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267B1 -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267B1
KR100990267B1 KR1020080122118A KR20080122118A KR100990267B1 KR 100990267 B1 KR100990267 B1 KR 100990267B1 KR 1020080122118 A KR1020080122118 A KR 1020080122118A KR 20080122118 A KR20080122118 A KR 20080122118A KR 100990267 B1 KR100990267 B1 KR 100990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bar
contact
guide rail
fixed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554A (ko
Inventor
최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267B1/ko
Priority to US12/624,770 priority patent/US8427262B2/en
Priority to EP09177063.6A priority patent/EP2194554B1/en
Priority to ES09177063T priority patent/ES2571228T3/es
Priority to CN200910246844.3A priority patent/CN101752144B/zh
Publication of KR2010006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1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ectiline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 접점 및 안내 레일을 갖는 상부 프레임; 상기 안내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 코어,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 및 상기 크로스 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와 별개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를 이루는 재질은 상기 크로스 바에 비해 상기 안내 레일에 대한 마찰 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전자 접촉기, 크로스 바, 슬라이드, 마모, 마찰 계수.

Description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ABRASION PREVENTING MEANS}
본 발명은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모터 회로의 개폐 등에 이용되는 전자 접촉기 내부에서 크로스 바의 슬라이딩부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과 부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때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전자 접촉기 혹은 전자 개폐기이다. 접촉기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고정 전극 사이를 이동전극을 통해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연결시킬 때에는 전자석의 힘을 이용하고 분리시킬 때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력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크로스 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고정 코어와 인접한 여자 코일에 기전력을 인가하여 고정 코어를 자화시킨 후, 그로 인해 발생된 자기력을 크로스 바에 장착된 가동 코어를 고정 코어측으로 당겨서, 크로스 바를 슬라이드 시키게 된다. 그로 인해서, 상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접점과 크로스 바에 설치되는 가동 접점 이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고정 접점과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고정 접점과 연결된 회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접촉기는 일정 정도의 절연성을 가져야 하며, 작동 과정에서 내부에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서,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열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상기 크로스 바 및 상하부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열 경화성 수지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아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지속적으로 마찰되는 경우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전자 접촉기에서는 작동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크로스 바가 슬라이드 이동을 반복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부가 마찰로 인해서 점차적으로 마모된다. 이러한 마모가 누적되면,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이동이 불량해지고 그로 인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이 불량해지게 되어 기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아울러, 마모로 인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분진이 발생되고, 이는 접촉 불량 및 소손의 원인이 되어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슬라이드 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 접점 및 안내 레일을 갖는 상부 프레임; 상기 안내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 코어,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 및 상기 크로스 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와 별개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를 이루는 재질은 상기 크로스 바에 비해 상기 안내 레일에 대한 마찰 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크로스 바와 안내 레일과 접촉하는 부분에 해당되는 슬라이드 부를 크로스 바 본체 보다 작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여, 마찰을 감소시킴으로써 마모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크로스 바는 전자 접촉기의 작동에 최적인 재질로 구성하고, 슬라이드 부는 마모 방지에 적합한 재질 로 구성하여 전자 접촉기로서의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슬라이드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의 일측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럭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접촉면의 선단부가 안내 레일의 표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드 부가 상기 안내 레일과 접하는 접촉면의 양측 단부를 라운드 처리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슬라이드 부를 타원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부를 판재로 구성하고 상기 크로스 바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와 안내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는 크로스 바 보다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임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 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몸체부는 안내 레일의 폭 보다 작게 하고 접촉부만이 안내 레일과 접촉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부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줄이고 제조시 치수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내 레일의 일측에 대해 2개 이상의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안내 레일이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크로스 바; 상기 가동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 점점; 및 상기 크로스 바를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 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바는 상기 안내 레일과 접하는 슬라이드 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마찰 계수는 크로스 바와 안내 레일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가동 코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 코어; 및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정 접점 및 홀더를 갖는 상부 프레임; 상기 홀더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 부,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 코어,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 및 상기 크로스 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와 홀더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크로스 바와 상부 프레임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종래의 안내 레일을 대신하는 것으로서, 홀더를 마찰 계수가 적은 재질로 구성하여 마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의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상기 홀더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마찰이 발생되던 부위를 마찰 계수가 적은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나머지 부분은 전자 접촉기의 작동에 유리한 재질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하부 프레임(10)과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 바(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내측에는 회로를 개폐시키는 고정 접점(2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 접점(22)과 마주하는 위치에 가동 접점(32)이 상기 크로스 바(3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크로스 바(30)의 후면에는 리턴 스프링(34)이 설치되어 크로스 바(30)가 일정 범위 이상 후퇴한 경우에 크로스 바(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10)의 내부에는 고정 코어(12) 및 상기 고정 코어(12)을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1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코어(12)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동 코어(36)가 상기 크로스 바(30)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전자 접촉기는 작동 과정에서 외부의 기전력이 상기 여자 코일(14)에 인가되고 이는 상기 고정 코어(12)를 자화시키게 된다. 자화된 고정 코어(12)의 자기력은 상기 가동 코어(36)를 고정 코어(12)측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서 상기 크로스 바(30)가 리턴 스프링(34)을 수축시키면서 도 1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가동 접점(32)이 상기 고정 접점(22)과 접하면서 회로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 후, 기전력을 제거하면, 자기력에 의해 고정 코어(12)측으로 이동하였던 크로스 바(30)는 상기 리턴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가동 접점(32)은 상기 고정 접점(22)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회로를 차단한다.
