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388B1 - 외력 검지 방법, 외력 검지기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외력 검지 방법, 외력 검지기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3388B1 KR100983388B1 KR1020087006844A KR20087006844A KR100983388B1 KR 100983388 B1 KR100983388 B1 KR 100983388B1 KR 1020087006844 A KR1020087006844 A KR 1020087006844A KR 20087006844 A KR20087006844 A KR 20087006844A KR 100983388 B1 KR100983388 B1 KR 100983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ernal force
- main body
- detector
- allowable limit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06—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the permanent deformation of gauges, e.g. of compressed bod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제1 부재[예를 들어, 케이스(4)]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예를 들어, LCD 홀더(6)]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를 검지체[외력 검지기(8)]에 작용시켜,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생기는 검지체의 변형에 의해, 외력의 부하 이력[파단면(26, 28)]을 검지한다.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의 한쪽에 지지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에 돌출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간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힘받이부[헤드부(14), 아암부(161 내지 164)]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체, 본체부, 힘받이부, 외력 검지기, 파단면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에 대한 외력의 검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체가 갖는 변형 기능을 이용하여 검지하는 외력 검지 방법, 외력 검지기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카메라 모듈 등의 탑재 등, 고기능화와 함께 부품의 고집적화가 진행되고 있고, 외력에 의한 파괴 방지를 위해 높은 강인성이나 견고성이 요구되고 있지만, 필드 등에서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은 경우에는, 기능의 손상 등, 파괴는 불가피하다. 파괴된 장치에 대해 고장 해석을 행하여도, 파괴 원인이 외력의 부하에 기인한 것인지, 전기 계통에 기인한 것인지를 엄격히 구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파괴 원인을 특정하기 위해 장치의 하우징을 개방하면, 그것이 원인으로 하우징이 손상을 받아, 파괴 원인을 특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전자 기기의 외력 검지에 관하여, 낙하 등의 충격 강도를 감압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그 검출 출력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특허 문헌 1), 또한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 감지에 의해 각종 기능부가 정상적으로 기 능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여, 파손 부위가 검출된 경우, 그 검출 결과를 시각 정보와 함께 기록하여 파손의 발생을 통지하는 구성(특허 문헌 2), 또한 하우징의 위법 분해를 검지하기 위한 위법 분해 검지용 돌기를 구비한 하우징 구조(특허 문헌 3), 또한 장치에 가해진 충격치를 검출하는 충격 검출부를 구비하여, 이 충격 검출부의 파단의 유무를 확인하여 충격치의 범위를 전기적으로 특정하는 구성(특허 문헌 4)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81155호 공보(단락 번호 0014, 도2 등)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4-228976호 공보(단락 번호 0050, 0053, 도1, 도2 등)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8464호 공보(단락 번호 0032, 0033, 0034, 도4, 도5 등)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114180호 공보(단락 번호 0030, 0031, 0032, 도2 내지 도7 등)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충격 검출에 감압 센서가 필요하고, 감압 센서의 출력을 전기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제어 수단이나, 전기적인 충격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필요하고, 충격 검지를 위한 부품 개수가 많아, 충격 등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처리가 불가결하다. 이로 인해, 충격에 의해 전기 계통이 파괴되면, 이러한 충격 검지나 그것에 수반되는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을 나타내는 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므로, 부품 개수가 많아, 충격 등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처리가 불가결하며, 충격에 의해 전기 계통이 파괴되면 이러한 충격 검지나 그것에 수반되는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하우징에 설치된 위법 분해 검지용 돌기로는, 위법 분해를 검지할 수 있었다고 해도, 하우징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외력 검지는 불가능하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복수의 충격 검출부를 구비하여, 이들 충격 검출부의 파단의 유무를 확인하여 충격치의 범위를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있으므로, 복수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전기 신호의 처리를 위한 제어 수단, 기억 수단, 표시 수단 등을 필요로 하고 있다. 전기적인 처리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충격 등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처리가 불가결하며, 충격에 의해 전기 계통이 파괴되면, 이러한 충격 검지나 그것에 수반되는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첫 번째로, 특허 문헌 1 내지 4 중 어느 쪽의 구성을 이용해도, 외력 검지에는 부품 개수가 많아 전기적인 처리가 필요하며, 외력이 가해진 것을 나타내는 부하 이력을, 전기적인 처리를 수반하지 않고 하우징의 외관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
두 번째로, 기기 개발이나 사용자 서비스에 있어서, 파괴된 전자 기기의 파괴 원인이 외력에 의한 것인지, 전기 계통에 의한 것인지를 특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제에 관하여, 어느 쪽의 특허 문헌 1 내지 4에도 그것의 개시는 없으며, 그것을 해결하는 구성에 대한 개시나 그 시사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 검지에 관하여 외력의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기적인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 방법이며, 외력에 의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를 검지체에 작용시켜, 상기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생기는 상기 검지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부재에 발생하는 변위가 검지체에 작용하면, 그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한 경우에 검지체에는 파단이나 형상 변화 등의 변형이 생긴다. 이 변형이 부하 이력을 나타내며, 그 변형으로부터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검지체가 설치된 대상이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이면, 이러한 부하 이력을 판단 기준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장이 전기적 이상에 의한 고장인지, 외력 부하에 의한 고장인지를 부하 이력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력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간격 방향,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외력에 의해 검지체를 변형시키면, 그 변형에 의해 외력의 부하 이력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체의 변형은 파단 또는 형상 변화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검지체의 변형으로서 파단이나 형상 변화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고 부하 이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이며,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1 힘받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에 의해, 제1 및 제2 부재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 이 외력이 제1 힘받이부에 작용하면, 그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한 경우에, 제1 힘받이부에는 파단이나 형상 변화 등의 변형이 생긴다. 이 변형이 부하 이력을 나타내므로, 그 변형으로부터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외력 검지기가 설치된 대상이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이면, 이러한 부하 이력을 판단 기준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장이 전기적 이상에 의한 고장인지, 외력 부하에 의한 고장인지를 부하 이력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이며,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2 힘받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에 의해, 제1 및 제2 부재의 간격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한 경우, 이 외력이 제2 힘받이부에 작용하면, 그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한 경우에, 제2 힘받이부에는 파단이나 형상 변화 등의 변형이 생긴다. 