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778B1 - 밀폐형 전지 - Google Patents
밀폐형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0778B1 KR100990778B1 KR1020030015909A KR20030015909A KR100990778B1 KR 100990778 B1 KR100990778 B1 KR 100990778B1 KR 1020030015909 A KR1020030015909 A KR 1020030015909A KR 20030015909 A KR20030015909 A KR 20030015909A KR 100990778 B1 KR100990778 B1 KR 100990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battery
- outer tube
- tub
- seal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SECXISVLQFMRJM-UHFFFAOYSA-N N-Methyl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N1CCCC1=O SECXISVLQFMR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IFBSDVPJOWBCH-UHFFFAOYSA-N Di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CC OIFBSDVPJOWB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MTRUDSVKNLOMY-UHFFFAOYSA-N Ethylene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1OCCO1 KMTRUDSVKNLOM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2851 LiCo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870 LiPF 6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극 집전 터브의 기계적 강도를 올림으로써, 전지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밀폐형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20)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면이 개구하여 주위면이 폐쇄된 대략 편평형의 도전성을 갖는 상자형 외장관(60)과, 상기 외장관 내에 삽입된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 사이에 분리기가 개재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와, 상기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된 수직 절곡 부재(21a)에 용착된 상기 코어 부재보다 두꺼운 전극 집전 터브와, 상기 외장관의 개구부를 덮어 밀봉하는 밀봉판(50)을 구비하고, 상기 외장관의 개구부를 밀봉할 때에, 개구 단부 모서리와 밀봉판 사이에 상기 전극 집전 터브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에 의해 밀봉된다.
밀폐형 전지, 상자형 외장관, 전극 부재, 수직 절곡 부재, 밀봉판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밀폐형 전지의 주요부 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3은 종래 기술의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밀폐형 전지의 주요부 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밀폐형 전지
21 :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
21a : 수직 절곡 부재
22 :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
23 : 스페이서
30 : 알루미늄박 후프
30a : 플러스극 집전 터브
40 : 절연 테이프
50 : 밀봉판
51 : 집전 단자판
52 : 전지 캡
60 : 외장관
A : 초음파 용접부
B : 레이저광
본 발명은 밀폐형 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각형 밀폐 전지 등에 있어서, 실수로 전지를 바닥 등으로 낙하시킨 경우에서도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보유 지지한 전극 집전 터브를 구비한 밀폐형 전지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소형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는, 원통형 혹은 버튼형의 밀폐형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이러한 전지에 비해 스페이스 효율이 우수한 각형 밀폐 전지가 다양한 전자 기기에 탑재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각형 밀폐 전지 중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면에 개구부를 갖는 편평한 바닥이 있는 각형 형상의 외장관 내에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가 수납된 후에, 외장관의 개구부를 밀봉판으로 덮고, 외장관과 밀봉판을 레이저 용접에 의해 밀봉한 것이 있다. 최근, 이 밀봉판이 개구부에 용접될 때에, 상기 개구부의 개구 단부 모서리와 밀봉판 사이에 전극 집전 터브가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에서 밀봉판이 상기 개구 모서리에 레이저 용접되는 동시에, 전극 집전 터브도 함께 외장관 에 용접되어 외장관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밀봉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162792호에 개시된 밀폐형 전지가 그 일예이다. 도3은 이 공보에 개시된 밀폐형 전지의 주요부 투시도이며, 이 전지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 사이에 분리기가 개재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1)가 플러스극 외부 단자를 겸하는 알루미늄으로 된 전지 외장관(2) 내에 수납된 후, 밀봉판(3)이 외장관(2)의 개구 모서리에 레이저 용접되어 있다.
이 레이저 용접시에, 밀봉판(3)의 외주측면과 외장관(2)의 개구부 사이에는 플러스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도출된 플러스극 집전 터브(4)가 끼워 넣어지고, 이 상태에서 밀봉판(3)과 외장관(2)이 레이저 용접되고, 외장관(2)의 개구부가 밀봉되는 동시에 집전 터브(4)도 외장관(2)에 용접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이 플러스극 집전 터브(4)에는 플러스극 코어 부재 노출부의 권취 종단부에 대략 역ㄷ자형의 절입부를 형성하고, 이 절입부로부터 수직 절곡한 가늘고 긴 박편이 사용되고 있다.
