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106B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106B1
KR101589106B1 KR1020140010785A KR20140010785A KR101589106B1 KR 101589106 B1 KR101589106 B1 KR 101589106B1 KR 1020140010785 A KR1020140010785 A KR 1020140010785A KR 20140010785 A KR20140010785 A KR 20140010785A KR 101589106 B1 KR101589106 B1 KR 10158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rame
terminal
bobbin
coi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781A (ko
Inventor
장현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1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보빈의 외측면에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어셈블리;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PCB 회로부;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코일단자;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코일단자노출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코일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코일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MC,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 원리를 이용하여 주회로에 흐르는 전원(전류)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전자접촉기는 제1프레임(11), 가동코어(12), 복원스프링(13), 보빈(14), 고정코어(15), 및 제2프레임(16)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빈(14)은 속이 빈 원통형 철심으로서, 보빈의 외측면에 감겨진 코일(14a)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4a) 주위에 자기장이 발생하고, 이 자기장에 의해 코일 및 고정코어가 전자석이 된다.
상기 가동코어(12)는 전자석의 흡인력에 의해 고정코어로 이동하고, 가동코어(12)와 기구적으로 연결된 가동접점이 하강하여 고정접점에 접촉됨에 따라 주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코일(14a)에 인가된 전원이 사라지면 코일(14a) 주위의 자기장도 사라져서 복원스프링(13) 위에 위치한 가동코어(12)가 복원스프링(1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상승하면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분리되어 주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전저접촉기에 있어서, 코일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과 내부 구성부품들을 분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0505438(2005. 07. 2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코일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프레임, 코일어셈블리, PCB 회로부, 코일단자, 및 코일단자노출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어셈블리는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어셈블리는 보빈의 외측면에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CB 회로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PCB 회로부는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는 상기 코일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노출홀은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노출홀을 통해 상기 코일단자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제2프레임에 구비된 코일단자노출홀을 통해 계측기의 단자로 코일에 찍어봄으로써 코일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일단자노출홀은 제2프레임의 배면부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는,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상기 PCB 회로부와 코일 사이를 직접 연결하여 통전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접촉기에서는 코일단자노출홀을 통해 코일단자를 외부로 노출시켜 계측기의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분해할 필요없이 코일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일단자노출홀을 통해 코일의 소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코일단자를 통해 PCB 기판과 코일을 직접 연결하여 별도의 전선이 불필요하고 단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Ⅱ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전자접촉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Ⅱ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도 코일(126)의 저항 측정이 가능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코일(126)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PCB 회로부(13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접촉기는 프레임(100), 코일어셈블리(140), PCB 회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0)은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20)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각각 구비하여 스냅핏(SNAP FIT) 방식에 의해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10)에 주회로 접점부를 구성하는 부품들, 예를 들어 고정접점(111), 크로스바(112) 및 가동접점(113)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112)는 제1프레임(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바(112)는 가동코어(123)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3)은 크로스바(112)에 일체로 작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13)은 전자접촉기에 외부조작신호, 즉 온 신호가 입력되면 고정접점(111)으로 이동하여 접촉됨으로 주회로의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가동접점(113)은 전자접촉기에 오프 신호가 입력되면 고정접점(111)에서 떨어짐으로 주회로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주회로 접점부를 온오프시키는 구동력은 코일어셈블리(140)에서 발생한다.
상기 코일어셈블리(140)는 제2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코일어셈블리(140)는 코일(126), 고정코어(122), 가동코어(123), 보빈(121), 반발스프링, PCB 회로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126)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보빈(121)의 외측면에 권선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는 보빈(121)의 양쪽 측면에 코일(126)을 감싸도록 ㄷ자형 박스 구조로 삽입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코어(122)는 철심 재질로 이루어져 코일(126)의 자기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는 크로스바(112)의 하단부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크로스바(112)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동코어(123)는 크로스바(112)에 지지된 상태로 보빈(121)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반발스프링은 크로스바(112)와 고정코어(122)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126)로부터 발생되는 흡인력이 해제된 경우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112) 및 가동코어(123)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코일어셈블리(140)의 작동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코일(126)에 외부조작신호, 예를 들어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26)에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어서, 발생된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가동코어(123)가 보빈(121)의 중공부 내측에 축방향으로 하강한다.
