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957Y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957Y1
KR200476957Y1 KR2020110005805U KR20110005805U KR200476957Y1 KR 200476957 Y1 KR200476957 Y1 KR 200476957Y1 KR 2020110005805 U KR2020110005805 U KR 2020110005805U KR 20110005805 U KR20110005805 U KR 20110005805U KR 200476957 Y1 KR200476957 Y1 KR 200476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movable
contact
spacer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092U (ko
Inventor
이후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5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957Y1/ko
Priority to CN2012203012647U priority patent/CN202736848U/zh
Publication of KR20130000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0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9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의 변형을 방지하고, 전자접촉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호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이동가능한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크로스바; 고정접점; 및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과 분리를 통해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수용되어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가압하는 탄성체; 상기 크로스바에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A 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열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의 변형을 방지하고, 전자접촉기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줄 수 있는 보호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주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개폐하는 장치로 과전류 또는 이상 전류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는 차단기와는 달리 주회로를 임의적인 개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접촉기는 크로스바에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접촉자가 조립되어 있고, 가동접점과 대향하여 고정접점이 구비되며, 크로스바의 하부에는 가동코어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자접촉기에는 코일이 감겨진 보빈과, 보빈에 연결된 고정코어가 구비된다.
보빈에 감겨진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기적 흡인력이 발생하고, 고정코어에 대해 가동코어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코어에 연동되는 크로스바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가동되며, 이에 의해 가동접점이 고정점점과 접촉 또는 분리되어 회로를 개폐하게 된다.
한편, 전자접촉기가 부하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경우, 이상사고에 의해 폐로차단할 때나 정격전류 이상 사용시 전류가 통전될 때 가동접점의 온도가 급격하게 올라가게 된다. 그에 따라 가동접촉자와 접촉되는 크로스바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크로스바가 녹아서 변형이 되어 전자접촉기의 성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나아가 가동접촉자가 녹아내린 크로스바에 끼어서 동작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자접촉기의 동작시 가동접촉자를 통해 크로스바에 전달되는 열과 충격을 감소시켜 전자접촉기의 파손 및 동작 이상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구성을 가진다.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의 일 실시예는,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이동가능한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크로스바; 고정접점; 및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과 분리를 통해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바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수용되어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가압하는 탄성체; 상기 크로스바에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하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열전도성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양측에서 상기 하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은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한 상기 스페이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에서 굴곡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해 상기 스페이서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가동 하한을 유지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크로스바에 열전도성이 낮은 스페이서를 구비하여, 가동접촉자와의 접촉에 의해 열이 크로스바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크로스바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보안은 크로스바에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크로스바에 대한 가동접촉자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전자접촉기의 오작동 및 작동 불량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제거하여 전자접촉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의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N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FF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크로스바에 스페이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일반적인 구성으로 공지된 부분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자접촉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제거하여 전자접촉기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고정접점(120)이 설치된 상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10)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프레임(20),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설치된 크로스바(4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20)은 링크(30)에 의해 결합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접촉기는 크로스바(40)의 하부에 가동코어(60)가 연결되고, 가동코어(60)의 하측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하부프레임(20)에 설치된 고정코어(90)가 구비된다. 또한, 가동코어(60)와 고정코어(90) 사이에 설치되며 코일(100)이 감겨진 보빈(70) 및 가동코어(60)와 보빈(70) 사이에 설치된 백스프링(80)이 구비된다.
상기 크로스바(40)의 상부에는 가동접점(51)이 구비된 복수개의 가동접촉자(50)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가동접점(51)들과 대향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고정접점(120)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터미널(110)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터미널(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00)에서 흡입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흡입력으로 인해 가동코어(60)가 고정코어(90)에 접촉하면서 백스프링(80)은 압축된다. 이때, 가동코어(60)와 연결된 크로스바(40)가 함께 아래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점(51)은 고정접점(120)과 접촉하게 된다.