이 변형이 부하 이력을 나타내므로, 그 변형으로부터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외력 검지기가 설치된 대상이 예를 들어 전자 기기이면, 이러한 부하 이력을 판단 기준으로 이용함으로써, 고장이 전기적 이상에 의한 고장인지, 외력 부하에 의한 고장인지를 부하 이력에 의해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에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부에서 빠져나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외력을 받아 파단 등의 변형이 생긴 외력 검지기의 본체부가 관통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구성으로 하면, 그 튀어나옴에 의해 외력의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시키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삽입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변형에 의해 외력 검지기의 본체부가 관통부로부터 튀어나온 경우, 관통부에 대한 본체부의 삽입은 삽입 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부하 이력을 은폐할 수 없으므로,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헤드부의 외면부와 상이한 착색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본체부 또는 제1 힘받이부의 내부 착색을 그 외면부의 착색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파단면이 발생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힘받이부측에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네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네크부의 단면적에 의해, 외력에 대해 파단되는 허용 한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력 검지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하여,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잘록부라 함은, 단면적이 작은 부분이다. 이러한 잘록부를 형성하면, 그 잘록부가 갖는 허용 한도 이상의 외력에 의해, 제2 힘받이부를 그 잘록부에서 파단시킬 수 있다. 이 파단이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4 측면은,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외력 검지기가,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1 힘받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은, 이미 서술한 외력 검지기를 구비한 전자 기기로 외력 검지 구조를 실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 전자 기기에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외력의 부하를 그 부하 이력의 검지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 발생한 고장이 전기 계통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 외력 부하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측면은,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 상기 외력 검지기가,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2 힘받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전자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 전자 기기에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외력의 부하를 그 부하 이력의 검지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전자 기기에 발생한 고장이 전기 계통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 외력 부하에 의한 것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에 관통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관통부를 구비하여, 외력 검지기의 본체부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튀어나오는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 전자 기기에 작용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시키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삽입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에 있어서도, 변형에 의해 외력 검지기의 본체부가 원통부로부터 튀어나온 경우, 관통부에 대한 본체부의 삽입은 삽입 저지부에 의해 저지되어 부하 이력을 은폐할 수 없어, 부하 이력의 인식이 용이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외면부와 상이한 착색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전자 기기에 있어서도, 본체부 또는 제1 힘받이부의 내부 착색을 그 외면부의 착색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파단면이 생긴 것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힘받이부측에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네크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자 기기에 있어서도, 제1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외력에 대한 허용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2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외력에 대한 허용 한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자 기기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2 힘받이부의 외면부와는 상이한 착색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전자 기기에 있어서도, 본체부 또는 제2 힘받이부의 내부 착색을 그 외면부의 착색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파단면이 생긴 것을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또는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2) 휴대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를 분해하지 않고, 전자 기기에 가해진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또는 부하 이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3) 전자 기기의 고장 판별에 있어서, 외력 부하에 의한 것인지, 전기 계통의 고장에 의한 것인지를 외력의 부하 이력의 인식을 기초로 하여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외력의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3은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외력의 부하 이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외력의 부하 이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는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는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 하는 도면이다.
도16은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은 외력의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은 외력 검지기의 스토퍼부의 삽입 억지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1은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2는 도21의 XXII-XXII선 단면도이다.
도23은 도21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24는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5는 도24의 XXV-XXV선 단면도이다.
도26은 도24의 XXVI-XXVI선 단면도이다.
도27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8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9는 다른 외력 검지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0은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전자 기기(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이 다.
도31은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전자 기기(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2는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전자 기기(휴대 정보 단말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2 : 휴대 단말 장치(전자 기기)
4 : 케이스(제1 부재)
6 : LCD(Liquid Crystal Display) 홀더(제2 부재)
8, 8A, 8B, 8C, 8D, 8E, 8F, 8G : 외력 검지기
10 : 본체부
14 : 헤드부(제1 힘받이부)
16 : 제2 힘받이부
161, 162, 163, 164 : 아암부(제2 힘받이부)
18 : 제1 힘받이면
20 : 제2 힘받이면
22 : 네크부
24 : 관통 구멍(관통부)
26, 28 : 파단면
34 : 잘록부
60 :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전자 기기)
80 : 디지털 카메라(전자 기기)
94 : 휴대 정보 단말기(전자 기기)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3, 도4, 도5 및 도6은 그 외력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7 및 도8은 부하 이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검지 대상인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휴대 단말 장치(2)에서는, 제1 부재 또는 제2 부재로서 예를 들어, 케이스(4), 제2 부재 또는 제1 부재로서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홀더(6)가 구비되고, 이들 케이스(4)와 LCD 홀더(6)는 도시하지 않은 부재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d)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케이스(4)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외장 케이스이고, LCD 홀더(6)는 휴대 단말 장치(2)의 내장 부품이며, 케이스(4) 내에 액정 디바이스(LCD)를 보유 지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휴대 단말 장치(2)의 케이스(4)와 LCD 홀더(6) 사이에는, 휴대 단말 장치(2)에 대한 외력 부하 및 그 부하 이력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체로서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력 검지기(8)에는, 외력에 대해 일정한 허용 한도가 설정되어 있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이나 그 외력에 의한 변위를 받았을 때, 외력 부하를 검지하여 변형되고, 그 변형에 의해 부하 이력을 표시한다. 여기서, 외력 검지기(8)의 변형이라 함은, 외력 검지기(8)의 부분적인 파단이나 그 밖의 형상 변화이고, 또한 부하 이력의 표시라 함은, 외력 검지기(8)의 파단이나 형상 변화 등의 외관으로 드러난 상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력 검지기(8)의 일부가 파단되는 것에 의해 외력을 검지하고 있고, 그 파단 상태가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낸다.
이러한 외력 검지 및 부하 이력의 표시 등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이 외력 검지기(8)에는, 외력을 검지하는 부위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 외력을 받는 구성, 외력을 받아 파단되어,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이탈이나 파단면에 의해 표시되는 구성 등을 구비한다. 외력을 받아 파단되는 구성에는, 외력 검지기(8)의 일부 또는 전부가 파단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그 일예로서, 외력 검지기(8)는 합성 수지의 성형체로 구성할 수 있다.
