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367B1 - 코어척 - Google Patents

코어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367B1
KR100986367B1 KR1020080092797A KR20080092797A KR100986367B1 KR 100986367 B1 KR100986367 B1 KR 100986367B1 KR 1020080092797 A KR1020080092797 A KR 1020080092797A KR 20080092797 A KR20080092797 A KR 20080092797A KR 100986367 B1 KR100986367 B1 KR 10098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ting member
shaft formed
shaft
branch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772A (ko
Inventor
김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Priority to KR102008009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3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65H75/2484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movable actuator including wedge-like or lobed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70Lubrication

Landscapes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척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축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내부에는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연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바이톤이 구비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니들베어링과,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콘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마찰열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캡부재를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어링을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우징, 회전부재, 테이퍼롤러베어링, 베어링, 삽입부재

Description

코어척{CORE CHUCK}
본 발명은 하우징과;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축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내부에는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연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바이톤이 구비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니들베어링과,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콘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종이 등의 피대상물을 하나의 기본단위로 포장하기 전에 기 기능을 보전하고 손상되지 않도록 피대상물을 일정 폭 및 두께로 롤 형태로 권취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지관은 양측에 삽입되는 코어척에 의해 위치고정된 후 상기 지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미리 권취된 상태의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연에 미리 권취된 피대상물을 상기 지관으로 권취시키는 회전롤러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코어척은 통상적으로 크게,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일측이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이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과 축결합되는 황동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지관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할 시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과 상기 황동부싱에 마찰열이 발생되어 특히, 상기 회전부재의 타측이 마찰열에 의해 마모되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마찰열에 의해 상기 황동부싱이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들러붙기 때문에 상기 황동부싱을 외부로 쉽게 인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공구류를 사용하여 상기 황동부싱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할 경우 공 구류에 의해 상기 캡부재가 훼손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특히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마찰열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캡부재를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니들베어링을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는 코어척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축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내부에는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연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바이톤이 구비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수 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니들베어링과,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콘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의 콘부재의 외주연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절개홈이 일정깊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삽입부재의 캡부재 내부에 황동부싱 대신에 니들베어링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어링의 내부에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경우 지관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과정 중에 특히,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에 마찰열이 발생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마찰열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캡부재를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어링을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재의 콘부재가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콘부재의 외경이 점차 확대되어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기 때문 에 상기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권취되는 과정 중에 상기 지관이 흔들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의 콘부재의 외주연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절개홈이 일정깊이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콘부재의 외경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확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코어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코어척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회전부재(30), 테이퍼롤러베어링(50), 베어링(70) 및 삽입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과 베어링(70)이 구비되는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일을 주입시키는 오일주입부(13)가 2개 이상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주입부(13)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일이 주입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과 베어링(7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회전부재(3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주입부(13)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오일공급부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오일을 주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공급부는 예를 들어, 크게 오일이 저장된 오일통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오일통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오일주입부(13)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상기 오일주입부(13)로 공급하는 펌프;로 구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과 베어링(70)이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33, 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상기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일측에 형성된 축(33)은 가로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31)의 타측에 형성된 축(35)은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1)의 타측 내부에는 외주연에 탄성부재(39)가 구비된 가이드축(37)이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39)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전부재(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는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일측에 형성된 축(33)이 수용된다.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베어링(70)은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가 수용된다.