도 2에 상기 크로스 바(30)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크로스 바(30)는 중앙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가동 코어(36)가 고정되는 가동 코어 고정부(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동 코어 고정부(35)로부터 전면으로 돌출되는 가동 접점 고정부(37)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가동 코어 고정부(35)의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100)는 후술할 안내 레일(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크로스 바(3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 부(100)의 단부에는 원통형의 말단부(102)가 형성되고, 상기 말단부(102)와 인접하여 측면으로 한쌍의 고정 돌기(104)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100)의 말단부(102) 부근에는 슬라이드 부(110)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부(100)와 슬라이드 부(110) 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은 상기 크로스 바(30)가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20)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부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 형태를 가지며 저면이 개방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0)을 수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20)의 내측면 중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측면(27)에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안내 레일(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레일(25)은 상술한 크로스 바(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부(100)를 내측에 삽입한 상태에서 크로스 바(3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안내 레일(25)에 가이드 부(100)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안내 레일(25)의 폭은 상기 가이드 부(100)의 폭 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작동 중에 상기 가이드 부(100)와 상기 안내 레일(25)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상기 가이드 부(100)의 단부에 씌워지는 캡 형태를 가지며, 일측 단부로는 상기 말단부(102)가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110)가 가이드 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부(110)의 표면에는 두 개의 고정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2)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돌기(104)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돌기(104)는 반드시 두 개일 필요는 없으며, 그 형상도 반드시 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당업자가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 예로서, 상기 고정 돌기(104)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상기 가이드 부(100)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레일(25)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로 이동, 즉 슬라이드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100)와는 다른 재질, 구체적으로는 안내 레일(25)에 대한 마찰 계수가 가이드 부(100)에 비해서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된 슬라이드 부(110)는 열 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100)에 비해서 작은 마찰 계수를 가지므로 마찰 저항이 대폭적으로 감소되고, 그로 인해 마모도 감소되게 된다. 또한, 스테인레스는 경도의 면에서도 열 경화성 수지보다 유리하므로 내마모성이 높아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부(110)의 각 꼭지점 부근을 라운드 처리하여 슬라이드 과정에서 꼭지점이 상기 안내 레일(25)에 박혀서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반드시 내부가 비어있는 상자 형태로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가이드 부(100)에 고정되는 블럭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 부(110)는 상기 가이드 부(100)와 함께 인서트 성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부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 및 슬라이드 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100)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원통형의 말단부(102) 및 고정 돌기(104)를 갖는다. 한편, 스테인레스 재질의 슬라이드 부는 상기 가이드 부(10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안내 레일(25)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는 바디(210)의 양측에서 상기 안내 레일(25)을 향하여 돌출되는 4개의 접촉부(212)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부(212)의 선단부가 안내 레일(25)의 표면에서 슬라이드 하면서 크로스 바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반드시 4개일 필요는 없으며 임의의 적절한 개수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접촉부 만이 안내 레일과 접촉하므로 제조 과정에서 접촉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의 치수 관리를 엄격하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조가 용이해 진다. 또한, 안내 레일의 폭 전체를 채우는 경우에 비해서 재료 소모량이 적으므로 단가를 보다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 및 슬라이드 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300)는 그 단부에 두 개의 원통형 말단부(302)를 가지며, 상기 말단부(302)는 상기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안내 레일(25)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홀더(310)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홀더(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312) 내에 상기 두 개의 말단부(30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310)는 안내 레일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관통공(312)이 상기 크로스 바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게 된다. 즉, 홀더(310)의 크기를 정밀하게 안내 레일의 폭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가 보다 용이해 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 레일을 생략하고 홀더(310)가 상부 프레임(20)의 내면에 직접 고정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에 별도의 슬라이드 부를 형성하지 않고, 안내 레일의 내측면에 스테인레스와 같은 마찰 계수가 낮고 경도가 높은 판재를 부착하여 마모를 방지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로스 바와 안내 레일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 중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 상당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 상당도이다.