계속해서, 가동코어(123)와 연동되는 크로스바(112)가 하강하며, 크로스바(112)에 장착된 가동접점(113)이 고정접점(111)에 접촉됨으로 주회로의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코일(126)에 외부조작신호, 예를 들어 외부 전원이 사라지면 코일(126)에서 자기장이 사라지므로 반발스프링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크로스바(112)를 상승시킨다.
이어서, 크로스바(112)와 연결된 가동접점(113)을 고정접점(111)에서 분리하며 주회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 코일어셈블리(140)는 보빈(121)의 측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PCB 회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CB 회로부(130)는 코일(126)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보빈(121)에 외부입력단자(127), 통전부재(124), PCB 연결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입력단자(127)는 보빈(121)의 상단부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전부재(124)는 외부입력단자(127)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입력단자(127) 사이를 연결하여 통전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통전부재(124)는 외부입력단자(127)를 통해 입력된 외부전원을 보빈(121)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PCB 연결돌기는 통전부재(124)의 일측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 연결돌기를 매개로 PCB 회로부(130)와 보빈(12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PCB 회로부(130)는 PCB 연결돌기를 통해 보빈(121)과 결합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PCB 회로부(130)는 PCB 기판(131), 반전스위치(132), 커패시터(133), 정류소자, 코일단자(1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기판(131)은 보빈(121)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전스위치(132), 커패시터(133), 및 정류소자 등은 PCB 기판(131)에 장착되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반전스위치(132)는 평상시에 온상태로 있다가 주회로의 접점부가 온 상태로 되면 오프될 수 있다.
상기 반전스위치(132)는 일측에 스위치동작레버(132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동작레버(132a)가 가동코어(123)의 하강동작에 의해 눌려지면 반전스위치(132)가 온에서 오프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133)는 PCB 기판(131)의 회로 구성에 의해 반전스위치(132)가 오프되면 외부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133)가 외부 전원을 인가받으면 전류를 소비한다.
상기 정류소자는 브리지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정류소자는 커패시터(133)와 코일(1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128)는 보빈(121)연결돌기를 구비하여, 보빈(121)의 하단부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128)는 코일연결돌기를 구비하여, 보빈(121)에 감겨진 코일(126)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126)의 단부는 코일연결돌기에 권선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일단자(128)는 PCB 연결돌기를 구비하여 PCB 기판(131)과 기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정류소자는 외부전원이 AC 인 경우에 AC를 DC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PCB 회로구성에 따른 PCB 회로부(13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상기 PCB 기판(131)에 외부전원이 인가되면 반전스위치(132)는 가동코어(123)로부터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동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반전스위치(132)가 오프상태로 반전되기 전에는 온상태이므로, 반전스위치(132)를 통해 외부전원이 코일(126)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126)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가동코어(123)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가동코어(123)의 동작에 의해 크로스바(112)와 가동접점(113)이 함께 이동하여 고정접점(111)과 접촉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가동코어(123)의 이동에 따른 주회로 접점부가 온되면, 반전스위치(132)가 오프 상태로 된다.
상기 반전스위치(132)가 오프되면 외부전원이 커패시터(133)로 인가되어 커패시터(133)에서 소비된 전류량만큼 전류가 줄어든다.