또,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1)로부터는, 별도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11)가 연장 설치되어, 집전 단자판(13)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또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권취 종단부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점착 테이프가 첨부되어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에 보유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플러스극 집전 터브(4)는 점착 테이프(12)를 부착하여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 플러스극 집전 터브(4)는 플러스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의 일부를 수직 절곡한 가늘고 긴 박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박편의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은 플러스극의 코어 부재의 재료 특성에 의존하고 있다. 통상, 이 플러스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는 그 두께가 대략 15 ㎛의 알루미늄박이 사용되므로, 이 알루미늄박으로부터 수직 절곡된 플러스극 집전 터브는 두께가 매우 얇고, 게다가 가늘고 긴 박편이므로, 그 기계적 강도가 매우 약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밀봉 방법에 있어서, 예를 들어 밀봉판과 전지 외장관과의 끼워 맞춤이 힘든 경우에는, 밀봉판을 압입할 때에 플러스극 집전 터브가 절단되어 버리거나 혹은 제작된 전지가 실수로 바닥 등으로 낙하되어 버렸을 때, 또는 강한 진동 등이 전지에 가해졌을 때 등은 플러스극 집전 터브가 절단되어 버려, 전지 외장관과 플러스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와의 접촉 상태만의 접촉 통전이 되지만, 플러스극 코어 부재 노출부와 외장관 내면과의 접촉압의 변화로 내부 저항이 변화되어 버리므로, 이 접촉 통전은 매우 불안정하며, 게다가 전지의 내부 저항이 상승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과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그 발명의 목적은 전극 집전 터브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전지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밀폐형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일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도전재로 이루어지는 외장관과, 상기 외장관 내에 수납된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 사이에 분리기가 개재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와, 상기 외장관의 개구부를 덮는 밀봉판을 갖고, 또한 상기 밀봉판과 외장관의 개구부와 한 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집전 터브가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한 쪽 전극의 집전 터브는 상기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된 수직 절곡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코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의 박편은, 상기 코어 부재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코어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코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것이면 상기 코어 부재와는 다른 재질의 박편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밀봉판이 외장관의 개구 단부에 레이저 등에 의해 용접될 때에, 전극 집전 터브도 외장관에 용접되어 외장관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상기 전극 집전 터브는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된 코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박편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그 자체에서 집전 터브가 형성되어 있는 종래예인 것보다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1,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밀폐형 전지의 주요부 투시도, 도2는 이 전지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 본 발명은, 이들의 도면에 개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20)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면이 개구하고, 주위면이 폐쇄된 대략 편평형의 도전성을 갖는 상자형 외장관(60)과, 상기 외장관 내에 삽입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와, 상기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된 수직 절곡 부재(21a)에 예를 들어 용접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코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전극 집전 터브(30a)와, 상기 외장관의 개구부를 덮어 밀봉하는 밀봉판(5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외장관(60)의 개구부를 밀봉할 때에는 개구 단부 모서리와 밀봉판 사이에 전극 집전 터브(30a)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함으로써 밀봉되어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밀봉판이 외장관의 개구 단부에 레이저 용접될 때에, 전극 집전 터브도 외장관에 용접되어 외장관 사이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전극 집전 터브는, 상기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보다 고강도의 박편으로 형성되므로, 수직 절곡 부재 그 자체에서 형성된 종래예인 것보다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다.
이하, 이 밀폐형 전지의 제조법을 도2를 이용해 설명한다.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과, 양 전극간에 개재된 분리기로 이루어지며, 이들의 각 극판의 제조 방법은 이미 알려진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공지의 임의의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제조법은 그 일예이다.
