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15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15B1
KR970007515B1 KR1019920019421A KR920019421A KR970007515B1 KR 970007515 B1 KR970007515 B1 KR 970007515B1 KR 1019920019421 A KR1019920019421 A KR 1019920019421A KR 920019421 A KR920019421 A KR 920019421A KR 970007515 B1 KR970007515 B1 KR 97000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base
cover
accessory
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8892A (ko
Inventor
에이지 노자와
나오시 우찌다
마사오 미우라
쯔네오 에비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사도 료오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0546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209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4874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6722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나까사도 료오히꼬 filed Critical 후지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8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4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having means for operating auxiliary contacts additional to the main contacts
    • H01H71/465Self-contained, easily replaceable micro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1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voltage falling below a predetermined value, e.g. for no-vol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67/00Electrically-operated selector switches
    • H01H67/02Multi-position wiper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28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having provisions for interchangeable or replaceabl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015Means for testing or for inspecting contacts, e.g. wear indic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2009/0094Details of rotatable shafts which are subdivided; details of the coupling mean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2071/086Low power connections for auxiliary switches, e.g. shunt 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2083/208Converting under voltage release [UVR] and shunt rele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72Release mechanisms which are reset by opening movement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6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actuated by dismounting of circuit breaker or removal of part of circuit brea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24Electromagnetic mechanisms
    • H01H71/3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 H01H71/321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 H01H71/322Electromagnetic mechanisms having permanently magnetised part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or active magnetic elements with plunger typ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회로차단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로차단기의 보조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제 2 도는 보조커버가 장착된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차단기의 측면도.
제 4(a) 도는 제 2 도에 도시한 보조커버의 평면도.
제 4(b) 도는 그 정면도.
제 5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회로차단기의 요부확대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제 5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9 도는 회로차단기의 트립동작의 과정에 있어서 트립장치(제 8 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10 도는 회로차단기의 트립동작의 종료점에 있어서 트립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 11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보조스위치의 종단면도.
제 12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경보스위치의 종단면도.
제 13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트립장치의 종단면도.
제 14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베이스의 평면도.
제 15 도는 제 5 도에 도시한 베이스의 측면도.
제 16 도는 베이스(제 14 도)상에 있어서 보조스위치(제 11 도), 경보스위치(제 12 도) 및 트립장치(제 13 도)를 장착한 부속품유니트의 평면도.
제 17 도는 제 16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8 도는 제 5 도의 커버에 형성된 요부의 평면도.
제 19 도는 제 18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0 도는 제 7 도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제 21(a) 도는 제 11 도에 도시한 조작축의 좌측면도.
제 21(b) 도는 그 정면도.
제 21(c) 도는 그 우측면도.
제 22 도는 대형회로차단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 7 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 23 도 및 제 24 도는 각각 단자보드가 장착된 베이스(제 14 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 25 도 제 26 도는 각각 단자보드가 장착된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 27 도 및 제 28 도는 각각 베이스에 의해 조작축을 파지시킨 부속품유니트의 종단면도 및 정면도.
제 29 도는 커버에 부속품을 장착한 회로차단기의 평면도.
제 30 도는 제 29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1 도는 제 29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2 도는 제 29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33 도는 부속품유니트를 케이스에 장착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 7 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 34 도는 회로차단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부속품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상간피스를 도시한 사시도.
제 35(a) 도는 회로차단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부속품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조착축의 좌측면도.
제 35(b)도는 그 정면도.
제 35(c)도는 그 우측면도.
제 36 도는 회로차단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부속품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트립장치의 단면도.
제 37 도는 회로차단기가 트립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부속품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경보스위치 및 보조스위치의 단면도.
제 38 도는 회로차단기의 트립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36 도에 상당하는 도면.
제 39 도는 베이스에 보다 긴밀히 장착가능하도록 설계된 트립장치의 측면도.
제 40 도는 제 39 도의 트립장치를 베이스에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
제 41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차단기의 접점소모전에 있어서, "온"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제 42 도는 회로차단기의 접점소모후의 있어서 요부 종단면도.
제 43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차단기의 접점소모전에 있어서 "온"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제 44 도는 제 43 도의 회로차단기의 접점소모후에 있어서 요부종단면도.
제 45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 46 도는 제 45 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 2 : 케이스
3 : 보조스위치 4 : 경보스위치
5 : 트립장치 7 : 래치
8 : 래치핀 9 : 보조커버
10 : 베이스 11 : 마이크로스위치
12 : 카세트케이스 14 : 액튜에이터
16 : 리드선 17 : 액튜에이터
18 : 유니트베이스 19 : 요크
20 : 고정철심 21 : 가동철심
22 : 전자코일 23 : 영구자석
25 : 푸시바 27 : 트립스프링
30 : 직류전원유니트 48 : 커버플레이트
49 : 커버요부 50 : 격벽
57 : 고정접촉자 58 : 가동접촉자
59 : 홀더 61 : 조작축
61 : 리세트레버 61 : 조작레버
61 : 간섭철부 62 : 상간피스
62 : 간섭편 68 : 단자보드
71 : 인터록레버 103 : 지지축
105 : 접촉스프링 108 : 접점소모표시스위치
113 : 접점소모표시봉 114 : 케이스
115 : 복귀스프링 208 : 푸시바
210 : 베이스 212 : 트립스프링
219 : 트립크로스바 222 : 래치축
222 : 조작레버 230 : 부속품베이스
본 발명은 배선차단기나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로차단기내에 내장된 경보스위치, 보조스위치, 부족전압트립장치, 전압트립장치등의 부속품장착용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속품중, 보조스위치는 회로차단기의 "온", "오프" 상태를 전기적으로 표시하는 것이고, 경보스위치는 회로차단기의 트립상태를 전기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부족전압트립장치는 회로전압이 규정치 이하로 저하하는 경우에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 장치이고, 전압트립장치는 회로차단기를 원거리에서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장치이다.
배선차단기나 누전차단기는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지는 절연물의 용기와, 이 용기내에 개폐기구가 수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부속품은 제조단계에서 사양에 따라 절연용기내에 내장되는데 사용자는 부속품을 다른것으로 교환하거나 회로차단기에 원하는 부속품을 추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회로차단기가 종래기술(일본국 특개소 제 54-124270 호, 특개소 제 64-52360 호, 특개평 제 2-144819 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부속품을 절연용기내에 내장하지 않는 대신 커버에 설치된 요부에 유니트화한 부속품을 외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부속품을 교환하거나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타입의 종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부속품이 직접 커버에 장착되는 구성이므로, 장착가능한 부속품이 커버 요부의 형상에 의해 한정됨에 따라서 부속품의 조합과 사양의 선택에 있어서 자유도가 작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들면, 보조스위치나 경보스위치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스위치는 제조자, 접점구성 및 정격에 의해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하고, 유니트화한 경우에도 통일된 형상 및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며, 이에 따라 요부형상이 상이한 커버를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지만 이것은 비경제적이다. 더욱이, 커버에는 단락차단시에 큰 내압이 작용하므로 요부형상의 복잡화에는 제약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망을 충분히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속품의 교환이나 추가가 자유로이 가능하고, 그외에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여러가지 이점을 가진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속품을 커버의 요부에 직접 장착하지 않는 절연물의 베이스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베이스에 카세트화한 부속품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며, 이 베이스를 커버의 요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면 한층 효과적이다.
커버와 부속품 사이에 베이스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부속품이 커버요부의 형상, 치수에 의해 제약되지 않으며, 베이스의 교환에 의해 여러 종류의 부속품이 장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커버 요부의 형상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이 요부의 형상에 의해 커버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도 피할 수 있다.
특히, 공통의 베이스에 복수의 부속품을 탑재하여 유니트화한 구성으로 하면, 다수의 부속품은 회로차단기에 대하여 유니트로서 착탈가능하게 되고, 또한 회로차단기로부터 분리된 베이스에 부속품조합 또는 배선처리에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 3극 배선용 회로차단기로서,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1 도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로서, 이 도면의 좌측은 전원측, 우측은 부하측이다. 이 회로차단기의 커버(1)에는 요부(후술함)를 이용하여 2개의 보조스위치(3), 2개의 경보스위치(4) 및 1개의 트립장치(부족 전압트립장치 또는 전압트립장치)(5)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부속품은 중앙상(S상)에 위치하는 스위치(개폐)기구(6)(도면에는 래치(7)와, 이것을 지지하는 래치면(8)만을 도시함)의 일측(R상측)에 배설되어 있다.
