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455U -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455U
KR20000001455U KR2019980011183U KR19980011183U KR20000001455U KR 20000001455 U KR20000001455 U KR 20000001455U KR 2019980011183 U KR2019980011183 U KR 2019980011183U KR 19980011183 U KR19980011183 U KR 19980011183U KR 20000001455 U KR20000001455 U KR 200000014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cross bar
groove
magnetic contact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필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11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455U/ko
Publication of KR200000014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455U/ko

Lin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동코어가 크로스 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크로스 바와 가동코어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7)의 크로스 바(9)와의 접촉면에 단차홈(7c)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홈(7c)상에는 고정홈(7d)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7c)에 대향되는 크로스 바(9)에는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단턱(9d)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9d)상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9d)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코어가 크로스 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써멀-릴레이(Thermal-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크게 전자석부, 접점부, 이를 하나로 조합하기 위한 상/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석에 코일을 여자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하는 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행하게 되는데, 교류 접촉기의 용량은 약 100∼600(V)에서 수 암페어(A)로부터 수백 암페어(A)까지가 있는데, 통상적으로는 600(A)이하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써멀 릴레이(Thermal Relay: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모터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접촉기를 개로하여 모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 접촉기는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부에 톱커버(4)가 결합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2)과,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프레임(3)과,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전원인가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빈코일(5)과, 상기 보빈코일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6)와, 상기 고정코어의 자력발생에 따라 흡인되는 가동코어(7)와, 상기 보빈코일(5)과 가동코어(7)사이에 개입되어 고정코어(6)를 향해 흡인된 가동코어(7)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주는 복귀스프링(8)과, 상기 가동코어(7)가 고정되는 크로스 바(9)와, 상기 상부 프레임(2)의 양측에 구획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촉자(10)와, 상기 크로스 바(9)에 설치되어 고정접촉자(10)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시키는 다수개의 가동접촉자(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11)가 분리되어 전기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 보빈코일(5)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코일(4)이 여자(礪磁)됨에 따라 고정코어(6)가 자화되어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측으로 접근됨과 동시에 가동코어(7)에 부착된 크로스 바(9)가 복귀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크로스 바(9)에 고정된 가동접촉자(11)가 접속되어 전기회로가 이어진 상태가 되며, 이러한 전기회로의 접속 및 단락동작을 시간당 약 1200∼1800회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 바(9)와 가동코어(7)의 결합구조는 도 3a∼3b에서와 같이 크로스 바(9)의 저면 양측에 한쪽이 개구된 결합홈(9a)을 형성하고, 가동코어(7)의 상부 중앙에는 관통공(7a)을 형성하여, 평판형의 고정핀(12)을 상기 가동코어(7)의 관통공(7a)으로 삽입시킨 후 관통공의 양쪽으로 노출된 고정핀(12)의 양단을 크로스 바(9)의 결합홈(9a)으로 끼워 넣으므로써 양 부재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고정핀(12)에 의해 크로스 바(9)와 가동코어(7)를 고정하는 구성만으로는 가동코어(7)가 전자접촉기의 기동시 접/단락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임을 감안할 때 고정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었으므로 가동코어(7)의 크로스 바(9)와의 접촉면상에 하나 또는 두 개의 고정홈(7b)을 형성하고, 이에 대향되는 크로스 바(9)에는 고정홈(7b)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9b)를 형성하여, 가동코어(7)가 격하게 동작되더라도 크로스 바(9)와의 결합력을 유지토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고정홈(7b)과 고정돌기(9b)에 의해 가동코어(7)와 크로스 바(9)의 결합력을 강화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접촉기가 현장에 설치될때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그 저면이 설치벽면을 향해 설치되므로 상기 가동코어(7)는 도 3b에서와 같이 가동코어가 동작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크로스 바(9)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기기동작에 오류가 생기거나 다른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크로스 바와 가동코어와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로스 바와 가동코어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크로스 바와의 접촉면에 단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홈상에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에 대향되는 크로스 바에는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상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a는 종래 가동코어와 크로스 바의 사시도
도 3b는 종래 가동코어와 크로스 바의 결합상태 요부 종단면도(설치벽면에 설치한 상태)
도 4는 본 고안의 가동코어와 크로스 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요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가동코어 7c : 단차홈
7d : 고정홈 9 : 크로스 바
9c : 단턱 9d : 고정돌기
도 4는 본 고안의 가동코어와 크로스 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요부 종단면도로서, 이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가동코어(7)의 크로스 바(9)와의 접촉면에 단차홈(7c)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홈상에는 고정홈(7d)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7c)에 대향되는 크로스 바(9)에는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단턱(9c)를 형성하고, 상기 단턱상에는 상기 고정홈(7d)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9d)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가동코어(7)와 크로스 바(9)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동코어(7)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a)으로 평판형의 고정핀(12)을 삽입한다.
이 때, 상기 고정핀(12)은 관통공(7a)의 길이보다 길게되어 있으므로 고정핀(12)을 관통공(7a)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양단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고정핀(12)의 노출된 양단을 크로스 바(9)의 결합홈(9a)으로 압입시키므로써 가동코어(7)와 크로스 바(9)는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크로스 바(9)의 저면에 형성된 단턱(9c)은 가동코어(7)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차홈(7c)에 끼워지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단차홈(7c)상에 형성된 고정홈(7d)으로는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크로스 바(9)에 형성된 고정돌기(9d)가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가동코어(7)와 크로스 바(9)를 결합하게 되면 기존의 고정핀(12)에 의한 결합력과 함께 단차홈(7c)으로 단턱(9c)을 삽입시킴에 따른 결합력과, 고정홈(7d)으로 고정돌기(9d)를 삽입시킴에 따른 추가된 결합력에 의해 전자접촉기의 기동으로 가동코어(7)와 크로스 바(9)가 격한 접/단락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가동 코어(7)와 크로스 바(9)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가동코어와 크로스 바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가동코어 이탈현상을 해소하므로써 기기의 오류발생율과 파손율을 줄여 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크로스 바와 가동코어가 고정핀에 의해 결합된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크로스 바와의 접촉면에 단차홈을 형성하고, 상기 단차홈상에는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단차홈에 대향되는 크로스 바에는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단턱상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고정돌기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KR2019980011183U 1998-06-25 1998-06-25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KR200000014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83U KR20000001455U (ko) 1998-06-25 1998-06-25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183U KR20000001455U (ko) 1998-06-25 1998-06-25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455U true KR20000001455U (ko) 2000-01-25

