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91Y1 -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 Google Patents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91Y1
KR200379191Y1 KR20-2004-0034804U KR20040034804U KR200379191Y1 KR 200379191 Y1 KR200379191 Y1 KR 200379191Y1 KR 20040034804 U KR20040034804 U KR 20040034804U KR 200379191 Y1 KR200379191 Y1 KR 200379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otrusion
shaft
double sea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윤 김
Original Assignee
재 윤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윤 김 filed Critical 재 윤 김
Priority to KR20-2004-0034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6Mounting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관을 결합하여 슬리터에 고정시키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구성은,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관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양 결합부의 사이에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어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이 삽입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결합되어 커버와 보조몸체 및 몸체를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고무에어척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면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면에 형성된 이중밀폐홈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몸체의 돌출부 외측에 설치되어 몸체의 이중밀폐돌기와 보조몸체의 이중밀폐홈을 압착시켜 밀폐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몸체와 보조몸체가 결합된 후 유압프레스에 의해 몸체의 돌출부를 압착시키는 압착링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에 고무에어척을 결합하여 큰 크기의 지관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큰 크기의 에어샤프트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고무에어척의 공간부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이중밀폐홈과 이중밀폐돌기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시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시트상 제품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권취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The Rubber Air Chuck for Air Shaft}
본 고안은 지관을 결합하여 슬리터에 고정시키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고무재질의 고무에어척을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의 외면에 견고하게 결합시킴과 함께 고무에어척으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서, 큰 크기의 지관이라도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이용하여 슬리터에 고정시킬 수 있고, 압축공기의 유출을 막아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지관은 중공심재라고도 불리며, 그 내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축 형상물로서, 이것은 인쇄용지, 라미네이트, 부직포, 금속성호일, 각종 테이프 및 필름, 비닐지와 같은 시트상 제품을 권취할 때 중심공을 제공하는 물품이다.
그리고, 상기 지관은 권취설비에 장착되어 일정 속도로 회전하며 시트상 제품을 그 외주면에 감게 된다. 이때, 상기 지관은 스스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에 슬리터 등에 장착될 때에 에어샤프트를 통해 고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에어샤프트는 상기 지관을 착탈 가능하게 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5-8032호의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 후 권취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는 축의 일단부로 접속되는 공압라인을 통해 압축공기를 급송하여 생기는 내부압력을 이용하여 러그를 외주방으로 돌출시켜 지관을 고정시키고, 반대로 압축공기를 배기시키면 지관이 해방되게 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지관에 시트제를 감으려면 에어샤프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바, 이때 큰 크기의 지관을 사용하려면 큰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제작해야 하므로 이에 따르는 비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하게 되고, 큰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제작함에 있어 고도의 기술력과 정밀도를 요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첨부된 도면 중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샤프트(1)의 외측에 큰 지름을 가진 고무에어척(A)을 결합하여 큰 크기의 에어샤프트(1)를 제작하지 않아도 큰 크기의 지관(7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고무에어척(A)은 크게 보조몸체(20)의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커버(30)가 결합되며, 상기 양 커버(30) 중 일측의 커버(30) 외측에만 고정부재(P)가 결합되어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에 고무에어척(A)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에어샤프트(1)로 도시하였다.