외력 검지기(8)에는, 외력의 검지 부위에 지지시키는 지지 부재로서 본체부(10)가 구비되고, 이 본체부(10)는 예를 들어, 원기둥체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직경(R1) 및 높이(H)는, 외력의 검지 대상 등에 따라서 설정된다. 이 경우, LCD 홀더(6)에는 본체부(10)를 지지시키는 지지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오목부(12)에 본체부(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외력 검지기(8)가 LCD 홀더(6)에 착탈 가능하게 기립 설치되어 있다(도1). 이 경우, 지지 오목부(12)의 내경(R2)은 본체부(10)의 외경(R1)보다 크고, 양자간에는 유격을 구성하는 간극[CL1(= R2 - R1)]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지지 오목부(12)로부터 본체 부(10)의 이탈이 가능하다.
또한, 외력을 받는 구성으로서, 이 외력 검지기(8)에는 본체부(10)의 중심축(O)의 동일 방향으로 제1 힘받이부로서 헤드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부(10)의 중심축(O)과 교차 방향으로 제2 힘받이부(16)로서 돌출시킨 복수의 아암부(161, 162, 163, 1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헤드부(14)의 외경(R3)은 본체부(10)의 외경(R1)과 동일 직경(R1 = R3)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 아암부(161 내지 164)는, 소정 각도로서 예를 들어, 90도의 각도를 이루어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4)에는 그 주위면부에 힘받이면(18)이 설정되고, 이 힘받이면(18)에는 중심축(O)과 교차 방향(수평 방향에 한정되지 않음), 즉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파선 또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외력(Fh)을 받는 데 대해, 아암부(161 내지 164)에는 그 상면부에 힘받이면(20)이 설정되고, 이 힘받이면(20)에는 중심축(O)과 동일 방향(수직 방향에 한정되지 않음), 즉 간격(d) 방향으로부터의 외력(Fv)을 받는다. 환언하면, 휴대 단말 장치(2)에 작용하는 전체 방향의 외력을 2종의 힘받이부인 헤드부(14) 및 아암부(161 내지 164)에서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외력 검지기(8)에는, 외력을 받아 파단됨으로써 부하 이력을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0)와 헤드부(14) 사이에 제1 힘받이 검지부로서 네크부(22)가 형성되고, 본체부(10)와 아암부(161 내지 164)의 근원 부분을 외력에 의해 파단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제2 힘받이 검지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의 외경(R1), 헤드부(14)의 외경(R3)에 대해, 네크부(22)는 그 최소 직경을 R4로 하면, 본체부(10) 및 헤드부(14)의 외경[R1, R3(> R4)]보다 가늘게 형성되고, 외력에 대해 파단 가능한 허용 한도가 설정되어 있다. 즉, 이 경우, 네크부(22)가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10) 및 헤드부(14)의 주위면에 형성된 오목면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에 의해 파단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4)에는 LCD 홀더(6)의 지지 오목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24)이 형성되고, 이 관통 구멍(24)에는 외력 검지기(8)의 헤드부(14)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즉, 관통 구멍(24)은 후술하는 파단시에 외력 검지기(8)의 튀어나옴을 허가하기 위한 관통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헤드부(14)의 정상면부는 케이스(4)의 외면보다 관통 구멍(24)의 내측 방향으로 약간 후퇴시켜져 있으므로, 헤드부(14)에 대한 직접적인 응력 작용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 구멍(24)의 주위부에는 LCD 홀더(6)측으로 돌출하는 고리 형상의 돌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24)의 내경(R5)은 헤드부(14)의 외경(R3)보다 크게 설정되고, 돌기부(23)는 아암부(161 내지 164)의 힘받이면(20)에 면하게 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24)의 내경(R5)과 헤드부(14)의 외경(R3) 사이에는 약간의 여유 간격을 설정하는 간극(CL2)이 설정되는 동시에, 돌기부(23)와 아암부(161 내지 164)의 힘받이면(20) 사이에는 약간의 여유 간격을 설정하는 간극(CL3)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CL2, CL3)을 설정하면, 꽉 쥐는 등, 통상 사용에서 휴대 단말 장치(2)가 받는 외력의 외력 검지기(8)에 대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대해 파단되는 네크부(22)의 허용 한도는, 네크부(22)의 직경(R4), 간극(CL2)의 크기, 형성 재료의 강도에 따라 결정되고, 또한 외력에 대해 파단되는 아암 부(161 내지 164)의 허용 한도는, 아암부(161 내지 164)의 굵기, 간극(CL3)의 크기, 형성 재료의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에, 외력 부하 및 부하 이력의 검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 장치(2)에 낙하 등의 강대한 충격이 가해지면,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 및 LCD 홀더(6)에는 양자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휴대 단말 장치(2)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부터 외력(Fh)이 작용한다. 이 외력(Fh)은,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에 끼워 맞춤시킨 헤드부(14)를 거쳐서 네크부(22)에 작용하는 동시에, 케이스(4)와 LCD 홀더(6)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네크부(22)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Fh)이 외력 검지기(8)의 네크부(22)에 설정되어 있는 허용 한도를 초과할 때, 네크부(22)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된다. 헤드부(14)는 관통 구멍(24)보다 소직경이므로, 본체부(10)로부터 이탈한 헤드부(14)는,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으로부터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14)의 이탈, 네크부(22)의 파단이 휴대 단말 장치(2)에 대한 허용 한도 이상의 외력(Fh)의 부하 및 그 부하 이력을 나타내고, 특히 휴대 단말 장치(2)측에 잔류하는 본체부(10)의 네크부(22)측의 파단면(26)이 마찬가지로, 외력의 흔적, 즉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낸다. 이 경우, 헤드부(14)가 이탈하면,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에는 헤드부(14)가 없기 때문에 움푹 패임이 생기는 동시에, 관통 구멍(24)으로부터 네크부(22)의 파단면(26)이 노출되어, 파단면(26)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2)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와 LCD 홀더(6) 사이를 좁히는 방향[휴대 단말 장치(2)의 두께 방향]으로 외력(Fv)이 예를 들어, 케이스(4)에 작용하고, 이 외력(Fv)이, 외력 검지기(8)의 아암부(161 내지 164) 또는 응력이 집중되는 그 근원 부분의 허용 한도를 초과하면, 케이스(4)의 돌기부(23)의 충돌에 의해 아암부(161 내지 164)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된다. 이 경우, 케이스(4)와 LCD 홀더(6)의 간격 d는, 외력(Fv)의 작용에 의해 간격 d'(< d)로 좁혀진다. 이 결과, 아암부(161 내지 164)가 파단된 외력 검지기(8)는,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에 대한 빠짐 방지 기능을 잃게 된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력 검지기(8)는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으로부터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튀어나와 이탈하게 된다. 