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199B1 -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 Google Patents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199B1
KR100983199B1 KR1020080058349A KR20080058349A KR100983199B1 KR 100983199 B1 KR100983199 B1 KR 100983199B1 KR 1020080058349 A KR1020080058349 A KR 1020080058349A KR 20080058349 A KR20080058349 A KR 20080058349A KR 100983199 B1 KR100983199 B1 KR 100983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pacer
heating wire
double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201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08005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99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5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 가열판 성형 후 행하였던 후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도 단축되는 새로운 구조의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10)와, 내부에 열선(11)이 내장되며 일측면에는 후라이팬용 평탄면(2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그릴용 요철면(24)이 형성되도록 주조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열판(20)을 포함하는 양면가열 전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선(11)에는 스페이서(30)가 구비되어, 이 스페이서(30)에 의해 열선(11)이 상기 가열판(20)을 성형하는 주조금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양면가열, 열선, 스페이서, 가열판, 주조금형

Description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Electric roaster}
본 발명은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제품불량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 가열판 성형 후 행하였던 후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도 단축되는 새로운 구조의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에 대한 것이다.
전기구이기 중에는 가열판의 일측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되어 그릴판으로 사용하고, 타측면에는 평탄면이 형성되어 후라이팬으로 사용하도록 된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있다. 이러한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는 하나의 가열판을 가지고 그릴로도 사용하고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도 1은 전술한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가열판의 내부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다.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의 가열판(2)은 중량이 가볍고 신속하게 가열되도록 하기 위해 다소 얇은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으므로,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열선(11)은 그릴판용 요철면(4)의 돌조(5) 내부에 매입된다. 미설명 부호 5, 6은 좌우 테두리부에 형성된 손잡이이고, 미설명 부호 7과 1은 가열판(2)에 형성된 기름배출공과, 본체(10)에 인출가능하게 끼워져서 상기 기름배출공(7)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담아지는 기름받이이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전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가열판(2)은 열선(11)이 내장되도록 알루미늄을 다이캐스팅하여 성형되는데, 가열판(2) 성형금형의 요철면(4)을 형성하는 측 금형(a)에는 상기 돌조(5)를 형성하기 위한 함몰된 오목부(8)가 형성된다. 이러한 가열판(2)의 성형시 금속용융액의 주입방향에 대해 상기 오목부(8)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양측으로 단절된 닫힌 공간을 형성하며, 평탄면(3)을 형성하는 부분은 양측으로 연장된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금속용융액을 금형에 주입하는 초기에는 평탄면(3)을 형성하는 공간에서는 금속용융액이 측방향으로 밀리는 흐름이 발생되나, 상기 오목부(8)에서는 금속용융액의 측방향으로 밀리는 흐름이 생기기보다는 금속용융액이 오목부(8)에 채워지게 되어 오목부(8) 내부의 금속용융액의 압력이 다른 부분에 비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열선(11)이 평탄면(3)을 형성하는 금형(a)측으로 가압되어 유동되거나 휘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금속용융액이 주입됨에 따라 상기 오목부(8)에는 금속용융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금속용융액의 밀림이 생겨 다른 부분에 비해 금속용융액이 좀 더 높은 밀도로 채워져서 오목부(8)와 다른 부분 사이에 금속용융액의 밀도차가 발생되며, 이러한 밀도차에 의해 가열판(2)이 냉각되는 동안에 열선(11)에 가열판(2)의 평탄면(3)을 형성하는 금형(a) 측으로 가압하는 압력이 작용하여 열선(11)이 유동 되거나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선(11)의 유동이나 휨에 의해 가열판(2)의 평탄면(3)에는 돌출부(9)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가열판(2)을 성형한 후, 상기 돌출부(9)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하여야 한다. 또한, 열선(11)이 과도하게 유동되거나 휜 경우에는 전술한 후가공에 의해 열선(11)이 가열판(2) 외부로 노출되어 제품불량이 발생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판의 성형시 열선이 유동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열선이 가열판의 중앙부에 위치되므로 열선에 의해 가열판의 평탄면에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아 제품의 불량률이 저하되며, 가열판의 성형 후 가열판의 평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스트도 저렴한 새로운 구조의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10)와, 내부에 열선(11)이 내장되며 일측면에는 후라이팬용 평탄면(2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그릴용 요철면(24)이 형성되도록 주조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열판(20)을 포함하는 양면가열 전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선(11)에는 스페이서(30)가 구비되어, 이 스페이서(30)에 의해 열선(11)이 상기 가열판(20)을 성형하는 주조금형 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30)의 상기 금형에 근접되는 선단면은 상기 열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열선(11)의 외주면에서 다수개 이격되도록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30)는 열선(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30)는 연결부(39)에 의해 쌍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열선(11)에 스페이서(30)가 구비되어 이 스페이서(30)에 의해 열선(11)이 가열판(20)을 형성하는 금형으로 밀리거나 휘어지지 않고 금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열선(11)이 상기 스페이서(30)에 의해 가열판(20)의 평탄면(22)을 형성하는 측 금형으로 근접되게 유동되거나 휘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가열판(20)의 평탄면(12)에 돌출부(9)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평탄면(12)의 돌출부(9)를 제거하기 위한 후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열판(20)의 제조가 간단하고, 제품 불량률도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0)의 선단면이 중앙부가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는 경우에는 가열판(20)의 평탄면(22)을 형성하는 측 금형(a)과 스페이서(30) 사이로 가열판(20)을 성형하는 금속용융액이 한층 더 원활하게 유입되어 스페이서(30)가 가열판(20)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다.