제 1 도는 부속품을 커버하는 보조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회로차단기를 도시하고, 제 2 도는 커버(1)에 보조커버(9)를 장착한 상태의 회로차단기를 도시하며, 제 3 도는 커버(1)에 보조커버(9)를 장착한 상태의 회로차단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는 케이싱을 나타낸다.
보조커버(9)는 제 4(a) 도 및 제 4(b) 도에 도시한 형상으로서, 일단에 형성된 돌출핀(9a)을 통해서 커버(1)에 개폐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 형성된 포올(Pawl)(9b)과 커버(1)에 형성된 홀(1a)(제 1 도)의 계합에 의해 커버(1)에 고정된다. 돌출핀(9a)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암(9c)의 탄성변형에 의해 커버(1)의 베어링홀에 삽입된다. 또한 돌출핀(9a)은 케이스와 같이 암(9c)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 도는 부속품 장착부를 확대도시한 도면이고, 제 6 도는 제 5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 7 도는 제 5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 8 도는 제 5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보조스위치(3), 경보스위치(4) 및 트립장치(5)는 카세트화된 몰드성형품의 베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또한 베이스(10)는 케이스(1)의 요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이들 부속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1 도는 보조스위치(3)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보조스위치(3)는 마이크로스위치(11)가 몰드수지케이스(12)에 파지되어 카세트화된 것으로 케이스(12)의 핀(13)을 통해서 장착된 액튜에이터(14)에 의해 조작된다.
액튜에이터(14)는 케이스(12)와의 사이에 삽입된 백스프링(15)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받고, 상단부(14a)에서 마이크로스위치(11)의 푸시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가압한다. 액튜에이터(14)는 회로차단기의 "온"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푸시버튼을 개방하고, 그 결과로서 마이크로스위치(11)의 아마튜어가 트립된다(후술함). 제 11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6은 리드선으로서 케이스(12)의 상면에 배치되어 정렬한 상태로 도면의 지면(紙面)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된다.
제 12 도는 경보스위치(4)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경보스위치(4)의 구성 및 동작은 액튜에이터(17)의 형상이 상이하다는 것 이외는 보조스위치(3)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즉, 액튜에이터(17)를 제외한 부품은 보조스위치(3)를 형성하는 부품과 공용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회로차단기가 트립동작을 하면, 액튜에이터(17)는 제 12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단부(17a)에 의해 푸시버튼이 개방하며,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11)의 아마튜어가 트립된다.
제 13 도는 트립장치(5)의 측면도이다. 트립장치(5)는 보트형의 유니트베이스(18)상에 구성부품이 장착되어 카세트화 되어 있다. 제 13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19는 U자형의 요크이고, 20은 그 내측의 중심에 결합된 고정철심이며, 21은 고정철심(20)을 둘러싸는 전자(電磁)코일이고, 22는 전자코일(21)의 내측에 배치된 비자성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안내되어 고정철심(20)에 대하여 전후이동하는 가동철심이며, 23은 전자코일(21)에 인접하고 가동철심(22)의 외측에 배치된 영구자석이다. 요크(19)는 스크류(24)에 의해 유니트베이스(1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유니트베이스(18)의 저부에는 리세트레버(후술함)를 도입하기 위한 윈도우(18a)가 배치되어 있다.
제 13 도에 있어서, 또한 25는 요크(19), 고정철심(20), 가동철심(22)의 중심을 관통하는 동시에 이 가동철심(22)과는 일체로 결합된 푸시바이고, 26은 유니트베이스(18)와 가동철심(22) 사이에 삽입된 압축코일스프링, 즉 리세트스프링이며, 27은 스프링리시버(28)를 통해 푸시바(25)의 좌단에 힘을 가하도록 유니트베이스(18)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즉 트립스프링이고, 29는 트립스프링의 탄성력을 가감하는 조정스크류이며, 30은 전자코일(2)에 여자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유니트이다. 직류전원유니트(30)는 정전압형의 정류회로로 이루어지며, 전자코일(21)과의 사이에 극성을 전환하는 코넥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제 13 도의 트립장치(5)는 부족전압트립장치 또는 전압트립장치의 양쪽을 겸용한다. 부족전압트립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는 직류전원유니트(30)의 입력측을 적절한 변성기 또는 분압기를 통해서 주회로에 접속하고, 그 출력측은 자속의 방향이 영구자석(23)의 방향과 일치하는 극성으로 전자코일(21)에 접속한다. 이에따라, 가동철심(22)은 전자코일(21)과 영구자석(23)의 양쪽 자속에 의해 고정철심(20)에 흡인되며, 트립스프링(27)은 푸시바(25)를 통해서 힘을 저장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주회로전압이 규정치 이하로 저하하면, 전자코일(21)의 자속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흡인력이 부족하고, 가동철심(22)은 트립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 고정철심(20)에서 분리됨으로써, 리세트스프링(26)에 저항하여 제 13 도의 우측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트립스트로크바(도시하지 않음)가 푸시바(25)의 우단에 의해 타격을 받아 회로차단기가 개방된다.
한편, 트립장치(5)를 전압트립장치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직류전원유니트(30)의 입력측을 조작회로에 접속하고, 출력측은 자속이 영구자속(23)과 역방향으로 되도록 전자코일(21)에 접속된다. 또한, 조정스크류(29)를 느슨하게 하여 트립스프링(27)의 탄성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영구자석(23)만의 자속으로 가동철심(22)의 흡인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코일(21)이 여자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철심(22)은 영구자석(23)의 자속으로 고정철심(20)에 흡인되어 트립스프링(27)에 힘을 축적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립조작전압을 전자코일(21)에 인가하면, 그 자속으로 영구자석(23)의 자속이 소멸되어 가동철심(22)의 흡인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상기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로차단기의 개방이 행해진다.
제 14 도는 베이스(10)의 평면도이고, 제 15 도는 그 측면도이다.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31은 보조스위치가 삽입되는 요부로서, 이 요부는 저부에 액튜에이터(14)를 도출하는 윈도우(32)가 배설되어 있다. 33은 경보스위치(4)가 삽입되는 요부로서, 이 요부의 저부에는 액튜에이터(17)를 도출하는 윈도우(34)가 배설되어 있다. 요부(31, 33)의 각각에는 보조스위치(3) 및 경보스위치(4)(후술함)를 파지하는 전후 한쌍의 훅(35)이 상승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있어서, 또한 참조부호 36은 트립장치(5)를 삽입하는 요부로서, 그 저부의 일단에는 푸시바(25)를 도출하는 윈도우(37)가 배설되고, 타단에는 포크형상의 리세트레버(후술함)를 도입하는 좌우 한쌍의 윈도우(38)가 배설되어 있다. 요부(36)의 전후부에는 트립장치(5)에 있어서 유니트베이스(18)의 1쌍의 훅(39) (제 6 도)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합시키기 위한 사각홀(40, 41)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요부(31, 33)의 전후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를 커버(1)에 고정하기 위한 1쌍의 훅(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0)의 좌측벽(10a)에는 상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라 단면 U형상의 홈(43), 홈(44) 및 홈(45)이 각각 2개, 2개, 1개씩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홈(43, 44, 45)에는 경보스위치(4), 보조스위치(3) 및 트립장치(5)의 리드선이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기 리드선을 유지하는 커버플레이트가 삽입되는 더브데일(dove tail)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 저부의 원호형상의 홈(47)은 경보스위치(4)의 조작등을 행하는 조작축(후술함)을 커버(1)와의 사이에서 유지한다.
제 16 도는 베이스(10)에 보조스위치(3), 경보스위치(4) 및 트립장치(5)를 장착하여 유니트화한 부속품유니트의 평면도이고, 제 17 도는 그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전후 2개씩의 경보스위치(4) 및 보조스위치(3)는 훅(35)을 전후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요부(33, 31)(제 14 도)에 각각 삽입되며, 복원된 훅(35)에 의해 이들 스위치(4, 3)의 상면이 파지되어 고정된다. 또 각각의 액튜에이터(16, 14)는 윈도우(34, 32)로부터 베이스(10)의 전방 및 하방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고, 이들의 스위치(3, 4)는 훅(35)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간단히 제거된다.
