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40Y1 -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240Y1
KR200224240Y1 KR2019970041581U KR19970041581U KR200224240Y1 KR 200224240 Y1 KR200224240 Y1 KR 200224240Y1 KR 2019970041581 U KR2019970041581 U KR 2019970041581U KR 19970041581 U KR19970041581 U KR 19970041581U KR 200224240 Y1 KR200224240 Y1 KR 200224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fixed
cas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943U (ko
Inventor
최관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1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4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2Latching movable parts mechan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전원이 갑자기 끊어졌을 때 본체의 크로스바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저지시킴으로써과전류 및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 판(100)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고정되는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00)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코일의 자기력 발생에유무에 따라 자화되어 좌우운동을 하는 코어(400)와, 상기 코어의 선단에 고정되어코어와 연동하는 써포터(500)와, 상기 코일(300)과 써포터(500)사이에 개재되어 코어(400)가 탄력운동되도록 하는 스프링(600)과, 상기 써포터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케이스(200)에 힌지 결합된 록커(700)와, 상기 록커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록커의 위치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며, 하단이 전자접촉기 본체(1)의 상단에 일부 노출된 크로스바(9)에 연결된 홀더(87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써멀-릴레이(Thermal-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크게 전자석부, 접점부, 이를 하나로 조합하기 위한 상,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석에 코일을 여자하는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하는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행하게 되는데, 교류 접촉기의 용량범위는 100∼600(V)에서 수 암페어(A)로부터 수백 암페어(A)까지 이고,통상적으로는 600(A)이하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써멀-릴레이(Thermal Relay: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적정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접촉기를 개로하여 모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첨부된 제1도을 참조하여 세분화하면 다음과같다.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부에 톱커버(4)가 결합되어 있는상부 프레임(2)과,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프레임(3)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빈코일(5)과, 상기 보빈코일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6)와, 상기 고정코어의 자력발생에 따라 흡인되는 가동코어(7)와,상기 보빈코일(5)과 가동코어(7)사이에 개입되어 고정코어(6)를 향해 흡인된 가동코어(7)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8)과, 상기 가동코어(7)를 홀딩하고 있는 크로스바(9)와, 상기 상부 프레임(2)의 양측에 구획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촉자(10)와, 상기 크로스바(9)에 설치되어 고정접촉자(10)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시키는다수개의 가동접촉자(11)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11)가 분리되어 전기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 보빈코일(5)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코일(4)이 여자(礪磁)됨에 따라 고정코어(6)가 자화되어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측으로 접근됨과 동시에 가동코어(7)에 부착된 크로스바(9)가 복귀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크로스바(9)에 고정된 가동접촉자(11)가 접속되어 전기회로가 이어진 상태가 되며,이러한 전기회로의 접속 및 단락동작은 시간당 약 1200∼1800회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자접촉기에 인가되는 전류가 10A∼80A 범위일때는 소용량으로 분류하며, 인가전류가 80A이상일 경우에는 대응량으로 분류된다.
상기 대용량 전자접촉기의 경우, 전자접촉기 본체(1)로 공급되는 전원이 일시적으로 차단되었을 때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가 떨어지게 되면 아아크(Arc)가 발생하여 접점을 훼손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코어와 가동코어가붙어있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강제적으로 크로스바(7)를 누르고 있는 힘이 필요한데, 이를 래치(Latch)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용량의 전자접촉기의 경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는래치(12)의 누르는 힘(제2도에서의 화살표 방향)이 약해 크로스바(9)가 상승하려는힘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였으므로 아아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목적은 전자접촉기로 공급되는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었을 때 래치장치에 의해 가동코어와 고정코어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코일의 자기력 발생에 유무에 따라 자화되어 좌우운동을 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선단에 고정되어코어와 연동하는 써포터와, 상기 코일과 써포터사이에 개재되어 코어가 탄력운동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써포터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된록커와, 상기 록커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록커의 위치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며, 하단이 전자접촉기 본체의 상단에 일부 노출된 크로스바에 연결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래치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제4(a)도는 본 고안 래치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동작상태도.