즉,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의 외력 검지기(8)의 본체부(10)의 이탈, 아암부(161 내지 164)의 파단은, 휴대 단말 장치(2)에 대한 허용 한도 이상의 외력(Fv)의 부하 및 그 부하 이력을 나타내고, 그 파단면(28)이 외력의 흔적, 즉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본체부(10)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휴대 단말 장치(2)를 분해하지 않고, 휴대 단말 장치(2)에 가해진 외력의 부하 이력을 인식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외력 검지기(8)에 따르면, 케이스(4)와 LCD 홀더(6)의 간격 방향의 외력(Fv), 간격 방향과 교차 방향의 외력(Fh)의 부하 이력을 검지할 수 있으므로, 입체각 360도, 즉 XYZ축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을 검지하여, 그 부하 이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크부(22)의 파단면(26)을 휴대 단말 장치(2)의 케이스(4)의 표면부(30) 또는 외력 검지기(8)의 표면부(32)와 상이한 착색으로 되도록 배색해 두면, 그 파단면(26)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161 내지 164)의 파단면(28)도 휴대 단말 장치(2)의 케이스(4)의 표면부(30) 또는 외력 검지기(8)의 표면부(32)와 상이한 착색으로 되도록 배색해 두면,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이탈한 외력 검지기(8)에 있어서의 아암부(161 내지 164)의 파단면(28)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9는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9에 있어서,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미 서술한 외력 검지기(8)(도1, 도2)에서는, 본체부(10)에 아암부(161 내지 164)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8A)에서는, 본체부(10)와 헤드부(14)가 동일한 직경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헤드부(14)측에는 헤드부(14)보다 직경이 작은 네크부(22)를 구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아암부(161 내지 164)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 외력 검지기(8A)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2)의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외력 검지기(8A)의 본체부(10)가 LCD 홀더(6)의 상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4)에 형성된 관통 구멍(24)에는 헤드부(14)가 끼워 맞추어지고, 네크부(22)의 주위부에는 관통 구 멍(24)의 주위부로부터 돌출시킨 돌기부(23)의 하면 부분이 일치하고 있다. LCD 홀더(6)의 상면부와 본체부(10)의 일체화는, 별도의 부재를 접착재 등으로 고정하는 형태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얻어진다(도3, 도4). 즉, 휴대 단말 장치(2)에 낙하 등의 강대한 충격이 가해져, 케이스(4)와 LCD 홀더(6) 사이에 양자를 어긋나게 하는 방향[휴대 단말 장치(2)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외력(Fh)이 케이스(4)에 작용한 경우, 그 외력(Fh)은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에 끼워 맞춤시킨 헤드부(14)를 거쳐서 네크부(22)에 작용하는 동시에, 케이스(4)와 LCD 홀더(6)를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네크부(22)에 응력이 집중되어, 전단력이 작용한다. 이 외력(Fh)이 외력 검지기(8A)의 네크부(22)에 설정되어 있는 허용 한도를 초과할 때, 네크부(22)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되고, 헤드부(14)는 관통 구멍(24)보다 소직경이므로, 본체부(10)로부터 이탈한 헤드부(14)는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드부(14)의 이탈, 네크부(22)의 파단이 휴대 단말 장치(2)에 허용 한도 이상의 외력(Fh)의 부하 및 그 부하 이력을 나타내고, 특히 휴대 단말 장치(2)측에 잔류하는 본체부(10)의 네크부(22)측의 파단면(26)이 마찬가지로, 외력의 흔적, 즉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0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미 서술한 외력 검지기(8)(도1, 도2)에서는, 본체부(10)와 헤드부(14) 사이에 직경이 작은 네크부(22)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기(8B)에서는, 본체부(10)와 헤드부(14)가 동일 직경으로 설정되고, 이미 서술한 아암부(161 내지 164)만을 구비한 것이다. 환언하면, 이 외력 검지기(8B)는 본체부(10)와 아암부(161 내지 16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력 검지기(8B)를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2)의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외력 검지기(8B)의 본체부(10)가 LCD 홀더(6)의 상면부에 적재되고, 케이스(4)에 형성된 관통 구멍(24)에는 헤드부(14)가 끼워 맞추어지고, 아암부(161 내지 164)의 힘받이면(20)에 관통 구멍(24)의 주위부로부터 돌출시킨 돌기부(23)가 면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이미 서술한 지지 오목부(12)(도1, 도2)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지지 오목부(12)에 대한 관통 구멍(24)의 위치 맞춤이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얻어진다(도5, 도6). 케이스(4)와 LCD 홀더(6) 사이를 좁히는 방향[휴대 단말 장치(2)의 두께 방향]의 외력(Fv)이 예를 들어, 케이스(4)에 작용하면, 이 외력(Fv)이 외력 검지기(8B)의 아암부(161 내지 164) 또는 응력이 집중되는 그 근원 부분의 허용 한도를 초과한 경우, 케이스(4)의 돌기부(23)의 충돌에 의해 아암부(161 내지 164)가 전단력을 받아 파단된다. 아암부(161 내지 164)가 파단된 외력 검지기(8B)는,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에 대한 빠짐 방지 기능을 잃게 된다. 이 결과, 외력 검지기(8B)는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으로부터 튀어나와, 이탈하게 된다. 즉, 휴대 단말 장 치(2)로부터의 외력 검지기(8B)의 본체부(10)의 이탈, 아암부(161 내지 164)의 파단은, 휴대 단말 장치(2)에 허용 한도 이상의 외력(Fv)의 부하 및 그 부하 이력을 나타내고, 그 파단면(28)이 외력의 흔적, 즉 외력의 부하 이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1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에 있어서,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외력 검지기(8C)에서는, 아암부(161 내지 164)의 근원 부분에 잘록부(34)가 형성되어, 외력에 대해 파단되는 허용 한도가 설정되어 있다. 즉, 케이스(4)와 LCD 홀더(6) 사이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의 외력(Fv)을 받았을 때, 아암부(161 내지 164)의 근원 부분에 있는 잘록부(34)에서 파단되는 것으로 되어, 본체부(10)를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으로부터 확실하게 튀어나오게 할 수 있다. 