특히, 스페이서(30)가 열선(11)의 외주면에서 일체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페이서(30)를 열선(11)에 결합시키는 별도의 공정을 요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간단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0)가 열선(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리(32)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고리(32)를 통해 스페이서(30)를 열선(11)에 손쉽게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탄성고리(32)를 가지는 스페이서(30)가 연결부(39)에 의해 좌우 한쌍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스페이서(30)를 열선(11)에 끼우면 상기 연결부(39)에 의해 가열판(20) 성형시 금속용융액의 주입력에 의해 열선(11)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열선을 보인 사시이도이고, 도 4는 상기 열선을 이용해 성형된 가열판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외관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양면가열 전이구기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가열판(20)은 내부에 열선(11)이 매입되도록 주조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으로 다이캐스팅된다. 상기 열선(11)에는 스페이서(30)가 구비된다. 이 스페이서(30)는 가열판(20)을 형성하는 금형 중에서 평탄면(22)을 형성하는 측의 금형(a)과 대향되는 열선(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열선(11)과 상기 금형(a)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페이서(30)는 금속재로 이루어져서 열선(30)에 용접되는데,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개수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열선(11)에 스페이서(30)가 구비된 경우에는 가열판(20) 성형시 열선(11)에 금속용융액의 주입력이나 금속용융액의 밀도차에 의해 열선(11)이 가압되어도 이 스페이서(30)의해 열선(11)과 금형(a)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열선(11)이 유동되거나 또는 열선(11)이 휘는 등 열선(11)의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열선(11)의 유동이나 변형에 의해 가열판(20)의 평탄면(22)에 돌출부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30)가 금형(a)과 접촉되어도 가열판(20)의 성형시 평판면(22)을 형성하는 금형(a)과 스페이스(30)의 선단부 사이로 어느 정도 금속용융액이 유입되므로 스페이서(30)가 가열판(20)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30)의 선단면은 중앙부가 열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돌출된 만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열선(11)의 선단면이 만곡면을 이루면 가열판(20)의 성형시 평판면(22)을 형성하는 측 금형(a)과 스페이서(30) 사이로 금속용융액이 좀 더 원활하게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30)가 열선(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스페이스(30)는 열선(11)에 끼워지는 탄성고리(32)와 이 탄성고리(32) 외측에서 돌출된 스페이스부(34)로 이루어진다. 물론, 탄성고리(32) 자체가 두껍게 형성되면 탄성고리(32)가 스페이스 기능을 할 것이나, 탄성고리(32)가 두꺼워지면 탄성고리의 탄성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탄성고리(32)가 열선(11)에 강하게 물려 있지 않게 되며, 재료 절감차원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리(32)는 적절한 탄성력을 갖도록 다소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그 외측에 스페이서부(3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탄성고리(32)를 갖는 스페이서(30)가 연결부(39)에 의해 한 쌍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인 것인데, 이와 같이 스페이서(30)가 쌍으로 연결되면 가열판(20) 성형시 금속용융액의 주입력에 의해 열선(11)이 벌어지는 것이 상기 연결부(39)에 의해 규제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가열판(20)의 평판면(22)을 형성하는 측 금형(a)에 대향되는 열선(11) 외주면에 스페이서(30)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판(20)의 요철면(24)을 형성하는 측 금형(b)에 대향되는 열선(11) 외주면에만 스페이서(30)가 구비되거나 열선(11)의 평탄면(22)을 형성하는 측 금형(a) 및 요철면(24)을 형성하는 금속(b) 측에 대향되는 외주면 모두에 스페이서(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별도의 스페이서(30)가 열선(11)에 용접되거나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30)가 열선(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열선위 수평을 잡고 열 선을 다소 얇게 형성하기 위해 열선(11)의 평판면(22)에 면하는 외주면을 납작하게 압착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압착과정에서 열선(11)의 외주면에 스페이서(30) 기능을 하는 다수개의 이격 돌기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별도의 스페이서(30)를 제작하고, 스페이서(30)를 열선(11)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8의 