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01B1 -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01B1
KR101209801B1 KR1020110129411A KR20110129411A KR101209801B1 KR 101209801 B1 KR101209801 B1 KR 101209801B1 KR 1020110129411 A KR1020110129411 A KR 1020110129411A KR 20110129411 A KR20110129411 A KR 20110129411A KR 101209801 B1 KR101209801 B1 KR 101209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ase
circuit unit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훈
오송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송 추안 프레시션 컴퍼니 리미티드,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3Details particular to miniaturised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Abstract

본 발명은 릴레이 내부에 브리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브리지 구조를 외부회로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 구성이 간편하고 기존 릴레이 구조 대비 단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권선회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점회로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권선회로부와 접점회로부를 연결하는 브리지 단자;를 포함하고, 브리지 단자를 케이스의 내부에 적용하여 회로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기존 릴레이 구조 대비 단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레이 장치{Relay apparatus}
본 발명은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회로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이에 근접하여 전원과 부하를 연결하는 가동 접점을 설치하여 제어회로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전자석이 자화되어 가동접점을 끌어당겨 회로를 연결함으로써 부하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스위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릴레이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코일어셈블리를 가지는 권선회로부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접점회로부와, 코일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외부커넥터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한쪽 단부가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는 제1단자와, 코일어셈블리와 연결된 제2단자와, 코일어셈블리의 한쪽 끝에 설치된 진동자와, 진동자의 한쪽 끝에 설치된 제3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회로부는 코일어셈블리의 다른 한쪽 끝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단자)가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어 릴레이와 관련된 외부 커넥터와 접속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릴레이는 받침대, 제1단자, 제2단자, 제3단자를 이용하여 릴레이 관련 외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외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된 부하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릴레이를 이용하여 회로를 연결하는 경우에 코일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1 및 제2단자를 반드시 외부 회로와 브리지 연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 회로 구성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릴레이 내부에 브리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브리지 구조를 외부회로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 구성이 간편하고 기존 릴레이 구조 대비 단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권선회로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점회로부;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권선회로부와 접점회로부를 연결하는 브리지 단자;를 포함하고, 브리지 단자를 케이스의 내부에 적용하여 회로 구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기존 릴레이 구조 대비 단자의 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일어셈블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전도부를 브리지 단자의 연장부와 연결하여 케이스에 내부 브리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외부회로에 브리지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기존의 권선회로부의 단자 중 한 개를 전도부로 대체함으로써 권선회로부의 단자 중 1개를 줄여 부품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서 A-A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릴레이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도 2에서 지지판에 브리지 단자와 전도부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B-B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A-A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릴레이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지지판에 브리지 단자와 전도부(28)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브리지 단자(40)를 이용하여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연결함에 있어서 1개의 단자를 삭제하여 부품수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릴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치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권선회로부(29) 및 접점회로부(30)와, 상기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연결하는 브리지 단자(40)로 구성된다.
