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894B1 -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894B1
KR100986894B1 KR1020080081715A KR20080081715A KR100986894B1 KR 100986894 B1 KR100986894 B1 KR 100986894B1 KR 1020080081715 A KR1020080081715 A KR 1020080081715A KR 20080081715 A KR20080081715 A KR 20080081715A KR 100986894 B1 KR100986894 B1 KR 10098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eony
sample
weigh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119A (ko
Inventor
홍연주
서형제
우창식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81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8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8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모란 정유와 인공합성물질인 p-멘탄-7-올(p-Menthan-7-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모란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모란, 향료, p-멘탄-7-올, SPME법, 제라니올, 네롤,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헵타데카디엔

Description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Paeonia suffruticosa}
본 발명은 모란 정유를 이용하여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모란 정유인 제라니올, 네롤,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과, 인공합성물질인 p-멘탄-7-올(p-Menthan-7-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란(Paeonia suffruticosa)은 미나리아재비과의 낙엽관목 장미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 중국, 일본등에 분포한다. 가지는 굵고 털이 없다. 잎은 3엽으로 되어 있고 작은 잎은 달걀모양이며 2~5 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으며 흔히 흰빛이 돈다.
높이는 2 m 가량이며, 꽃은 양성으로 5 월에 홍색으로 피고 지름 15 cm 이상이며 꽃턱이 주머니처럼 되어 씨방을 둘러싸고 있다. 꽃받침조각은 5 개이고 꽃잎은 8 개 이상이며, 크기와 형태가 같지 않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깊이 패어 있는 모양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 개로서 털이 있다. 모란꽃에서는 보기와는 달리 향기가 적다거나 향기가 없다고 잘못 알 려져 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꽃이 핀 후 일주일정도 은은하면서도 매혹적인 꽃향기가 피어나나, 꽃이 시들면서 향기도 바뀌고 약해진다.
국내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며, 주로 정원이나 담장 밑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민간요법적으로는 뿌리껍질을 소염, 두통, 요통, 건위, 지혈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예로부터 모란을 꽃 중의 제일이라고 하여 꽃의 왕 또는 부귀를 뜻하는 식물로서 부귀화(富貴花)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에서는 왕실에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부귀와 고귀함에 의한 길상과 장수의 상징성까지 포함하며 사랑하며 곁에 두고 애호해 온 꽃이 모란이다. 매력적인 향취를 가진 모란의 향기는 꽃봉오리가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강하게 발산된다.
이러한 모란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다. 예를 들면, 꽃의 향취성분을 용매를 사용하여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기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꽃이 가진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법과 SPME법이 개발되었다. 이 중, SPME법 (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성분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꽃이 가진 본래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에서는 이러한 SPME법을 이용하여, 모란의 향기를 재현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모란 정유인 제라니올, 네롤,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과, 인공합성물질인 p-멘탄-7-올(p-Menthan-7-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모란의 고유향취를 재현하고, 기호성이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SPME법에 의해 추출된 모란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모란 정유와 p-멘탄-7-올(p-Menthan-7-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모란 정유는 네롤, 제라니올,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을 함유하며, SPME법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모란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모란(Paeonia suffruticosa)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향취성분과 p-멘탄-7-올(p-Menthan-7-ol)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란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향취성분은, 모란꽃으로부터 추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모란의 향취성분 및 인공합성물질인 p-멘탄-7-올(p-Menthan-7-ol)을 포함함으로써, 모란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이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란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향취성분은, 제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페네칠알코올(Phenylethyl alcohol), 펜타데카인(Pentadecane) 및 헵타데카디엔(Heptadecadien)을 함유하는 모란 정유이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란 정유는, 헵타데카인(Heptadecane), 테트라데카인(Tetradecane), 8-헵타데케인(8-Heptadecene) 및 트리데카인(Tridecane)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란 정유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제라니올(Geraniol) 21~23 중량%, 네롤(Nerol) 15~17 중량%, 페네칠알코올(Phenylethyl alcohol) 13~15 중량%, 펜타데카인(Pentadecane) 8~9.5 중량% 및 헵타데카디엔(Heptadecadien) 8~9 중량%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모란 정유”란, 모란의 꽃, 잎, 열매, 가지, 줄기 또는 뿌리 등에서 채취 및 정제한 방향유(芳香油)를 총칭하는 의미이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p-멘탄-7-올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 으로, 5~9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 중량%이다.
