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95Y1 -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 Google Patents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95Y1
KR200460095Y1 KR2020100005947U KR20100005947U KR200460095Y1 KR 200460095 Y1 KR200460095 Y1 KR 200460095Y1 KR 2020100005947 U KR2020100005947 U KR 2020100005947U KR 20100005947 U KR20100005947 U KR 20100005947U KR 200460095 Y1 KR200460095 Y1 KR 200460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tact
auxiliary relay
holde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517U (ko
Inventor
노동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5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95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5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의 보조 계전기에 있어서 보조 계전기 커버의 저면과 보조 계전기 가동접점간의 개폐동작시 충돌로 인한 보조 계전기 가동접점의 뒤집어짐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복수의 가동접점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접촉하여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돌출부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보조계전기의 홀더(HOL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AUXILIARY CONTACT UNIT FOR AUXILIARY RELAY}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접촉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폐로위치와 전원의 공급을 단절하는 개방 위치로 절환가능한 개폐기로서 특히 전동기의 구동과 정지 제어용 개폐기로서 많이 이용되는 전기기기이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도 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고정접점(28a)을 갖는 복수의 단자 어셈블리(28), 전자접촉기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고정코어(fixed core)(22), 고정코어(22)에 끼워지며 여자전류 제공용 신호선의 접속을 위한 단자부를 갖고 여자전류 통전시 고정코어를 여자(magnetizing)시키는 코일어셈블리(coil assembly)(23), 고정코어(22)가 여자되었을 때 고정코어(22)쪽으로 흡인되어 하강하고 고정코어가 소자(demagnetizing)되었을 때 고정코어(22)로부터 멀어지게 상승 이동가능한 가동코어(movable core)(25), 가동코어(25)와 결합되어 가동코어(25)와 함께 이동하며 복수의 가동접점(27)들을 끼워지지하는 크로스바(crossbar)(26), 가동코어(25)와 코일어셈블리(23)사이에 설치되어 가동코어(25)에 고정코어(22)로부터 멀어지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스프링(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있어서 부호 21은 고정코어(22), 코일어셈블리(23)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중공의 상자형 부재로서 부품들을 하부에서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부를 제공하는 하부 프레임(lower frame)을 지시하며, 부호 26a는 크로스바(26)의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를 지시하고, 부호 28b는 단자 어셈블리(28)의 단자나사를 지사하고, 부호 28c는 단자 어셈블리(28)의 단자 지지대를 지시하며, 부호 28d는 단자 어셈블리(28)의 접압스프링을 지시하며, 부호 29는 단자 어셈블리(28)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upper frame)을 지시하고 , 부호 30은 단자커버를 지시하며, 부호 31은 하부 프레임(21)과 상부 프레임(29)을 결합시키는 프레임 결합나사를 지시하고, 부호 32는 상부 프레임(29)의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를 지시하며, 부호 33은 상부 프레임(29) 중 중앙노출부를 통해 돌출하는 크로스바(crossbar)(26)의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를 덮는 접속단부 커버를 지시하고, 부호 34는 전자접촉기를 분전반, 제어함 등에 복수개 수납하여 설치할 때, 복수의 전자접촉기를 용이하게 레일(rail)상에 고정시키는 레일 접속부재를 지시한다.
이와 구성되는 전자접촉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제어 신호선을 통해 전류가 코일 어셈블리(23)에 흐르면, 코일 어셈블리(23)의 코일이 여자됨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23)가 끼워진 고정코어(22)가 여자되고, 따라서 가동코어(25) 및 크로스바(26)의 결합체를 하부로 흡인하게 된다. 이에 크로스바(26)가 하강하면서 크로스바(26)에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27)이 대응하는 고정접점(28a)에 접촉하는 폐로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면, 고정접점(28a)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과 전동기와 같은 부하측에 연결된 부하측 선로가 폐로되어 전원이 공급되어 예컨대 전동기가 회전구동된다.