플러스극은 LiCoO2 : 85 중량부, 인조 흑연 분말 : 5 중량부, 카본 블랙 : 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플러스극합제에, N-메틸-2-피롤리돈에 녹인 폴리불화 비닐리덴(PVdF)을 PVdF(고형분)을 5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더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플 러스극 슬러리를 작성하고, 계속해서 이 플러스극 슬러리를 알루미늄박(두께 15 ㎛)으로 이루어지는 플러스극 코어 부재에 도포하여 플러스극 활물질층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이를 건조하여 롤러 프레스기에 의해 압연한 후, 다시 110 ℃에서 3 시간 진공 건조 처리하여 제작된다.
이 플러스극에는, 플러스극 코어 부재의 권취 종단부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플러스극 코어 부재의 양면 모두 플러스극 활물질층을 갖지 않은 양면 노출부가 설치되고, 이 양면 노출부로부터 다시 일정한 거리만큼은 플러스극 코어 부재의 한 쪽면만이 플러스극 활물질층을 갖고, 다른 쪽면의 코어 부재가 노출되는 한 쪽면 노출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양면 노출부에는 플러스극 코어 부재를 관통하는 대략 역ㄷ자형의 절입부가 형성된다. 이 절입부는 플러스극 집전 터브와 접속하기 위한 박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리한 칼날로 코어 부재를 절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마이너스극은 입자 직경 5 내지 25 ㎛의 천연 흑연 분말 95 중량부(마이너스극합제)에, N-메틸-2-피롤리돈에 녹인 PVdF를, PVdF량으로서 5 중량부가 되도록 더하고, 교반 및 혼합하여 마이너스극 슬러리를 작성하고, 계속해서 상기 마이너스극 슬러리를 동박(두께 10 ㎛)으로 이루어지는 마이너스극 코어 부재의 양면에 도포하여 마이너스극 활물질층을 형성한 후, 일단 건조하고, 그 후 롤러 프레스기에 의해 이를 압연하고, 전극판의 권취 개시단부 부근의 활물질층을 박리하고, 여기에 니켈로 이루어지는 리드[마이너스극 집전 터브(22)]를 스폿 용접하여, 다시 110 ℃에서 3 시간 진공 건조 처리하여 제작된다.
또, 전해액은 LiPF6을 1mo1/1의 농도가 되도록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에틸 카보네이트와의 체적 혼합비가 40 : 60의 혼합 용매에 용해된 비수 전해액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상기의 전극 등을 이용하여, 이하의 공정으로 제조된다. 도2의 (a) 내지 도2의 (h)를 참조하여, 우선 상기 도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을 폴리에틸렌제의 분리기를 거쳐서 권취하고, 평판형의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를 형성한다. 이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는 플러스극의 상기 한 쪽면 노출부가 외주측을 향하고, 또한 상기 양면 노출부가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의 최외주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여 권취한다.
또한, 상기 양면 노출부에는 상기 양면 노출부를 관통하는 대략 역ㄷ자형의 절입부를 형성한다. 이 절입부는 플러스극 집전 터브와 접속하기 위한 수직 절곡 부재(21a)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리한 칼날로 상기 양면 노출부를 절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의 상부로부터는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22)를 돌출시킨다.
다음에, 상기 도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의 상단부면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23)를 장착하여, 그 일부에 상기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22)를 삽입 통과하여 돌출시킨다. 또한 상기 도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입부로부터 수직 절곡 부재(21a)를 대략 90°수직 절곡하고, 이 수직 절곡 부재(21a)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박 후프(30)를 사용하여 초 음파 용접을 행하고, 전기적 접속을 확보한 후에 절단 공구를 이용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플러스극 집전 터브(30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절곡 부재(21a)와 용접된 집전 터브(30a)는, 또한 대략 90°일으킨 후, 수직 절곡 부재(21a) 및 초음파 용접부(A)를 덮도록 절연 테이프(40)를 부착하여,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에 고정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의 하단부에도 절연 테이프(40)를 부착 고정한다.
그 후, 상기 도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상방에 밀봉판(5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밀봉판(50)에 고정된 집전 단자판(51)과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2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플러스극 집전 터브(30a)는 밀봉판(50)을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에 밀착시켰을 때에 그 선단부의 일부가 외부로 나오도록 한다[도2의 (f) 참조].