상기 보조몸체(20)는 에어샤프트(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삽입공(2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부(22)가 형성됨과 함께 그 중앙부에는 양측보다 함몰된 함몰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에는 원주상으로 밀폐홈(2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의 측면에는 원주상 등간격으로 나사홈(25)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1)와 결합부(22)의 측면을 연결하며 관통된 에어유입공(27)에는 에어니플(26)이 양측 외부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압착부(11)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13)가 형성된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내경은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됨과 함께 밀폐홈(23)에 대응 삽입되는 밀폐돌기(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커버(30)는 몸체(10) 돌출부(12)의 테이퍼부(13)와 대응 결합되는 테이퍼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나사공(25)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3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33)은 볼트(60)의 머리가 묻힐 수 있도록 자리 파기(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를 하게 되며, 상기 커버(30)에는 보조몸체(20)에 결합된 에어니플(26)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외측에는 결합되는 고정부재(P)는 원형판을 두개로 등분한 형상의 제1,제2부재(40)(50)로 이루어지는바, 상기 제1,제2부재(40)(50)의 내측에는 에어샤프트(1)의 외경과 같거나 작은 지름의 압착면(41)(5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40)에는 커버(30)의 결합공(33)과 대응 위치하는 삽입공(42)이 형성되며, 에어니플(26)이 관통되는 관통공(4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30)에 형성된 3개의 결합공(33) 중 2개의 결합공(33)과 대응 위치하는 삽입공(42)을 제1부재(40)에 형성하되, 에어니플(26)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결합공(33)을 설정하여 삽입공(4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부재(40)의 양측에는 수직상으로 나사공(4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50)에는 제1부재(40)의 나사공(44)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53)이 구비된 결합홀(5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P)를 제1,제2부재(40)(50)로 구성하고, 제1부재(40)에는 에어니플(26)과 인접한 위치에 있는 두개의 결합공(33)과 대응하는 삽입공(42)을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1부재(40)를 커버(30) 및 보조몸체(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제2부재(50)와 제1부재(40)를 결합시키며 에어샤프트(1)를 압착면(41)(51)으로 압착하여 고정부재(P)가 에어샤프트(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때 고정부재(P)의 제2부재(50)는 위치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에어니플(26)과 인접하지 않은 하나의 나사공(25)에는 동일 위치의 커버(30)에 형성된 결합공(33)을 통과한 볼트(60)가 체결되어 커버(30)와 보조몸체(2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고무에어척(A)의 에어니플(26)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압축공기는 에어니플(26)을 통과하여 보조몸체(20)의 에어유입공(27)을 지나 보조몸체(20)의 함몰부(21)와 몸체(10)의 압착부(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가 고무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압착부(11)를 팽창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부(11)는 팽창하며 지관(70)의 내경을 압착하여 에어샤프트(1)의 회전에 따라 지관(7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샤프트(1)의 양측 끝단부에 고무에어척(A)을 각각 결합하고, 상기 양 고무에어척(A)의 인접되는 에어니플(26)을 연결관(80)으로 연결하여 두개의 고무에어척(A)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됨은 물론이며, 상기 에어샤프트(1)에 하나의 고무에어척(A)을 결합하여 사용해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에어샤프트(1)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그 외주연에 구비된 다수개의 러그(2)를 돌출시켜 보조몸체(20)의 삽입공(24)을 압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어샤프트(1)의 회전력을 지관(70)에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고무에어척(A)은 하나의 밀폐홈(23)과 밀폐돌기(14)에 의해 공간부(15) 내부의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그 밀폐성이 약해 압축공기가 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밀폐홈(23)과 밀폐돌기(14)의 압착력은 보조몸체(20)와 커버(30)를 결합시키는 볼트(60)의 체결력에 따라 커버(30)의 테이퍼부(32)가 몸체(10)의 테이퍼부(13)를 압착시키는 힘에 따라 결정되므로, 고무에어척(A)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볼트(60)의 체결력이 약해져 커버(30)의 테이퍼부(32)가 몸체(10)의 테이퍼부(13)를 압착시키는 힘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밀폐홈(23)과 밀폐돌기(14)의 압착력이 떨어져 공간부(15)의 압축공기가 새어 에어샤프트(1)의 회전에 따라 지관(70)이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여 불량품을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무에어척(A)은 고무의 특성상 그 형상이 열 및 주변환경에 의해 변형되므로 하나의 밀폐돌기(14)와 밀폐홈(23)으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불완전한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이용하여 큰 크기의 지관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무에어척으로 공급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함으로서, 큰 크기의 지관이라도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이용하여 슬리터에 고정시킬 수 있고, 압축공기의 유출을 막아 원할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부수되는 많은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관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양 