트립장치(5)는 베이스(10)의 요부(36)(제 14 도)에 삽입되며, 이 경우 내측으로 탄성변형하면서 사각홀(40, 41)에 삽입된 훅(39)이 베이스(10)의 이면에서 사각홀(40, 41)의 에지에 계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푸시바(25)는 윈도우(37)(제 14 도)로부터 베이스(10)의 후방을 향하여 도출되어 있다. 트립장치(5)도 훅(39)을 탄성변형시켜 베이스(10)로부터 간단히 제거시킬 수 있다.
경보스위치(4), 보조스위치(3) 및 트립장치(5)의 리드선은 베이스(10)의 홈(43, 44, 45)에 각각 정렬하여 수납되고, 돌기(48a)를 통해 홈(46)에 압입(壓入)된 좌측부 및 우측부로 이루어진 커버플레이트(48)에서 가압되어 유지된다.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부속품유니트를 장착하는 커버(1)의 요부(49)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 18 도는 보조커버(9)를 제거한 상래의 절연물 용기의 요부평면도이고, 제 19 도는 그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18 도 및 제 19 도 도시한 바와 같이, 요부(49)는 격벽(50)에 의해 커버(1)의 R상측에서 구획되고, 그 내부 형상은 베이스(10)의 외형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부(49)의 측면에는 베이스(10)의 측벽(10a)(제 14 도)을 대면하는 개구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50)에는 베이스(10)의 윈도우(32, 34, 37)에 정렬된 사각홀(51, 52, 53)이 형성되고, 홈(47)과 쌍을 이루는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의 요부(49) 전후에는 베이스(10)의 훅(42)을 계합시키기 위한 사각홀(55, 56)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 19 도의 참조부호 57은 R상은 고정접촉자이고, 58은 R상의 가동접촉자이며, 59는 가동접촉자를 파지하여 개폐운동하는 절연물의 홀더이다.
커버(1)의 부속품유니트(베이스(10)상에 부속품을 탑재함으로써 형성됨)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요부(49)에 베이스를 상방향으로부터 삽입한다.
이 경우, 훅(42)을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사각홀(55, 56)에 삽입한다. 이 훅(42)은 베이스(10)가 요부(49)내에 수납되면 복원하여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에 계합하고, 베이스(10)는 커버(1)에 고정된다. 그후, 암(9c)을 개방하여 돌출핀(9a)을 커버(1)의 베어링홀(60)(제 5 도)에 삽입하고 보조커버(9)를 커버(1)에 결합한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61은 경보스위치(4)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트립장치(5)를 리세트하는 조작축이고, 62는 조작축(61)과 래치핀(8) 사이에 개재하는 상간피스이다. 제 20 도는 조작축(61)과 상간피스(62)의 부분확대도이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7)는 세레이션(Serration) 가공된 래치핀(8)의 중앙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 래치핀(8)은 양단의 소직경부(8a)(도면에서는 R 상측의 일단부(8a)만을 도시함)를 통해 사이드플레이트(6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직경부(8a)의 선단에는 판형상의 연결편(8b)이 형성되어 있다.
상간피스(62)는 몰드수지로 이루어진 바 형상체이고, 일단으로부터 연결편(8a)과 계합하는 홈(64)이 축방향으로 배설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주에 원판형상의 배리어(62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조작축(61)을 계합시킨 U자 형상의 홈(65)의 형성되어 있다.
이 상간피스(62)는 케이싱(2)에 개폐기구(6)를 장착하기 전에 래치핀(8)에 계합되므로 상간피스(62)는 래치핀(8)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2) 및 커버(1)의 상간격벽(2a, 1a)에는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간피스(62)를 수납하는 반원요부 및 배리어(62a)를 수납하는 반원홈이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핀(8)에 연결된 상간피스(62)는 케이스(2)에 개폐기구(6)를 장착할 때에 상기 요부 및 홈에 삽입되며, 이후, 커버(1)가 케이스(2)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상간격벽(1a, 2a)은 래치핀(8)으로부터 상간피스의 이탈을 방지한다.
제 21(a) 도 내지 제 21(c) 도는 조작축(61)을 도시하며, 제 21(a) 도는 그 좌측면도, 제 21(b) 도는 그 정면도, 제 21(b) 도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1)에는 상간피스(62)의 홈(64)에 삽입되기에 충분한 축직경을 가진 원통형축(61a)의 일단에 트립장치(5)를 리세트하는 좌우 한쌍의 리세트레버(61b)가 포크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에 좌우 2개의 경보스위치(4)를 각각 작동시킨 조작레버(61c)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조작축(61)은 베이스(10)의 버커(1)에 장착되기 전에 리세트레버(61b)가 형성된 측의 단부가 상간피스(62)의 홈(64)에 삽입되고, 반대측의 단부가 요부(49)내의 홈(54)(제 19 도)에 삽입된다. 그 결과, 리세트레버(61b)의 회전이 저지되고, 조작축(61)은 상간피스(62)에 즉, 래치핀(8)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후 그 상방향으로 부속품유니트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홈(47)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축(61)의 상간피스(62)에 삽입된 원통형축(61a)의 단부는 제 21(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홈(64)과의 삽입 또는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래치(7)는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서는 래치리시버(도시하지 않음)에 계지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에서는 과전류트립장치(도시하지 않음) 또는 트립장치(5)가 동작하여 트립기구를 타격함으로써 래치(7)가 해제되면 이미 힘이 축적된 개폐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힘으로 래치(7)가 래치핀(8)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토글링크(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개폐스프링의 탄성작용을 반전시켜 홀더(59)를 회전시킨다. 그 결과, 유지된 가동접촉자(58)를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시킨다(트립동작).
래치(7)의 상기와 같은 계지 상태에 있어서, 조작레버(61c)는 경보스위치(4)의 액튜에이터(17)에 대하여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가 된다. 따라서, 회로차단기가 상기와 같은 트립동작을 행하여 조작축(61)이 래치핀(8)과 일체로서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작레버(61c)는 액튜에이터(17)의 하단부(17b)에 작용하여 이것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경보스위치(4)는 리드선(16)을 통해 트립신호를 외부로 송출한다.
이에 대하여, 조작축(61)의 리세트레버(61b)는 부속품유니트가 커버(1)에 장착되는 경우에, 베이스(10)의 윈도우(38)(제 14 도) 및 유니트베이스(18)의 윈도우(18a)를 통해 트립장치(5)내에 삽입되며, 이 리세트레버(61b)는 푸시바(25)의 양쪽에 위치하여 스프링리시버(28)와 제 8 도의 관계위치에서 대면한다.
트립장치(5)가 동작하여 가동철심(22)이 고정철심(20)으로부터 개방되면, 푸시바(25)는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트립크로스바(67)를 타격하여 이것을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래치리시버에 의해 래치(7)의 계지가 해제되어 회로차단기가 개방한다.
회로차단기의 상기 트립동작과정에서, 조작축(61)은 래치핀(8)에 구동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축(61)과 일체의 리세트레버(61b)는 트립스프링(27)의 신장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하여 스프링리시버(28)와 접하며, 제 9 도는 이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축(61)이 다시 회전하면 리세트레버(61b)는 스프링리시버(28)를 통해 트립스프링(27)을 가압하고, 트립동작의 종료점에서 제 10 도에 도시한 이와같이 트립스프링(27)을 압축한다. 따라서 가동철심(22)은 리세트스프링(26)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고정철심(20)에 접촉한다. 따라서, 그 시점에서 회로전압이 규정치까지 회복하거나(부족전압트립의 경우), 또는 조작전압이 무전압이면(전압트립의 경우)트립장치(5)는 리세트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10 도는 래치(7)가 해제되어 종료점까지 회전된 트립완료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트립장치(5)를 탑재한 부속품유니트의 장착은 트립완료상태 이후 행한다.
이 상태에서, 리세트레버(61b)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상태에 있으므로 상방향으로부터 삽입된 베이스(10) 및 유니트베이스(18)의 각 윈도우(38, 18a)로부터 트립장치(5)내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립장치(5)가 부족전압트립장치이고 그 장착시에 트립스프링(27)이 신장상태에 있다고 하면 스프링리시버(28)가 리세트레버(61b)의 선단곡면부에 접하는 것에 의해 제 10 도의 리세트상태가 될 때까지 이 트립스프링(27)은 가압된다.
제 10 도의 트립종료상태로부터 회로차단기본체를 리세트하기 위해 조작핸들(도시하지 않음)을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해 리세트위치까지 회전시키고, 래치(7)를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이것을 래치리시버에 계합시킨다. 그러나, 그 시점에서 가동철심(22)이 흡착되어 있지 않으면 래치(7)의 리세트 운동과 함께 리세트 레버(61b)가 스프링리시버(28)로부터 분리되므로, 푸시바(25)가 재돌출하고 트립크로스바(67)가 회전하여 래치(7)의 상기 계합을 방해한다.