또한, 파단면(28)(도8)에 대해서도, 잘록부(34)의 부분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잘록부(34)는 각 아암부(161 내지 164)의 하면측에 오목부(35)를 마련하여 형성하고 있지만, 이러한 오목부(35)뿐만 아니라, 각 아암부(161 내지 164)의 근원 부분의 단면적을 좁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는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다른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에 있어서, 도 1 및 도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2에 도시하는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아암부(161 내지 164)와 케이스(4)의 돌기부(23) 사이의 간극(CL3)을 일정하게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외력 검지기(8)의 아암부(162)의 힘받이면(20)과 돌기부(23) 사이를 간극 CL3으로 설정하고 있는 데 대해, 간극(CL3)보다 여유 간격을 크게 설정한 간극[CL4(> CL3)]을 아암부(164)측에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LCD 홀더(6)로부터 동일 높이인 아암부(161 내지 164)의 힘받이면(20)에 대해, 돌기부(23)의 돌출 길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간극(CL3, CL4)을 설정하면, 간극(CL3, CL4)마다 외력에 대해 파단되는 허용 한도를 아암부(161 내지 164)마다 상이하게 할 수 있어, 임의의 외력(Fv)에 대해 예를 들어, 아암부(162)가 파단된 후, 보다 큰 외력(Fv')에 의해 아암부(164)를 파단시킬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4는 헤드부(14)를 상면에서 본 외부 검지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에 도시하는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헤드부(14)의 힘받이면(18)과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CL2)을 일정하게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헤드부(14)에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r)의 거리를 갖는 힘받이면(18A)과, 이 힘받이면(18A)으로부터 후퇴시킨 힘받이면(18B)을 구비 한 것에 의해, 힘받이면(18A)과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CL2)에 대해, 힘받이면(18B)과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의 내벽면 사이의 간극[CL5(> CL2)]을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외력 검지 구조를 구성하는 외력 검지기(8D)에서는, 도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헤드부(14)의 일부를 절결하여 수직면으로 이루어지는 힘받이면(18B)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서는, 헤드부(14)를 편심 원기둥체로 구성해도 좋고, 힘받이면(18B)이 곡면이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헤드부(14)의 힘받이면(18A, 18B)에 대한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의 내벽면 사이에 상이한 간극(CL2, CL5)이 설정된 것에 의해, 외력에 의해 네크부(22)가 파단되는 허용 한도가 간극(CL2, CL5)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된다. 이 경우, 힘받이면(18A, 18B)에 작용하여 네크부(22)를 파단시키는 외력을 Fha, Fhb로 하면, Fha < Fhb로 된다. 즉, 힘받이면(18B)에 작용하는 외력의 허용 한도는 힘받이면(18A)보다 커진다. 이러한 외력에 대한 파단의 허용 한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외력의 검지 부위나 전자 기기에 따른 외력 검지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도15 및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5는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6은 외력 검지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에 있어서,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외력 검지기(8E)에서는, 본체부(10)가 헤드부(14)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부(10)와 헤드부(14) 사이에는 본체부(10)보다 가는 네크부(22)가 형성되고, 본체부(10)측에는 네크부(22)보다 직경이 큰 고리 형상이며 단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빠짐 방지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의 외경(R8), 헤드부(14)의 외경(R3), 네크부(22)의 최소 직경(R4)에 대해, 빠짐 방지부(36)의 외경(R6)의 대소 관계는, R4 < R8 < R6이다.
이러한 외력 검지기(8E)에 대해, 케이스(4)의 관통 구멍(24)의 주위부에는 두께부(38)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관통 구멍(24)의 내벽부에는 관통 구멍(24)에 삽입된 외력 검지기(8E)의 네크부(22)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40)의 내경을 R7로 하면, R4 < R7 < R6 < R3으로 설정되어, 네크부(22)에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케이스(4)로부터 외력 검지기(8E)가 튀어나옴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낙하 등의 충격에 의해 케이스(4)에 외력(Fv)이 작용해도, 그 외력(Fv)이 허용 한도 내인 경우에는, 도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부(36)가 돌기부(40)에 접촉되어, 외력 검지기(8E)의 튀어나옴이 저지된다. 즉, 빠짐 방지부(36)의 돌기부(40)가 갖는 튀어나옴 억지 기능이 작용한다. 이에 대해, 그 외력(Fv)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24)측의 돌기부(40)를 빠짐 방지부(36)가 밀어내거나 또는 양자를 파괴하면서, 양자의 튀어나옴 억지 기능이 해제되어 결합이 풀려, 화살표 h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외력 검지기(8E)가 튀어나온다. 이 결과, 휴대 단말 장치(2)에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외력의 허용 한도 내의 튀어나옴 억지 기능,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에 의한 외력 검지기(8E)의 튀어나옴은, R4 < R8 < R7 < R6인 치수 설정 및 형성 재료가 갖는 탄성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7은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 및 도18에 있어서, 도1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외력 검지 구조는,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아 외력 검지기(8F)를 케이스(4)로부터 튀어나오게 하는 동시에, 일단, 케이스(4)로부터 이탈한 외력 검지기(8F)를 케이스(4) 내로 복귀시키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즉, 이 외력 검지 구조에서는, 외력 검지기(8F)에 형성된 빠짐 방지부(36)의 본체부(10)측의 상승 각도(θ)가 크게 설정되는 동시에, 그 정상부측을 만곡면부(42)로 하고, 또한 돌기부(40)측의 하면측에 만곡면부(44), 그 상면부에 코너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외력을 검지하여 케이스(4)로부터 튀어나온 외력 검지기(8F)가 케이스(4) 내로 복귀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삽입 저지부로서, 돌기부(40)의 코너부(46)에 대응하는 각도(θ)를 갖는 빠짐 방지부(3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케이스(4)에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Fv)이 작용하면, 외력 검지기(8F)는 도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곡면부(42, 44) 사이 의 마찰력에 의한 튀어나옴 억제 기능이 작기 때문에, 돌기부(40)의 간격 내를 빠져나와 외부로 튀어나온다. 이 튀어나옴에 의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Fv)이 케이스(4)에 작용한 것이 인식된다.
