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920B1 -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920B1
KR100304920B1 KR1019970069292A KR19970069292A KR100304920B1 KR 100304920 B1 KR100304920 B1 KR 100304920B1 KR 1019970069292 A KR1019970069292 A KR 1019970069292A KR 19970069292 A KR19970069292 A KR 19970069292A KR 100304920 B1 KR100304920 B1 KR 100304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core
magnetic contactor
movabl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220A (ko
Inventor
최관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6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9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는 가동코어의 장착상태가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에 상관없이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토록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작동상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접촉자(62)가 장착된 슬롯프레임(42)과 상기 슬롯프레임(42)의 하단에 구비되며 그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홀(44c)이 형성된 클립부(44)로 구성된 크로스바(40)와, 상기 클립부(44)의 하방에 위치되는 가동코어(22)와, 상기 가동코어(22)의 하면을 받치고 중앙에 가동코어(22)의 중앙코어부(22a)가 관통되는 관통홀(72a)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72)와 상기 메인플레이트(72)의 선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74)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클립부(44)의 걸림홀(44c)에 삽입되어 가동코어(22)를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결속시키는 걸림돌기(74c)로 구성된 받침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fixing structure for moving core of 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코어의 장착상태를 더욱 견고히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를 다양화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모터 등의 과부하 보호를 위한 열동형 과부하계전기(Thermal 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며,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것으로서,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 또는 접속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작동제어를 위한 전자석부와, 상기 접점부 및 전자석부가 설치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된 상 하부 프레임과, 접점부와 전자석부의 연동을 위해 승강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크로스바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부프레임(10)에 장착된 고정코어(20)와, 상기 고정코어(20)를 자화시키기 위해 장착된 보빈코일(30) 및 자화된 고정코어(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가동코어(22)로 이루어져 있는 바, 고정코어(20)와 가동코어(22) 사이에는 끌어당겨진 가동코어(22)를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리턴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다.
접점부는 상부프레임(12)의 양측단에 분리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좌 우 고정접촉자(60)와, 크로스바(40)에 설치되어 상기 좌 우 고정접촉자(6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가동접촉자(6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40)는 세로방향의 슬롯이 다수개 구비된 슬롯프레임(42)과, 슬롯프레임(42)의 하단에 형성된 클립부(44)로 구성되며 상 하부프레임(12,1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가동코어(22)는 그 상단을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관통하는 고정핀(24)이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끼워짐으로써 크로스바(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고정코어(20)와 가동코어(22) 및 고정접촉자(60)와 가동접촉자(62)가 분리되어 전기회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보빈코일(30)에 전류가 인가되어 고정코어(20)가 자화될 경우, 상기 고정코어(20)의 자력에 의해 가동코어(22)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22)와 결합된 크로스바(40)가 리턴스프링(5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고 상기 크로스바(40)에 설치된 가동접촉자(62)와 상부프레임(1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60)가 접속되어 전기회로가 통전된다.
그리고, 다시 보빈코일(3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고정코어(20)의 자력이 소실되어 고정코어(20)와 가동코어(22)가 다시 분리되고 크로스바(40)가 원위치로 이동하여 고정접촉자(60)와 가동접촉자(62) 역시 분리됨으로써 전기회로가 차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고정핀(24)이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슬릿(44a)에 그 양단이 단순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코어(22)를 지탱하고 있는 바, 상기 고정핀(24)은 슬릿(44a)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부(44b)를 통해 슬릿(44a)의 안쪽에 밀어넣어지는 방식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44b)가 아래를 향하게끔 전자접촉기가 취부된 상태에서는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고정핀(24)이 슬릿(44a)을 타고 점차 아래로 이동하다가 결국 개구부(44b)를 통해 클립부(44)에서 빠지게 되므로 결국 전자접촉기를 다양한 각도로 취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동코어가 크로스바에 더욱 견고히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를 다양화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동접촉자가 장착된 슬롯프레임과 상기 슬롯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그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클립부로 구성된 크로스바와, 상기 클립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을 받치고 중앙에 가동코어의 중앙코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클립부의 걸림홀에 삽입되어 가동코어를 크로스바의 클립부에 결속시키는 걸림돌기로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자접촉기에서 가동코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프레임 12 : 상부프레임
20 : 고정코어 22 : 가동코어
22a : 중앙코어부 24 : 고정핀
30 : 보빈코일 40 : 크로스바
42 : 슬롯프레임 44 : 클립부
44a : 슬릿 44b : 개구부
44c : 걸림홀 50 : 리턴스프링
60 : 고정접촉자 62 : 가동접촉자
70 : 받침대 72 : 메인플레이트
72a : 관통홀 74 : 연장부
74c : 걸림돌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에서 도 4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가동접촉자(62)가 장착된 슬롯프레임(42)과 상기 슬롯프레임(42)의 하단에 구비되며 그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홀(44c)이 형성된 클립부(44)로 구성된 크로스바(40)와, 상기 클립부(44)의 하방에 위치되는 가동코어(22)와, 상기 가동코어(22)의 하면을 받치는 메인플레이트(72)와 상기 메인플레이트(72)의 선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74)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클립부(44)의 걸림홀(44c)에 삽입되어 가동코어(22)를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결속시키는 걸림돌기(74c)로 구성된 받침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70)의 메인플레이트(72)에는 가동코어(22)의 중앙코어부(22a)가 돌출되도록 관통홀(72a)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받침대(70)는 메인플레이트(72)가 가동코어(22)의 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걸림돌기(74c)가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형성된 걸림홀(44c)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가동코어(22)와 크로스바(40)를 결속하게 되는 바, 이때 가동코어(22)의 중앙코어부(22a)는 메인플레이트(72)의 관통홀(72a)을 통해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가동코어(22)가 종래와 같이 고정핀(24)(도 2참조)에 의해 크로스바(40)의 클립부(44)에 매달리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받침대(70)의 메인플레이트(72), 연장부(74), 걸림돌기(74c)의 연계구조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장착되므로 크로스바(40)와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가동코어(22)가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코어의 장착상태가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에 상관없이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자접촉기의 작동상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발생한다.