계속해서, 도2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너스극 집전 터브(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21)를 전지 외장관(60) 내에 삽입하고, 그 후 플러스극으로부터 도출된 플러스극 집전 터브(30a)를 전지 외장관(60)의 내벽에 따라서 개구 단부에까지 연장시킨다. 그리고, 이 플러스극 집전 터브(30a)의 단부를 밀봉판(50)의 외주측면에서 끼워 넣도록 하여, 밀봉판(50)을 전지 외장관(60)의 개구 모서리에 끼워 맞춘다. 그리고, 전지 외장관(60)의 개구 단부에 소정의 외부 압력을 가하면서, 전지 외장관(60)과 밀봉판(50)과의 끼워 맞춤부에 레이저광(B)을 조사하고, 상기 부분을 용접한다. 이 레이저 용접에 의해, 외장관(60)의 개구부가 밀봉되고, 동시에 플러스극 집전 터브(30a)가 외장관(60)과 전기 접속된다.
레이저 용접 후, 도2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판(50)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외장관(60)의 내부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액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전지 캡(52)을 마련하여 밀폐한다. 이에 의해, 밀폐형 전지가 완성된다.
또, 상기 발명의 실시 태양에서는 각형 밀폐 전지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전지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지 외장관으로서는 알루미늄제인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밖의 알루미늄 합금 혹은 스테인레스제 등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비수 전해액 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니켈-수소 축전지 등의 수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스극 집전 터브는 필요에 따라서 그 길이에 여유를 갖게 하여 일부를 절첩하고, 그 일부를 외장관 내부에 수납하도록 이루어져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지의 낙하 사고 등이 생겨도 그 때의 쇼크는 절첩된 부분에 의해 흡수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 집전 터브가 절단되어 버리는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플러스극 집전 터브로서 플러스극 코어 부재와 같은 재질인 것을 이용하여, 플러스극 집전 터브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각종 밀폐형 전지를 작성하고, 각각의 밀폐형 전지의 불량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밀폐형 전지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플러스극 집전 터브로서 알루미늄박의 두께가 20 ㎛인 후프를 사용하여 밀폐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와 같은 제조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박의 두께가 25 ㎛인 후프를 사용하여 밀폐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와 같은 제조법을 이용하여, 알루미늄박의 두께가 30 ㎛인 후프를 사용하여 밀폐형 전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비교예의 밀폐형 전지는 플러스극 집전 터브가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된 것이다.
<제1 실험>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밀폐형 전지와 비교예의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 양자의 낙하 시험을 이하의 조건으로 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나타내면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다.
또, 시험 조건은 방전 상태의 전지를 1.65 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 바닥면으로 전지의 각 면(6면)마다 낙하시켜 1 사이클로 한다.
전지의 시험 개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각각 20개로 하고, 그 중 불량수를 구한다.
전지의 내부 저항이 초기 상태로부터 +15 mΩ 이상이 된 시점에서, 내부 저항 변동이 불량이라 간주한다. 낙하 사이클은 최고 10 사이클로 한다. 또 전지 불량의 유무는 전지 해체에 의해 집전 터브의 파단 유무를 확인하였다.