또한, 튀어나온 외력 검지기(8F)를 케이스 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면, 도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부(36)의 상승부가 돌기부(40)의 코너부(46)에 접촉되어, 외력 검지기(8F)의 삽입이 저지된다. 억지로 외력 검지기(8F)를 압입하면, 돌기부(40)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외관을 다듬는 것과 같은 부정을 회피할 수 있어, 외력 검지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제9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9는 다른 외력 검지기를 이용한 외력 검지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20은 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 및 도20에 있어서, 도1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외력 검지 구조는, 제8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을 받아 외력 검지기(8G)를 케이스(4)로부터 튀어나오게 하는 동시에, 일단, 케이스(4)로부터 이탈한 외력 검지기(8G)를 케이스(4) 내로 복귀시키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그래서, 이 외력 검지기(8G)의 빠짐 방지부(36)에는,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기부(40)는 튀어나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만곡면부(44)를 구비한 단면 반원형이다. 또한, 빠짐 방지부(36)에는, 외력을 검지하여 케이스(4)로부터 튀어나온 외력 검지기(8G)를 케이스(4) 내로 복 귀시키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삽입 저지부로서 스토퍼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케이스(4)측의 돌기부(40)에 외력 검지기(8G)측의 스토퍼부(48)가 접촉되어, 외력 검지기(8G)의 삽입 저지가 도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케이스(4)에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Fv)이 작용하면, 외력 검지기(8G)는 만곡면부(42, 4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한 튀어나옴 억제 기능이 작기 때문에, 돌기부(40)의 간격 내를 빠져나와 외부로 튀어나온다. 이 튀어나옴에 의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Fv)이 케이스(4)에 작용한 것이 인식되는 것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도18의 (A)}.
또한, 튀어나온 외력 검지기(8G)를 케이스 내로 복귀시키려고 하면, 도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부(36)의 스토퍼부(48)가 돌기부(40)에 접촉되어, 외력 검지기(8G)의 삽입이 저지된다. 억지로 외력 검지기(8G)를 압입하면, 돌기부(40)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외관을 다듬는 것과 같은 부정을 회피할 수 있어, 외력 검지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제10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도21, 도22 및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1은 외력 검지 구조를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도21의 XXII-XXII선 단면도, 도23은 도21의 XXIII-XXIII선 단면도이다. 도21, 도22 및 도23에 있어서,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외력 검지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로서, 이 휴대 단말 장치(2)는 제1 케이스(4A)[도1의 케이스(4)에 상당]와, 제2 케이스(4B)를 힌지부(50)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케이스(4A)에는 표시부로서 LCD(52)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LCD(52)에 인접하는 위치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4B)에는 숫자 키나 커서 키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조작부(54) 등이 배치되는 동시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4A)측에는, 도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A)와 LCD 홀더(6) 사이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고, 그 상세는 도1 내지 도7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4B)측에는, 도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4B)와, 돔 스위치(56)를 보유 지지하는 스위치 홀더(58) 사이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고, 그 상세는 도1 내지 도8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2)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외력이 케이스(4A)나 케이스(4B)의 외력 검지기(8)를 포함하는 외력 검지 구조의 허용 한도를 초과하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4A)나 케이스(4B)에 가해진 폭 방향의 외력 및 그 부하 이력을 외력 검지기(8)의 헤드부(14)의 파단에 의한 튀어나옴(도3, 도4)이나 그 파단면(26)(도7)에 의해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4A)나 케이스(4B)에 가해진 직교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것 및 그 부하 이력을 외력 검지기(8)의 튀어나옴(도5, 도6)이나 그 파단면(28)(도8)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 장치(2)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부하 이력의 인식을 기초로 하여, 전기 계통에 기인한 고장인지, 외 력에 의한 고장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외력 검지기(8)에는 이미 서술한 외력 검지기[8A(도9), 8B(도10), 8C(도11), 8D(도13), 8E(도15), 8F(도17), 8G(도19)]를 이용해도 좋다.
[제1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 도24, 도25 및 도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4는 외력 검지 구조를 구비한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도24의 XXV-XXV선 단면도, 도26은 도24의 XXVI-XXVI선 단면도이다. 도24, 도25 및 도26에 있어서, 도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외력 검지 구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의 일예로서, 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PC)(60)는, 제1 케이스(64A)[도1의 케이스(4)에 상당]와, 제2 케이스(64B)를 힌지부(62)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64A)에는 표시부로서 LCD(66)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LCD(66)에 인접하는 위치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64B)에는 숫자 키나 커서 키 등의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키 조작부(67) 등이 배치되는 동시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64A)측에는, 도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4A)와 LCD 홀더(68) 사이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고, 그 상세는 도1 내지 도7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케이스(64B)측에는, 도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64B)와, 스위치 등의 케이스 내 부재를 보유 지지하는 홀더(70) 사이에 외력 검지기(8)가 설치되고, 그 상세는 도1 내지 도8 등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에 의해 PC(6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그 외력이 케이스(64A)나 케이스(64B)의 외력 검지기(8)를 포함하는 외력 검지 구조의 허용 한도를 초과하면,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64A)나 케이스(64B)에 가해진 폭 방향의 외력 및 그 부하 이력을 외력 검지기(8)의 헤드부(14)의 파단에 의한 튀어나옴(도3, 도4)이나 그 파단면(26)(도7)에 의해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케이스(64A)나 케이스(64B)에 가해진 직교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것 및 그 부하 이력을 외력 검지기(8)의 튀어나옴(도5, 도6)이나 그 파단면(28)(도8)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즉, PC(60)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이러한 부하 이력의 인식을 기초로 하여, 전기 계통에 기인한 고장인지, 외력에 의한 고장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외력 검지기(8)에는 이미 서술한 외력 검지기[8A(도9), 8B(도10), 8C(도11), 8D(도13), 8E(도15), 8F(도17), 8G(도19)]를 이용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1) 외력 검지기(8, 8A, 8C, 8D, 8E, 8F, 8G)의 네크부(22)는,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구성으로서, 도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 또는 헤드부(14)보다 직경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해도 좋다. 본체부(10) 또는 헤드부(14)는 각기둥체로 해도 좋고, 네크부(22)도 각기둥체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외력을 헤드부(14)의 힘받이면(18)에 작용시켜,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에 의해 네크부(22)를 파단시킬 수 있다.