제어 신호선을 통해 전류가 코일 어셈블리(23)에 흐르던 제어 전류의 통전이 중단되면, 코일 어셈블리(23)의 코일이 소자됨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23)가 끼워진 고정코어(22)가 소자되고, 따라서 가동코어(25) 및 크로스바(26)의 결합체는 복귀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크로스바(26)가 상승하면서 크로스바(26)에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27)이 대응하는 고정접점(28a)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로(회로 개방)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면, 고정접점(28a)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과 전동기와 같은 부하측에 연결된 부하측 선로가 개로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전동기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보조 계전기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20)의 상부에 접속하여 설치되고 하부의 전자접촉기(20)의 폐로 및 개로 동작에 연동하여 접점이 폐로 또는 개로되는 보조계전기(10)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조계전기(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접촉기(20)의 상부면상에서 노출된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 접점 유닛(40)을 끼워 접속하는 것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조계전기(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덮는 보조 계전기 커버(11)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계전기(10)의 보조 접점 유닛(40)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극의 가동접점(42a)가 끼워 설치되고 해당 가동접점(42a)들을 지지하는 4개의 접점 수용부를 가진 홀더(41)과, 해당 홀더(4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고 도 1에 있어서 전자접촉기(20)의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에 끼워 접속하기 위한 안내 슈부(guide shoe portion)(41a)를 갖는다. 미도시 되었지만 도 6에 있어서 홀더(41)의 4개의 접점 수용부내의 가동접점(42a)의 후위에는 초기 접촉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접압스프링(일명 백스프링)이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하부에 접속된 전자접촉기(20)의 폐로 동작시 도 3의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가 하향 이동하면,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에 접속된 보조 접점 유닛(40)도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를 따라서 하향 이동한다. 그러면 보조 접점 유닛(40)의 홀더(41)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42a)이 고정접점(42b)에 접촉하면서 보조 계전기(10)의 폐로 동작이 수행된다.
하부에 접속된 전자접촉기(20)의 개로 동작시 도 3의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가 상향 이동하면,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에 접속된 보조 접점 유닛(40)도 보조 계전기 접속단부(26a)를 따라서 상향 이동한다. 그러면 보조 접점 유닛(4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42a)가 고정접점(42b)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보조 계전기(10)의 개로 동작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는 초기 접촉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귀스프링(일명 백스프링, 상기 부호 24 참조)이 탄성력이 과도한 경우에 홀더(41)의 이동량이 많아 도 6에 있어서 뒤집어진 상태의 가동접점(42a')와 같이 뒤집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가동접점이 뒤집어지면 목적하는 보조 계전기의 개폐동작은 수행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에 있어서 가동접점의 뒤집어지는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가동접점의 뒤집어지는 현상 발생은 방지하면서도 보조 접점 유닛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간 접촉불량은 방지될 수 있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전자접촉기에 접속되며, 상부커버를 갖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가동접점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접촉하여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돌출부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보조계전기의 홀더(HOL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전기의 일면과 상기 홀더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부과하는 보조접점 접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은, 상부커버에 접촉하여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돌출부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홀더를 가지므로, 보조접점의 가동접촉자가 뒤집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은, 보조계전기의 일면과 홀더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홀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부과하는 보조접점 접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므로, 보조접점의 접압력도 우수하게 지속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전자접촉기 및 보조계전기의 조립체 구성을 보여주는 일반적인 전자접촉기 및 보조 계전기의 조립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전자접촉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전자접촉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접촉기와 보조계전기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조계전기의 아래로부터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에 보조계전기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보조계전기와 보조계전기 커버의 조립체의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사시도로서 가동접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사시도로서 가동접점과 접압스프링을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계전기에 있어서 보조계전기와 보조계전기 커버의 조립체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접점 유닛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 접점 유닛(40)을 참조할 수 있으며, 보조 접점 유닛(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접촉기(20)에 접속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접점 유닛(40)은, 도 9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커버, 다시 말해서 보조계전기 커버(11)를 갖는 보조계전기(10)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고안되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접점 유닛(40)은,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더(HOLDER)(41)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계전기의 홀더(41)는 복수의 가동접점(42a, 42a-1)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부커버(도 9의 부호 11 참조)에 접촉하여 홀더(41)의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는 돌출부(41b)를 상부면에 구비한다. 