스페이서(30)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함을 보인 도면으로서, 스페이서(30)가 볼형상으로 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열선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기 열선을 사용한 가열판의 단면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선을 보인 사시도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10)와, 내부에 열선(11)이 내장되며 일측면에는 후라이팬용 평탄면(2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그릴용 요철면(24)이 형성되도록 주조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열판(20)을 포함하는 양면가열 전기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열선(11)에는 스페이서(30)가 구비되어, 이 스페이서(30)에 의해 열선(11)이 상기 가열판(20)을 성형하는 주조금형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의 상기 금형에 근접되는 선단면은 상기 열선(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가 볼록한 만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상기 열선(11)의 외주면에서 다수개 이격되도록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열선(11)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탄성고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는 연결부(39)에 의해 쌍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KR1020080058349A 2008-06-20 2008-06-20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KR100983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49A KR100983199B1 (ko) 2008-06-20 2008-06-20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349A KR100983199B1 (ko) 2008-06-20 2008-06-20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01A KR20090132201A (ko) 2009-12-30
KR100983199B1 true KR100983199B1 (ko) 2010-09-20

Family

ID=4169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349A KR100983199B1 (ko) 2008-06-20 2008-06-20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9571B (el) * 2018-03-19 2019-08-12 Βασιλειος Θεοδωρου Μαυριδης Πλακα ψησιματος, τοστιερας ή σαντουϊτσιερας με αφαιρετες πλακες, υψηλης αποδοσης και θερμοκρασιακης ομοιομορφια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535A (ja) * 1998-02-25 1999-09-07 Toshiba Home Techno Corp 調理器
JP2003047562A (ja) 2001-08-07 2003-02-18 Zojirushi Corp ヒートパイプを利用した加熱調理器
KR100617937B1 (ko) 2005-08-08 2006-08-30 김영준 양면 가열식 전기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9535A (ja) * 1998-02-25 1999-09-07 Toshiba Home Techno Corp 調理器
JP2003047562A (ja) 2001-08-07 2003-02-18 Zojirushi Corp ヒートパイプを利用した加熱調理器
KR100617937B1 (ko) 2005-08-08 2006-08-30 김영준 양면 가열식 전기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01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2372B2 (en) Electric kettle
TWI542273B (zh) 殼體及其製備方法
KR100534491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7198644A (ja) 製氷皿
KR100983199B1 (ko) 양면가열식 전기구이기
JP5855178B2 (ja) 電子装置ハウジ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8549B2 (ja) ホットランナー型を有する射出金型
US20140335218A1 (en) Mold for molding decorative outer panel of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633945B2 (ja) 鋳造用金型
CN210334259U (zh) 一种铸铁锅模具
US20100330218A1 (en) Shaping mold of air filter
KR100416387B1 (ko)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조리용기
JP2012179650A (ja) 鋳造用金型
KR100610780B1 (ko) 용융금속 연속주조용 주조판 교체장치
JP2000238042A (ja) 成形用型
JP2004321329A (ja) 電磁誘導加熱用容器とその製造方法
CN109153191A (zh) 树脂制品
KR100779552B1 (ko) 탄소성형체와 금속재의 이중구조 주방용기와 그 제조 장치및 방법
JP2009226441A (ja) 金型及びこの金型を用いた成形方法
JP2007112639A (ja) 光学素子の製造装置
KR101028815B1 (ko) 양면팬 패킹의 제조방법 및 그 패킹
KR101994115B1 (ko) 열변형 방지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060030886A (ko) 바닥면이 탄소성형체로 구성된 주방용기
KR100725310B1 (ko) 이중구조 불판 및 그 제작방법
JP2011224111A (ja) 調理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