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0933B1 -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0933B1
KR100290933B1 KR1019970063840A KR19970063840A KR100290933B1 KR 100290933 B1 KR100290933 B1 KR 100290933B1 KR 1019970063840 A KR1019970063840 A KR 1019970063840A KR 19970063840 A KR19970063840 A KR 19970063840A KR 100290933 B1 KR100290933 B1 KR 10029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ip
magnetic contactor
crossbar
movable cor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2909A (ko
Inventor
최관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6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93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은 전자접촉기가 취부된 각도에 상관없이 크로스바와 가동코어를 가이드립 및 보조가이드립을 통해 고르게 지지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작동상 안정성과 내구성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 바디(62)와 상기 바디(62)의 대향하는 양면 내측에 형성되어 크로스바(4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립(6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바디(62)에는 크로스바(40)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코어(22)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립(62a)을 보조하는 보조가이드립(62b)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가이드립(62b)은 가이드립(62a)이 형성되지 않은 바디(62)의 양측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가동코어(22)의 양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upper frame of 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로스바 뿐만 아니라 가동코어 또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모터 등의 과부하 보호를 위한 써머릴레이(Thermal 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며, 전기회로의 개폐를 행하는 것으로서, 전기회로를 직접 차단 또는 접속하는 접점부와, 상기 접점부의 작동제어를 위한 전자석부와, 상기 접점부 및 전자석부가 설치된 절연재질의 상 하부 프레임과, 접점부와 전자석부의 연동을 위해 승강운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크로스바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자석부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부프레임(10)에 장착된 고정코어(20)와, 상기 고정코어(20)를 자화시키기 위해 그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된 보빈코일(30) 및 자화된 고정코어(20)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가동코어(22)로 이루어져 있는 바, 가동코어(22)는 크로스바(40)의 하단에 직교하는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고정코어(20)와 가동코어(22) 사이에는 끌어당겨진 가동코어(22)를 원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리턴스프링(50)이 장착되어 있다.
접점부는 상부 프레임(60)의 양측단에 분리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좌 우 고정접촉자(70)와, 크로스바(40)에 설치되어 상기 좌 우 고정접촉자(70)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다수개의 가동접촉자(8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보빈코일(30)에 전류가 인가되어 고정코어(20)가 자화될 경우, 상기 고정코어(20)의 자력에 의해 가동코어(22)가 끌어당겨지고, 이에 따라 가동코어(22)가 설치된 크로스바(40)가 하강하면서 상부프레임(60)에 고정된 고정접촉자(70)의 접점과 상기 크로스바(40)에 설치된 가동접촉자(80)의 접점이 닿아 전기회로가 통전되는 바, 보빈코일(30)로의 전원공급은 별도의 콘트롤회로에 의해 조절된다.
그리고, 전자접촉기는 대개 하부프레임(10) 배면의 취부클립(미도시)이 벽면에 부착된 취부레일 등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취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취부될 경우에는 크로스바(40)와 가동코어(22)가 하중에 의해 지면측으로 쳐진 상태에서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상부프레임(60)은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바디(62)와 상기 바디(62)의 서로 대향하는 양면 내측에서 크로스바(40)의 양선단 가장자리를 지지함으로써 크로스바(40)의 움직임이 똑바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립(62a)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가이드립(62a)은 각각 한쌍 씩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접촉기가 벽면에 취부되어 크로스바(4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립(62a) 중 어느 한쪽 방향의 것들이 크로스바(40)의 일측면을 받치는 형태로 크로스바(40)를 지지함으로써 그 작동 시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60)은 가이드립(62a)이 크로스바(40)의 일측면 만을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가 바뀌어 가동코어(22)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는 등의 경우에는 크로스바(40)를 고르게 지지하지 못하고, 구조상 가동코어(22)를 지지하는 역할 또한 전혀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작동 시 크로스바(40)의 흔들림이 심해진다. 뿐만 아니라, 전자접촉기의 취부각도가 바뀌지 않더라도 장기간 사용으로 크로스바(40)와 접한 가이드립(62a)이 닳아서 소실되는 경우에는 크로스바(40)와 가동코어(22)의 지지역할을 전혀 할 수 없게 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작동상 안정성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한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크로스바 뿐만이 아니라 고정코어 또한 지지함으로써 전자접촉기가 다양한 취부각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와, 상기 바디의 대향하는 양면 내측에 형성되어 크로스바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크로스바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코어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립을 보조하는 보조가이드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과 크로스바와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과 크로스바 및 가동코어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가 횡방향으로 취부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과 크로스바 및 가동코어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가동코어 40 : 크로스바
60 : 상부프레임 62 : 바디
62a : 가이드립 62b : 보조가이드립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에서부터 도 4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과 크로스바 및 가동코어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가 횡방향으로 취부된 상태에서 상부프레임과 크로스바 및 가동코어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은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바디(62)와, 상기 바디(62)의 대향하는 양면 내측에 형성되어 크로스바(4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립(6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바디(60)에는 크로스바(40)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코어(22)의 양단을 지지함으로써 가이드립(62a)을 보조하는 보조가이드립(62b) 또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가이드립(62b)은 가이드립(62a)이 형성되지 않은 바디(62)의 양측 내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며 가동코어(22)의 양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접촉기의 작동 시, 가이드립(62a)이 크로스바(40)의 일단을 지지하는 것과 별도로 보조가이드립(62b)이 가동코어(22)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자접촉기가 횡방향으로 취부되어 크로스바(40)가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도 가동코어(22)가 보조가이드립(62b)에 의해 지지되므로 작동 시의 흔들림이 적어지며, 크로스바(4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취부상태에서 장기간 사용되어 가이드립(62b)이 소실된 경우에도 보조가이드립(62b)이 가동코어(22)의 일단을 지지하기 때문에 크로스바(40)와 가동코어(22)가 작동 시 크게 흔들리지 않게 된다.
즉, 전자접촉기가 어떠한 각도로 취부되더라도 가이드립(62a)과 보조가이드립(62b)의 작용에 의해 크로스바(40)와 가동코어(22)가 고르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은 전자접촉기가 취부된 각도에 상관없이 크로스바와 가동코어를 가이드립 및 보조가이드립을 통해 고르게 지지함으로써 전자접촉기의 작동상 안정성과 내구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1)