즉, 트립장치(5)가 정상상태(부족전압트립의 경우는 규정회로전압의 인가전압, 전압트립의 경우는 조작전압의 무전압상태)로 되지 않으면 래치(7)의 계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차단기 본체의 리세트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것이 래치핀(8)에 연결된 조작축(61)으로 트립장치(5)의 리세트를 행하는 본 발명의 큰 이점이다.
종래 트립동작시에 개방분리운동을 행한 가동접촉자에 의해 트립장치의 리세트레버를 구동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트립장치가 상기와 같은 정상상태가 되지 않는다 해도 가동접촉자가 개방분리위치에 있으면 트립스프링이 구속되므로 회로차단기 본체의 리세트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그 상태로부터 즉시 회로차단기의 "온" 조작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조작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온" 조작에 의해 가동접촉자가 개방분리위치로부터 "온"위치로 이동하면 이 이동에 따라서 트립스프링의 구속이 점차 해제되므로 가동접촉자가 어느 정도까지 이동하면 트립장치가 작동하여 회로차단기를 트립동작시킨다. 그 결과, 회로차단기의 "온" 조작의 과정에서 가동접촉자가 급속히 개방분리방향으로 반전하여 개폐기구에 큰 충격을 가함으로써 이것을 파손하는 위험이 발생한다.
또한, 가동접촉자의 개방분리운동에 의해 리세트레버를 작동시키면 트립동작시에 트립장치의 리세트기구에 큰 충격을 가함으로써 역시 이것을 파손하는 위험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원만한 수동 또는 전동에 의한 회로차단기 본체의 리세트조작에 따라서 트립장치(5)를 리세트하므로 상기와 같은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 6 도에 있어서, 보조스위치(3)의 각 액튜에이터(14)는 하단부(14b)가 홀더(59)의 상단부에 형성된 조작돌기(59a) 대면하여 있다. 제 6 도의 상태에서 가동접촉자(58)가 폐쇄하면, 홀더(59)는 제 6 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조작돌기(59a)에 의해 액튜에이터(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이크로스위치(11)의 푸시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개방시킨다.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접촉자(58)가 개방분리되면, 액튜에이터(14)는 백스프링(15)의 작용으로 도면의 상태로 복귀하여 푸시버튼을 가압함으로써 마이크로스위치(11)의 접점을 전환하여, 그 결과 보조스위치(3)로부터 개폐신호가 리드선(16)을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제 22 도는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 도시한 회로차단기(예를들면 400A 프레임)보다도 큰 대형의 회로차단기(예를들면 800A 프레임)의 단면도(제 7 도에 상당함)이다. 제 22 도에 있어서는 제 7 도의 경우보다도 상간거리가 크지만 커버(1)에 장착된 부속품유니트와 조작축(61)은 형상이 동일하므로 상간크기의 비례에 따라서 길이 및 직경모두가 큰 상간피스(62)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 7 도의 회로차단기를 수정함으로써 제 22 도의 회로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제 23 도는 커버플레이트(48)(제 16 도) 대신에 베이스(10)에 단자보드(68)를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 24 도는 그 측면도이며, 제 25 도는 다른 실시예로서 단자보드(68)가 장착된 베이스(10)로 구성되는 회로차단기의 평면도이고, 제 26 도는 그 측면도이다.
단자보드(68)의 본체측면에는 커버플레이트(48)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68a)가 배설되어 있으며, 단자보드(68)는 이 돌기(69a)를 통해 베이스(10)에 위치한 홈(46)(제 14 도)에 삽입된다. 홈(43, 44, 45)내의 리드선은 단자보드본체의 이민축으로 배설되고, 단자스크류(69)가 결합된 금속단자(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플레이트(48)와 단자보드(68)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회로차단기를 리드선인출형(제 1 도)으로 할것인가, 또는 단자보드장착형(제 25 도)으로 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7 도는 베이스(10)의 이면에 U자형의 클립(70)을 배설하고, 이것에 조착축(61)을 파지시키도록한 부속품유니트의 측면도이고, 제 28 도는 그 정면도이다. 클립(70)은 제 2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축(61)을 지지하는 홈(47)(제 17 도)의 양측에서 베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조작축(61)을 탄성적으로 파지한다.
조작축(61)은 부속품유니트의 장착에 앞서서 상술한 바와같이 상간 피스(62)를 통해서 래치핀(8)에 연결되어 있지만 조작축(61)을 분실하거나 래치핀(8)에 연결하는 것을 망각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것이 심히 염려되는 경우에는 클립(70)으로 조작축(61)을 항상 베이스(10)에 파지시키고, 이것에 의해 부속품유니트가 회로차단기에 장착되면 조작축(61)이 자동적으로 커버(1)내에 삽입되도록하여 분실이나 연결작업의 망각과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세트화한 복수의 부속품 즉, 2개의 보조스위치(3), 2개의 경보스위치(4) 및 1개의 트립장치(5)를 공통베이스(10)에 착탈가능하게 탑재하여 유니트화하고, 이 부속품 유니트를 회전차단기의 커버(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또한, 부속품을 일 유니트로서 착탈할 수도 있고, 커버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부속품의 조합을 교체하거나 다른 부속품을 추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베이스(10)에 최대수의 부속품을 탑재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모든 요부(31, 33, 36)에 부속품을 장착할 필요가 없으며, 사양에 따라서 증감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10)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각 부속품의 배선을 부속품 유니트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단자보드의 경우에 배선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더욱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립장치(5)를 래치핀(8)에 연결한 조작축(61)으로 리세트하므로, 트립장치(5)가 정상상태로 되지 않으면 회로차단기 본체의 리세트가 행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이것에 연속하는 "온" 조작도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접촉자의 개방분리 동작으로 트립장치를 리세트하는 경우와 같이 "온" 조작의 과정에서 가동접촉자가 급격히 반전하여 개폐기구를 파소할 위험이 없고, 트립장치의 리세트기구에 충격력을 주어 이것을 파손할 위험도 없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트립장치(5)에 인접하여 경보스위치(4)를 배치하면, 동일한 조작축(61)으로 동시에 경보스위치(4)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성이 간결해진다. 그리고, 경보스위치(4)의 후방으로 보조스위치(3)를 배치하면, 가동접촉자(58)의 홀더(59)로 보조스위치(3)를 조작시키는 구성이 되므로 부속품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이 합리적으로 된다.
상기 부속품의 레이아웃은 베이스(10)를 사용하지 않고, 부속품을 커버(1)에 직접 장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 29 도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를 이용하지 않은 회로차단기의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 30 도는 이 커버에 부속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 29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 31 도는 제 29 도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 32 도는 제 29 도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또한, 베이스(1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 베이스(10)를 케이스(2)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와같은 구성을 제 33 도에 도시된다. 이 경우에는 조작축(61)의 경보스위치(4)의 단부는 제 3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에서 지지된다.
그런데, 부속품이 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부속품은 커버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으므로 회로차단기가 예를들면 회로보드내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가 부속품을 착탈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품이 베이스를 통해 커버의 요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회로보드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부속품의 착탈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회로차단기의 상태에 따라서 부속품의 착탈이 발생하면 다음에 서술하는 바와같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첫째,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통전상태)에서 부속품을 착탈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위험하다. 또한, 회로차단기의 "오프" 상태에서도, 부속품의 착탈 작업중에 트립기구의 일부에 접촉하여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 경우에도 반전한 개폐기구가 손가락을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부족전압 트립장치는 무전압에서 리세트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므로, 장착과 동시에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는 것이 되어 위험하다.
또한,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불문하고 경보스위치 또는 보조 스위치를 회로차단기로부터 제거하여 그대로 두면 이 회로차단기가 사용중에 가끔씩 트립할 때에도 필요한 신호를 얻지 못하고, 제어 동작에 지장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회로차단기가 트립상태로 되지 않으면 부속품의 착탈이 불가능하도록 회로차단기를 구성해야 한다.
즉, 회로차단기가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서는 부속품을 탑재한 베이스를 커버에 장착하거나, 또 커버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다시 커버에 장착된 베이스상에 부속품을 장착하고, 커버에 장착된 베이스로부터 부속품을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즉, 트립상태에서는 회로차단기가 당연히 "오프"하여 있으므로 안전하고, 또한 트립기구에 접촉하여도 트립동작이 발생하지 않으며, 경보스위치 또는 보조스위치를 제거하여도 지장이 없다.