상기 구성 성분들의 함량은, 모란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서, 자연적인 모란의 향취를 표현하고, 표현된 향취에 대한 기호성을 상승시키기 위해 적절한 범위를 선정한 것이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모란 정유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헵타데카인(Heptadecane) 1.5~2.5 중량%, 테트라데카인(Tetradecane) 1.1~1.6 중량%, 8-헵타데케인(8-Heptadecene) 1.0~1.4 중량%, 트리데카인(Tridecane) 1.0~1.4 중량% 및 1,3,5-트리메톡시벤젠(1,3,5-Trimethoxybenzene) 0.7~1.0 중량%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언급된 헵타데카인, 테트라데카인, 8-헵타데케인, 트리데카인(Tridecane) 및 1,3,5-트리메톡시벤젠 등의 함량은, 모란의 향취와의 유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바람직한 범위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모란의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에 추출된 모란 정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 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성분들을 GS-MS 컬럼 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될 수 있고, 특히 휘발성이 강한 모란의 향취성분을 추출하는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기재에 배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배합비율은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배합비율 또는 배합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효과를 예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SPME법을 이용한 모란 향취성분의 추출
개화 후 일주일이 경과하지 않은 모란꽃에 대하여, SPME법을 이용하여 향취성분을 추출하였다.
먼저, 85 ㎛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모란꽃의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포집장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1리의 인근 야산에 위치한 모란밭이다. 오전 9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2 시간 동안 향취성분에 대한 포집을 실시한 후, 향기가 흡착된 화이버(Fiber)를 밀봉하여 향취가 날아가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향기가 흡착된 화이버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 분 간 탈착을 실시한 후,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다.
분석조건
분석기기 HP 5890 II GC
검출기 HP 5972 MSD
컬럼 DB-1(60 m x 0.25 mm x 0.25 ㎛)
이동상 기체 He
주입부 온도 250 ℃
검출부 온도 280 ℃
오븐온도 70℃~220℃(3℃/분)
이온화 전압 70 eV
탈착시간 2 분
포집된 모란의 향취성분을, 상기 SPME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 함 량(중량%)
제라니올 20.595
네롤 14.798
페네칠알코올 13.135
펜타데카인 8.509
헵타데카디엔 7.823
헵타데카인 2.094
테트라데카인 1.570
8-헵타데케인 1.433
트리데카인 1.380
1,3,5-트리메톡시벤젠 1.032
기타 27.631
총합계 100.00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란 정유는 네롤, 제라니올, 페네칠알코올, 헵타데카디엔 및 펜타데카인 등을 주요 향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성분의 함량은 전체 정유의 64.86 중량%를 차지한다.
[실험예 1] 모란 정유를 함유한 향료 조성물과 모란꽃의 향취 비교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1에서 추출한 모란의 향취성분들을 DPG(디프로필렌 글리콜) 용매에 용해하여 향료 조성물 샘플 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향료 조성물(샘플 B)과 실제 모란꽃(샘플 A)과의 향취 유사성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샘플 B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향취성분 함 량(중량%)
제라니올 20.595
네롤 14.798
페네칠알코올 13.135
펜타데카인 8.509
헵타데카디엔 7.823
헵타데카인 2.094
테트라데카인 1.570
8-헵타데케인 1.433
트리데카인 1.380
1,3,5-트리메톡시벤젠 1.032
DPG 27.631
총합계 100.00
관능평가는 20~40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제의 모란 꽃(샘플 A)와 SPME법으로 재현한 향료 조성물(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4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1 : 샘플A와 샘플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2 :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유사성) 질문 2(기호성)
1 2 3
2 1 3
3 2 2
4 3 3
5 3 3
6 2 2
7 2 1
8 1 2
9 1 2
10 1 3
11 2 3
12 2 2
13 3 1
14 3 2
15 2 1
16 3 2
17 2 1
18 2 1
19 2 1
20 1 1
평균 2.00 1.95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의 샘플 B는 자연상의 모란(샘플A)의 향취와는 유사함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 역시 낮게 나타났다.
