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137B1 -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137B1
KR100979137B1 KR1020070015400A KR20070015400A KR100979137B1 KR 100979137 B1 KR100979137 B1 KR 100979137B1 KR 1020070015400 A KR1020070015400 A KR 1020070015400A KR 20070015400 A KR20070015400 A KR 20070015400A KR 100979137 B1 KR100979137 B1 KR 100979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coupling
drive
drive transmissio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183A (ko
Inventor
요시하루 쿠로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radial displacement, e.g. Oldham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0Couplings with means for varying the angular relationship of two coaxial shafts during mo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을 위해 작용하는 방향과,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을 위해 작용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그리고, 양 커플링부에 있어서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각각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DRIVE TRANSMISSION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구동전달기구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전달기구가 채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전달기구의 일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전달기구가 확립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전달기구의 일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전달기구가 확립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에 있어서의 X-X선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에 있어서의 Y-Y선 화살표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구동전달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축회전기구를 구비 한 전자사진방식의 프로세스 유닛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축회전기구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기구와, 이 구동전달기구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의 기록부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다용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또는 이들의 기능을 갖춘 소위 복합기 등으로서 실현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의 기록부는 프로세스부가 유닛화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유닛(프로세스 카트리지)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프로세스 유닛으로서는 드럼 유닛, 현상 유닛 및 양 유닛을 일체화한 유닛 등을 들 수 있다. 드럼 유닛은 감광체 드럼 및 그 주변기기가 유닛화된다. 현상 유닛은 현상제 수용부와 현상 롤러 또는 교반·반송 스크루 등이 유닛화된다. 프로세스 유닛은 축회전기구를 구비한다. 축회전기구는 예를 들면, 감광체 드럼, 현상 롤러, 현상제를 교반하여 반송하는 스크루 등이다. 축회전기구는 장치 본체 내의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얻어서 회전한다. 또, 프로세스 유닛은 소모품이다. 이 때문에 프로세스 유닛은 정기적으로 교환되고, 또 유지/보수시에는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그 때문에, 프로세스 유닛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장치 본체 내의 구동원과 프로세스 유닛 내의 축회전기구 사이에 구동전달기구가 구축된다.
그리고, 프로세스 유닛의 착탈 조작의 용이성을 고려하면, 장치 본체의 측부(앞뒤 또는 양 측부를 포함)로부터 축회전기구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프로세스 유닛이 부착/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장치 본체의 내측에 있어서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어 축회전하는 구동측 부재가 설치된다. 프로세스 유닛의 삽입방향 선단측에 피구동측 부재가 부착된다. 프로세스 유닛이 장치 본체에 삽입되면,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동축적으로 결합한다. 이렇게 해서, 축회전기구에 구동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 사이의 가공 공차 등에 기초하는 회피할 수 없는 축심 어긋남이 있어도,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 사이에서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양자 사이에 커플링 부재가 개재된다.
그런데, 장치 본체의 구동측 부재와 프로세스 유닛의 피구동측 부재의 축심의 어긋남은, 통상 2축방향(축회전기구의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호로 직교하는 2축방향)에 생긴다. 종래기술의 유니버설 커플링은 구동측 부재, 피구동측 부재 중 한쪽에만 고정되므로, 1축방향의 축심 어긋남만을 흡수하고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커플링 기구에 있어서는, 축의 회전방향으로 비틀어진 3각 기둥의 돌기가 오목부에 결합되므로, 2차원적인 축심 어긋남이 있어도 구동측 부재로부터 피구동측 부재에 구동이 전달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커플링 기구는 축심 어긋남을 흡수하므로, 구동측 부재 및 피구동측 부재의 양쪽에 응력 변형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경시적인 회전 피로가 일어나는 것이 예상된다.
