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25B1 -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25B1
KR100981325B1 KR1020080097800A KR20080097800A KR100981325B1 KR 100981325 B1 KR100981325 B1 KR 100981325B1 KR 1020080097800 A KR1020080097800 A KR 1020080097800A KR 20080097800 A KR20080097800 A KR 20080097800A KR 100981325 B1 KR100981325 B1 KR 100981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sk
edge
contact
clu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724A (ko
Inventor
조희성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3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측을 개방한 마스크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이 하우징의 상측을 닫는 커버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턱, 이 지지턱의 일부를 상·하 연통되게 절개한 요입부 및 이 커버의 테두리에서 커버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게 연장되어 요입부에 끼워지면서 마스크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마스크와 커버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지지턱은 커버의 테두리와 접촉 부위를 줄이기 위해 리브를 돌출 형성하며, 리브와 접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커버는 표면에칭부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클러스터의 마스크와 커버의 접촉 부위를 줄여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고, 마스크와 접촉하는 커버를 에칭처리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자동차, 클러스터, 마스크, 커버

Description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NOISE DECREASE OF CLUST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기술과 달리 클러스터의 마스크와 커버의 접촉 부위를 줄여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고, 마스크와 접촉하는 커버를 에칭처리하여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클러스터는 각종 게이지류(속도계, RPM계, 주유계, 냉각수온계 등)가 포함된 계기판으로서, 차량의 주행상태(변속단수, 램프류의 점등상태 등) 그리고 기타 정보들을 제공한다.
기존의 클러스터는 각종 게이지류를 포함하는 계기판으로부터 운전자쪽으로 이격 장착된 커버를 포함하고, 이 커버는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만곡 처리된 투명재질의 판체이며, 커버의 상단 및 하단끝이 노광택 처리된 마스크와 연결됨과 아울러 이 마스크는 하우징에 장착된다.
기존의 차량용 클러스터는 마스크에 접하는 커버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운행 중 접합 부위에서 마찰에 의해 소음을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러스터의 마스크 테두리에 형성되는 지지턱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커버와 접촉 면적을 줄이고, 리브와 접촉하는 커버의 테두리에 표면에칭부재를 형성하여 리브와 접촉 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고자 한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는: 상측을 개방한 마스크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닫는 커버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턱, 상기 지지턱의 일부를 상·하 연통되게 절개한 요입부 및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서 상기 커버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요입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와 상기 커버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은 상기 커버의 테두리와 접촉 부위를 줄이기 위해 리브를 돌출 형성한다.
상기 리브와 접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는 표면에칭부재를 더 형성한다.
상기 노브는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보강부재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는 클러스터의 마스크 테두리에 형성되는 지지턱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여 커버와 접촉 면적을 줄이고, 리브와 접촉하는 커버의 테두리에 표면에칭부재를 형성하여 리브와 접촉 면적을 줄임에 따라 상호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를 위한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를 위한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접촉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는 리브(60) 및 표면에칭부재(70)를 포함한다.
리브(60)는 지지턱(30)에 돌출 형성되고, 지지턱(30)은 마스크(1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마스크(10)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형 부품들과 외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상측으로 개방된다. 또한, 마스크(10)는 사출 성형 가능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데, 내장된 조명에 의한 빛 반사와 플라스틱 성형 상의 결점을 가리기 위해 검정 무광 페인트를 도포한다.
또한, 지지턱(30)은 마스크(10)의 외측면 전체를 따라 형성되어 커버(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지지턱(30)은 마스크(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커버(20)는 마스크(10)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 가능하게 막아 마스크(10)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커버(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를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이 커버(20)의 테두리는 마스크(10)의 지지 턱(30)에 지지된다. 그리고, 커버(20)는 마스크(10)의 개방된 상측을 전부 막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커버(20)는 마스크(1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더욱 상세히, 지지턱(30)은 일부를 상·하 연통되게 절개한 요입부(40)를 하나 이상 형성한다. 그리고, 커버(20)는 요입부(40)에 끼워지면서 마스크(10)의 외측면과 밀착되는 노브(50)를 구비한다. 이때, 노브(50)의 너비는 요입부(40)의 너비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요입부(40)에 끼워진 노브(5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노브(50)는 커버(20)의 정반대되는 양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커버(20)의 내부 방향으로 소정 휘어지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노브(50)가 요입부(40)에 끼워지면서 마스크(10)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마스크(10)로부터 커버(20)가 자연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사용자가 노브(50)를 강제적으로 외측으로 벌리면 커버(20)는 마스크(1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노브(50)는 커버(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턱(30)은 상측면에 리브(60)를 돌출 형성한다. 노브(50)가 요입부(40)에 완전히 삽입됨과 동시에 커버(20)는 리브(60)에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커버(20)는 리브(60)와 직접적으로 접함에 따라 지지턱(30) 전체와 접하는 것보다 직접적 접촉 부위가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20)가 리브(60)와 반복적 접촉에 따른 소음의 정도는 커버(20)가 지지턱(30) 전체에 접하여 주행 중 반복 적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보다 저감된다. 그리고, 리브(60)는 마스크(10) 및 지지턱(30)과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리브(60)는 마스크(10)와 함께 검정, 무광 페인트가 침착된다.
한편, 지지턱(30)에 대향하는 커버(20)의 테두리는 표면에칭부재(70)를 형성한다. 이 표면에칭부재(70)는 리브(60)와 접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커버(20)의 테두리에 형성된다.
특히, 이 표면에칭부재(70)는 커버(20)의 테두리에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리브(60)와 커버(20)의 접촉 부위를 줄임으로써 반복적 접촉에 따른 소음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면에칭부재(70)는 커버(2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20)의 매끄러운 표면에 비해 리브(60)에 침착된 검정, 무광 페인트를 쉽게 긁어내게 된다. 이때, 커버(20)는 마스크(10)의 검정, 무광 페인트의 접촉에 따른 마찰에 의해 소음을 더 많이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표면에칭부재(70)가 리브(60)에 침착된 검정, 무광 페인트를 많이 벗길수록 소음의 강도가 약하게 된다. 편의상, 표면에칭부재(70)는 격자 형상으로 도시하나,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표면에칭부재(70)는 커버(2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표면에칭부재(70)는 커버(20) 테두리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노브(50)는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보강부재(80)를 일체로 형성한다. 이 보강부재(80)는 노브(50)의 어느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덧살 형상으로서, 노브(50)가 마스크(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8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를 위한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를 위한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결합관계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와 커버의 접촉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마스크 20: 커버
30: 지지턱 40: 요입부
50: 노브 60: 리브
70: 표면에칭부재 80: 보강부재