홀더(41)는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바와 같이 4개의 가동접점(41a, 41a-1)을 수용하기 위한 4개의 수용실부를 가지며, 각각의 수용실부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되고 상하면이 폐색된 실로 구성된다. 홀더(41)의 중앙 하부는 전자접촉기의 보조계전기 접속단부(도 3의 부호 26a 참조)와의 접속위해 하향 연장하는 연장부를 가진다. 또한, 홀더(41)는, 하부면에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한 스프링시트(SPRING SEAT)부(41c)를 도 7 및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비한다. 또한, 홀더(41)는, 보조 접점 유닛(40)의 접점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면의 일측에 표시돌출부(41d)를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구비하며, 해당 표시돌출부(41d)는 홀더(41)가 상승했을 때(전자접촉기의 보조계전기 접속단부{도 3의 부호 26a 참조)의 off 위치 복귀에 따른 상승으로 인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계전기 커버(11)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승하여 이를 표시한다. 상기 돌출부(41b)는 바람직하게 표시돌출부(41d)에 인접한 위치에 1개와 표시돌출부(41d)로부터 가장 먼 수용실부의 상부면에 1개 등 2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가동접점(42a, 42a-1)은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로 구성되며, 양 가장자리의 2개의 가동접점(42a)은 정상시 대응하는 고정접점(도 9의 부호 42b 참조)으로부터 분리된 개로 위치를 갖는 정상 개로 접점(normal open 접점, 일명 a접점)으로 구성되며, 양 중앙의 2개의 가동접점(42a-1)은 정상시 대응하는 고정접점에 접촉된 폐로 위치를 갖는 정상 폐로 접점(normal close contact, 일명 b접점)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접점 유닛(40)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은 보조계전기(10)의 일면과 홀더(41)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홀더(41)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부과한다. 따라서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은, 고정접점(도 9의 부호 42b 참조)에 밀착하도록, 정상 폐로 접점(normal close contact, 일명 b접점)인 중앙의 2개의 가동접점(41a-1)에 접촉압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자접촉기의 온(on) 위치 동작과 이에 따른 본 고안의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어 신호선을 통해 전류가 코일 어셈블리(23)에 흐르면, 코일 어셈블리(23)의 코일이 여자됨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23)가 끼워진 고정코어(22)가 여자되고, 따라서 가동코어(25) 및 크로스바(26)의 결합체를 하부로 흡인하게 된다. 이에 크로스바(26)가 하강하면서 크로스바(26)에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27)이 대응하는 고정접점(28a)에 접촉하는 폐로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면, 고정접점(28a)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과 전동기와 같은 부하측에 연결된 부하측 선로가 폐로되어 전원이 공급되어 예컨대 전동기가 회전구동된다. 이때, 크로스바(26)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보조계전기 접속단부(26a)도 크로스바(26)의 하강에 따라서 함께 하강한다. 따라서 보조계전기 접속단부(26a)에 하부의 연장부가 접속된 본 고안의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홀더(41)도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정상개로 접점인 가동접점(42a)은 대응하는 고정접점(42b)에 접촉한다. 따라서 고정접점(42b)에 연결된 미도시한 외부의 회로를 폐회로로 만들수 있다. 한편 이때 정상폐로 접점인 가동접점(42a-1)은 대응하는 고정접점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제어 신호선을 통해 전류가 코일 어셈블리(23)에 흐르던 제어 전류의 통전이 중단되면, 코일 어셈블리(23)의 코일이 소자됨에 따라 코일 어셈블리(23)가 끼워진 고정코어(22)가 소자되고, 따라서 가동코어(25) 및 크로스바(26)의 결합체는 복귀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크로스바(26)가 상승하면서 크로스바(26)에 지지되고 있는 가동접점(27)이 대응하는 고정접점(28a)으로부터 분리되는 개로(회로 개방) 동작이 수행된다. 그러면, 고정접점(28a)의 단자부에 접속되는 전원선과 전동기와 같은 부하측에 연결된 부하측 선로가 개로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전동기가 정지하게 된다. 이때, 크로스바(26)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보조계전기 접속단부(26a)도 크로스바(26)의 상승에 따라서 함께 상승한다. 따라서 보조계전기 접속단부(26a)에 하부의 연장부가 접속된 본 고안의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의 홀더(41)도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정상개로 접점인 가동접점(42a)은 대응하는 고정접점(42b)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고정접점(42b)에 연결된 미도시한 외부의 회로를 개회로로 만들수 있다. 한편 이때 정상폐로 접점인 가동접점(42a-1)은 대응하는 고정접점에 접촉한다.
또한 이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에 의해서 홀더(41)에 상방으로 탄성력이 부과된다. 따라서 보조접점 접압스프링(43)에 의해서, 고정접점(도 9의 부호 42b 참조)에 밀착하도록, 정상 폐로 접점(normal close contact, 일명 b접점)인 중앙의 2개의 가동접점(41a-1)에 접촉압력이 제공된다.
또한 이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돌출부(41b)가 상면에 구비된 홀더(41)는상승할 때 해당 돌출부(41b)가 도 9에 있어서 보조계전기 커버(11)에 접촉하여 홀더(41)의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므로, 가동접점(42a)의 상향 이동거리가 짧아져 뒤집히는 현상이 억제된다.