[실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
상기 실험예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SPME법에 의해 추출된 성분으로 조성한 향료 조성물은 천연 모란(샘플 A)와 향취 유사성이 없었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에 대하여 모란 정유의 각각의 향취성분들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란의 향취성분들 중, 제라니올, 네롤,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이 모란의 고유향취를 만들어 내는 주요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다섯 가지의 향취성분들 중에서, 제라니올은 풍부하고 매혹적인 향취를 가지고 있어 레몬글라스(Lemongrass) 및 제라니움 (Geranium)등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네롤은 장미(Rose) 및 클러리세이지(Clary Sage)등의 주요한 향취성분으로, 신선하고 화사한 향취를 나타낸다. 또한,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은 장미(Rose), 쟈스민(Jasmine), 치자꽃(Gardenia) 및 라일락(Lilac)의 향취를 재현할 때 사용되는 향취성분이다.
[실시예 1-2] 모란 정유의 구성성분들의 함량변화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는 모란의 향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추출된 향취성분들을 조합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예 2를 통해서, 모란의 향취를 재현하는데 있어서, 주요한 향취성분으로는 제라니올, 네롤, 페네칠알코올, 펜타데카인 및 헵타데카디엔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5 가지 향취성분들의 함량을 50~80 중량%까지 달리하여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외 향취성분들은 상기 실시예 1-1의 비율에 맞추어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상기 향료 조성물에 포함된 구성 성분들의 구체적인 함량은 하기 표 6과 같다.
항료 조성물의 번호
(함량: 중량%)
샘플 1
(50%)
샘플 2
(55%)
샘플 3
(60%)
샘플 4
(65%)
샘플 5
(70%)
샘플 6
(75%)
샘플 7
(80%)
제라니올 15.9 17.5 19.1 20.6 22.2 23.8 25.4
네롤 11.4 12.5 13.7 14.8 16.0 17.1 18.3
페네칠알코올 10.1 11.1 12.2 13.2 14.2 15.2 16.2
펜타데카인 6.6 7.2 7.9 8.5 9.2 9.8 10.5
헵타데카디엔 6.0 6.6 7.2 7.8 8.4 9.0 9.6
헵타데카인 3.0 2.7 2.4 2.1 1.8 1.5 1.2
테트라데카인 2.2 2.0 1.8 1.6 1.3 1.1 0.9
8-헵타데케인 2.0 1.8 1.6 1.4 1.2 1.0 0.8
트리데카인 2.0 1.8 1.6 1.4 1.2 1.0 0.8
1,3,5-트리메톡시벤젠 1.5 1.3 1.2 1.0 0.9 0.7 0.6
DPG 39.3 35.5 31.3 27.6 23.6 19.8 15.7
총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예 3] 모란 정유 함유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2에서 조합된 향료 조성물 샘플들에 대하여, 모란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두 개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비교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 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갖도록 하여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향료 조성물과 모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향료 조성물 샘플 향료 조성물 샘플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샘플
7
샘플
1
샘플
2
샘플
3
샘플
4
샘플
5
샘플
6
샘플
7
1 1 1 2 2 3 2 2 2 2 2 2 3 2 3
2 1 1 1 1 3 2 2 2 2 2 2 3 3 3
3 1 2 2 2 2 3 2 3 3 3 3 3 3 3
4 2 2 2 3 3 2 2 3 3 3 3 2 2 2
5 2 2 2 2 2 2 2 2 3 3 3 2 2 3
6 2 2 2 2 3 2 2 2 3 3 3 3 2 2
7 3 3 2 2 2 2 2 2 2 2 3 4 3 2
8 2 2 3 3 3 2 2 1 1 2 3 2 3 3
9 2 3 3 3 3 2 2 1 2 2 2 3 2 3
10 1 2 3 3 2 2 2 2 2 2 2 3 2 2
11 2 2 3 3 3 2 2 2 2 2 2 3 3 2
12 3 3 3 2 3 3 2 3 3 3 2 3 2 2