상기 베어링(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 징(10)의 타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삽입부재(90)는 외주연에 종이 등의 피대상물이 권취되는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연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부(도 3의 91a)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바이톤(Viton)(91b)이 구비되는 캡부재(91)와; 상기 캡부재(9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이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니들베어링(93)과; 상기 캡부재(91)의 경사부(91a)를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부(95b)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91)의 경사부(91a)를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콘부재(9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캡부재(91)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상기 바이톤(91b)으로 인해 상기 삽입부재(90)의 내부로 오일 등이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3은 삽입부재(90)의 콘부재(95)가 지관(5)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하우 징(10)의 상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1실린더가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실린더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1실린더와 함께 상기 하우징(10)을 좌우이동시키는 제 2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실린더의 길이가 좌우방향으로 신장될 시 상기 하우징(10)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삽입부재(9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90)가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될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니들베어링(93)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몸체(31)의 타측에 형성된 축(35)은 상기 니들베어링(93)의 내부 좌측에서 내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이드축(37)의 외주연에 구비된 탄성부재(39)는 수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축(37)의 외주연에 구비되어 수축되는 상기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부재(90)가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보다 수밀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90)가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될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90)의 콘부재(95)는 상기 캡부재(91)의 경사부(91a)를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5)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콘부재(95)가 상기 캡부재(91)의 경사부(91a)를 따라 상기 하 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콘부재(95)의 외경이 점차 확대되기 때문에 상기 지관(5)의 내주연에 상기 콘부재(95)가 밀착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한 상기 콘부재(95)의 일측은 상기 하우징(10)의 타측에 형성된 안착부(11)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콘부재(95)는 예를 들어, 공지된 합금공구강제(SKS2) 또는 탄성을 지닌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삽입부재(90)의 콘부재(95)의 외주연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절개홈(도 1, 도 2, 도 3의 95a)이 일정깊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삽입부재(90)의 콘부재(95)의 외주연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절개홈(95a)이 일정깊이로 등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콘부재(95)의 외경이 확대될 때 상기 절개홈(95a)의 좌우간격이 늘어나게 되어 상기 콘부재(95)의 외경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확대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는 일반베어링보다는 앞서 상술한 측면에서 가해지는 힘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50)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만약,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일반베어링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부재(90)가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될 시 상기 제 2실린더가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구비된 일반 베어링이 파손될 우려가 다분하다.
상기 삽입부재(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관(5)이 양측에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4 및 도 5는 는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종이 등의 피대상물(7)이 권취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지관(5)의 하부방향에는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미리 권취된 공급롤러(미도시)와; 상기 공급롤러(미도시)와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공급롤러(미도시)에 미리 권취된 피대상물(7)을 상기 지관(5)의 외주연으로 전달하는 회전롤러(1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롤러(미도시)에 미리 권취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롤러(100)의 외주연을 경유하는 피대상물(7)의 일단을 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롤러(10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삽입부재(90)가 상기 지관(5)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구에 수밀하게 삽입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실린더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관(5)의 하부 외주연이 상기 회전롤러(100)의 상부 외주연에 접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롤러(10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상기 공급롤러(미도시)와 상기 지관(5)이 상기 회전롤러(100)를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일정두께로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롤러(100)는 예를 들어, 일측에 형성된 축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관(5)이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와 상기 삽입부재(90)의 니들베어링(93) 내부에 각각 수용된 상기 회전부재(30)는 상기 지관(5)보다는 느린 속도로 상기 지관(5)을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관(5)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권취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제 1실린더에 의해 점차 상승하게 됨으로써,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보다 많은 양의 피대상물(7)이 권취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재(90)의 캡부재(91) 내부에 황동부싱 대신에 상기 니들베어링(93)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어링(93)의 내부에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이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될 경우 지관(5)을 따라 상기 회전부재(30)가 회전하는 과정 중에 특히,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에 마찰열이 발생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회전부재(30)의 몸체(31) 타측에 형성된 축(35)이 마찰열에 의해 마모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캡부재(91)를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니들베어링(93)을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보다 쉽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삽입부재(90)의 콘부재(95)가 상기 캡부재(91)의 경사부(91a)를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콘부재(95)의 외경이 점차 확대되어 상기 지관(5)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권취되는 과정 중에 상기 지관(5)이 흔들릴 우려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관(5)의 외주연에 피대상물(7)이 보다 용이하게 권취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코어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삽입부재의 콘부재가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권취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지관의 외주연에 피대상물이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지관, 7; 피대상물,
10; 하우징, 11; 안착부,
13; 오일주입부, 30; 회전부재,
31; 몸체, 33, 35; 축,
37; 가이드축, 39; 탄성부재,
50; 테이퍼롤러베어링, 70; 베어링,
90; 삽입부재, 91; 캡부재,
91a, 95b; 경사부, 91b; 바이톤,
93; 니들베어링, 95; 콘부재,
95a; 절개홈, 100; 회전롤러.