Family

ID=69517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183U KR20000001455U (ko) 1998-06-25 1998-06-25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45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74B1 (ko) * 2002-02-08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474B1 (ko) * 2002-02-08 2004-12-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4896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4006322A (en) Auxiliary interlock switch with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chisel-shaped contacts and spring biasing mechanism
US3796978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with fuse block
KR20000001455U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KR200224231Y1 (ko) 전자접촉기용보조접점유니트의고정구조
KR200220195Y1 (ko) 전자접촉기의 여자코일단자대 고정장치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KR200224240Y1 (ko)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KR100518256B1 (ko) 전자접촉기의 접촉자 장착구조
KR200211735Y1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구조
KR100480837B1 (ko) 전자접촉기와 회로기판의 접속장치
KR19990024091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100304920B1 (ko) 전자접촉기의가동코어장착구조
KR200245559Y1 (ko) 전자개폐기의전자접촉기와열동형과부하계전기결합장치
KR20000001643U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고정장치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KR19990025098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200196964Y1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촉자 고정구조
KR200196965Y1 (ko) 전자 개폐기용 여자코일 어셈블리의 단자 결합구조
KR19990042907A (ko) 전자접촉기용 크로스바의 충격방지구조
KR19990039212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KR100817119B1 (ko) 전자접촉기의 구동부
KR19990028944U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KR100480839B1 (ko) 전자접촉기용 코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