결합부의 사이에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이 형성되어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이 삽입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에 결합되어 커버와 보조몸체 및 몸체를 에어샤프트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고무에어척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면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가 대응 삽입되도록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면에 형성된 이중밀폐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면과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면에 형성되는 이중밀폐돌기 및 이중밀폐홈을 이중외에 다수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돌출부 내측면에는 이중밀폐홈을 형성하고, 보조몸체의 결합부 외면에는 이중밀폐돌기를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의 돌출부 외측에 설치되어 몸체의 이중밀폐돌기와 보조몸체의 이중밀폐홈을 압착시켜 밀폐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몸체와 보조몸체가 결합된 후 유압프레스에 의해 몸체의 돌출부를 압착시키는 압착링을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고무에어척(A)은 종래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보조몸체(20)의 외측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커버(30)가 결합되며, 상기 양 커버(30) 중 일측의 커버(30) 외측에만 고정부재(P)가 결합되어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에 고무에어척(A)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몸체(20)는 에어샤프트(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삽입공(2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결합부(22)가 형성됨과 함께 그 중앙부에는 양측보다 함몰된 함몰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2)에는 원주상으로 이중밀폐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2)의 측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나사홈(25)이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21)와 결합부(22)의 측면을 연결하며 관통된 에어유입공(27)에는 에어니플(26)이 양측 외부에 각각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압착부(11)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2)의 내경은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됨과 함께 이중밀폐홈(110)에 대응 삽입되는 이중밀폐돌기(1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외측에는 압착링(120)이 결합되는 바, 상기 압착링(120)은 유압프레스에 의해 압착되어 돌출부(12)를 압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12)의 이중밀폐돌기(100)와 결합부(22)의 이중밀폐홈(110)이 압착되며 도 4에 도시된 공간부(15)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커버(30)는 압착링(120)을 가릴 수 있는 플랜지(31)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 외측에 형성된 나사공(25)과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3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33)은 볼트(60)의 머리가 묻힐 수 있도록 자리 파기(카운터 보링:Counter Boring)를 하게 되며, 상기 커버(30)에는 보조몸체(20)에 결합된 에어니플(26)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부재(P)는 원형판을 두개로 등분한 형상의 제1,제2부재(40)(50)로 이루어지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종래에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에어니플(26)과 인접하지 않은 하나의 나사공(25)에는 동일 위치의 커버(30)에 형성된 결합공(33)을 통과한 볼트(60)가 체결되어 커버(30)와 보조몸체(2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고무에어척(A)의 에어니플(26)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압축공기는 에어니플(26)을 통과하여 보조몸체(20)의 에어유입공(27)을 지나 보조몸체(20)의 함몰부(21)와 몸체(10)의 압착부(1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공기가 고무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압착부(11)를 팽창시키게 되고, 상기 압착부(11)는 팽창하며 지관(70)의 내경을 압착하여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지관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15)를 밀폐시키는 이중밀폐돌기(100)와 이중밀폐홈(110)은 압착링(120)이 유압에 의해 강하게 압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므로, 공간부(15)의 압축공기가 새지 않을 뿐 아니라,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0)의 형상이 변형된다 하여도 압착링(120)에 의해 이중밀폐돌기(100)와 이중밀폐홈(110)의 압착력은 변하지 않게 되어 고무에어척(A)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에어의 유출이 없어 정밀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중밀폐홈(110)과 이중밀폐돌기(100)를 3중 또는 4중으로 형성하여도 됨은 물론이나, 제작의 편의성 및 요구되는 밀폐성을 고려한다면 이중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30)에 압착링(120)을 가려주는 플랜지(31)를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압착링(120)을 유압프레스로 압착하면 그 외관이 미려하지 않으므로 압착링(120)을 가릴 수 있도록 커버(30)에 플랜지(31)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에 관하여, 본 고안의 범주 내에서 각 부품들의 여러 가지 설계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작은 크기의 에어샤프트에 고무에어척을 결합하여 큰 크기의 지관을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큰 크기의 에어샤프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고무에어척의 공간부로 공급된 압축공기를 이중밀폐홈과 이중밀폐돌기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시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시트상 제품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권취시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돌출부 외측에 압착링을 결합하여 유압프레스로 압착시켜 결합시킴으로서, 그 압착력에 의해 이중밀폐홈과 이중밀폐돌기의 압착력이 장기간 유지되어 고무재질로 형성된 몸체에 변형이 온다해도 압착링에 의한 압착부위는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고무에어척을 장기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되는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에어샤프트와 고무에어척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샤프트 10 - 몸체