  1. 바디(62)와, 상기 바디의 대향하는 양면 내측에 형성되어 크로스바(4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가이드립(6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크로스바의 하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가동코어의 양단을 지지하는 보조가이드립(62b)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가이드립은 가이드립이 형성되지 않은 바디의 양측 내면에 서로 대향되면서 가동코어의 양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상부프레임.
KR1019970063840A 1997-11-28 1997-11-28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KR10029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840A KR100290933B1 (ko) 1997-11-28 1997-11-28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840A KR100290933B1 (ko) 1997-11-28 1997-11-28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09A KR19990042909A (ko) 1999-06-15
KR100290933B1 true KR100290933B1 (ko) 2001-06-01

Family

ID=3752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840A KR100290933B1 (ko) 1997-11-28 1997-11-28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9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362U (ko) * 1976-07-31 1978-02-2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1362U (ko) * 1976-07-31 1978-02-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909A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34178Y2 (ko)
KR20200000311A (ko) 직류 릴레이
US4766273A (en) High current double-break electrical contactor
KR860009456A (ko) 전자석 릴레이
CA2012457C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US3796978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fuse block
KR100290933B1 (ko) 전자접촉기의상부프레임
JPH0785383B2 (ja) 電磁継電器
US3088058A (en) Contactor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US4521655A (en) Electric power switch with slotted commutation end plate
US4612427A (en) Switch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US4621246A (en) Polarized electromagnet relay
KR200207545Y1 (ko) 멀티 전자 접촉기
KR100290934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접점시스템
KR19990042910A (ko) 전자접촉기의 하부프레임
KR19990026264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용 록킹구조
US10304646B2 (en) Auxiliary relay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9990065904A (ko) 전자접촉기의 헤드온 타입 록킹구조
KR200200491Y1 (ko) 전원제어용 보호릴레이
KR100290935B1 (ko) 전자접촉기의셰이딩코일고정구조
KR19990039212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KR200196954Y1 (ko) 전자접촉기의 보빈코일유닛
KR200208217Y1 (ko) 전자접촉기용 접점장치의 변형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