2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이 무리없이 흡수되도록, 구동측 부재로부터 피구동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하고자 하면, 커플링 부재를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하고, 각 축방향마다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고려의 경우, 부품점수가 증가되고, 조립의 공정수도 늘어난다. 또, 커플링 부재를 단일 부품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서는, 2축방향으로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면 탄성재료) 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되지만, 이 탄성재료가, 부하되는 큰 스트레스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지 않다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을 무리없이 흡수하고, 또한 구동측 부재로부터 피구동측 부재로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전달기구에 따르면, 축회전하는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커플링 부재를 개재해서 동축적으로 결합한다. 구동측 부재의 축회전이 피구동측 부재에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피구동측 부재가 축회전한다.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을 위해 작용하는 방향과,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을 위해 작용하는 방향이 서로 직교한다. 그리고, 양 커플링부에 있어서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각각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호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에 2축방향의 어긋남이 있어도 각각의 커플링부의 간극에서 이 어긋남이 흡수된다. 이 때문에, 구동측 부재 및 피구동측 부재에 응력 변형이 생기지 않아 무리없는 구동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1개의 커플링 부재와 구동측 부재 및 피구동측 부재의 결합관계에서 이러한 기능이 달성되므로 부품점수 및 조립 공정수가 늘어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커플링 부재를 경질수지나 금속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부품강도도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구체적인 커플링 구조로서 이하와 같은 구성이 채용 가능하다. 즉, 구동측 부재의 구동전달 끝부가, 축심 대칭이고 축방향을 따른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를 구비하고 있다. 커플링 부재의 피구동전달 끝부에, 이 작용 돌출자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회전시에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분이 접촉하는 축심 대칭의 피작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와 오목부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가 볼록곡면형상이며, 이 작용부가 커플링 부재의 피작용부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대략 선접촉상태에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구동측 부재에 대한 피구동전달 부재의 커플링 부재를 개재한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이 커플링에 있어서 간극부에 의해 1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이 흡수된다. 또,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와 커플링 부재의 피작용부의 상대적인 이동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접촉부분의 마찰저항도 경감할 수 있어, 구동시의 이음발생이 억제된다.
바람직하게는, 피구동측 부재는 피구동측 선단부에 평행한 커트면을 구비한 축체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의 구동전달 끝부에, 축체 선단부를 수용하는 타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타원형 오목부의 장축방향이 구동전달 작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이 장축방향에 있어서 축체 선단부와 오목부의 내벽면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커플링 구조를 상기와 반대의 관계로 해도 된다.
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의하면, 타원형의 오목부 내에 있어서 그 장축방향, 즉 커트면을 따라 축체 선단부의 미끄럼접촉 이동이 허용된다. 이것에 의해 커플링 부재와 축체에 있어서의, 축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축회전기구를 내장하는 전자사진방식의 프로세스 유닛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축회전기구의 축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 화상형성장치이다. 그리고, 이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어느 하나의 구동전달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프로세스 유닛이 장치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에, 구동전달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 내의 구동원으로부터 축회전기구에 구동이 전달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프로세스 유닛을 현상 유닛으로 하고, 축회전기구를 현상 롤러 및/또는 현상제 교반 반송용 스크루로 할 수 있다. 또, 프로세스 유닛을 드럼 유닛으로 하고, 축회전기구를 감광체 드럼, 롤러 대전기 또는 클리닝 롤러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스 유닛을 드럼 유닛과 현상 유닛의 일체 유닛으로 하고, 축회전기구를 같은 기구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 본체측의 구동측 부재와 프로세스 유닛측의 회전기구에 2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이 있어도,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이 2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이 흡수된다. 이 때문에, 무리없는 구동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장치 본체의 측부로부터 프로세스 유닛을 착탈하는데 기인하는 착탈 조작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보다 살려진다. 또, 현상 유닛에 상기한 구동전달기구를 채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현상 유닛은 복수의 회전기구를 내장하고, 이 회전기구를 현상 제가 수용된 수지 케이싱 내에서 회전 구동시킨다는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요소, 공정, 단계, 특색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자사진방식의 기록부를 구비한 프린터를 예로 들어서 나타내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상판독장치를 구비한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또는 이들의 기능을 겸비한 소위 복합기여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 본체(1)에 있어서, 기록지의 급지부(2)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기록부(3)와, 인자 후의 기록지의 배출부(4)가 이 순서로 높이방향으로 적층된다. 급지부(2)는 급지 카세트(201)와, 분리 급지 롤러(202)와, 분리 패드(203)를 포함한다. 급지 카세트(201)는 여러장의 기록지를 퇴적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고, 장치 본체(1)에 빼고 끼울 수 있다. 분리 급지 롤러(202)는 급지 카세트(201)의 급지방향의 전단부에 설치된다. 분리 패드(203)는 분리 급지 롤러(202)의 둘레면에 탄성 접촉한다.