12 - 돌출부 100 - 이중밀폐돌기
20 - 보조몸체 22 - 결합부
110 - 이중밀폐홈 120 - 압착링
30 - 커버 40 - 제1부재
50 - 제2부재 60 - 볼트
A - 고무에어척 P - 고정부재

Claims (4)

  1.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고, 지관(70)을 압착하는 압착부(11)와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를 구비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내측과 결합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되고, 양 결합부(22)의 사이에 함몰된 함몰부(21)가 형성되며, 중앙에 관통된 삽입공(24)이 형성되어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이 삽입되는 보조몸체(20)와; 상기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 외측에 결합되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커버(30)와 보조몸체(20) 및 몸체(10)를 에어샤프트(1) 또는 일반적인 회전축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P)로 이루어진 통상의 고무에어척(A)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내측면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100)와;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이중밀폐돌기(100)가 대응 삽입되도록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 외면에 형성된 이중밀폐홈(1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내측면과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 외면에 형성되는 이중밀폐돌기(100) 및 이중밀폐홈(110)을 이중외에 다수개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내측면에는 이중밀폐홈(110)을 형성하고, 보조몸체(20)의 결합부(22) 외면에는 이중밀폐돌기(100)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돌출부(12) 외측에 설치되어 몸체(10)의 이중밀폐돌기(100)와 보조몸체(20)의 이중밀폐홈(110)을 압착시켜 밀폐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몸체(10)와 보조몸체(20)가 결합된 후 유압프레스에 의해 몸체(10)의 돌출부(12)를 압착시키는 압착링(120)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KR20-2004-0034804U 2004-12-08 2004-12-08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KR2003791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04U KR200379191Y1 (ko) 2004-12-08 2004-12-08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804U KR200379191Y1 (ko) 2004-12-08 2004-12-08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91Y1 true KR200379191Y1 (ko) 2005-03-17

Family

ID=4368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804U KR200379191Y1 (ko) 2004-12-08 2004-12-08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9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44B1 (ko) 2008-08-28 2009-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KR100986367B1 (ko) 2008-09-22 2010-10-08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코어척
KR101350199B1 (ko) 2012-02-21 2014-01-10 (주)세한 에어샤프트용 립타입 어댑터
KR20220111979A (ko) * 2021-02-03 2022-08-10 오동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KR20220116824A (ko) * 2021-02-15 2022-08-23 김승용 이차전지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에어척 샤프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44B1 (ko) 2008-08-28 2009-05-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권취설비용 기계식 척
KR100986367B1 (ko) 2008-09-22 2010-10-08 주식회사 전주페이퍼 코어척
KR101350199B1 (ko) 2012-02-21 2014-01-10 (주)세한 에어샤프트용 립타입 어댑터
KR20220111979A (ko) * 2021-02-03 2022-08-10 오동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KR102622961B1 (ko) * 2021-02-03 2024-01-10 오동길 진공이 유지되는 사료 배출 기계
KR20220116824A (ko) * 2021-02-15 2022-08-23 김승용 이차전지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에어척 샤프트
KR102541028B1 (ko) 2021-02-15 2023-06-05 김승용 이차전지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에어척 샤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9191Y1 (ko) 에어샤프트용 고무에어척
WO2010082534A1 (ja) 管継手
JP6870027B2 (ja) 高圧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6540124B2 (ja) 気密性試験治具
WO1998001695A1 (en) Synthetic resin hose connecting means
US5808185A (en) Angle-of-rotation measuring device
JP2003004170A (ja) ケーブル貫通部用グロメット
KR200359082Y1 (ko) 에어샤프트용 보조척어뎁터
KR20130095954A (ko) 에어샤프트용 립타입 어댑터
CN208764555U (zh) 一种管道修补装置
KR200359083Y1 (ko) 에어샤프트용 튜브의 밀봉구조
JPH0262497A (ja) 管継手
JPH0141995Y2 (ko)
KR100282682B1 (ko) 자동 조심(調芯) 공압 에어 샤프트
KR101399092B1 (ko) 고정이 용이한 금형 냉각라인용 조인트
JPH09137868A (ja) 遮断弁
KR200359081Y1 (ko) 에어샤프트용 러그구조
JP5319812B2 (ja) チャック装置
JPH0518645Y2 (ko)
JP2002012345A (ja) 巻芯固定装置
JP2000146045A (ja) 管接合用治具
JP4390850B1 (ja) 管継手
JPH0341291A (ja) 管継手及びその射出成形法
CN203767694U (zh) 一种气胀套结构
JPH023703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