Claims (2)

  1. 상측을 개방한 마스크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닫는 커버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지지턱;
    상기 지지턱의 일부를 상·하 연통되게 절개한 요입부; 및
    상기 커버의 테두리에서 상기 커버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요입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마스크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마스크와 상기 커버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턱은 상기 커버의 테두리와 접촉 부위를 줄이기 위해 리브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리브와 접하는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커버는 소음발생을 줄이기 위해 에칭처리한 표면에칭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노브는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에 보강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2. 삭제
KR1020080097800A 2008-10-06 2008-10-06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KR100981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00A KR100981325B1 (ko) 2008-10-06 2008-10-06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800A KR100981325B1 (ko) 2008-10-06 2008-10-06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24A KR20100038724A (ko) 2010-04-15
KR100981325B1 true KR100981325B1 (ko) 2010-09-10

Family

ID=4221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00A KR100981325B1 (ko) 2008-10-06 2008-10-06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68B1 (ko) 2015-10-27 2016-05-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84B1 (ko) * 2010-12-15 2013-03-0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7U (ja) * 1992-06-10 1994-01-11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艤装部材のスイッチカバー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7U (ja) * 1992-06-10 1994-01-11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艤装部材のスイッチカバー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968B1 (ko) 2015-10-27 2016-05-3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차량용 클러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724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5436B1 (en) Storage compartment for vehicles
JP4271167B2 (ja) 燃料タンクのタンクキャップ
US8562062B2 (en) Mechanism to secure cover for opening in bumper
BRPI0806250A2 (pt) estrutura de guarda traseira
JP5149317B2 (ja) カバー部品を有する自動車
KR100981325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구조
EP1852287B1 (en) Parting seal for vehicle door
JP4704405B2 (ja) ライト付き内装部材
JP6615828B2 (ja) 車体前部構造
JP5458811B2 (ja) 車両のカウル部構造
KR101057039B1 (ko) 차량용 클러스터의 소음저감장치
KR10080270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하우징의 체결 구조
JP3702453B2 (ja) 発光指針
JP2011235742A (ja)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
JP3672835B2 (ja) 炊飯ジャーの蓋セット
KR101645877B1 (ko)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JP3698549B2 (ja) 収納ボックス
JP2004357777A (ja) ポットの化粧パネル取付け構造
JP6076778B2 (ja) 車両用照明装置
KR101155393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램프 조립체
CN211844652U (zh) 一种充电插座舱体
JP3718968B2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構造
JP4217206B2 (ja) 自動二輪車用トランク
JPH0810496A (ja) 洗濯機
KR100534403B1 (ko) 백 패널 몰딩의 장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