Claims (4)

  1. 하우징과;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축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상기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내부에는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된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축을 내부에 수용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상기 테이퍼롤러베어링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측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베어링과;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삽입되고 외주연에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바이톤이 구비되는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몸체 타측에 형성된 축이 내부에 좌우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니들베어링과,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하향경사지는 경사부가 내주연에 형성되고 지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관의 내주연에 밀착고정되는 콘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어척.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의 콘부재의 외주연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절개홈이 일정깊이로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일을 주입시키는 오일주입부가 2개 이상으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오일주입부는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오일공급부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아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오일을 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제 1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제 1실린더의 일측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1실린더 와 함께 상기 하우징을 좌우이동시키는 제 2실린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척.
KR1020080092797A 2008-09-22 2008-09-22 코어척 KR10098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97A KR100986367B1 (ko) 2008-09-22 2008-09-22 코어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97A KR100986367B1 (ko) 2008-09-22 2008-09-22 코어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72A KR20100033772A (ko) 2010-03-31
KR100986367B1 true KR100986367B1 (ko) 2010-10-08

Family

ID=42182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97A KR100986367B1 (ko) 2008-09-22 2008-09-22 코어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96Y1 (ko) * 2013-07-05 2014-04-10 케이에스비알 주식회사 스러스트 볼 베어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91A (ko) * 2002-04-02 2003-10-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절단장치
KR100467958B1 (ko) 2002-06-28 2005-01-24 설재원 지관고정장치
KR200379191Y1 (ko) 2004-12-08 2005-03-17 재 윤 김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KR100819164B1 (ko) 2007-12-28 2008-04-03 (주)프로템 권취설비용 유압식 척
KR100819163B1 (ko) 2007-12-28 2008-04-03 (주)프로템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191A (ko) * 2002-04-02 2003-10-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절단장치
KR100467958B1 (ko) 2002-06-28 2005-01-24 설재원 지관고정장치
KR200379191Y1 (ko) 2004-12-08 2005-03-17 재 윤 김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KR100819164B1 (ko) 2007-12-28 2008-04-03 (주)프로템 권취설비용 유압식 척
KR100819163B1 (ko) 2007-12-28 2008-04-03 (주)프로템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96Y1 (ko) * 2013-07-05 2014-04-10 케이에스비알 주식회사 스러스트 볼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72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12394A (ja) テーパー杭打設時のブレ止めガイド方法
KR100986367B1 (ko) 코어척
JP2007303558A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08045711A (ja) 円錐ころ軸受
JP6790507B2 (ja) 円すいころ軸受
DE60104627T2 (de) Zahnradpumpe
JP6414656B2 (ja) 転がり軸受装置および転がり軸受装置の製造方法
JP2016128143A (ja) 孔内清掃目荒し装置
JP5018334B2 (ja) 転がり軸受装置
JP2015040412A (ja) 切断拡径具のカッタ及びこれを用いた切断拡径具
JP6024871B2 (ja) 記録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CN209676895U (zh) 一种用于摘锭座管的支承套
JP6094223B2 (ja) ドライバービットの芯振れ防止構造
JP4424969B2 (ja) ピアシング装置
JP4922939B2 (ja) 削岩機
JP4840742B2 (ja) 推進管
JP5428769B2 (ja) 直動案内装置及び直動案内装置への潤滑剤供給方法
SI25074A (sl) Spiralni kanal za mazanje drsnih površin na polkrožnih ležajnih pušah stožčastih zobnikov v diferncialu za pogon žerjava
JP7077211B2 (ja) アンカー埋め込み用孔の構造および溝形成装置
JP2019086074A (ja) プラネタリギアの組付け装置
JP6720077B2 (ja) 振れ止め装置
KR200323550Y1 (ko) 베어링의 리테이너 구조
JPS6344470Y2 (ko)
KR200271832Y1 (ko) 유조차의 기름호스 가이드장치
JP4438419B2 (ja) 主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