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944U -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944U
KR19990028944U KR2019970041582U KR19970041582U KR19990028944U KR 19990028944 U KR19990028944 U KR 19990028944U KR 2019970041582 U KR2019970041582 U KR 2019970041582U KR 19970041582 U KR19970041582 U KR 19970041582U KR 19990028944 U KR19990028944 U KR 199900289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tact
contact unit
main body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상구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41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944U/ko
Publication of KR19990028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944U/ko

Link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우징에 록커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길이에 해당되는 만큼 유동되면서 록킹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고도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 종래에 필수구성요소로 적용되었던 스프링이 제거됨에 따라 부품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정위치에 고정홈(40)이 형성된 톱커버(4)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접점을 이루는 보조접점유니트(12)를 갖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니트(12)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장공(126a)이 형성된 하우징(126)과, 상기 하우징에 탄력 삽입되며 양측 적정부위에 상기 장공(126a)에 끼워지는 고정축(13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홈(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31)가 형성된 록커(13)로 구성하여,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의 상부에 고정시킬 때에는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의 상부에 고정시킨상태에서 하우징(126)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던 록커(13)를 외향으로 밀어내면 고정축(130)이 장공(126a)을 따라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록커(1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확대됨과 동시에 록커(13)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31)가 고정홈(40)에 끼워짐에 따라 보조접점유니트(12)가 고정되며,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록커(13)를 하우징(126)의 안쪽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고정돌기(131)가 고정홈(40)으로부터 탈거되어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전기회로의 개폐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써멀-릴레이(Thermal-Relay)와 함께 전자개폐기(Magnetic Switch)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전자접촉기는 크게 전자석부, 접점부, 이를 하나로 조합하기 위한 상, 하부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자석에 코일을 여자하는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고 소자하는것에 의해 접점을 개로하여 부하의 개폐를 행하게 되는데, 교류 접촉기의 용량범위는 100~600(V)에서 수 암페어(A)로부터 수백 암페어(A)까지 이고, 통상적으로는 600(A)이하의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써멀-릴레이(Thermal Relay :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적정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자접촉기를 개로하여 모터의 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부에 톱커버(4)가 결합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2)과, 상기 본체의 하부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 프레임(3)과,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보빈코일(5)과, 상기 보빈코일의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고정코어(6)와, 상기 고정코어의 자력발생에 따라 흡입되는 가동코어(7)와, 상기 보빈코일(5)과 가동코어(7)사이에 개입되어 고정코어(6)를 향해 흡인된 가동코어(7)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주는 복귀스프링(8)과, 상기 가동코어(7)를 홀딩하고 있는 크로스바(9)와, 상기 상부 프레임(2)의 양측에 구획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전원투입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수개의 고정접촉자(10)와, 상기 크로스바(9)에 설치되어 고정접촉자(10)를 전기적으로 접속 또는 단락시키는 다수개의 가동접촉자(11)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코어(6)와 가동코어(7), 고정접촉자(10)와 가동접촉자(11)가 분리되어 전기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 보빈코일(5)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코일(4)이 여자(礪磁)됨에 따라 고정코어(6)가 자화되어 가동코어(7)가 고정코어(6)측으로 접근됨과 동시에 가동코어(7)에 부착된 크로스바(9)가 복귀스프링(8)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상부 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접촉자(10)와 크로스바(9)에 고정된 가동접촉자(11)가 접속되어 전기회로가 이어진 상태가 되며, 이러한 전기회로의 접속 및 단락동작은 시간당 약 1200~1800회 정도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자접촉기 본체(1)에 구비되어 있는 주접점이외에 또 다른 접점(보조접점)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의 상부에 부설하여 사용하거나 본체(1)의 양측 또는 일측에 보조접점유니트(12)를 부설하여 사용하는 2가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특히, 상부 부착형(Head-on type) 보조접점유니트(12)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접점을 증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부착형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에 고정시키기는 구조는 모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그 기본적인 원리 및 구조는 거의 유사하므로 그중 일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모델명 : S-N25).
상부 프레임(2)의 상면에는 외측면에 가이드홈(21)이 형성된 결합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는 본체(1)에 내장된 메인 크로스바(또는 크로스바)(9)의 상단이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크로스바의 상단에는 보조접점유니트(12)의 인입을 의해 일측이 개방된 연결홈(9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조접점유니트(12)의 하부 양측에는 보스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스부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1)에 끼워지는 체결돌기(121)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120)의 타측에는 보조접점유니트(12)를 끼울 때 적정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120) 사이의 보조접점유니트(12)의 바닥면에는 결합부(20)에 형성된 연결홈(90)에 하단이 삽입됨에 따라 메인 크로스바(9)와 연동되는 보조 크로스바(123)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톱커버(4)에 형성된 고정홈(40)에 삽입 및 탈거됨에 따라 보조접점유니트(12)를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124a)가 형성된 레버(124)가 스프링(125)에 의해 탄력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보조접점유니트(12)를 결합할때에는 결합부(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21)의 일측으로부터 보조접점유니트(12)의 체결돌기(121)를 끼운후 가이드홈(21)의 타측을 향해 밀어넣으면 체결돌기(121)의 반대편에 형성된 스토퍼(122)에 의해 체결돌기(121)가 그 이상 진입됨을 저지함으로써 체결돌기(121)가 가이드홈(21)에 끼워질 때 적어도 보조접점유니트(12)가 진입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 가이드홈(21)으로 체결돌기(121)를 끼워넣음에 따라 탄성압축되어 있던 레버(124)는 체결돌기(121)가 가이드홈(21)의 끝부분까지 끼워짐과 동시에 걸림돌기(124a)가 톱커버(4)의 고정홈(40)으로 삽입되어 스프링(125)의 인장력에 의해 보조접점유니트(12)가 진입된 방향의 반대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레버(124)를 보조접점유니트(12)를 향해 들어올려 고정홈(40)으로부터 걸림돌기(124a)를 탈거하여 록킹을 해제한 상태에서 체결돌기(121)를 가이드홈(21)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된 방향으로 빼내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레버(124)는 스프링(125)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점과, 레버(124)와 톱커버(4)와의 간격이 협소하여 레버(124)를 들어올리는 작업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공구(드라이버등)를 레버(124)와 톱커버(4)사이로 삽입시켜 레버를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로부터 손쉽게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정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된 톱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접점을 이루는 보조접점유니트를 갖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니트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장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력 삽입되며 양측 적정부위에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록커로 구성하여,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의 상부에 고정시킬 때에는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의 상부에 고정시킨상태에서 하우징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던 록커를 외향으로 밀어내면 고정축이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록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확대됨과 동시에 록커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끼워짐에 따라 보조접점유니트가 고정되며,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록커를 하우징의 안쪽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탈거되어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일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전자접촉기 본체와 그 상부에 결합되는 보조접점유니트의 분리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록킹장치에 의해 전자접촉기 본체의 상부에 보조접점유니트가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5는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에 록킹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록킹장치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록킹장치에 의해 보조접점유니트가 본체에 록킹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도 6b는 동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톱커버13 : 록커(locker)
40 : 고정홈126 : 하우징
126a : 장공130 : 고정축
131 : 고정돌기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자접촉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종래의 구조와 상이한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은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정위치에 고정홈(40)이 형성된 톱커버(4)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접점을 이루는 보조접점유니트(12)를 갖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니트(12)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장공(126a)이 형성된 하우징(126)과, 상기 하우징에 탄력 삽입되며 양측 적정부위에 상기 장공(126a)에 끼워지는 고정축(130)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홈(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31)가 형성된 록커(1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의 상부에 고정시킬 때에는 도 6a에서와 같이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의 상부에 고정시킨 최초의 상태에서 하우징(126)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던 록커(13)를 외향으로 밀어내면 고정축(130)이 장공(126a)을 따라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록커(1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확대됨과 동시에 록커(13)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31)가 고정홈(40)에 끼워짐에 따라 보조접점유니트가 고정된다.
반면,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도 6a의 상태에서 록커(13)를 하우징(126)의 안쪽으로 삽입시키면 록커(13)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31)가 본체(1)의 고정홈(40)으로부터 탈거되어 보조접점유니트(12)를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도 6b참조).
상기에서 록커(13)는 하우징(126)에 삽입시에는 압축되고, 탈거시에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록커(13)의 상단에는 록커(13)를 하우징(126)으로 삽입하거나 탈거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13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커(13)는 어느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지만 좀더 용이한 삽탈을 위해 쐐기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해 록커는 하우징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길이에 해당되는 만큼 유동되면서 록킹 및 해제를 할 수 있으므로 공간상의 제약을 덜 받고도 조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었던 스프링이 제거됨에 따라 부품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생산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적정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된 톱커버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보조접점을 이루는 보조접점유니트를 갖춘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점유니트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며 양측에 장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탄력 삽입되며 양측 적정부위에 상기 장공에 끼워지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고정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된 록커로 구성하여,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의 상부에 고정시킬 때에는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의 상부에 고정시킨상태에서 하우징의 안쪽에 삽입되어 있던 록커를 외향으로 밀어내면 고정축이 장공을 따라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록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확대됨과 동시에 록커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끼워짐에 따라 보조접점유니트가 고정되며,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할때에는 록커를 하우징의 안쪽으로 삽입시킴에 따라 고정돌기가 고정홈으로부터 탈거되어 보조접점유니트를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록커가 쐐기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록커의 상단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록커를 하우징으로 삽입할때와 빼낼 때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KR2019970041582U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KR199900289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82U KR19990028944U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582U KR19990028944U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944U true KR19990028944U (ko) 1999-07-15