케이스(10)는 상부커버(11)와 지지판(12)으로 구성되고, 상부커버(11)와 지지판(12)을 조립 및 분리가능한 구조로 되어 케이스(10) 내부에 권선회로부(29) 및 접점회로부(3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커버(11)는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케이스(10) 내부에 장착되는 내용물을 감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지지판(12)은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케이스(10) 내부에 장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지지판(12)에 복수개의 삽입홀이 뚫려 있고, 권선회로부(29) 및 접점회로부(30)의 단자가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릴레이가 회로 연결시 사용되는 외부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2)의 일측에는 슬롯(14)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부커버(11)의 내부에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상부커버(11)와 지지판(12)의 조립 시 슬롯(14)에 의해 상부커버(11)와 지지판(12)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권선회로부(29)는 철심(22)에 코일(23)을 감아 코일(23)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화되어 가동접점(32a)을 흡인할 수 있도록 된 코일어셈블리(20)와, 코일어셈블리(20)와 연결되는 코일단자(27) 및 전도부(28)로 구성된다.
코일어셈블리(20)는 철심(22)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편(21)과, 고정편(21)의 일측면에 결합된 철심(22)에 감겨진 코일(23)과, 고정편(21)의 하단에 형성된 권선축(24)으로 구성된다.
코일단자(27)와 전도부(28)는 각각 권선축(24)을 통해 코일어셈블리(20)의 하부에 연결되고, 권선축(24)과 코일단자(27), 그리고 권선축(24)과 전도부(28) 사이에 저항(26)의 양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코일단자(27)의 하단부는 지지판(12)의 삽입홀을 통해 케이스(10) 밖으로 노출되어 외부 커넥터와 연결됨으로써, 코일단자(27)를 통해 외부로부터 코일(2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코일단자(27)의 상단에는 삽입돌기(27a)가 형성되어 삽입돌기(27a)를 권선축(24)의 하부에 끼움으로써 권선축(24)과 연결가능하고, 코일단자(27)의 상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결돌기(27b)가 형성되어 연결돌기(27b)를 통해 저항(26)과도 연결할 수 있다.
전도부(28)는 기존의 코일어셈블리(20)와 연결되는 제2단자 대신에 적용되며, 코일어셈블리(20)와 연결되지만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전도부(28)는 브리지 단자와 연결되어 케이스(10) 내부에서 코일어셈블리(20)와 브리지 단자(40)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에 내부 브리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회로에 브리지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전도부(28)는 저항(26)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돌기(28b)와, 연결돌기(28b)의 단부에 권선축(24)과 연결하기 위한 삽입돌기(28a)로 구성되어 있다.
접점회로부(30)는 코일어셈블리(20)를 사이에 두고 코일어셈블리(20)의 양쪽 측면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받침대(31) 및 진동자(32)로 구성되어 있다.
받침대(31)는 코일(23)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 받침대(31)의 상측 단부가 고정편(21)의 상단부에 거치되면서 코일(23)의 상부와 코일(23)의 한쪽 끝면을 직각 형태로 가로막는 "ㄱ"자 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침대(31)의 하측 단부는 지지판(12)의 삽입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 역할을 한다.
진동자(32)는 코일(23)의 다른 한쪽으로 받침대(31)와 서로 마주보게 이격 설치되고, 진동자(32)의 상측면부가 받침대(31)의 상부면에 겹쳐지게 돌기를 매개로 끼움 결합되고, 진동자(32)의 상측면부에서 직각으로 연장된 하측면부는 고정편(21)과 일정 간격을 일정간격을 두게 된다.
진동자(32)의 하측면부 하단에는 가동접점(32a)이 브리지 단자(40)의 고정접점(43)과 마주보게 형성되며, 릴레이 작동시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접점(32a)이 고정접점에 붙게 됨으로써 회로를 연결할 수 있다.
브리지 단자(40)는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연결하기 위한 부품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판 구조로 이루어진 단자부(41)와, 단자부(41)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직각 형태("ㄴ"자 형태)의 판 구조로 이루어진 돌출부(42)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부(41)는 지지판(12)의 전후 폭 방향으로 배치되며, 지지판(12)의 삽입홀을 통해 케이스(10) 밖으로 노출되어 외부 커넥터와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42)의 수직면에는 고정접점(43)이 형성되며, 고정접점(43)은 조립 시 코일어셈블리의 고정편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되어, 고정접점(43)에 의해 브리지 단자(40)가 코일어셈블리(20)에 연결되며, 전류 인가시 가동접점(32a)이 고정접점(43)에 접촉하여 릴레이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브리지 단자(40)의 돌출부(42)의 한쪽 측면에는 수직하방향으로 연장부(44)가 돌출형성되고, 연장부(44)와 전도부(28)는 지지판(12)의 삽입홈(13)에 끼움식으로 삽입됨으로써, 구조상 면접촉으로 상호작용하여 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릴레이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 접점회로부(30)의 가동접점(32a)은 브리지 단자(40)의 고정접점(43)과 떨어져 있다가, 코일(23)에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23)이 자화되면서 전자석으로 변하여 가동접점(32a)을 끌어당김((도 3의 가동접점(32a)이 왼쪽에서 오른쪽 그림처럼 당겨짐)에 따라 가동접점(32a)이 고정접점(43)에 붙게 되고, 고정접점(43)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접점(43)을 통해 회로를 연결하여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반대로, 코일(23)에 인가된 전원이 끊어지면 자화되었던 전자석의 흡인력이 해제되면서 진동자(32)가 도 3의 오른쪽 그림에서 왼쪽 그림처럼 원래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된 받침대(31)의 하측 단부와 코일어셈블리(20)의 코일단자(27) 및 브리지 단자(40)의 단자부(41)를 외부 커넥터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어셈블리(2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전도부(28)를 브리지 단자(40)의 연장부(44)와 연결하여 케이스(10)에 내부 브리지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외부회로에 브리지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기존의 권선회로부의 단자 중 한 개를 전도부(28)로 대체함으로써 권선회로부(29)의 단자 중 1개를 줄여 부품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상부커버
12 : 지지판 13 : 삽입홈
14 : 슬롯 20 : 코일어셈블리
21 : 고정편 22 : 철심
23 : 코일 24 : 권선축
26 : 저항 27 : 코일단자
28 : 전도부 27a,28a : 삽입돌기
27b,28b : 연결돌기 29 : 권선회로부
30 : 접점회로부 31 : 받침대
32 : 진동자 32a : 가동접점
40 : 브리지 단자 41 : 단자부
42 : 돌출부 43 : 고정접점
44 : 연장부