[표 1]
박 두께 | 불량수 | 불량 발생 사이클 | |
제1 실시예 | 20 ㎛ | 3/20개 | 6 내지 8 사이클 |
제2 실시예 | 25 ㎛ | 0/20개 | 10 사이클 이상 |
제3 실시예 | 30 ㎛ | 0/20개 | 10 사이클 이상 |
제1 비교예 | 15 ㎛ | 16/20개 | 1 내지 3 사이클 |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밀폐형 전지는 비교예의 밀폐형 전지에 비해, 낙하 시험에 있어서의 불량 발생수가 격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집전 터브에는 코어 부재보다 두꺼운 박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가령 전지의 낙하 사고 등이 생겨도 그 강도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전극 집전 터브가 절단되어 버리는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 전극 집전 터브의 두께는 20 ㎛ 이상에서 효과가 생기지만,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플러스극 집전 터브로서 플러스극 코어 부재와 같은 재질의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플러스극 집전 터브의 두께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불량 발생율을 조사하였지만, 플러스극 집전 터브로서는 외장관의 재질에 맞추어 알루미늄보다 고강도인 알루미늄 합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 경우, 플러스극 코어 부재와 같은 두께 혹은 얇은 두께에서도 플러스극 코어 부재보다 고강 도로 할 수 있지만, 그 경우도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은 경향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형 전지는 전극 집전 터브의 기계적 강도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실수로 전지를 바닥 등으로 낙하시켜 버리는 일이 있어도, 전극 집전 터브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Claims (3)
- 일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외장관과, 상기 외장관 내에 수납된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 사이에 분리기가 개재된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와, 상기 외장관의 개구부를 덮는 밀봉판을 갖고, 또한 상기 밀봉판과 외장관의 개구부와 한 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집전 터브가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상기 한 쪽 전극의 집전 터브는 상기 한 쪽 전극의 코어 부재 노출부로부터 수직 절곡한 수직 절곡 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부재보다 두께가 두꺼운 박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코어 부재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전 터브의 두께는 20μ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절곡 부재와 용접되는 상기 집전 터브의 용접 부분은 절연 테이프에 의해서 덮이는 것과 동시에, 상기 소용돌이형 전극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073368A JP3877619B2 (ja) | 2002-03-15 | 2002-03-15 | 密閉型電池 |
JPJP-P-2002-00073368 | 2002-03-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74441A KR20030074441A (ko) | 2003-09-19 |
KR100990778B1 true KR100990778B1 (ko) | 2010-10-29 |
Family
ID=277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5909A KR100990778B1 (ko) | 2002-03-15 | 2003-03-14 | 밀폐형 전지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727671B2 (ko) |
EP (1) | EP1347521A1 (ko) |
JP (1) | JP3877619B2 (ko) |
KR (1) | KR100990778B1 (ko) |
CN (1) | CN100588007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9606B1 (ko) * | 2003-02-19 | 2005-08-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 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
JP4558279B2 (ja) * | 2003-02-21 | 2010-10-0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角形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GB0323597D0 (en) * | 2003-10-09 | 2003-11-12 | Univ Loughborough | Fabricating metal objects |
JP4798967B2 (ja) * | 2004-06-14 | 2011-10-1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気化学素子 |
KR100601517B1 (ko) * | 2004-09-24 | 2006-07-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EP2429010B1 (en) * | 2005-09-02 | 2014-12-17 | A123 Systems, Inc. | Battery cell design and method of its construction |
US8084158B2 (en) * | 2005-09-02 | 2011-12-27 | A123 Systems, Inc. | Battery tab location design and method of construction |
US20080193852A1 (en) * | 2006-02-03 | 2008-08-14 | Sanyo Electric Co., Ltd.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KR100890329B1 (ko) * | 2006-12-21 | 2009-03-2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전지 |
US8236441B2 (en) | 2007-07-24 | 2012-08-07 | A123 Systems, Inc. | Battery cell design and methods of its construction |
US8501345B2 (en) * | 2007-11-30 | 2013-08-06 | A123 Systems Llc | Battery cell design with asymmetrical terminals |
KR101266109B1 (ko) * | 2010-01-15 | 2013-05-2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내부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 |
CN101867056A (zh) * | 2010-06-23 | 2010-10-20 |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 动力电池 |