도 8은 도 7 중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Claims (12)

  1. 고정 접점 및 안내 레일을 갖는 상부 프레임;
    상기 안내 레일 상에서 슬라이드 하는 슬라이드 부,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 코어,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 및 상기 크로스 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와 별개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를 이루는 재질은 상기 크로스 바에 비해 상기 안내 레일에 대한 마찰 계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는 상기 크로스 바의 일측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럭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가 상기 안내 레일과 접하는 접촉면의 양측 단부가 라운드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안내 레일 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내 레일의 일측에 대해 2개 이상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는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크로스 바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8. 안내 레일이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하며,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크로스 바;
    상기 가동 접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는 고정 점점; 및
    상기 크로스 바를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 바는 상기 안내 레일과 접하는 슬라이드 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와 안내 레일 사이의 마찰 계수는 크로스 바와 안내 레일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크로스 바에 장착되는 가동 코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고정 코어; 및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10. 고정 접점 및 홀더를 갖는 상부 프레임;
    상기 홀더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 부, 슬라이드하면서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및 분리되는 가동 접점 및 가동 코어를 포함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 코어, 기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 코어를 자화시키는 여자 코일 및 상기 크로스 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와 홀더 사이의 마찰 계수가 상기 크로스 바와 상부 프레임의 마찰 계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가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080122118A 2008-12-03 2008-12-03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KR100990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118A KR100990267B1 (ko) 2008-12-03 2008-12-03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US12/624,770 US8427262B2 (en) 2008-12-03 2009-11-24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abrasion preventing means
EP09177063.6A EP2194554B1 (en) 2008-12-03 2009-11-25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abrasion preventing means
ES09177063T ES2571228T3 (es) 2008-12-03 2009-11-25 Contactor electromagnético con medios para evitar la abrasión
CN200910246844.3A CN101752144B (zh) 2008-12-03 2009-12-03 具有防磨损器件的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118A KR100990267B1 (ko) 2008-12-03 2008-12-03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554A KR20100063554A (ko) 2010-06-11
KR100990267B1 true KR100990267B1 (ko) 2010-10-26

Family

ID=4203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118A KR100990267B1 (ko) 2008-12-03 2008-12-03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27262B2 (ko)
EP (1) EP2194554B1 (ko)
KR (1) KR100990267B1 (ko)
CN (1) CN101752144B (ko)
ES (1) ES257122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1994A (zh) * 2014-06-26 2014-09-03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合闸接触器
JP6528271B2 (ja) * 2015-04-13 2019-06-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EP3450742B1 (en) * 2016-04-26 2019-09-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switch device for starter
KR102349754B1 (ko) * 2019-12-06 2022-01-11 엘에스일렉트릭(주) 아크 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DE102020203056A1 (de) * 2020-03-10 2021-09-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 Schaltvorrichtung, insbesondere ein Stromschütz oder ein Relais, mit Kontaktierungselement und Befestigungsel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074A (ja) * 1992-12-25 1994-07-15 Hitachi Ltd 電磁接触器
KR20030058227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레일 결합장치
KR20050065120A (ko) * 2003-12-24 200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KR20090004309U (ko) * 2007-11-02 2009-05-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59406A (en) 1953-04-07 1956-10-17 Licentia Gmbh An electric switching device particularly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3194920A (en) * 1964-06-23 1965-07-13 Ward Leonard Electric Co Electrical contactor
DE7235951U (de) * 1972-09-29 1976-04-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US4281305A (en) * 1979-06-18 1981-07-28 Clark Control, Inc. Electromagnetic switching apparatus
DE19814432C1 (de) 1998-03-31 1999-12-23 Moeller Gmbh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mit einem mehrteiligen Gehäuse
DE29823818U1 (de) 1998-03-31 1999-12-09 Moeller Gmbh Elektromagnetisches Schaltgerät mit Magnetantrieb und Brückensystem
JP2000100305A (ja) * 1998-09-21 2000-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点開閉装置
JP4279534B2 (ja) * 2002-10-04 2009-06-1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電磁ソレノイド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速機のシフトアクチュエータ
KR100618610B1 (ko) * 2004-12-07 2006-09-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기구 장치
JP4766253B2 (ja) * 2006-05-19 2011-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6074A (ja) * 1992-12-25 1994-07-15 Hitachi Ltd 電磁接触器
KR20030058227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레일 결합장치
KR20050065120A (ko) * 2003-12-24 200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KR20090004309U (ko) * 2007-11-02 2009-05-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52144B (zh) 2014-01-08
EP2194554B1 (en) 2016-02-17
EP2194554A3 (en) 2012-08-08
CN101752144A (zh) 2010-06-23
EP2194554A2 (en) 2010-06-09
KR20100063554A (ko) 2010-06-11
US8427262B2 (en) 2013-04-23
ES2571228T3 (es) 2016-05-24
US20100134224A1 (en) 201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267B1 (ko)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EP2863408B1 (en) Magnetic contactor
US20170092450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2012104277A (ja) 電磁リレー
CN101872696A (zh) 电磁接触器
SK287728B6 (en) Electromechanical remote switch
CN101599392B (zh) 无需工具的接触块
US8026782B2 (en) Magnet system for an electrical actuator
US4506243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0460095Y1 (ko)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CN110970266A (zh) 电磁继电器
US5103199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12582218A (zh) 继电器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KR101961660B1 (ko) 전자접촉기
JP7156050B2 (ja) リレー
JP2008311159A (ja) 接触子装置
JP2009009813A (ja) 電磁接触器
JP5610045B2 (ja) 接点開閉器
CN215059531U (zh) 一种格栅门
CN111886667B (zh) 触点开闭器
JP5312773B2 (ja) 電気スイッチ
CN206441669U (zh) 小型电磁继电器
KR200143976Y1 (ko) 전자접촉기의 마그네트 케이스 충격흡수장치
CN110690064A (zh) 一种负载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