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09U -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09U
KR20090004309U KR2020070017775U KR20070017775U KR20090004309U KR 20090004309 U KR20090004309 U KR 20090004309U KR 2020070017775 U KR2020070017775 U KR 2020070017775U KR 20070017775 U KR20070017775 U KR 20070017775U KR 20090004309 U KR20090004309 U KR 20090004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cross bar
assembly
core assembly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6415Y1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7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1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후 유동이 억제되어 미세 진동 또는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연결 홈 부가 형성된 가동 코어;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연통하는 연결 공을 가진 지지 돌 부를 구비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상기 크로스 바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상기 크로스 바의 지지 돌 부의 연결 공에 삽입되는 연결 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 접촉기, 가동 코어 어셈블리, 연결 홈, 가동 코어, 지지 돌 부, 연결 봉

Description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MOVABLE CORE ASSEMBLY FOR 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로스 바(cross bar)와 가동 코어의 접속 구성을 개선하여 조립성 및 접속 성능이 향상된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는 일반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주회로를 개폐시킴으로써 전동기를 운전 또는 정지 제어하기 위한 제어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전기 기기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일 예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연결 판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와 연결 판의 조립체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크로스 바의 상하 위치를 뒤집어서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5는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조립한 상태의 종래기술에 따른 전 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크게 구분하여 크로스 바(cross bar)(1)와, 가동 코어(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cross bar)와, 가동 코어를 접속시키는 연결 판(3)이 도시되어 있는 바, 연결 판(3)은 중앙부가 볼록하고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양 단 부를 갖는 금속 재 박판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판 스프링이다.
연결 판(3)을 이용해서 크로스 바(cross bar)와, 가동 코어를 접속시켜서 종래기술에 따른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방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코어(2)의 중앙 상부에 마련된 사각 구멍(4)에 연결 판(3)을 밀어넣어 장착한다. 연결 판(3)은 상기와 같이 중앙부가 볼록한 판 스프링이기 때문에, 일단 장착 후에는 탄성력을 사각 구멍(4)의 벽면에 작용하여 밀착하므로 쉽게 상당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탈하지 않고 위치 유지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바(1)의 상하를 뒤집은 상태에서, 크로스 바(1)의 지지 홈 부(1a-1)에 도 3과 같이 조립된 연결 판(3)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판(3)과 가동 코어(2)의 조립체를 상하 뒤집어서 장착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되며, 크로스 바(1)의 지지 홈 부(1a-1)에 연결 판(3)의 절곡된 양 단 부가 탄성 복원력을 인가하는 상태로 지지되므로 가동 코어(2)와 크로스 바(1)의 접속이 유지된다.
그러나 도시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가동 코어(2)에 연결 판(3)이 삽입된 장착상태에서 가동 코어(2)와 연결 판(3)의 조립체를 크로스 바(1)에 다시 조립하는 조립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연결 판(3)이 가동 코어(2)에 수평적으로 정확히 장착되지 않고 다소 기울어지게 장착된 경우 가동 코어(2)와 연결 판(3)의 조립체를 크로스 바(1)에 다시 조립하는 것이 쉽지 않고, 기울어져 상승한 연결 판(3)의 단 부를 드라이버 같은 별도의 공구로 누르면서 장착하는 도중 연결 판(3)이 가동 코어(2)로부터 빠지는 등 조립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 판(3) 이외에 가동 코어(2)를 크로스 바(1)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속 물이 없기 때문에, 연결 판(3)의 탄성이 줄어들면 가동 코어(2)와 크로스 바(1)가 분리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연결 판(3)이 가동 코어(2)에 수평적으로 정확히 장착되지 않고 다소 기울어지게 장착된 경우 가동 코어(2)와 미 도시의 고정 코어가 접점 접촉 동작시에 정확히 접촉되지 못하고 접촉이 불량하여 미세 진동하는 현상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소음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이 간편하고 조립 후 유동이 억제되어 미세 진동 및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연결 홈 부가 형성된 가동 코어;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연통하는 연결 공을 가진 지지 돌 부를 구비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상기 크로스 바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상기 크로스 바의 지지 돌 부의 연결 공에 삽입되는 연결 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접속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동 코어 및 크로스 바에 구비되는 연결 홈 또는 연결 홈에 최후로 연결 봉을 끼워 넣음으로써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접속시키는 구조이므로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가동 코어의 상부에 형성되는 요홈 부에 끼워지는 2층 구조의 돌출 부가 크로스 바에 구비되어, 연결 봉 외에 추가적으로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가 접속되는 구성이 마련되므로 가동 코어의 유동이 억제되어, 전자 접촉기의 온(on) 구동시 가동 코어가 고정 코어에 불량하게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미세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가동 코어의 연결 홈의 구경을 연결 봉의 직경 보다 크게하여 연결 봉을 가동 코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조립시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의 중심점과 연결 봉의 중심점을 다르게 위치하여 연결 봉과 크로스 바의 돌출 부 사이에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의 입구부분이 끼워지므로 조립 후 가동 코어의 상하방향 유동이 억제되고 연결 봉의 유동도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의 작용 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 도인 도 6과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조립한 상태의 본 고안 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 9의 A-A'선 단면도인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크게 구분하여 가동 코어(2)와, 크로스 바(1) 및 연결 봉(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0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a는 크로스 바(1)의 하부 면 상에 마련되는 연결 봉(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 부이며, 미설명 부호 2a는 가동 코어(2)의 중앙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 봉(5)이 삽입되는 연결 홈 부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에 대한 사시 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가동 코어(2)의 구성을 좀 더 상세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코어(2)는 일면에, 다시 말해서 사용상태에서 상부 면이 되는 면에 연결 홈 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홈 부(2a)는 바람직하기로 거의 원에 가까운 홈으로서 연결 봉(5) 보다 그 구경이 크게 형성되고, 가동 코어(2)의 두께 방향으로 전체 두께를 관통하게 형성된다. 