JP6173692B2 (ja) * | 2010-12-28 | 2017-08-02 | 三洋電機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WO2016004079A1 (en) | 2014-06-30 | 2016-01-07 | Black & Decker Inc. |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
WO2018100853A1 (ja) * | 2016-11-30 | 2018-06-0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円筒形電池 |
JP7157956B2 (ja) | 2018-11-29 | 2022-10-2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円筒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20218214A1 (ja) * | 2019-04-25 | 2020-10-29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二次電池 |
CN114207885A (zh) * | 2019-08-07 | 2022-03-18 | 三洋电机株式会社 | 电池 |
CN114069166B (zh) * | 2021-09-30 | 2023-07-21 | 安徽南都华拓新能源科技有限公司 | 软包电芯模组极耳焊接方法及焊接工装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9397A (ja) * | 1998-05-06 | 1999-11-30 | Ricoh Co Ltd | 偏平薄型電池 |
JP2001076706A (ja) | 1999-09-08 | 2001-03-23 | Hitachi Maxell Ltd | ポリマー電解質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62599B2 (ja) * | 1989-08-23 | 1998-06-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アルカリ蓄電池 |
JP3024221B2 (ja) | 1991-01-08 | 2000-03-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円筒型アルカリ蓄電池 |
KR100405873B1 (ko) * | 1995-07-28 | 2004-03-30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레이저밀봉전지 |
JP3568312B2 (ja) | 1995-10-16 | 2004-09-22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レーザー封口電池 |
JP3643661B2 (ja) | 1996-11-29 | 2005-04-27 | 三洋電機株式会社 |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
JPH10294097A (ja) * | 1997-02-24 | 1998-11-04 | Mitsubishi Electric Corp | 薄型電池 |
DE69813164T2 (de) * | 1997-12-22 | 2003-10-23 | Gs-Melcotec Co., Ltd.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rösen, mit aktiver Masse gefüllten Elektrode |
US5972532A (en) | 1998-05-04 | 1999-10-26 | Saft America, Inc. | Current collection through the ends of a spirally wound electrochemical cell |
JP4169406B2 (ja) * | 1998-10-30 | 2008-10-22 | 三洋電機株式会社 | 溶接封口電池 |
JP2002056837A (ja) | 2000-05-30 | 2002-02-22 | Sanyo Electric Co Ltd | 溶接封口電池 |
-
2002
- 2002-03-15 JP JP2002073368A patent/JP38776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3-04 CN CN03106825A patent/CN10058800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3-13 US US10/386,713 patent/US772767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3-14 EP EP03251566A patent/EP134752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3-14 KR KR1020030015909A patent/KR1009907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29397A (ja) * | 1998-05-06 | 1999-11-30 | Ricoh Co Ltd | 偏平薄型電池 |
JP2001076706A (ja) | 1999-09-08 | 2001-03-23 | Hitachi Maxell Ltd | ポリマー電解質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30175587A1 (en) | 2003-09-18 |
JP2003272597A (ja) | 2003-09-26 |
CN100588007C (zh) | 2010-02-03 |
JP3877619B2 (ja) | 2007-02-07 |
EP1347521A1 (en) | 2003-09-24 |
CN1445874A (zh) | 2003-10-01 |
KR20030074441A (ko) | 2003-09-19 |
US7727671B2 (en) | 2010-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0778B1 (ko) | 밀폐형 전지 | |
US7763377B2 (en) | Electrochemical element having an ellipsoidal assembly configured for high power input | |
KR100405873B1 (ko) | 레이저밀봉전지 | |
US8329338B2 (en) | Battery with current-collector connector | |
JP5591566B2 (ja) | 電池 | |
JP5106024B2 (ja) | 電池 | |
JP2009087728A (ja) | 電池 | |
JP5173095B2 (ja) | 密閉型電池 | |
JP3891047B2 (ja) | 電池 | |
US20230083371A1 (en) | Secondary battery | |
JPH0877999A (ja) | 電 池 | |
US7153606B2 (en) | Secondary battery | |
JP4020544B2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JPWO2019123619A1 (ja) | 蓄電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 |
KR100637440B1 (ko) |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단자 조립체 | |
JP2001084991A (ja) | 電 池 | |
JP2000353502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JP2001357887A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US20240145883A1 (en) | Cylindrical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 |
JPH09171809A (ja) | レーザー封口電池 | |
JP2000323105A (ja) | 溶接封口電池 | |
JP2012043704A (ja) | 非水電解液電池 | |
JP4019700B2 (ja) | 二次電池 | |
JP2001126682A (ja) | 密閉型電池とその製造方法 | |
US20240063483A1 (en) | Secondary batt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