Family

ID=6967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582U KR19990028944U (ko) 1997-12-27 1997-12-27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9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515B1 (ko) 회로차단기
EP0411871B1 (en) Trip interlock design
KR101057989B1 (ko) 절전형 전자 접촉기
CA1047083A (en) Auxiliary interlock switch with interchangeable and reversible chisel-shaped contacts and spring biasing mechanism
KR19990028944U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의 록킹장치
KR200224231Y1 (ko) 전자접촉기용보조접점유니트의고정구조
KR200224240Y1 (ko) 전자접촉기의 래치장치
KR200245559Y1 (ko) 전자개폐기의전자접촉기와열동형과부하계전기결합장치
KR200196968Y1 (ko) 전자접촉기용 보조접점유니트
KR20000001455U (ko)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 이탈방지구조
KR102349755B1 (ko) 전자접촉기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JP3074696U (ja) 電磁接触器
KR19990024091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870000780Y1 (ko) 전자 접촉기 보조 접점 케이스
KR100459474B1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및 코어 조립구조
KR19990025098U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고정구조
KR200143976Y1 (ko) 전자접촉기의 마그네트 케이스 충격흡수장치
KR100817119B1 (ko) 전자접촉기의 구동부
KR100272501B1 (ko) 전자접촉기용 단자나사의 가이딩구조
KR19990039212A (ko) 전자접촉기의 크로스바
KR19990058987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니트
KR20000001643U (ko) 전자접촉기의 고정접점대 고정장치
KR19990055498A (ko)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유니트
KR19990025103U (ko) 전자접촉기용 사이드 보조접점유닛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