반대로, 코일터미널(110)에 전원이 끊어지면 코일(100)에 발생한 흡입력이 사라지면서, 백스프링(80)이 팽창하면서 가동코어(60)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가동코어(60)와 연결된 크로스바(40)가 함께 위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점(51)은 고정접점(120)과 떨어지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의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N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 도 5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FF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크로스바에 스페이서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크로스바(40)에는 상기 가동접촉자가 수용되어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용부(4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41)는 도 3에서 크로스바(40)를 관통하는 홀과 같은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40)의 수용부에 가동접촉자(50)가 수용되는데, 상기 수용부(41)에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50)를 가압하는 탄성체(54), 상기 가동접촉자를 중심으로 상기 수용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스페이서(140)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수용부(41)는,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상부면(41a)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하부면(4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면(41a)에는 상기 탄성체(54)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가이드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가동접촉자(50)는 가동접촉자의 바(bar) 형태의 몸체(52)의 양단에 가동접점(51)들이 구비되고, 몸체(52)의 상면에 탄성체(54)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결합돌기(5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하부면(41b)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42)에 형성되는 고정홈(4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정홈(43)에는 후술할 스페이서의 고정부(144,145)가 안착된다.
상기 스페이서(140)는 도 3과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50)와 상기 하부면(41b)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50)가 상기 하부면(41b)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스페이서(140)는 상기 가동접촉자(50)와 접촉되는 접촉면(141)과, 상기 접촉면의 양측에서 상기 하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측면(142)과 제2측면(14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은 특정한 방향성이나 순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 구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140)는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으며, 좌우가 바뀌어 사용되어도 무관한다.
상기 제1측면(142)과 제2측면(143)은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42)에 고정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한 상기 스페이서의 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에서 굴곡된 고정부(144,14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44,145)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42)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고정홈(43)들에 안착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해 상기 스페이서가 고정된다.
상기 스페이서(50)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크로스바로 전달되는 열을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의 재질로 열전도성이 낮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는 도 3과 같이 상기 가동접촉자(50)와 상기 하부면(41b)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50)가 상기 하부면(41b)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전술하였듯이 열전도성이 낮은 재질을 사용하여 가동접촉자로부터 크로스바로 전달되는 열을 차폐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N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코일터미널(11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00)에서 흡입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흡입력으로 인해 가동코어(60)가 고정코어(90)에 접촉하면서 가동코어(60)와 연결된 크로스바(40)가 함께 아래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가동접점(51)은 고정접점(120)과 접촉하게 되고, 도 4와 같이 아래로 이동한 크로스바의 하부면(41b)과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아래로 이동되지 못한 가동접촉자(50)가 이격되어 있다. 이 때, 탄성체(54)에 의해 가동접촉자는 하부로 가압되어, 가동접점(51)과 고정접점(120)간의 접압으로 작용된다.
도 5는 크로스바와 가동접촉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자접촉기가 OFF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코일터미널(110)에 전원이 끊어지면 코일(100)에 발생한 흡입력이 사라지면서, 백스프링(80)이 팽창하여 가동코어(60)가 위쪽방향으로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가동코어(60)와 연결된 크로스바(40)가 함께 위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점(51)은 고정접점(120)과 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140)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가동 하한을 유지한다. 즉,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분리되면, 상기 가동접촉자는 탄성체의 가압에 의해 하부면(41b)측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가동접촉자는 상기 하부면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가동접촉자에서 전달되는 열을 상기 스페이서가 차폐한다고 하더라도, 크로스바의 일부(42)로 완전히 차폐하지 못하고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크로스바의 일부가 녹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가동접촉자가 가동 하한이 무너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이러한 크로스바의 일부가 녹아도 같이 녹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다라서, 크로스바의 일부가 녹는지 여부에 관계 없이 상기 가동접촉자의 가동 하한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측면(142)과 제2측면(143)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은, 상기 스페이서의 양 측면에 탄성을 부여하여, 상기 스페이서를 크로스바에 장착시 크로스바의 수용부의 하부면(41b)측에 상기 스페이서를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장착된 후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고안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 상부프레임 20 : 하부프레임