상기 줄어든 전류는 정류소자에 의해 DC로 변환된 후 코일(126)에 인가되어 주회로의 접점부의 온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120)의 저면(혹은 배면부)에 형성되는 코일단자노출홀(120a)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코일단자노출홀(120a)은 제2프레임(120)에 내장된 코일어셈블리(14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일단자노출홀(120a)은 외부에서 코일어셈블리(140)의 일부로 연결되는 연결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단자노출홀(120a)은 코일어셈블리(140)에서 PCB 회로부(130)와 코일(126)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단자(128)와 직접 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단자노출홀(120a)은 계측기의 단자를 삽입하기 위한 연결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계측기의 단자를 삽입하여 계측기의 단자가 코일단자(128)의 코일연결돌기에 접촉됨으로 코일(126)의 저항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코일(126)의 저항을 통해 코일(126)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단자노출홀(120a)을 통해 코일단자(128)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단자(128)의 코일연결돌기에 감겨진 코일(126)의 소손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단자노출홀(120a)을 통해 계측기의 단자를 삽입하여 코일단자(128)에 찍어보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자접촉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코일(126)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접촉기의 동작과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코일(126)의 상태를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프레임
110 : 제1프레임
111 : 고정접점
112 : 크로스바
113 : 가동접점
120 : 제2프레임
120a : 코일단자노출홀
121 : 보빈
122 : 고정코어
123 : 가동코어
124 : 통전부재
125 : 탄성부재
126 : 코일
127 : 외부입력단자
128 : 코일단자
130 : PCB 회로부
131 : PCB 기판
132 : 반전스위치
132a: 스위치동작레버
133 : 커패시터
140 : 코일어셈블리

Claims (3)

  1. 서로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 및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보빈의 외측면에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어셈블리;
    상기 제2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PCB 회로부;
    상기 코일의 단부와 PCB 회로부를 연결하는 코일단자; 및
    상기 코일의 저항 측정을 위해 계측기의 단자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코일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코일단자노출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단자노출홀은 제2프레임의 배면부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코일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단자는, 상기 보빈에 설치되고, 상기 PCB 회로부와 코일 사이를 직접 연결하여 통전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1020140010785A 2014-01-28 2014-01-28 전자접촉기 KR10158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85A KR101589106B1 (ko) 2014-01-28 2014-01-28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85A KR101589106B1 (ko) 2014-01-28 2014-01-28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81A KR20150089781A (ko) 2015-08-05
KR101589106B1 true KR101589106B1 (ko) 2016-01-27

Family

ID=5388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85A KR101589106B1 (ko) 2014-01-28 2014-01-28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1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38B1 (ko) * 2001-11-29 2005-07-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電磁) 개폐 장치
KR100576695B1 (ko) * 2004-10-21 2006-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코일터미널의 단락사고 방지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4705B2 (ja) * 1996-05-30 2006-10-18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38B1 (ko) * 2001-11-29 2005-07-29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電磁) 개폐 장치
KR100576695B1 (ko) * 2004-10-21 2006-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코일터미널의 단락사고 방지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81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4523B2 (en) Power generation device
US20160300676A1 (en) Contactor and electromagnetic relay
JP5559662B2 (ja) 接点装置
JP5844860B2 (ja) 電磁接触器
US8471656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7251182B (zh) 触点机构及具备该触点机构的电磁继电器
JP6657692B2 (ja) 電磁石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2016042458A (ja) 電磁接触器
JP5821008B2 (ja) 接点装置
JPWO2004077472A1 (ja) 接点装置
KR20200037085A (ko) 전자기 릴레이
KR200460095Y1 (ko) 보조계전기용 보조 접점 유닛
KR101589106B1 (ko) 전자접촉기
JP4766253B2 (ja) 電磁継電器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JP5821009B2 (ja) 接点装置
KR200477250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트립 기구
KR101961660B1 (ko) 전자접촉기
JP4289301B2 (ja) 電磁継電器
EP3611749B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KR101545894B1 (ko) 전자접촉기
JP2009289498A (ja) リモコンリレー
JP2015220181A (ja) 接点装置
JP6152974B2 (ja) 接点装置
KR101209801B1 (ko) 릴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