(2) 또한, 네크부(22)는 도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소 직경(R4)의 기둥 형상부(72)와 단면 사다리꼴 형상의 뿔 형상부(74, 76)로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외력을 헤드부(14)의 힘받이면(18)에 작용시켜,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에 의해 네크부(22)를 파단시킬 수 있다.
(3) 외력 검지기(8C)의 아암부(161 내지 164)의 잘록부(34)(도11)는,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힘받이면(20)측의 근원부에 형성된 오목부(37)로 구성해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아암부(161 내지 164)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 아암부(161 내지 164)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복수개로 구성해도 좋고, 또한 5개 이상의 아암부로 구성해도 좋다.
(5) 외력 검지기(8, 8A, 8B, 8C, 8D, 8E, 8F, 8G)를 구비하는 외력 검지 구조를 적용하는 전자 기기에 대해, 휴대 단말 장치(2)(도1, 도21), PC(60)(도24)를 예시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80)의 렌즈 기구(82)를 구비하는 케이스(84)[도1의 케이스(4)에 상당]와 내부 부재 사이에 외력 검지기(8)[또는 외력 검지기(8A, 8B, 8C, 8D, 8E, 8F, 8G)]를 설치해도 좋고, 또한 예를 들어 도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80)의 디스플레이(LCD)(86)가 설치된 케이스(88)와 LCD 홀더(6) 사이에 외력 검지기(8)[또는 외력 검지기(8A, 8B, 8C, 8D, 8E, 8F, 8G)]를 설치해도 좋고, 또한 예를 들어 도32에 도 시하는 바와 같이 휴대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90)의 케이스(92)[도1의 케이스(4)에 상당]와 LCD(94)의 LCD 홀더(6) 사이에 외력 검지기(8)[또는 외력 검지기(8A, 8B, 8C, 8D, 8E, 8F, 8G)]를 설치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이들 전자 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외력 검지기(8)의 파단이나 튀어나옴에 의해 부하 이력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기초로 하여 전기 계통에 기인한 고장인지, 외력에 의한 고장인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형태 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되거나, 또는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요지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자 기기 등에 가해지는 낙하 충격이나 압박 등의 외력의 부하 또는 부하 이력을, 전자 기기 등의 케이스를 분해하지 않고 인식할 수 있고, 고장시에, 외력 부하에 의한 것인지, 전기 계통의 이상에 의한 것인지의 판별에 이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Claims (18)
-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 방법이며,외력에 의한,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를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힘받이부를 갖는 검지체에 작용시켜, 상기 검지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검지체에 상기 힘받이부의 파단 또는 형상 변화를 발생시켜 상기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고, 상기 힘받이부의 파단에 의해 상기 힘받이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간격 방향,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체가 파단한 경우, 파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검지체의 일부를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된 관통부로부터 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 방법.
-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이며,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지지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1 힘받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힘받이부는 상기 제1 부재가 구비하는 관통부 내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외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이며,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복수의 제2 힘받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경우, 상기 제2 힘받이부는 상기 제1 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시키는 상기 관통부와,상기 관통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삽입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외면부와 상이한 착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받이부측에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네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하고,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검지기.
-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상기 외력 검지기가,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에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1 힘받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 힘받이부는 상기 제1 부재가 구비하는 관통부 내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상기 외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외력의 부하 이력을 검지하는 외력 검지기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이며,상기 외력 검지기가,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대향하는 제2 부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재에 지지되는 본체부와,상기 본체부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허용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제2 힘받이부를 포함하고,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경우, 상기 제2 힘받이부는 상기 제1 부재로부터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파단한 경우, 파단에 의해 상기 외력 검지기로부터 분리된 상기 본체부가 상기 관통부로부터 빠져나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통과시키는 상기 관통부와,상기 관통부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삽입을 저지하는 삽입 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의 외면부와 상이한 착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받이부측에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1 힘받이부보다 단면적이 작은 네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힘받이부에 잘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파단되는 상기 허용 한도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힘받이부의 파단면이 상기 제1 부재,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제2 힘받이부의 외면부와는 상이한 착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5/017514 WO2007034554A1 (ja) | 2005-09-22 | 2005-09-22 | 外力検知方法、外力検知器及び電子機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1263A KR20080041263A (ko) | 2008-05-09 |
KR100983388B1 true KR100983388B1 (ko) | 2010-09-20 |
Family
ID=3788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06844A KR100983388B1 (ko) | 2005-09-22 | 2005-09-22 | 외력 검지 방법, 외력 검지기 및 전자 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7644605B2 (ko) |
JP (1) | JP4740250B2 (ko) |
KR (1) | KR100983388B1 (ko) |