화상기록부(3)는 프로세스부와, 그 하류측의 정착기(11)를 포함한다. 프로세스부는 감광체 드럼(5)을 갖는다. 감광체 드럼(5)의 주위에 대전기(6),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노광기(7), 현상기(8), 전사 롤러(9) 및 잔류 토너 제거장치(10)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프로세스부는 드럼 유닛(50)과 현상 유닛(80)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세스 유닛으로 된다. 드럼 유닛(50)은 노광기(7) 및 전사 롤러(9)를 제외하고, 감광체 드럼(5), 대전기(6) 및 잔류 토너 제거장치(10)가 일괄된다. 현상 유닛(80)은 현상제 용기, 교반기 및 현상 롤러 등이 일괄된다. 드럼 유닛(50) 및 현상 유닛(80)은 장치 본체(1)에 대하여, 그 전면측으로부터 각각 또는 양쪽을 어떤 결합수단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다. 또, 노광기(7) 및 전사 롤러(9)를 제외하는 모든 프로세스부를 일괄해서 프로세스 유닛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1)의 전면측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우측 경사 앞쪽을 말하고, 좌측 경사 안쪽을 배면측이라고 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현상 유닛(80)이 장치 본체(1)에 대하여 전면측으로부터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장치 본체(1)의 전면에, 개폐 가능한 유지/보수 도어(101)가 설치된다. 이 유지/보수 도어(101)를 열어서, 현상 유닛(80)이 장치 본체(1) 내의 소정위치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급지 카세트(201)도 장치 본체(1)에 대하여 전면측으로부터 빼고 끼울 수 있다. 현상 유닛(80)의 장착에 관해서는 뒤에 기재한다.
현상 유닛(80)은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방식의 현상기이다. 수지 성형된 현상제 용기를 겸하는 현상기 하우징(81) 내에,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가 수용된다. 2개의 평행한 교반·반송 스크루(82, 83)가 토너와 캐리어를 교반하고, 반송한다. 그리고, 공급 패들(84)이, 바이어스 인가된 현상 롤러(85)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기 하우징(81)의 외면에 자기 센서(86)가 설치된다. 이 자기 센서(86)에 의해, 현상기 하우징(81) 내의 토너 농도(토너와 캐리어의 혼합비)가 검출된다. 이 현상 유닛(80)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토너 호퍼(12)가 설치된다. 자기 센서(86)에 의해 현상기 하우징(81) 내의 토너 농도가 저하된 것이 검출되면, 스크루 컨베이어(파이프 스크루)(13)에 의해 토너가 현상기 하우징(81) 내에 보급된다. 토너 호퍼(12) 내에 애지테이터(121) 및 급송용 스크루(122)가 배치된다.
정착기(11)의 하류측에 전환 게이트(401), 배출 롤러 쌍(402) 및 배출 트레이(403)가 설치된다. 전환 게이트(401), 배출 롤러 쌍(402) 및 배출 트레이(403)가 배출부(4)를 구성한다. 프로세스부의 상류측 근방에, 레지스트 롤러 쌍(14)이 배치된다. 급지 카세트(201)로부터 기록지가 분리 급지 롤러(202) 및 분리 패드(203)의 작용에 의해 1장씩 분리되어 풀려나온다. 기록지는 레지스트 롤러 쌍(14)에 의해 레지스트된다. 그리고, 기록지는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된다. 감광체 드럼(5)은 도 2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전기(6)에 의해 그 표면이 균등하게 대전된다. 화상정보에 기초하는 광학 화상이 노광기(7)에 의해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감광체 드럼(5) 표면의 광도전체의 특성에 기인하여, 광의 조사부분의 전위가 변화되고, 그 외의 부위의 전위가 유지되어서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정전잠상은 바이어스 인가된 현상기(8)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순차 현상된다. 토너 화상은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이른다. 이 현상시, 광의 조사에 의해 전위가 변화된 부위에 현상기(8)와의 전위 차에 의해 토너가 감광체 드럼(5)에 흡인되어 흑화상으로 된다. 그 외의 부분에는 토너는 흡인되지 않고 백화상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화상정보에 기초하는 흑백의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레지스트 롤러 쌍(14)은 감광체 드럼(5) 표면의 토너 화상에 동기해서 기록지가 이 대합부에 도입되도록, 레지스트 제어되어서 회전 제어된다.
전사 롤러(9)는 바이어스 인가되어 있다. 전사 롤러(9)는 감광체 드럼(5)과 대합된다. 전사 롤러(9)는 화살표방향(감광체 드럼(5)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기록지를 닙(nip) 반송한다. 이 사이에, 감광체 드럼(5) 표면의 토너 화상이 기록지에 전사된다. 감광체 드럼(5)의 표면에 남은 토너는 잔류 토너 제거장치(10)에 의해 제거되어 회수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지는 정착기(11)에 도입되어, 토너 화상이 영구화상으로서 기록지 상에 정착된다. 그 후, 기록지는 전환 게이트(401)를 밀어 올리고, 배출 롤러 쌍(402)을 거쳐서 배출 트레이(403) 상에 배출된다. 이 일련의 기록지의 급송은, 급지 카세트(201)의 바로 뒤에 대략 수직(연직)으로 기립하고, 배출 롤러 쌍(402)에서는 급지 카세트(201)로부터의 풀림방향과는 대략 180도의 방향으로 U턴하는 주급송 패스(P)를 따라 이루어진다. 이러한 레이아웃 구성에 의해 장치 전체의 컴팩트화가 도모된다.
