조성물의 광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수성 용매는 물, 탈이온수 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전체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사용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7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 외에, 소포제, 표면 개질제, 가소제, 분산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수준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쉘을 제조하는데, 수성 용매에 유화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85 ℃ 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쉘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연쇄이동제와 함께 혼합하여 쉘을 제조한다.
상기 단량체는 일괄공급 또는 연속 적하하여 공급하는 것도 무방하며, 단량체를 수성 에멀젼화시켜 공급하는 것도 좋다. 상기 연쇄이동제는 적하하여 공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쉘은 숙성시킨 다음 70 ℃로 냉각하고 유기산을 혼합하여 쉘을 수용화 시킨다. 상기 숙성은 중합 온도에서 5 내지 10 분간 유지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쉘이 숙성된 후 냉각시킨다.
다음으로 코어를 제조하는데, 수성 용매에 유화제와 코어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고 70 ℃에서 유지한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코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기 위한 코어-쉘 중합은, 양이온성 단량체와 친수성 단량체로 쉘을 형성한 후 유기산으로 검화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제조하고, 이 후에 소수성 단량체를 중심으로 코어를 형성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하게 되며, 상기 수용화시킨 쉘과 코어를 혼합하여 70 ℃에서 80 분간 교반한 후 60 분간 숙성시킨 다음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고형분 25 내지 40 %, 점도 100 내지 1000 cps/25℃, pH 4 내지 6 범위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택성이 좋고, 내수성이 우수하며, 고온의 롤러에 끈적이며 달라붙지 않아 작업성이 우수한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안료를 적용시킬 경우 발색성이 우수한 특징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양이온성을 나타내므로, 통상 음이온성을 나타내는 종이와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인쇄적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VOC 등이 발생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시판제품(Penn color 사, 벽지 잉크ㆍ코팅용 제품, 37시리즈 : 37C563)의 수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PVC 시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수지가 적용된 수성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한 PVC 시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다음 실시예 등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가열장치, 교반기, 환류냉각장치,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적하조를 구비한 중합용 용기에 탈이온수 15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0.5 중량부를 삽입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여 내부 온도를 85℃ 까지 온도를 상승시켜, 1.5%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오아미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고형분으로 0.025 중량부를 첨가한 후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0 중량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 n-도데실머캅탄 0.5 중량부를 10분 동안 적하하고, 10 분 동안 숙성시킨 후에 70 ℃로 냉각사여 초산 2 중량부, 구연산 4 중량부를 첨가하여 쉘을 수용화시킨다.
코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탈이온수 16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48 중량부,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부틸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고, 70 ℃에서 30 분동안 유지한 후에 1.5% 아조비스 메틸프로피오아미딘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고형분으로 0.065 중량부를 첨가하고 70 ℃에서 80 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0 분간 숙성시킨 후 냉각하여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 33%, 점도 10 cps/25℃, pH 5 였다.
실험예 .
이하,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실시예]의 물성을 시판제품(Penn color 사, 벽지 잉크ㆍ코팅용 제품, 37시리즈 : 37C56)[비교예]과 다음의 방법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택성 확인
PVC 벽지를 검정 잉크로 코팅한 후에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과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각각 0.8 mm 두께로 코팅하여 BYK-Gardner GB-4430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시편은 각각 20 개 였다. 그 결과, 실시예는 평균 33, 비교예는 평균 27 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6 이상의 우수한 측정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2) 내수성 확인
PVC 벽지를 검정 잉크로 코팅하고, 실시예와 비교예의 수지 조성물을 각각 0.8 mm 두께로 코팅한 후, 물에 침적하여 백탁이 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내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경우 1 시간 경과 후 백탁이 발생하였고, 비교예의 경우 30 분 경과 후 백탁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결과로,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내수성이 기존의 시판 제품보다 약 2 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인쇄적성 확인
인쇄적성 확인을 위해서 양이온성 잉크(Penn color 사, 벽지 잉크ㆍ코팅용 제품, 37시리즈 : 37C563)를 첨가하여 잉크를 제조하였다.
즉, 실시예의 수성 수지 100 중량부에 잉크 5 중량부를 혼입하고, 그라비아 잉크 롤을 이용하여 PVC 벽지에 인쇄하고, 230 ℃에서 10 초간 건조시킨 결과물의 사진을 도 1 및 2에 첨부하여 인쇄 적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도 2의 경우가 비교예의 시판 수성 수지를 사용한 도 1의 경우보다 인쇄 상태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

Claims (11)