WO (1) | WO200703455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16884A1 (en) * | 2009-04-30 | 2011-02-10 |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 Passive blast pressure sensor |
JP2012122823A (ja) * | 2010-12-08 | 2012-06-28 | Seiko Epson Corp | 検出装置、電子機器、及びロボット |
CN102305679B (zh) * | 2011-04-02 | 2013-07-03 | 吴江市博众精工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笔记本电脑键帽测试机的定位载具 |
FR3058994B1 (fr) * | 2016-11-21 | 2018-10-26 | Safran | Systeme d'amortissement pour une masse mobile d'un dispositif mems |
US20240005333A1 (en) * | 2022-06-29 | 2024-01-04 |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 Warranty considerations and replaced transport component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4978Y2 (ja) * | 1991-12-02 | 1995-10-11 | 喜嗣 平野 | 車輌用過荷重検知器 |
JP2001336996A (ja) * | 2000-05-26 | 2001-12-07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歩行者ダミー人形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71973A (en) * | 1959-09-08 | 1963-01-08 | Helfand Bernard | Peak recording instrument |
JPS497597Y1 (ko) * | 1969-08-01 | 1974-02-22 | ||
FR2083202A5 (ko) * | 1971-03-09 | 1971-12-10 | Roesch Carol | |
FR2151585A5 (ko) * | 1971-08-27 | 1973-04-20 | Corporandy Joseph | |
JPS5849726B2 (ja) * | 1979-07-23 | 1983-11-07 | 芳一 阪村 | 軸力判定用の円筒状ワツシヤ− |
EP0062846B1 (en) * | 1981-04-13 | 1984-09-12 | Olympus Optical Co., Ltd. | Disinfection indicator for medical equipment |
DE3124401A1 (de) | 1981-06-22 | 1983-01-27 | Basf Ag, 6700 Ludwigshafen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ulverfoermigem polyimid und seine verwendung |
JPS5914063A (ja) * | 1982-07-15 | 1984-01-24 | Hitachi Ltd | マイクロコンピユ−タのスタ−トアツプ方式 |
JPS5914063U (ja) * | 1982-07-19 | 1984-01-2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衝撃感知装置 |
US4628747A (en) * | 1984-10-22 | 1986-12-16 | Weitz Gene C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ension |
US5307896A (en) * | 1991-08-13 | 1994-05-03 | Nippondenso Co., Ltd. | Collision detection sensor |
JPH0681155A (ja) | 1992-09-01 | 1994-03-22 | Kanehiro Metaraijingu:Kk | 複合部材に対するメッキ方法 |
JPH0744978A (ja) | 1993-07-30 | 1995-02-14 | Sony Corp | フロッピーディスク装置 |
US5458368A (en) * | 1994-01-18 | 1995-10-17 | Cermak; Ronald | Collision sensor and actuation apparatus |
JP3607339B2 (ja) * | 1995-02-13 | 2005-01-05 | 甲南電機株式会社 | 過負荷防止装置 |
DE19639388A1 (de) * | 1995-09-29 | 1997-04-10 | Aisin Seiki | Stoß-Sensor |
JPH11190745A (ja) * | 1997-12-26 | 1999-07-13 | Nec Shizuoka Ltd | 衝撃履歴の検出方法とその検出部材および携帯電子機器 |
JP2001133472A (ja) * | 1999-11-09 | 2001-05-18 | Hosiden Corp | 衝撃センサ及び衝撃圧力センサ |
JP4732620B2 (ja) | 2001-06-20 | 2011-07-27 |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 無線端末 |
JP2003050247A (ja) * | 2001-08-07 | 2003-02-2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衝撃記録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2003114180A (ja) | 2001-10-04 | 2003-04-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衝撃検出方法 |
JP2003258711A (ja) * | 2002-02-28 | 2003-09-12 | Kokusai Denki Engineering:Kk | 携帯端末の過大歪み検出装置 |
US6698272B1 (en) * | 2002-12-30 | 2004-03-0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evice for indicating exposure to an impact, adverse temperature and/or humidity |
JP4115287B2 (ja) | 2003-01-23 | 2008-07-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カメラの修理サービスシステム |
US7194889B1 (en) * | 2005-08-04 | 2007-03-27 |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 MEMS multi-directional shock sensor with multiple masses |
-
2005
- 2005-09-22 KR KR1020087006844A patent/KR10098338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09-22 WO PCT/JP2005/017514 patent/WO200703455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22 JP JP2007536375A patent/JP47402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3-21 US US12/076,782 patent/US764460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44978Y2 (ja) * | 1991-12-02 | 1995-10-11 | 喜嗣 平野 | 車輌用過荷重検知器 |
JP2001336996A (ja) * | 2000-05-26 | 2001-12-07 |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 歩行者ダミー人形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41263A (ko) | 2008-05-09 |
JPWO2007034554A1 (ja) | 2009-03-19 |
US7644605B2 (en) | 2010-01-12 |
JP4740250B2 (ja) | 2011-08-03 |
WO2007034554A1 (ja) | 2007-03-29 |
US20080210019A1 (en) | 2008-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3388B1 (ko) | 외력 검지 방법, 외력 검지기 및 전자 기기 | |
US7956752B2 (en) | Transponder bolt seal and a housing for a transponder | |
CN110674536B (zh) | 安全芯片的防拆装置及电子设备 | |
US9272792B2 (en) | Mechanical position indicator | |
US7456355B2 (en) | Permanently closed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n internal portion thereof | |
US20100283578A1 (en) | Transponder Bolt Seal and a Housing for a Transponder | |
US10976208B2 (en) | Force sensor | |
JP4935826B2 (ja) | 情報機器 | |
KR20080106028A (ko) | 형체결력 측정 센서 | |
NL1041489B1 (en) | Electronic Location Monitoring with a Tag. | |
JP4585489B2 (ja) | 情報機器の衝撃検出構造 | |
JP5061379B2 (ja) | 紙幣識別機の取付け構造 | |
JP2007335330A (ja) | 筐体および電池パック | |
CN209436428U (zh) | 锁扣装置及防拆腕带 | |
JP2010092753A (ja) | 保護キャップ | |
CN219552986U (zh) | 一种加密服务器 | |
CN110418526B (zh) | 防盗拆结构及应用该防盗拆结构的电子装置 | |
JP5755838B2 (ja) | 警報器 | |
CN221811895U (zh) | 电子设备的壳体及电子设备 | |
EP2439710B1 (en) | Alarm apparatus | |
US10922443B2 (en) | System for protecting an input device | |
JP2005350045A (ja) | ナンバープレート保護具 | |
KR200339121Y1 (ko) | 전자 제품의 침수 표시 라벨을 가지는 스크류 봉인 장치 | |
JP2013204611A (ja) | 部材の固定構造 | |
AU2006206045B2 (en) | A transponder bolt seal and a housing for a transpo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