30 : 링크 40 : 크로스바
41 : 수용부 43 : 고정홈
50 : 가동접촉자 51 : 가동접점
54 : 탄성체 60 : 가동코어
70 : 보빈 80 : 백스프링
90 : 고정코어 100 : 코일
110 : 코일터미널 120 : 고정접점
140 : 스페이서 141 : 접촉면
142,143 : 측면 144,145 : 고정부

Claims (5)

  1. 고정코어; 상기 고정코어에 대해 이동가능한 가동코어; 상기 가동코어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크로스바; 복수개의 고정접점; 및 상기 크로스바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접점과의 접촉과 분리를 통해 회로를 개폐하는 가동접점이 구비된 복수개의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에 형성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수용되어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를 가압하는 탄성체;
    상기 크로스바에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탄성체가 장착되는 상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대향하고 상기 스페이서가 장착되는 하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상기 하부면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동접촉자가 상기 하부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와 접촉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의 양측에서 상기 하부면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은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한 상기 스페이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바는 상기 하부면을 포함하는 상기 크로스바의 일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에서 굴곡된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이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상기 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크로스바에 대해 상기 스페이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가동접촉자의 가동 하한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2020110005805U 2011-06-24 2011-06-24 전자접촉기 KR200476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05U KR200476957Y1 (ko) 2011-06-24 2011-06-24 전자접촉기
CN2012203012647U CN202736848U (zh) 2011-06-24 2012-06-21 电磁接触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805U KR200476957Y1 (ko) 2011-06-24 2011-06-24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092U KR20130000092U (ko) 2013-01-03
KR200476957Y1 true KR200476957Y1 (ko) 2015-04-17

Family

ID=476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805U KR200476957Y1 (ko) 2011-06-24 2011-06-24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6957Y1 (ko)
CN (1) CN20273684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3561B2 (en) * 2014-06-05 2020-03-31 Ludus Materials Ltd. Physical training system and methods useful in conjunction therewith
CN104576223B (zh) * 2015-01-28 2016-11-23 乐清市长征电器开关厂 交流接触器的接触机构
CN108987192A (zh) * 2018-08-28 2018-1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接触器触头支架和接触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56A (ja) * 1991-11-05 1993-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接触子支持機構
KR19980069568A (ko) * 1997-02-28 1998-10-26 구자홍 전자접촉기 크로스바의 가동접촉자 스프링 써포트 어셈블리 조립 구조
KR19990050220A (ko) * 1997-12-16 1999-07-0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
KR20090085979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8956A (ja) * 1991-11-05 1993-05-25 Mitsubishi Electric Corp 可動接触子支持機構
KR19980069568A (ko) * 1997-02-28 1998-10-26 구자홍 전자접촉기 크로스바의 가동접촉자 스프링 써포트 어셈블리 조립 구조
KR19990050220A (ko) * 1997-12-16 1999-07-0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장착구조
KR20090085979A (ko) * 2008-02-05 2009-08-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36848U (zh) 2013-02-13
KR20130000092U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405B1 (ko) 전자계전기 및 전자계전기의 제조방법
KR101412593B1 (ko) 배선용 차단기 아크 소호장치
KR200476957Y1 (ko) 전자접촉기
WO2017156978A1 (zh) 断路器
US10770248B2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KR100983686B1 (ko) 전자접촉기
US8390405B2 (en) Circuit breaker
KR100918987B1 (ko) 회로차단기
KR101232453B1 (ko) 회로차단기
US11515113B2 (en) Contact device
US9711313B2 (en) Instant trip apparatus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7206831B2 (ja) 接点装置
KR100911968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 접촉자
KR101015276B1 (ko)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JP5747806B2 (ja) 回路遮断器
CN109427512B (zh) 电路断路器
CN103903919A (zh) 小型断路器
JP5313933B2 (ja) 回路遮断器
US10068735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operating mechanism and lever assembly therefor
CN203746769U (zh) 小型断路器
CN218385044U (zh) 一种继电器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US11469063B2 (en) Contact device
KR200454665Y1 (ko) 회로차단기
JP6292800B2 (ja) 直流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