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77B1 -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77B1
KR101645877B1 KR1020150061015A KR20150061015A KR101645877B1 KR 101645877 B1 KR101645877 B1 KR 101645877B1 KR 1020150061015 A KR1020150061015 A KR 1020150061015A KR 20150061015 A KR20150061015 A KR 20150061015A KR 101645877 B1 KR101645877 B1 KR 10164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tray
intake duct
fixedly coup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국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H01M2/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8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는 차량의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배터리 트레이를 형성할 경우,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전방 하부 일측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터리(100);와 상부 면에는 배터리(100)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210)가 형성되되, 배터리 설치부(210)의 전방에는 배터리(100)의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결합되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이 구비되며, 배터리 설치부(210)의 후방에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100)의 후방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220)가 구비되고, 배터리 설치부(210)의 하부 면에는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260)가 형성되는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는 흡기 덕트 입구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흡기 덕트 출구부(420)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차의 흡기 덕트를 형성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battery tray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배터리 트레이의 하부 면에 에어클리너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흡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을 보강하고 흡기 덕트의 길이를 연장시키며 에어클리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일측에는 배터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터리는 배터리 트레이의 상부 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배터리 트레이를 주로 강철 재질로 형성하였으나, 차량의 경량화에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에 유리한 플라스틱 재질이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일측에는 차량의 외부 공기를 에어클리너로 정화하여 엔진으로 유입시켜주는 통로인 흡기 덕트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기 덕트는 길이가 길수록 소음 저감에 유리하기 때문에 설계 가능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길게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에어클리너 전단의 흡기 덕트부인 스노클(snorkel) 구간의 길이를 증대하여 흡기 덕트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와 흡기 덕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배터리 트레이를 형성할 경우,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흡기 덕트의 소음 저감을 위해서 흡기 덕트의 길이를 늘릴 경우, 차량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계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을 보강하고 흡기 덕트의 길이를 연장시키며 에어클리너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배터리 트레이의 하부 면에 에어클리너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흡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경량화에 유리하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배터리 트레이를 형성할 경우,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흡기 덕트의 소음 저감을 위해서 흡기 덕트의 길이를 늘릴 경우, 차량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설계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전방 하부 일측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터리;와 상부 면에는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가 형성되되, 배터리 설치부의 전방에는 배터리의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이 구비되며, 배터리 설치부의 후방에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가 끼워져 고정결합되는 배터리의 후방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이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가 구비되고, 배터리 설치부의 하부 면에는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가 형성되는 배터리 트레이 본체;와 배터리 트레이 본체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는 흡기 덕트 입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흡기 덕트 출구부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차의 흡기 덕트를 형성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배터리 트레이 본체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를 배터리 트레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여, 배터리 트레이 본체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며, 특히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를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와 융착등의 공법으로 고정 결합하여,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배터리 트레이의 하부 면에 에어클리너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흡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의 강성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흡기 덕트가 배터리 트레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흡기 덕트의 길이가 연장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특히, 흡기 덕트가 배터리 트레이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에어클리너가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또는 종래보다 적은 수의 고정장치로도 에어클리너가 차량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상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하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와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와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상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의 하부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와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와 에어클리너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전방 하부 일측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터리(100);와 상부 면에는 배터리(100)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210)가 형성되되, 배터리 설치부(210)의 전방에는 배터리(100)의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이 구비되며, 배터리 설치부(210)의 후방에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100)의 후방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220)가 구비되고, 배터리 설치부(210)의 하부 면에는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260)가 형성되는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는 흡기 덕트 입구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흡기 덕트 출구부(420)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차의 흡기 덕트를 형성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를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하여,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융착등의 공법으로 고정 결합하여,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00)은 에어클리너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즉,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배터리(100)와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 및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배터리(100)는 전방 하부 일측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상부 면에는 배터리(100)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210)가 형성되되, 배터리 설치부(210)의 전방에는 배터리(100)의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이 구비되며, 배터리 설치부(210)의 후방에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100)의 후방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220)가 구비되고, 배터리 설치부(210)의 하부 면에는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26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는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는 흡기 덕트 입구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흡기 덕트 출구부(420)가 구비되며,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차의 흡기 덕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를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융착 등의 공법으로 고정 결합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배터리 트레이와 흡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흡기 덕트가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보강리브(rib)역할을 하여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필요 강성을 충족시키며, 흡기 덕트의 필요 강성 또한 충족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흡기 덕트 사이의 이격 공간 없이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되는 흡기 덕트에 의해서 흡기 덕트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차량의 공간활용도와 설계자유도가 상승되는 것이다.
100 : 배터리 150 :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200 : 배터리 트레이 본체 210 : 배터리 설치부
220 :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 250 :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
260 :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 300 :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400 :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
410 : 흡기 덕트 입구부 420 : 흡기 덕트 출구부
500 :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