Claims (6)

  1.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코일(23)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받아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권선회로부(29);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접점회로부(30); 및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연결하는 브리지 단자(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지지하는 지지판(12)과, 상기 권선회로부(29)와 접점회로부(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상부커버(11)와, 상기 지지판(12)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상부커버(11)와 지지판(12)을 연결하는 슬롯(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권선회로부(29)는 철심(22)에 코일(23)을 감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코일어셈블리(20);
    상기 코일어셈블리(20)와 연결되고, 한쪽 단부가 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는 코일단자(27); 및
    상기 코일어셈블리(20)와 연결되는 전도부(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점회로부(30)는 코일(23)의 한쪽 끝에 설치되고, 한쪽 단부가 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는 받침대(31); 및
    한쪽 단부가 받침대(31)의 다른 한쪽 단부에 결합되고, 다른 쪽 단부는 자유단으로 되며, 상기 자유단에 가동접점(32a)을 가지는 진동자(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단자(40)는 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는 단자부(41);
    단자부(41)의 상단에 형성되어 코일어셈블리와 연결되며, 전류 인가시 코일(23)의 흡인력으로 가동접점(32a)이 고정접점(43)에 붙어서 회로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돌출부(42); 및
    상기 돌출부(42)에 형성되며 권선회로부(29)의 전도부(28)와 함께 지지판(12)의 삽입홈(13)에 삽입 결합되는 연장부(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일어셈블리(20)는 철심(22)을 지지하는 고정편(21)과, 상기 철심(22)에 감겨진 코일(23)과, 고정편(21)의 하단에 형성된 권선축(24)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단자(27)와 전도부(28)는 권선축(24)에 삽입결합되고, 저항(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장치.
KR1020110129411A 2011-12-06 2011-12-06 릴레이 장치 KR10120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411A KR101209801B1 (ko) 2011-12-06 2011-12-06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411A KR101209801B1 (ko) 2011-12-06 2011-12-06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801B1 true KR101209801B1 (ko) 2012-12-11

Family

ID=4790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411A KR101209801B1 (ko) 2011-12-06 2011-12-06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2470A (zh) * 2017-09-26 2017-12-19 三友联众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2470A (zh) * 2017-09-26 2017-12-19 三友联众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
CN107492470B (zh) * 2017-09-26 2020-07-10 三友联众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继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3588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yoke-retaining bottom plate
CN102222588B (zh) 电磁继电器
JP5838920B2 (ja) 継電器
EP2945178B1 (en) Contact device
US10580603B2 (en) Power switchgear
JP4702956B2 (ja) 開閉装置及び開閉装置用補助電気回路
CN101872696B (zh) 电磁接触器
JP5549642B2 (ja) 継電器
KR101209801B1 (ko) 릴레이 장치
US9646790B2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3854926A (zh) 电磁接触器
CN111527579B (zh) 电磁继电器
KR101503316B1 (ko) 전자접촉기
JP6344282B2 (ja) コイル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磁継電器
KR20120109321A (ko) 전자 릴레이
JP6024439B2 (ja) 電磁接触器
EP3780060A1 (en) Pluggable connecting device for contactor and contactor
KR200470820Y1 (ko) 전자 접촉기용 소음 및 진동 저감기구
KR200200491Y1 (ko) 전원제어용 보호릴레이
KR102518886B1 (ko) 전자접촉기
JP5615200B2 (ja) 配電盤用表示・操作シート
JP2010062078A (ja) 電磁接触器
KR880000626B1 (ko) 전자(電磁) 접촉기
KR101869722B1 (ko) 전자접촉기
CN112397345A (zh) 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