연결 홈 부(2a)의 입구 부에는 요홈 부(2b)가 연장 형성되며, 요 홈 부(2a)는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할 크로스 바(1)의 돌출 부(1d)에 상대적으로 대응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가동 코어와 상기 크로스 바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상기 크로스 바의 지지 돌 부의 연결 공에 삽입되는 연결 봉(5)이 사시 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연결 봉(5)은 바람직하게 직경이 일정한 금속 재 봉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크로스 바에 대한 사시 도로서 가동 코어와의 접속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를 뒤집어서 보여주는 사시 도인 도 9를 참조하여 크로스 바(1)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로스 바(1)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부호 미지정한 접점들(통상 3상 교류용으로는 3개의 접점들)을 지지하는 합성 수지 재와 같은 전기적 절연재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설명을 위해 상하를 뒤집어서 비스듬히 내려다 보게 도시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상부면(사용 상태에서는 저면) 상에 중앙 부를 따라서 상기 가동 코어(2)의 상부 면이 밀착하게 되는 접속 면(1e)이 구비되고, 접속 면(1e)의 중앙 부 양측 2개소에는 상술한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2a)와 연통하는 연결 공(1c)을 가진 지지 돌 부(1a)가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연결 봉(5)을 조립할 때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2a)의 구경은 크로스 바(1)의 연결 공(1c)의 구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한다.
한 쌍의 지지 돌 부(1a)의 연결 공(1c)으로부터 각각 상기 상부 면(사용 상태에서는 저면)의 모서리까지 연장하게, 연결 봉(5)의 삽입을 안내하고 연결 봉(5)을 수용하는 연결 홈 부(1b)가 마련된다.
한 쌍의 지지 돌 부(1a)사이의 접속 면(1e)상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가동 코어(2)의 요홈 부(2b)에 상대적으로 대응하게 단계적으로 도 9에서 상방으로(사용상태에서는 예컨대 도 10에서는 하방으로)돌출하게 돌출 부(1d)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실시 예상 돌출 부(1d)는 2층으로 형성된다.
연결 봉(5)을 조립했을 때, 돌출 부(1d)의 도 9에서 최상면(사용상태 예컨대 도 10에서는 최하면)은 연결 봉(5)과 밀착하며, 삽입시 연결 봉(5)이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최상 면의 높이는 지지 돌 부(1a)의 연결 공(1c)의 최저점 높이와 일치하게 마련된다.
한편, 도 10의 점선 원내 확대 도인 도 1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조립상태에서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 및 연결 봉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동 코어(2)를 크로스 바(1)에 조립한 상태에서, 연결 봉(5)을 크로스 바(1)의 양 연결 홈 부(1b) 및 연결 공(1c)을 통해 설치했을 때, 가동 코어(2)의 수평방향상 유동은 크로스 바(1)의 돌출 부(1d)에 의해서 억제된다.
또한,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2a)의 구경이 크로스 바(1)의 연결 공(1c)의 구경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 구성에 따라서, 연결 봉(5)이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2a) 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하고 따라서 가동 코어(2)가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바, 이러한 가동 코어(2) 및 연결 봉(5)의 수직방향 유동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봉의 중심(C1)과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의 중심(C2)이 서로 다르게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 봉(5)과 크로스 바(1)의 돌출 부(1d) 사이에 가동 코어(2)의 연결 홈 부의 입구부분이 끼워져 가동 코어(2) 및 연결 봉(5)의 상하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크로스 바(1)의 상하를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크로스 바(1)의 도 9상 상부 면(사용상태에서는 저면) 중 접속 면(1e) 상에 가동 코어(2)를 올려놓되, 가동 코어(2)의 요 홈 부(2b)가 크로스 바(1)의 돌출 부(1d)와 맞춰지도록 올려놓는다. 이 상태에서, 가동 코어(2)는 크로스 바(1)의 돌출 부(1d)에 의해서 수평방향 유동이 제한된다.
다음, 연결 봉(5)을 크로스 바(1)의 양 연결 홈 부(1b) 및 연결 공(1c)을 통해 끼워 넣으면,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사용시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에 도시된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미리 설정된 거리 하부 위치에는 미 도시의 고정 코어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고정 코어 어셈블리는 고정 코어와, 고정 코어에 감겨는 자화 코일과, 가동 코어 어셈블리와 고정 코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는 복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접점을 닫아서 예컨대 전동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때, 제어 전원 (제어 신호)가 상기 자화 코일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고정 코어가 자화되어 상부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흡인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서로 결합된 크로스 바(1)와 가동 코어(2)의 조립체는 고정 코어 쪽으로 하향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크로스 바(1)에 설치된 가동 접점이 미 도시한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전원과 전동기간 회로를 통전시킴으로써 전동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동기가 운전된다. 상기 제어 전원(제어 신호)의 인가가 중지되면, 고정 코어가 소자되고 따라서 흡인력이 소멸하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코어 어셈블리는 상방으로 밀려나며, 그에 따라서 크로스 바(1)에 설치된 가동 접점이 미 도시한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되어, 전원과 전동기간 회로를 차단시킴으로써 전동기와 같은 부하에 전원 공급이 중지되고 따라서 전동기가 정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연결 판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와 연결 판의 조립체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크로스 바의 상하 위치를 뒤집어서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5는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조립한 상태의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를 상부로부터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 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가동 코어에 대한 사시 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연결 봉에 대한 사시 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중 크로스 바에 대한 사시 도로서 가동 코어와의 접속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서 상하를 뒤집어서 보여주는 사시 도이고,
도 10은 가동 코어와 크로스 바를 조립한 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 9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점선 원내 확대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크로스 바(cross bar) 1a-1: 지지 홈 부
1a: 지지 돌 부 1b: 연결 홈 부
1c: 연결 공 1d: 돌출 부
1e: 접속 면
2: 가동 코어 2a: 연결 홈 부
2b: 요홈 부 3: 연결 판
4: 사각 구멍 5: 연결 봉
C1: 연결 봉의 중심 C2: 연결 홈 부의 중심