Claims (3)

  1. 자동차의 일측에 구비되어 차량용 배터리가 고정 결합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에 있어서,
    전방 하부 일측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일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배터리(100);와
    상부 면에는 배터리(100)가 설치되는 배터리 설치부(210)가 형성되되, 배터리 설치부(210)의 전방에는 배터리(100)의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결합되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이 구비되며, 배터리 설치부(210)의 후방에는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 걸림턱(250)에 배터리 고정용 플랜지(150)가 끼워져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100)의 후방을 고정 결합시켜주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배터리 고정용 브라켓 설치부(220)가 구비되고, 배터리 설치부(210)의 하부 면에는 배터리 트레이 고정용 브라켓부(260)가 형성되는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며, 일단에는 흡기 덕트 입구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흡기 덕트 출구부(420)가 구비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자동차의 흡기 덕트를 형성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의 하부 면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를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일체로 형성하여,
    배터리 트레이 본체(2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융착 공법으로 고정결합하여,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상부(400)와 배터리 트레이 일체형 흡기 덕트 하부(5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1020150061015A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KR10164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15A KR101645877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15A KR101645877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877B1 true KR101645877B1 (ko) 2016-08-04

Family

ID=5670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015A KR101645877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9708A (zh) * 2020-11-30 2021-03-1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蓄电池托盘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11A (en) * 1899-06-13 Bicycle seat-post
JP2006347261A (ja) * 2005-06-14 2006-12-28 Toyota Motor Corp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JP2013171663A (ja) * 2012-02-20 2013-09-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温調構造
JP2013173469A (ja) * 2012-02-27 2013-09-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バッテリケース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11A (en) * 1899-06-13 Bicycle seat-post
JP2006347261A (ja) * 2005-06-14 2006-12-28 Toyota Motor Corp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JP2013171663A (ja) * 2012-02-20 2013-09-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パック温調構造
JP2013173469A (ja) * 2012-02-27 2013-09-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のバッテリケースの冷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9708A (zh) * 2020-11-30 2021-03-19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蓄电池托盘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2076B2 (en) Front side-part structure of vehicle
KR100980714B1 (ko) 차량용 휠하우스 기구
JP2013049348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20130026262A (ko) 카울크로스 구조
JP5768930B2 (ja) エアガイド構造
JP2010254116A (ja) 車両用の導風ダクト構造
CN100411937C (zh) 挡泥板饰板
JP4882992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2013005702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645877B1 (ko) 자동차용 배터리 트레이
JP5247408B2 (ja)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JP6260820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US10563627B2 (en) Air cleaner unit and engine having the same
JP2012180800A (ja) 吸気ダクト
JP2009083559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
KR100863674B1 (ko) 자동차 리어 패키지 실드 모듈
JP2012061958A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の支持装置
JP2017019307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2017013616A (ja) ハーネス固定構造
JP5231465B2 (ja) 樹脂部材
KR101240861B1 (ko) 자동차용 공조시스템의 마운팅구조
JP2017144812A (ja) 車両のバンパ支持構造
JP6123667B2 (ja) 樹脂燃料タンク
JP5935667B2 (ja) 車両用カバーの支持構造
KR100879099B1 (ko) 차량용 라이센스 플레이트 램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