  1.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이루어진 코어 및 쉘과, 유기산, 유화제, 중합개시제, 연쇄이동제 및 수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산 4 내지 10 중량부, 유화제 1 내지 5 중량부, 중합개시제 0.1 내지 1 중량부, 연쇄이동제 0.3 내지 2 중량부 및 수성용매 60 내지 7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틸렌,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쉘을 구성하는 단량체는 1 : 9 내지 9 : 1 중량비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쉘을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틸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호박산 및 초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성 용매는 물, 탈이온수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9. 수성 용매에 유화제를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에서 교반하면서 85 ℃ 까지 온도를 상승시킨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쉘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연쇄이동제와 함께 혼합하여 쉘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쉘을 숙성시킨 다음 70 ℃로 냉각하고 유기산을 혼합하여 쉘을 수용화 시키는 단계,
    수성 용매에 유화제와 코어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혼합하여 유화액을 제조하고 70 ℃에서 유지한 후 중합개시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용화시킨 쉘과 코어를 혼합하여 70 ℃에서 80 분간 교반한 후 60 분간 숙성시킨 다음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쉘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 형성용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스틸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2-하이드록시 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00068041A 2010-07-14 2010-07-14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41A KR100994148B1 (ko) 2010-07-14 2010-07-14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1101232958A CN102337056A (zh) 2010-07-14 2011-05-12 凹版印刷用阳离子型水性树脂组合物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41A KR100994148B1 (ko) 2010-07-14 2010-07-14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148B1 true KR100994148B1 (ko) 2010-11-15

Family

ID=4340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41A KR100994148B1 (ko) 2010-07-14 2010-07-14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4148B1 (ko)
CN (1) CN1023370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4716A (zh) * 2021-05-24 2021-08-06 林燕娟 一种抗紫外抑菌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1625B2 (ja) * 2012-07-05 2016-12-2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用オーバーコート組成物、電子写真形成方法、電子写真形成装置
CN103031011B (zh) * 2012-12-20 2016-05-11 南通高盟新材料有限公司 适合凹版印刷的镭射转移涂料及其制备方法
JP7010412B2 (ja) * 2019-10-07 2022-01-26 Dic株式会社 印刷物および積層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96B1 (ko) 1999-03-01 2001-05-15 추후제출 양이온성 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0505505B1 (ko) 2002-11-28 2005-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 보조제 공중합체 조성물
KR100822837B1 (ko) 2005-11-14 2008-04-17 주식회사 코오롱 아크릴계 고분자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251A (en) * 1990-09-24 1993-05-18 Rohm And Haas Company Alkali-resistant core-shell polym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96B1 (ko) 1999-03-01 2001-05-15 추후제출 양이온성 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0505505B1 (ko) 2002-11-28 2005-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공 보조제 공중합체 조성물
KR100822837B1 (ko) 2005-11-14 2008-04-17 주식회사 코오롱 아크릴계 고분자 비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Acrylic Emulsion with Core-Shell Structure in Antifouling Paints(20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14716A (zh) * 2021-05-24 2021-08-06 林燕娟 一种抗紫外抑菌涂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7056A (zh)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7516B (zh) Vinyl chloride resin latex, water-based ink and recording paper
CN102134296B (zh) 氟硅改性水溶性丙烯酸树脂分散体及其用途
US7176258B2 (en) Water-based emulsion for vibration damper
CN102516436B (zh) 一种耐乙醇稀释的室温自交联苯丙乳液及其制备方法
EP1819788B1 (en) Printing ink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tarch
KR100994148B1 (ko) 그라비아 인쇄용 양이온성 수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E60303485T2 (de) Wässr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auf Acrylbasis
EP2847290B2 (de) Verwendung von copolymerisaten als klebrigmacher für klebstoffe
JPH05117344A (ja) コアシエルエマルジヨン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性プレスニス
CN103194127A (zh) 环保型纸张用水性罩光油
WO2002032971A1 (fr) Resine soluble dans l'eau, son procede de production et composition de resine soluble dans l'eau
CN101736608B (zh) 涂料印花增稠剂及其制备方法
KR101392328B1 (ko) 코어-쉘 구조의 전분계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TWI802636B (zh) 製紙用表面乳液型上漿劑、製紙用表面乳液型上漿劑之製造方法及塗佈紙
CN103443153B (zh) 氯乙烯系树脂乳液及其制造方法以及水性墨和记录用纸
KR102058176B1 (ko) 수성 아크릴 에멀젼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532464A (ja) カルボン酸変性ビニル系ポリマー組成物
JPS63128011A (ja) 紙およびポリ塩化ビニル印刷用水還元性アクリルポリマー
CN109762396B (zh) 一种水性油墨及其制备方法和用途
JP4786789B2 (ja) 顔料分散用水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3105576A (zh) 一种树脂改性核壳结构丙烯酸乳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968695B (zh) 具有聚合物核壳结构的阳离子性乳液、水性墨和记录介质
CN115466561B (zh) 一种酪素改性水性透气涂料及其应用
KR102634761B1 (ko) 도배용 풀의 제조방법
CN110183902B (zh) 一种水性凹版印刷油墨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