제 34 도-제 38 도는 이와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 34 도는 상간 피스의 제 20 도에 상당하는 상시도이고, 제 35(a) 도 및 제 35(b) 도 및 제 35(c) 도는 조작축의 제 21(a) 도, 제 21(b) 도, 제 21(c) 도에 상당하는 좌측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며, 제 36 도는 회로차단기의 "온", "오프" 상태에 있어서의 트립장치 부분을 도시한 제 8 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고, 제 37 도는 회로차단기의 "온", "오프" 상태에 있어서의 경보스위치 및 보조스위치 부분을 도시한 제 6 도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며, 제 38 도는 회로 차단기의 트립상태에 있어서의 제 36 도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먼저, 제 34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상간피스(62)의 홈(65) 일측에서 이 홈(65)에 삽입되는 조작축(61)이 리세트레버(61b)와 대향하여 간섭편(6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간 피스 (62)의 다른 구성을 제 20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다.
이 상간피스(62)의 간섭편(62b)은 베이스(10)의 윈도우(38) 및 유니트 베이스(18)의 윈도우(18a)를 통해 트립장치(5)내에 도입되며, 베이스(10) 및 유니트베이스(18)에 대하여 제 36 도에 도시한 위치관계를 갖는다.
제 35(a) 도 내지 제 35(c) 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조작축(61)에 조작레버(61c)와 중첩하도록 간섭 철부(61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축(61)의 다른 구성은 제 21(a) 도 내지 제 21(c) 도에 있어서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조작축(61)의 간섭철부(61d)는 경보스위치(4)에 있어서의 액튜에이터(17) 하단부(17b)의 상방향에 위치하여 이 하단부(17b)와 대면한다.
또한, 제 37 도에 있어서, 커버(1)에는 새로운 인터 록 레버(71)가 설치되어 있다. 대략 S자 형상의 인터록레버(71)는 버커 격벽(50)에서 핀(7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격벽(50)과의 사이에 장착된 트위스트스프링(73)에 의해 제 7 도의 시계방향으로 가압된다.
이 인터록 레버(71)는 좌단부(71a)가 항상 조작축(61)의 조작레버(61c)에 대접하여 제 37 도에 도시한 위치로 로크되고, 우단부(71b)는 보조스위치(3)에 있어서의 액튜에이터(14)의 하단부(14b)에 대항하여 있다. 액튜에이터(14)의 하단부(14b)는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특히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36 도에 있어서, 트립장치(5) 등을 탑재한 베이스(10)를 버커(1)로부터 제거하려고 하거나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에 장착하려고 하면, 윈도우(38)를 형성하는 베이스(10)의 에지부(10a)는 간섭편(62b)에 접하여 커버(1)에서 착탈할 수 없다. 이에 대하여 회로차단기가 제 38 도의 "트립" 상태에 있으면 간섭편(62b)의 직립상태로 위치하므로 에지부(10a)에 접하지 않고, 베이스(10)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36 도에 있어서, 커버(1)에 장착된 상태의 베이스(10)로부터 트립장치(5)를 제거하려고 하거나,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하려고 하면, 윈도우(18a)를 형성하는 유니트베이스(18)의 에지부(18b)가 간섭편(62b)에 접하여 베이스(10) 상에서 착탈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하여, 제 38 도의 "트립" 상태에서는 간섭편(62b)이 직립상태로 위치하므로 에지부(18b)에 접하지 않고, 트립장치(5)의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 37 도에 있어서 베이스(10)로부터 경보스위치(4)를 제거하려고 하면, 액튜에이터(17)의 하단부(17b)가 조작축(61)의 간섭철부(61d)에 접하여 제거되지 않는다. 또, 베이스(10)에 도시한 바와같이 경보스위치(4)를 장착하려고 하면 액튜에이터(17)는 하단부(17b)가 간섭철부(61d)에 접하고 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유롭게 되지만, 상단부(17a)가 경보스위치(4)의 케이스(12)벽에 접하여 더 이상 자유롭게 되지 않으므로 결국 경보스위치(4)는 베이스(10)에 장착될 수 없게 된다.
유사하게, 베이스(10)로부터 보조스위치(3)를 제거하려고 하면, 액튜에이터(14)의 하단부(14b)가 인터록레버(71)의 우단부(71b)에 접하고, 인터록레버(7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유롭게 되지만 좌단부(71a)가 커버 격벽(50)에 접하므로 보조스위치(3)가 제거되지 않는다. 또, 보조스위치(3)를 제 3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장착하려고 조작축(61)의 조작레버(61c)로 로크된 인터록레버(71)의 우단부(71b)에 액튜에이터(14)의 하단부(14b)가 접하여 장착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제 37 도에서 간섭철부(61d)의 위치를 쇄선으로 도시한 "트립" 상태에서는 간섭철부(61d)가 액튜에이터(17)에 접하지 않게 되므로 경보스위치(4)가 착탈가능하게 된다. 또, "트립" 상태에서는 조작레버(61c)가 인터록레버(71)의 좌단부(71a)로부터 자유롭게 되므로, 이것으로부터 개방된 인터록레버(71)는 트위스트스프링(73)의 힘에 의해 도면의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액튜에이터(14)의 하단부(14b)는 인터록레버(71)의 우단부(71b)에 접하지 않고, 보조스위치(4)는 착탈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부속품은 회로차단기가 "트립" 상태로 되지 않으면 착탈이 불가능하며, 부속품의 착탈조작상의 안정성이 항상 확보된다.
제 39 도 및 제 40 도는 트립장치(5) 베이스(10)에 대하여 보다 긴밀히 장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9 도는 트립장치(5)의 측면도이고, 제 40 도는 트립장치를 베이스(10)에 장착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트립장치(5)의 훅(39)은 제 39 도의 자유상태에서는 제 40 도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보다도 외측으로 더 넓게 개방되어 있다(제 39 도에서의 훅(39)의 개방각을 α1, α2, 제 40 도에서의 훅(39)의 개방각을 β1, β2로 하면 α1>β1, α2>β2가 된다).
따라서, 트립장치(5)가 베이스에 장착되면, 탄성변형한 훅(39)의 복원력에 의해 베이스(10)에 대하여 트립장치(5)의 전후방향(제 40 도의 좌우측방향)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좌측 훅(39)의 상하방향의 복원력 성분에 의해 베이스(10)의 저부로 트립장치를 가압하므로 트립장치의 상승이 방지된다.
제 40 도의 상태로부터 트립장치(5)를 제거하는 것은, 좌측 훅(39)을 화살표 P 방향으로 손가락에 의해 가압하여 해제하고, 그대로 우측 훅(39)을 중심으로 화살표 Q 방향으로 트립장치(5)를 회전하여 상승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역으로, 트립장치(5)를 장착하는 것은, 먼저 우측 훅(39)을 사각홀(41)이 에지부에 결합하고, 다음에 좌측 훅(39)을 화살표 P 방향으로 손가락에 의해 가압하면서 사각 홀(40)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각 훅(39)의 내측면에는 스토퍼면(39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착탈시에 있어서의 훅(39)의 내측으로의 과대한 변형을 저지하여 그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훅은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트립장치를 베이스(10)에 장착하는 상기 구성은 베이스(10)를 커버(1)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제 41 도 및 제 42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가동접촉자의 회전변위에 의해 접점 소모표시 스위치의 동작레버를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며, 제 41 도는 접점소모전의 회로차단기의 "온"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 42 도는 접점에 소모된 경우의 회로차단기의 요부종단면도이다.
제 41 도에 있어서, 가동접촉자(58)은 절연물의 홀더(59)에서 지지축(10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개폐축(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본체 케이스(2)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홀더(59)는 개폐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축을 지지점으로 개폐구동된다. 가동접촉자(50)와 홀더(59)사이에는 트위스트스프링이 되는 접촉스프링(105)이 삽입되어 있고, 가동접촉자(58)는 접촉스프링(105)에 의해 고정접촉자(57)를 향하여 도면상의 반시계방향으로 가입된다. 회로차단기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 고정접촉자(57)에 가압된 가동접촉자(58)는 접촉스프링(105)을 절곡하고,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접점(58a)과 고정접점(57a)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접촉압력이 발생한다.