Claims (1)

  1. 가동접촉자가 장착된 슬롯프레임과 상기 슬롯프레임의 하단에 구비되며 그 양측면에 다수개의 걸림홀이 형성된 클립부로 구성된 크로스바와;
    상기 클립부의 하방에 위치되는 가동코어와;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을 받치고 중앙에 가동코어의 중앙코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선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상기 클립부의 걸림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코어를 크로스바의 클립부에 결속시키는 걸림돌기로 구성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
KR1019970069292A 1997-12-16 1997-12-16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KR10030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92A KR100304920B1 (ko) 1997-12-16 1997-12-16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292A KR100304920B1 (ko) 1997-12-16 1997-12-16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220A KR19990050220A (ko) 1999-07-05
KR100304920B1 true KR100304920B1 (ko) 2001-10-19

Family

ID=3752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292A KR100304920B1 (ko) 1997-12-16 1997-12-16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74B1 (ko) * 2002-02-08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KR200476957Y1 (ko) * 2011-06-24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224A (en) * 1981-01-30 1982-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 spr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224A (en) * 1981-01-30 1982-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act spr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22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594Y1 (ko) 전자 릴레이
US20020036557A1 (en) Electromagnetic relay
US6204740B1 (en) Coaxial relay
US6337612B1 (en) Switch using solenoid
KR910007040B1 (ko) 전자 계전기
JPS6334178Y2 (ko)
US4766273A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CA1249000A (en) Electromagnetic relay
CA2012457C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US4831348A (en) Low profile electromagnetic relay to printed circuit board
US3088058A (en) Contactor
US3493903A (en) Electromagnetic relay with a suspended armature
US4521655A (en) Electric power switch with slotted commutation end plate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US2310334A (en) Relay
US3748608A (en) Electric control device
KR100290933B1 (ko)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JP3814861B2 (ja) 電気機器及び電磁継電器
KR102349755B1 (ko) 전자접촉기
CN218385044U (zh) 一种继电器
KR19990039212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KR870000780Y1 (ko) 전자 접촉기 보조 접점 케이스
KR200224240Y1 (ko)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19990065904A (ko) 전자접촉기의 헤드온 타입 록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