Claims (4)

  1.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연결 홈 부가 형성된 가동 코어;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연통하는 연결 공을 가진 지지 돌 부를 구비하는 크로스 바; 및
    상기 가동 코어와 상기 크로스 바를 접속시키도록,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와 상기 크로스 바의 지지 돌 부의 연결 공에 삽입되는 연결 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 중 상기 가동 코어에 접속되는 면에 마련되는 돌출 부; 및
    상기 돌출 부에 상대적으로 상기 가동 코어에 마련되어 상기 돌출 부와 접속되는 요홈 부를 추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바의 돌출 부는 2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조립 후 상기 가동 코어와 상기 연결 봉의 상하방향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기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의 중심과 상기 연결 봉의 중심이 다르게 위치한 상태에서 연결 봉과 크로스 바의 돌출 부 사이에 가동 코어의 연결 홈 부의 입구부분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KR2020070017775U 2007-11-02 2007-11-02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KR200446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75U KR200446415Y1 (ko) 2007-11-02 2007-11-02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775U KR200446415Y1 (ko) 2007-11-02 2007-11-02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09U true KR20090004309U (ko) 2009-05-08
KR200446415Y1 KR200446415Y1 (ko) 2009-10-28

Family

ID=4129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775U KR200446415Y1 (ko) 2007-11-02 2007-11-02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67B1 (ko) * 2008-12-03 2010-10-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462B1 (ko) 2010-01-07 2010-07-08 (주)에마텍 영구자석을 이용한 조작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521Y1 (ko) * 1999-01-21 2002-02-06 이종수 전자 접촉기
KR200225124Y1 (ko) 2000-12-22 2001-05-15 엘지산전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결합장치
KR100459474B1 (ko) 2002-02-08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267B1 (ko) * 2008-12-03 2010-10-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마모 방지 수단을 갖는 전자 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15Y1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5582B2 (ja) 電気かみそりと充電器との保持構造
EP2688084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7477119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90825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8008999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4116022B2 (ja) 電磁リレー
US8823474B2 (en) Contact switching mechanism and electromagnetic relay
US8274346B2 (en) Electromagnetic contact device
US9312087B2 (en) Electronic contactor including separable upper bodies
KR200446415Y1 (ko)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US4831348A (en) Low profile electromagnetic relay to printed circuit board
CN210136828U (zh) 衔铁可稳定复位的继电器
CN106328446A (zh) 一种磁保持继电器、磁路结构及其工作方法
CN220509931U (zh) 一种贴片继电器
CN109716477B (zh) 电磁继电器
CN216528649U (zh) 一种接触器的铁芯支持组件及接触器
KR200489019Y1 (ko) 전자접촉기
CN219642745U (zh) 衔铁及继电器
CN220731376U (zh) 一种按钮支架结构
KR200456667Y1 (ko) 전자 접촉기
CN210378904U (zh) 防衔铁脱离的轭铁
JP5115236B2 (ja) 電磁石装置
KR102518886B1 (ko) 전자접촉기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JPH01342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