13 2 2 2 2 3 2 1 2 3 3 2 2 2 3
14 3 3 3 3 3 2 2 3 2 2 2 3 2 2
15 2 2 3 3 3 2 2 2 2 2 3 3 3 2
16 1 1 2 2 2 2 2 3 3 3 3 3 3 3
17 1 1 1 1 3 2 2 3 3 3 3 3 2 2
18 2 3 3 3 3 2 2 2 3 3 3 3 2 2
19 2 2 2 2 2 2 2 2 3 3 3 3 2 2
20 2 2 2 2 3 2 2 3 3 3 3 3 3 2
평균 1.85 2.05 2.3 2.3 2.7 2.1 1.95 2.25 2.5 2.55 2.6 2.85 2.4 2.4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란의 향취성분의 함량이 70 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5가 7 종의 향료 조성물 샘플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샘플 5의 경우에도,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평균(그저 그렇다)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모란 정유에 p-멘탄-7-올을 첨가한 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향료 조성물의 샘플들 중에서 샘플 5의 경우가 모란의 향취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샘플 5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p-멘탄-7-올을 첨가하였다. 상기 p-멘탈-7-올은, 인공합성물질로서 메이욜®(Mayol®)라는 상표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첨가되는 p-멘탄-7-올의 함량은 2~10 중량%까지 변화시키고, 용매인 DPG의 함량을 조절하여, 조성물의 전체 함량을 100으로 맞추었다. 재조합된 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하기 표 8과 같다.
향료 조성물의 번호
(함량: 중량%)
샘플 8
(2%)
샘플 9
(4%)
샘플 10
(6%)
샘플 11
(8%)
샘플 12
(10%)
제라니올 22.2 22.2 22.2 22.2 22.2
네롤 16.0 16.0 16.0 16.0 16.0
페네칠알코올 14.2 14.2 14.2 14.2 14.2
펜타데카인 9.2 9.2 9.2 9.2 9.2
헵타데카디엔 8.4 8.4 8.4 8.4 8.4
헵타데카인 1.8 1.8 1.8 1.8 1.8
테트라데카인 1.3 1.3 1.3 1.3 1.3
8-헵타데케인 1.2 1.2 1.2 1.2 1.2
트리데카인 1.2 1.2 1.2 1.2 1.2
1,3,5-트리메톡시벤젠 0.9 0.9 0.9 0.9 0.9
DPG 21.6 19.6 17.6 15.6 13.6
메이욜 2.0 4.0 6.0 8.0 10.0
총 함 량 100.0 100 100 100 100
[실험예 4] 모란 정유에 p-멘탄-7-올을 첨가한 향료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향료 조성물 샘플(샘플 8 내지 12)에 대해, 모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두 개의 향료 조성물에 대한 비교 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 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갖도록 하여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향료 조성물과 모란과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의 결과는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향료 조성물 샘플 향료 조성물 샘플
샘플8 샘플9 샘플10 샘플11 샘플12 샘플8 샘플9 샘플10 샘플11 샘플12
1 3 3 4 4 3 2 4 4 3 3
2 3 3 4 4 4 2 3 3 3 3
3 3 3 4 3 2 3 3 3 3 2
4 3 3 3 4 4 3 3 3 3 3
5 3 3 4 4 2 2 2 4 3 3
6 4 4 4 5 3 3 4 5 4 2
7 3 3 5 4 3 4 2 4 3 3
8 3 3 4 5 3 4 3 5 4 3
9 2 2 4 4 2 4 3 4 3 3
10 3 4 5 4 2 2 2 3 2 2
11 3 4 4 3 3 3 4 3 3 2
12 2 2 4 3 3 2 2 5 4 2
13 2 2 3 4 3 3 4 5 5 2
14 3 3 4 5 3 3 3 4 4 3
15 2 3 3 4 3 4 3 5 3 3
16 3 3 4 4 3 3 3 3 3 3
17 3 3 4 4 3 3 2 4 4 3
18 2 4 5 5 3 2 3 3 4 3
19 3 3 5 4 3 2 2 4 5 4
20 2 4 5 3 3 3 4 4 5 3
평균 2.75 3.1 4.1 4 2.9 2.85 2.95 3.9 3.55 2.75
상기 표 9를 살펴보면, 모란 정유에 p-멘탄-7-올을 6 및 8 중량% 함유하는 샘플 10, 11의 경우에, 모란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평균 4.0 이상),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평균 3.5 이상).