한편, 본체 케이스(2)에 부착된 본체커버(1)에는 마이크로스위치가 되는 접점소모표시스위치(108)가 설치되어 있다. 접점소모표시 스위치(108)는 케이스(109)에 유지되어 카세트화되고, 베이스(110)를 통해 본체커버(1)이 요부(1a)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9)에서 핀(111)에 의해 지지된 조작레버(108a)의 조작단부는 가동접촉자(58)의 후단부에서 간극을 통해 대향하고 있다.
제 42 도는 접점의 소모가 한계에 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가동접점(58a) 및 고정접점(57a)이 소모하면 접촉스프링(105)에 의해 고정접촉자(57)에 가압되어 있는 가동접촉자(58)는 접점의 소모량만큼 반시계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리고, 접점소모가 한계치가 도달하면 가동접촉자(58)는 그 후단부에서 제 4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레버(108a)를 가압하여 접점 소모표시 스위치(108)를 전환하고, 리드선(16)을 통해 신호를 송출시킨다.
제 43 도 제 44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가동접촉자의 회전변위에 의해 접점소모표시봉을 회로차단기로부터 돌출시킨 것을 도시하며, 제 43 도는 접점소모전의 회로차단기로에 있어서 "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 44 도는 접점이 소모된 후의 회로차단기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제 43 도에 있어서, 본체 케이싱(2)에는 접점소모표시봉(113)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봉(113)은 케이스(14)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카세트화 되고, 베이스(110)를 통해 본체커버(1)의 요부(1a)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표시봉(113)은 케이스(114)와의 사이에 삽입된 압축 스프링인 복귀스프링(115)에 의해 제 43 도에 도시한 최저위치까지 가압되고, 그 상태에서 표시봉(113)의 상단부는 요부(1a)를 커버하는 보조커버(1160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하단부는 간극을 통해 가동접촉자(58)의 후단부에 대향한다. 표시봉(113)의 상단부에는 접점의 소모한계를 표시하는 색표시마크(113a)가 설치되어 있고, 그밖의 구성은 제 41 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43 도의 상태에서는 표시봉(113)의 상단부 단면이 보조커버(116)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면이다. 그러나 가동접점(58a) 및 고정접점(57a)이 소모하여 전술한 바와같이 가동접촉자(1)가 회전변위하면, 표시봉(113)이 가동접촉자(58)의 후단부에 의해 복귀스프링(115)에 대향하여 점차 상승함으로써 상단부가 보조커버(116)로부터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제 4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접점소모가 진행하면 색표시마크(113a)가 나타나 소모가 한계치까지 도달한 것을 표시한다.
제 45 도 및 제 45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회로 차단기의 트빌동작의 과정중에 트립장치를 리세트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제 45 도는 본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제 46 도는 제 45 도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 45 도 및 제 46 도에 있어서, 트립장치(5)는 수지성형품의 보트형 베이스(210)상에 유니트화되어 베이스(210)와 일체로 결합레그(210b)를 통해 역시 동일한 수지성형품의 부속품 베이스(2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부속품 베이스(230)는 일체로 형성된 결합레그(230a)를 통해 회로차단기의 커버(231)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부속품 베이스(230)에는 도시한 트립장치 이외의 부속품(전압 트립장치, 보조스위치, 경보스위치 등)도 장착가능하며, 또한 이들 부속품은 커버(231)에 대해서는 착탈가능하다. 제 46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32는 트립장치(5)를 포함한 상기 부속품을 커버하는 보조커버로서, 커버(231)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트립장치(5)에 있어서, 고정철심(2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는 푸시바(208)는 가동철심(21)도 관통하여 이것과 고착되고 그 선단부(208a)는 트립크로스바(219)의 제 2 의 조작압(219b)과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의 조작암(219a)은 과전류트립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대향하고 있다. 푸시바(208)의 베이스단부는 스프링리시버(233)를 통해 트립스프링(212)과 대면한다.
트립스프링(212)의 일단은 베이스(210)에 형성된 스프링 시트(234)에 삽입되고, 그 타단은 스프링 리시버(233)에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 리시버(233)는 장방향의 판재로서, 그 좌우단의 각 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베이스(210)에 형성된 스프라이프 형상의 돌기(210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다. 또한, 제 45 도 및 제 46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35는 가동철심(21)과 베이스(210) 사이에 삽입된 압축스프링인 복귀스프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코일(22)은 직류코일을 사용하고, 이 전자코일(22)과 같은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하는 환형상의 영구자석(236)이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영구자석(236)은 가동철심(21)을 흡인하기 위해 베이스로드로서 이용되며, 전자코일(22)은 보다 용량이 작을수도 있다.
또한, 제 45 도 및 제 46 도에 있어서, 참조부호 222는 포크형상의 조작레버로서, 그 일단은 수지성형품의 피스(237)를 통해 래치축(2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커버(231)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시트(231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수지성형품의 피스(237)는 래치축(221)의 단면에 일체로 형성된 직경방향의 돌기(221a)에서 이 돌기에 대향하는 홈을 통해 그 상방향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유사하게 조작레버(222)는 피스(237)의 돌기(237a)에서 홈을 통해 상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피스(237) 및 조작레버(222)는 트립장치(5)의 커버(231)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래치축(221)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가동철심(21)은 상시에 고정철심에 흡인되고, 푸시바(208)는 그 기단부(208b)에서 트립스프링(212)을 압축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 코일(22)에 인가된 회로전압이 소정치 이하까지 저하하면, 푸시바(208)의 기단부(208b)에 작용하는 트립스프링(212)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철심(21)은 고정철심(20)으로부터 분리되고, 복귀스프링(235)을 압축하면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푸시바(28)도 쇄선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선단부(208a)로 조작암(219b)을 가압하여 트립크로스바(219)를 제 46 도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래치(도시하지 않음)의 결합이 해제되고, 회로차단기가 오프한다.
회로차단기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트립동작을 행하면, 래치 축(221)에 연결된 조작레버(222)는 실선의 리세트 위치로부터 쇄선의 트립위치까지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쇄선 위치에 있는 스프링리시버(233)를 하향가압하여 트립스프링(212)을 압축한다. 그 결과, 푸시바(208)는 트립스프링(212)으로부터 해제되고, 복귀 스프링(235)의 작용으로 좌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철심(21)을 고정철심(20)에 접촉시킨다. 이 시점에서, 회전전압이 회복되어 있으면 가동철심(21)이 재흡인되어 트립장치(5)의 리세트가 달성된다.