제4(b)도는 본 고안 래치장치제 전원이 차단된 상태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판 200 : 케이스
300 : 코일 400 : 코어
500 : 써포터 600 : 스프링
700 : 록커 800 : 홀더
이하, 첨부된 제3도을 참조하여 상세히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접촉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전술한바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래치(Latch)장치는 베이스 판(100)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스(2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300)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코일의 자기력 발생 유무에 따라 자화되어 좌우운동을 하는 코어(400)와, 상기 코어의 선단에고정되어 코어와 연동하는 써포터(500)와, 상기 코일(300)과 써포터(500)사이에 개재되어 코어(400)가 탄력운동되도록 하는 스프링(600)과, 상기 써포터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케이스(200)에 힌지 결합된 록커(700)와, 상기 록커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록커의 위치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며, 하단이 전자접촉기 본체(1)의 상단에 일부 노출된 크로스바(9)에 연결된 홀더(80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a)도에서와 같이 창기 코일(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코어(400)를 자화시킴에 따라 코어는 코일(300)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어(40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써포터(500)도 스프링(600)력을 이기고 코어왁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된다.
또한, 상기 써포터(500)에 하단이 결합된 록커(700)는 그 상단을 중심으로 코일(300)측으로 회전하여 홀더(800)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홀더(800)는 전자접촉기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 전자접촉기에 공급되던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면 코일(300)에 흐르던 전류도 차단되어 코일주위에 발생되었던 자기력이 소멸되므로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0)의 인장력에 의해 코어(400)와 써포터(500)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써포터(500)의 복귀력에 의해 홀더(800)가 눌려지면서 연쇄적으로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9)를 누르고 있음에 따라 본체(1)내에 내장된 고정코어(6)와가동코어(7)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각 가동접점과 고정접점도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써포터(500)에는 환봉(501)이 형성되어 있으며, 홀더(800)의 록킹 및 해제는 실질적으로 환봉과의 접촉유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환봉(501)을 구성한 이유는 전원이 끊어졌을 때 홀더(800)를 누른 힘은 홀더의 수직방향이 아니라 측면에서 발생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위한 것이다.
즉, 홀더(80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반해, 이와 접촉되는 환봉 (501)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력전달 과정에서 오동작이 발생될 유려가 있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이 원형인 환봉을 적용함으로써 홀더(800)와환봉이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래치장치는 전자접촉기의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보조접점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본체의 크로스바를 견고하게 록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를 적용함에 따라 전원이 갑자기끊어졌을 때 본체의 크로스바를 록킹시킴으로써 과전류 및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어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축방향에 설치되어 코일의 자기력 발생 유무에 따라 자화되어 좌우운동을 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선단에 고정되언 코어와 연동하는 써포터와, 상기 코일과 써포터사이에 개재되어 코어가 탄력운동되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써포터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단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된 록커와, 상기 록커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록커의 위치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운동하며, 하단이 전자접촉기 본체의 상단에 일부 노출된 크로스바에 연결된 홀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2019970041581U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200224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81U KR200224240Y1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81U KR200224240Y1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43U KR19990028943U (ko) 1999-07-15
KR200224240Y1 true KR200224240Y1 (ko) 2001-09-17

Family

ID=5389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81U KR200224240Y1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05B1 (ko) * 2007-12-20 2009-11-11 용성전기 주식회사 래치식 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05B1 (ko) * 2007-12-20 2009-11-11 용성전기 주식회사 래치식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43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20798A (ja) 電磁開閉器
JPS61121231A (ja) 遮断器
KR920003959B1 (ko) 원격조작식 회로차단기
KR101057989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EP0210727A1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KR200224240Y1 (ko)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200224231Y1 (ko) 전자접촉기용보조접점유니트의고정구조
KR200211735Y1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KR200224241Y1 (ko) 전자접촉기용보조접점유니트의래치장치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JP4910759B2 (ja) 電磁接触器
KR200196968Y1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KR20000001455U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KR200220195Y1 (ko) 전자접촉기의 여자코일단자대 고정장치
KR19990024091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200245559Y1 (ko) 전자개폐기의전자접촉기와열동형과부하계전기결합장치
WO1989007327A1 (en) Electric switching device
KR19990058987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KR19990025098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19990028944U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KR100290933B1 (ko)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KR20020048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핸들잠금장치
KR20200099031A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