한편, p-멘탄-7-올을 6% 미만 또는 8% 초과로 함유하는 경우에는, p-멘탄-7-올이 함유되지 않은 조합향료와 비교해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약간 높은 정도이나 평균(그저 그렇다)이하임을 알 수 있다.
[제조예]
상기 실시예 1-3의 샘플 10의 향료 조성물을 배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향수의 구성성분들의 함량은 하기 표 10과 같다.
향료 조성물(샘플 10)
알코올

색소
변색방지제
20 중량%
78 중량%
2 중량%
적량
적량

Claims (8)

  1. 모란 정유 및 p-멘탄-7-올(p-Menthan-7-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모란 정유는, 제라니올(Geraniol), 네롤(Nerol), 페네칠알코올(Phenylethyl alcohol), 펜타데카인 (Pentadecane) 및 헵타데카디엔 (Heptadecadien)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란 정유는, 모란꽃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란 정유는, 헵타데카인 (Heptadecane), 테트라데카인(Tetradecane), 8-헵타데케인(8-Heptadecene), 트리데카인(Tridecane) 및 1,3,5-트리메톡시벤젠(1,3,5-Trimethoxybenzene)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에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제라니올 21~23 중량%, 네롤 15~17 중량%, 페네칠알코올 13~15중량%, 펜타데카인 8~9.5 중량% 및 헵타데카디엔 8~9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p-멘탄-7-올의 함량은 5~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 중에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헵타데카인 1.5~2.5 중량%, 테트라데카인 1.1~1.6 중량%, 8-헵타데케인 1.0~1.4 중량%, 트리데카인 1.0~1.4 중량%, 1,3,5-트리메톡시벤젠 0.7~1.0 중량%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란 정유는 SPME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080081715A 2008-08-21 2008-08-21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98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15A KR100986894B1 (ko) 2008-08-21 2008-08-21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15A KR100986894B1 (ko) 2008-08-21 2008-08-21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19A KR20100023119A (ko) 2010-03-04
KR100986894B1 true KR100986894B1 (ko) 2010-10-08

Family

ID=4217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15A KR100986894B1 (ko) 2008-08-21 2008-08-21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8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07B1 (ko) * 2011-09-15 2014-02-07 (주)제이에스향료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5344B (zh) * 2013-06-18 2014-07-16 菏泽尧舜牡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从牡丹鲜花中提取牡丹精油的方法
CN103497838B (zh) * 2013-10-24 2015-03-25 洛阳祥和牡丹科技有限公司 一种从牡丹花中提取牡丹精油的方法
CN105820880A (zh) * 2016-04-29 2016-08-03 菏泽尧舜牡丹生物科技有限公司 低温萃取牡丹鲜花原液中牡丹鲜花浸膏和牡丹鲜花水的方法
CN107586593A (zh) * 2017-09-21 2018-01-16 甘肃农业大学 一种从牡丹籽中提取牡丹籽精油的方法
CN114292701B (zh) * 2021-12-31 2023-06-06 河南省商业科学研究所有限责任公司 一种牡丹花精油的提取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N.S., et al.,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of fragrances from Lavandula specie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ournal of Chromatography A, 982(2002), p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07B1 (ko) * 2011-09-15 2014-02-07 (주)제이에스향료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19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368B1 (ko) 인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0986894B1 (ko) 모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4B1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064067B1 (ko) 자귀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055137B1 (ko) 인동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9B1 (ko)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21324B1 (ko) 옥잠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3090B1 (ko) 미선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3B1 (ko) 홍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42317B1 (ko) 왕벚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98805B1 (ko)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6481A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13993B1 (ko) 둥근정향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58895B1 (ko) 제주도 유채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5B1 (ko) 거문도 동백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