다음에, 회로차단기를 리세트조작하면, 조작레버(222)는 제 46 도는 쇄선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경우, 회로전압이 회복되어 있지 않으면 조작레버(222)의 이동에 따라서 푸시바(208)도 트립스프링(212)의 작용에 의해 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즉시 트립크로스바(219)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로차단기의 리세트는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회로차단기의 연속적인 "온" 동작도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트립장치(5)의 리세트동작에 있어서, 조작레버(222)가 스프링리시버(233)에 충돌하면 조작레버(222)는 가동철심에 비해 소형인 동시에 경량이므로 그 운동 에너지는 작고 트립스프링(212)의 쿠숀작용에 의해 충분히 흡수되므로 큰 충격력이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45 도 및 제 46 도에 도시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조작레버(222)의 조작력은 푸시바(208)등의 가동부분에는 작용하지 않고, 트립스프링(212)을 압축하여 푸시바(208)에 대한 해제를 발생시키므로 트립장치(5)는 손상을 받을 위험이 전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베이스에 부속품이 장착되고 커버에 베이스가 장착되므로 형상과 크기가 상이한 여러 부속품을 회로차단기 본체에 자유로이 장착할 수 있고, 이 경우 형상이 복잡한 커버요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복수의 부속품이 일유니트로서 장착될 수 있고, 부속품 조합의 교환, 부속품의 추가 및 배선처리 등을 회로차단기와 별개로 하여 부속품유니트 단독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좁은 보드에서 이들 작업을 부속품개개로 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작업공정수가 절감되는 동시에 안정성도 향상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트립장치는 래치축으로 리세트하는 구성에 의해 트립장치의 리세트시점에서 회로전압이 회복되지 않으면 회로차단기의 리세트가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회로전압이 저하한 상태에서 회로차단기를 "온" 조작하고, 가동접촉자가 "온" 동작의 도중에서 급격히 "오프" 동작을 개시하여 기구부분에 과대한 부하를 부여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트립장치를 리세트하는 경우에 리세트레버 등에 작용하는 조작력이 감소하여 리세트기구를 손상할 위험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개폐기구나 트립장치의 리세트기구를 필요 이상으로 강고히 할 필요가 없으며, 그 결과 회로차단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절연물의 용기와, 상기 용기내에 수납된 개폐기구와, 상기 용기내부를 구획하여 상기 케이스의 요부를 형성하는 격벽과, 가세트화한 부속품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버에 형성된 상기 요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연물의 베이스를 구비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품은 공통 베이스로서의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복수개의 부속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구부가 형성된 커버측벽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는 홈이 형성된 베이스 측벽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측벽은 상기 버커측벽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와 대면하고, 상기 홈은 상기 부속품의 리드선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부속품의 상기 리드선을 유지하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부속품의 상기 리드선을 유지하는 단자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폐기구의 측면에 배설되고, 상기 계폐기구의 래치와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핀에 동축으로 연결된 조작축에 의해 조작되는 경보스위치를 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폐기구의 측면에 배설되는 트립장치 및 경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계폐기구의 래치핀과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핀에 동축으로 연결된 조작축에 의해 상기 트립장치를 리세트하고, 상기 경보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스위치 후방에 배설되고, 가동접촉자를 지지하는 홀더로 조작되는 보조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축방향을 따라서 U자형 홈을 갖는 상간피스를 구비하고, 상기 U자형 홈에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조작축을 상기 래치핀에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타단을 상기 커버 및 케이스 중 하나에 형성된 홈에 결합시키며, 또한 상기 조작축을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홈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축을 상기 베이스에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차단기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부속품을 탑재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커버에 장착하거나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제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차단기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에 장착된 상기 베이스에 상기 부속품을 장착하거나,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부속품을 제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3. 케이스와 커버로 이루어진 절연물의 용기와, 상기 용기에 수납되고, 래치를 갖는 계폐기구와, 부속품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케이스의 요부를 상기 용기내부를 구획하여 형성하는 격벽과, 트립장치와, 상기 트립장치에 대해 상호 인접한 위치관계를 가지면서 상기 트립장치와 함께 상기 개폐기구 측면에 배설되는 경보 스위치와, 상기 개폐기구의 상기 래치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래치핀과, 상기 래치핀에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트립장치를 리세트하고 상기 경보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19920019421A 1991-10-24 1992-10-22 회로차단기 KR970007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5466A JPH05120983A (ja) 1991-10-24 1991-10-24 回路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91-305466 1991-10-24
JP91-359768 1991-12-27
JP35976891 1991-12-27
JP11406492 1992-04-07
JP92-114064 1992-04-27
JP92-235222 1992-08-11
JP23522292 1992-08-11
JP4248749A JPH0676722A (ja) 1992-08-25 1992-08-25 回路遮断器の接点消耗表示装置
JP92-248749 1992-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8892A KR930008892A (ko) 1993-05-22
KR970007515B1 true KR970007515B1 (ko) 1997-05-09

Family

ID=2752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421A KR970007515B1 (ko) 1991-10-24 1992-10-22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81219A (ko)
KR (1) KR970007515B1 (ko)
DE (1) DE4235504C2 (ko)
TW (1) TW2005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8234C1 (de) * 1994-03-11 1995-06-14 Kloeckner Moeller Gmbh Gehäuseaufbau mit Zusatzeinrichtungen für Leistungsschalter
IT1292453B1 (it) 1997-07-02 1999-02-08 Aeg Niederspannungstech Gmbh Gruppo rotante di contatti per interrutttori di alta portata
DE19819242B4 (de) 1998-04-29 2005-11-10 Ge Power Controls Polska Sp.Z.O.O. Thermomagnetischer Leistungsschalter
US6114641A (en) 1998-05-29 2000-09-05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ntact assembly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s
US6087913A (en) 1998-11-20 2000-07-1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mechanism for a rotary contact system
US6037555A (en) 1999-01-05 2000-03-14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ntact circuit breaker venting arrangement including current transformer
JP3900730B2 (ja) * 1999-02-15 2007-04-0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開閉器の端子構造
US6166344A (en) 1999-03-23 2000-12-26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handle block
US6262872B1 (en) 1999-06-03 2001-07-1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trip unit with user-adjustable sensitivity to current spikes
US6268991B1 (en) 1999-06-25 2001-07-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rrangement for customizing electronic circuit interrupters
US6218917B1 (en) 1999-07-02 2001-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rrangement for calibration of circuit breaker thermal trip unit
US6188036B1 (en) 1999-08-03 2001-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Bottom vented circuit breaker capable of top down assembly onto equipment
US6710988B1 (en) 1999-08-17 2004-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Small-sized industrial rated electric motor starter switch unit
US6252365B1 (en) 1999-08-17 2001-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Breaker/starter with auto-configurable trip unit
US6396369B1 (en) 1999-08-27 2002-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Rotary contact assembly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s
US6175288B1 (en) 1999-08-27 2001-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lemental trip unit for rotary circuit interrupters
US6188302B1 (en) * 1999-08-30 2001-02-13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with two piece bell accessory lever with overtravel
US6232570B1 (en) 1999-09-16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Arcing contact arrangement
US6326869B1 (en) 1999-09-23 2001-12-04 General Electric Company Clapper armature system for a circuit breaker
US6239395B1 (en) 1999-10-14 2001-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Auxiliary position switch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6229413B1 (en) 1999-10-19 2001-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of stationary conductors for a circuit breaker
US6317018B1 (en) 1999-10-26 2001-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mechanism
DE19952179A1 (de) * 1999-10-29 2001-05-03 Moeller Gmbh Elektrisches Schutzschaltgerät
US6232856B1 (en) 1999-11-02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agnetic shunt assembly
EP1098343B1 (en) 1999-11-03 2005-09-21 AEG Niederspannungstechnik GmbH & Co. KG Circuit breaker rotary contact arm arrangement
US6377144B1 (en) 1999-11-03 2002-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base and mid-cover assembly
EP1098337A3 (en) * 1999-11-05 2002-08-07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ignal accessory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441708B1 (en) * 1999-11-05 2002-08-27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hunt trip device for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597266B1 (en) * 1999-11-05 2003-07-22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xternal actuator interlock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US6472965B2 (en) 1999-11-05 2002-10-29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cessory system
US6300586B1 (en) 1999-12-09 2001-10-09 General Electric Company Arc runner retaining feature
US6310307B1 (en) 1999-12-17 2001-10-30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rotary contact arm arrangement
US6184761B1 (en) 1999-12-20 2001-02-06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rotary contact arrangement
US6172584B1 (en) 1999-12-20 2001-01-09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accessory reset system
US6215379B1 (en) 1999-12-23 2001-04-10 General Electric Company Shunt for indirectly heated bimetallic strip
US6281461B1 (en) 1999-12-27 2001-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rotor assembly having arc prevention structure
US6346869B1 (en) 1999-12-28 2002-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Rating plug for circuit breakers
US6211758B1 (en) 2000-01-11 2001-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accessory gap control mechanism
US6239677B1 (en) 2000-02-10 2001-05-29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thermal magnetic trip unit
US6429759B1 (en) 2000-02-14 2002-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Split and angled contacts
US6208228B1 (en) * 2000-02-16 2001-03-27 Eaton Corporatio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trip bar assembly accomodating internal space constraints
US6281458B1 (en) 2000-02-24 2001-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auxiliary magnetic trip unit with pressure sensitive release
US6313425B1 (en) 2000-02-24 2001-11-06 General Electric Company Cassette assembly with rejection features