10: 보조계전기 10a: 스프링 지지면
11: 보조계전기 커버
20: 전자접촉기 21: 하부 프레임
22: 고정코어 23: 코일 어셈블리
24: 복귀스프링 25: 가동코어
26: 크로스바 26a: 보조계전기 접속단부
27: 가동접점 29: 상부 프레임
28: 단자 어셈블리 28a: 고정접점
28b: 단자나사 28c: 단자 지지대
28d: 접압 스프링 30: 단자 커버
31: 프레임 결합나사 32: 상부 커버
33: 접속단부 커버 34: 레일 접속부재
40: 보조 접점 유닛 41: 홀더
41a: 안내 슈부 41b: 돌출부
41c: 스프링시트 부 42a: 가동접점
42b: 고정접점 42a': 가동접점(뒤집어진 상태)
43: 보조접점 접압스프링

Claims (3)

  1. 전자접촉기에 접속되며, 상부커버를 갖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에 있어서,
    복수의 가동접점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커버에 접촉하여 상부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가동접점의 뒤집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돌출부를 상부면에 구비하는 보조계전기의 홀더(HOL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전기의 일면과 상기 홀더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부과하는 보조접점 접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하부면에 상기 보조접점 접압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돌출한 스프링시트(SPRING SEAT)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KR2020100005947U 2010-06-07 2010-06-07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KR200460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7U KR200460095Y1 (ko) 2010-06-07 2010-06-07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47U KR200460095Y1 (ko) 2010-06-07 2010-06-07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17U KR20110011517U (ko) 2011-12-14
KR200460095Y1 true KR200460095Y1 (ko) 2012-05-04

Family

ID=4660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47U KR200460095Y1 (ko) 2010-06-07 2010-06-07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9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48B1 (ko) 2013-09-09 2014-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CN107424870A (zh) * 2017-06-12 2017-12-01 浙江申乐电气有限公司 一种带辅助模块继电器
JP2019197646A (ja) * 2018-05-09 2019-11-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磁接触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95B1 (ko) * 2010-10-29 2012-06-13 한국전력공사 밀착 방지용 보조계전기
KR200468514Y1 (ko) * 2011-12-22 2013-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의 보조 접점 유닛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330U (ko) * 1986-06-07 1988-03-15 금성기전 주식회사 보조접점 케이스를 갖는 전자 접촉기
KR19990052951A (ko) * 1997-12-23 1999-07-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시스템
KR200415257Y1 (ko) * 2005-12-26 2006-05-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330U (ko) * 1986-06-07 1988-03-15 금성기전 주식회사 보조접점 케이스를 갖는 전자 접촉기
KR19990052951A (ko) * 1997-12-23 1999-07-15 이종수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시스템
KR200415257Y1 (ko) * 2005-12-26 2006-05-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48B1 (ko) 2013-09-09 2014-12-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
CN107424870A (zh) * 2017-06-12 2017-12-01 浙江申乐电气有限公司 一种带辅助模块继电器
JP2019197646A (ja) * 2018-05-09 2019-11-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電磁接触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17U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9213B2 (ja) 直流リレー
JP5797351B2 (ja) 2つの反対に作動可能なスイッチを備える継電器
KR200460095Y1 (ko)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JP5497880B2 (ja) 電磁接触器の補助接点機構
JP7223119B2 (ja) 直流リレー
KR101598421B1 (ko) 전자접촉기
CN106887365A (zh) 直流继电器
JPS6334178Y2 (ko)
KR20200096195A (ko) 직류 릴레이
KR102606007B1 (ko) 직류 릴레이
KR102537549B1 (ko) 직류 릴레이
KR102388587B1 (ko) 직류 릴레이
EP2824687A1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KR101276905B1 (ko) 전자 접촉기
KR101794402B1 (ko) 전자접촉기의 상부 보조접점 기구
KR200456667Y1 (ko) 전자 접촉기
KR100298331B1 (ko) 전자접촉기의보조가동접촉자어셈블리
KR102518886B1 (ko) 전자접촉기
JP6207227B2 (ja) 電磁接触器
JP7394277B2 (ja) アークボックス及びそれを含む電磁接触器
US2817729A (en) Short stroke electro-magnetic actuator
KR20090004309U (ko)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KR101589106B1 (ko) 전자접촉기
KR200143976Y1 (ko) 전자접촉기의 마그네트 케이스 충격흡수장치
JPS6457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