US6204743B1 (en) 2000-02-29 2001-03-20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connector strap for a rotary contact circuit breaker
US6404314B1 (en) 2000-02-29 2002-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trip solenoid
US6340925B1 (en) 2000-03-01 2002-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mechanism tripping cam
US6379196B1 (en) 2000-03-01 2002-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Terminal connector for a circuit breaker
US6448521B1 (en) 2000-03-01 2002-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Blocking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contact structure
US6346868B1 (en) 2000-03-01 2002-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interrupter operating mechanism
US6366438B1 (en) 2000-03-06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interrupter rotary contact arm
US6459349B1 (en) 2000-03-06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mprising a current transformer with a partial air gap
US6211757B1 (en) 2000-03-06 2001-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Fast acting high force trip actuator
US6496347B1 (en) 2000-03-08 2002-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ation of a circuit breaker mechanism
US6429659B1 (en) 2000-03-09 2002-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Connection tester for an electronic trip unit
US6218919B1 (en) 2000-03-15 2001-04-17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latch mechanism with decreased trip time
US6232859B1 (en) * 2000-03-15 2001-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Auxiliary switch mounting configuration for use in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366188B1 (en) 2000-03-15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Accessory and recess identification system for circuit breakers
US6421217B1 (en) 2000-03-16 2002-07-16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accessory reset system
US6459059B1 (en) 2000-03-16 2002-10-01 General Electric Company Return spring for a circuit interrupter operating mechanism
US6476698B1 (en) 2000-03-17 2002-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vertible locking arrangement on breakers
FR2806548B1 (fr) 2000-03-17 2002-08-23 Ge Power Controls France Mecanisme extractible pour disjoncteurs
US6586693B2 (en) 2000-03-17 2003-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Self compensating latch arrangement
US6373010B1 (en) 2000-03-17 2002-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Adjustable energy storage mechanism for a circuit breaker motor operator
US6388213B1 (en) 2000-03-17 2002-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Locking device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s
US6472620B2 (en) 2000-03-17 2002-10-29 Ge Power Controls France Sas Locking arrangement for circuit breaker draw-out mechanism
US6639168B1 (en) 2000-03-17 2003-10-28 General Electric Company Energy absorbing contact arm stop
US6479774B1 (en) 2000-03-17 2002-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energy closing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s
US6559743B2 (en) 2000-03-17 2003-05-06 General Electric Company Stored energy system for breaker operating mechanism
US6747535B2 (en) * 2000-03-27 2004-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ecision location system between actuator accessory and mechanism
JP3985423B2 (ja) * 2000-04-12 2007-10-03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
US6373357B1 (en) 2000-05-16 2002-04-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essure sensitive trip mechanism for a rotary breaker
US6400245B1 (en) 2000-10-13 2002-06-04 General Electric Company Draw out interlock for circuit breakers
US6806800B1 (en) 2000-10-19 2004-10-19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y for mounting a motor operator on a circuit breaker
US6531941B1 (en) 2000-10-19 2003-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Clip for a conductor in a rotary breaker
US6429760B1 (en) 2000-10-19 2002-08-06 General Electric Company Cross bar for a conductor in a rotary breaker
US6362711B1 (en) 2000-11-10 2002-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cover with screw locating feature
US6380829B1 (en) 2000-11-21 2002-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Motor operator interlock and method for circuit breakers
US6448522B1 (en) 2001-01-30 2002-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act high speed motor operator for a circuit breaker
US7923650B2 (en) 2001-02-22 2011-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Ganged auxiliary switch configuration for use in a molded case circuit breaker
US6476337B2 (en) 2001-02-26 2002-11-05 General Electric Company Auxiliary switch actuation arrangement
JP4288868B2 (ja) * 2001-05-28 2009-07-0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回路しゃ断器の付属スイッチ装置
US6678135B2 (en) 2001-09-12 2004-01-13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e plug for an electronic trip unit
DE10145059C1 (de) * 2001-09-13 2003-03-13 Moeller Gmbh Schaltgerät
US6774749B2 (en) * 2001-09-19 2004-08-10 Square D Company Trip cross bar and trip armature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US6469882B1 (en) 2001-10-31 2002-10-22 General Electric Company Current transformer initial condition correction
US6804101B2 (en) 2001-11-06 2004-10-12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rating plug for electronic trip unit in circuit breakers
US7843291B2 (en) * 2006-02-23 2010-11-30 Siemens Industry, Inc. Integrated maglatch accessory
DE102006020702B4 (de) * 2006-05-04 2014-03-13 Eaton Industries Gmbh Schutzschalter für Motorschutz und/oder Leitungsschutz
US7445521B2 (en) * 2006-07-27 2008-11-0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straining conductors
US7385153B1 (en) * 2007-03-28 2008-06-10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bar therefor
US7557681B2 (en) * 2007-04-09 2009-07-07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ccessory sub-assembly employing reversible coil frame, and accessor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881362B1 (ko) 2007-07-12 2009-02-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차단기
DE102007037066B4 (de) * 2007-08-03 2023-0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Kupplungsanordnung zur Übertragung der Rotationsbewegung einer Schaltwelle eines elektrischen Schalters an zumindest einen Stellungsmelder
US20090256664A1 (en) * 2008-04-15 2009-10-15 Mahesh Jaywant Rane Solenoid switch and cover
FR2945661A1 (fr) * 2009-05-18 2010-11-19 Schneider Electric Ind Sas Evaluation de l'usure de contacts enfonces par la variation de la rotation de l'arbre des poles
KR101212213B1 (ko) * 2011-07-15 2012-12-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모듈화된 트립기구 및 부속기구 장치
DE102013113455A1 (de) * 2013-12-04 2015-06-11 Eaton Electrical Ip Gmbh & Co. K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 Schaltgerät und Schaltgerät
US11225157B1 (en) 2017-12-29 2022-01-18 Robert Michael Milanes EV home charging unit and method of use
WO2019185996A1 (fr) * 2018-03-29 2019-10-03 Hager-Electro Sas Appareil auxiliaire pour appareil electrique de coupure a boitier moule et appareil electrique de coupure a boitier moule comprenant ledit appareil auxiliaire
US11515115B2 (en) * 2019-11-27 2022-11-2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Shunt trip assembly
US11282663B1 (en) * 2020-12-29 2022-03-2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mpact low amperage shunt solenoid assembly for 12V to 48V AC/DC supp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06025U1 (de) * 1978-02-28 1978-06-0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Selbstschalter, vorzugsweise Motorschutzschalter
GB2071915B (en) * 1980-03-14 1984-04-26 Gen Electric Static trip unit and interlock for circuit breaker
JPS6068524A (ja) * 1983-09-21 1985-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しや断器
JPS6132324A (ja) * 1984-07-20 1986-02-15 富士電機株式会社 配線用遮断器の内部付属装置取付構造
US5197594A (en) * 1985-01-31 1993-03-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for coupling an auxiliary switch mechanism
US4641217A (en) * 1985-05-31 1987-02-03 General Electric Company Two pole ground fault circuit breaker
US4754247A (en) * 1987-06-12 1988-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cessory enclosure
US4794356A (en) * 1987-12-16 1988-12-27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uxiliary switch unit
US4806893A (en) * 1988-03-03 1989-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tuator-accessory unit
US4894631A (en) * 1988-09-06 1990-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tuator-accessory unit
US4913503A (en) * 1988-10-07 1990-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ctuator-accessory unit reset mechanism
US4884048A (en) * 1989-01-18 1989-11-28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urrent transformer assembly
US4912439A (en) * 1989-01-27 1990-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uxiliary switch unit
JPH0770284B2 (ja) * 1989-07-06 1995-07-31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警報スイッチ操作装置
GB2244380B (en) * 1990-05-25 1994-06-29 Mk Electric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it breakers
US5162766A (en) * 1991-10-07 1992-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Molded case circuit breaker with interchangeable trip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81219A (en) 1996-12-03
KR930008892A (ko) 1993-05-22
DE4235504C2 (de) 2002-01-10
DE4235504A1 (de) 1993-04-29
TW200593B (ko) 199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515B1 (ko) 회로차단기
US4789848A (e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latch and operating mechanism assembly
EP0138429A2 (en) Circuit interrupter
KR100898469B1 (ko) 누전 차단기
EP0490332A2 (en) Circuit breaker
CA2292470C (en) Multiple microswitch actuation mechanism
JP3934696B2 (ja) 遮断器
EP2492944A2 (en) Circuit breaker
CN107872027B (zh) 用于防止在配电盘中的断路器插入或取回过程中闭合的互锁装置
US5508670A (en) Trip interlock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JP3097368B2 (ja) 回路遮断器
US20060071741A1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larm interface lever
KR20090091045A (ko) 회로 차단기
KR980011563A (ko) 회로차단기
CA1080287A (en) Fused unitized combination starter
EP0364950B1 (en) Remote-controlled circuit breaker
KR101037468B1 (ko) 회로 차단기
CN115472471A (zh) 一种断路器以及组合开关电器
CN216902655U (zh) 一种脱扣装置和隔离开关
EP1148530A1 (en) Plug-in circuit breaker
EP2610886B1 (en) Shortage voltage trip device of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213124949U (zh) 接线端子连接器
CN115360065A (zh) 一种插入式断路器
JP2000090807A (ja) 回路遮断器
JP4087835B2 (ja) 回路遮断器の付属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