도면의 예의 화상형성장치(100)는 양면기록 기능을 갖추고 있다. 주급송 패스(P)의 전환 게이트(401)의 부착위치로부터 레지스트 롤러 쌍(14)의 상류측까지,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하는 반전 급송 패스(P1)가 배치된다. 배출 롤러 쌍(402)은 정역 회전 가능하다. 또, 반전 급송 패스(P1)에 반송 롤러 쌍(15, 16)이 배치된다. 양면기록의 경우에는, 편면기록이 된 기록지가 주급송 패스(P)를 따라 반송되어 기록지의 후단이 배출 롤러 쌍(402)에 도달했을 때에, 배출 롤러 쌍(402)은 일단 정지해서 기록지의 후단을 닙한다. 이어서, 배출 롤러 쌍(402)이 역전하고, 기록지는 그 후단부터 반송 롤러 쌍(15, 16)에 의해 반전 급송 패스(P1)를 따라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지는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하여, 레지스트 롤러 쌍(14)에 도달한다. 기록지는 레지스트 롤러 쌍(14)에 의해 레지스트되고, 다시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된다. 이 사이에, 기록지 이면에 화상이 기록된다. 양면기록된 기록지는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로 주급송 패스(P)를 따라 배출 트레이(403) 상에 배출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기록지의 수동기능을 더 갖추고 있다. 장치 본체(1)의 측부에, 상하로 개폐 가능한 수동 트레이(17)가 설치된다. 수동 트레이(17)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2의 2점쇄선과 같이 폐지된다. 수동 트레이(17)는 손잡이(171)를 갖고 개폐할 수 있다. 수동 트레이(17)의 전단부에 분리 급지 롤러(172)와 분리 패드(173)가 탄성 접촉상태로 배치된다. 그 더욱 하류측에,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하는 수동 급송 패스(P2)가 연속된다.
수동 트레이(17)를 이용하여 화상기록을 할 경우, 손잡이(171)에 의한 수동 트레이(17)가 열린다. 수동 트레이(17) 상에 기록지를 셋트하고, 적절하게 스타트 조작에 의해 분리 급지 롤러(172)를 작동시킨다. 수동 트레이(17) 상의 기록지는 분리 급지 롤러(172)와 분리 패드(173)의 작용에 의해 1장씩 분리되어서 풀려나온다. 기록지는 수동 급송 패스(P2)를 따라 반송되어, 주급송 패스(P)에 합류한다. 그 후, 기록지는 레지스트 롤러 쌍(14)에 의해 레지스트되어서, 감광체 드럼(5)과 전사 롤러(9)의 대합부에 도입되어 기록이 이루어진다. 수동 급지된 기록지에 양면기록할 경우, 기록지는 배출 롤러 쌍(402)의 역전에 의해 반전 급송 패스(P1)를 따라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지의 이면에 기록이 이루어진다. 기록이 완료된 기록지는 배출 롤러 쌍(402)에 의해 배출 트레이(403) 상에 배출된다.
다음에 도 3~도 5를 참조해서 현상 유닛(80)에 대한 구동전달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치 본체(1)의 배면측에, 배면측 기체의 일부로서의 부착기판(102, 103)이 설치된다. 부착기판(102)에 스터드(1801, 1901)가 코킹에 의해 고정된다. 스터드(1801, 1901)는 흰색 화살표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현상 유닛(80)에 있어서의 교반·반송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의 축(축체)(831, 851)의 축심(L1, L2)을 따른다. 이 스터드(1801, 1901)에, 전달 기어 부재(구동측 부재)(18, 19)가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달 기어 부재(18, 19)는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들 전달 기어 부재(18, 19)는 기어부(181, 191)를 갖는다. 기어부(181, 191)는 아이들러 기어(302, 303, 304)에 각각 맞물린다. 아이들러 기어(302, 303, 304)는 부착기판(102)에 고정 설치된 모터(구동원)(300)의 출력 기어(301)에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모터(300)로부터 전달 기어 부재(18, 19)로의 구동전달계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아이들러 기어(302, 303, 304)는 부착기판(102, 103) 사이에 걸쳐 설치된 도시생략된 스터드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나, 도면의 예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상 적합한 수가 채용된다. 또, 부착기판(102, 103) 사이에는, 도시생략되어 있지만, 다른 프로세스부의 축회전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달계도 마찬가지로 설치된다.
전달 기어 부재(18, 19)의 현상 유닛측 끝부(구동전달 끝부)에 작용 돌출자(182, 192)가 돌출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작용 돌출자(182, 192)는 축심 대칭이고 축방향을 따른 두 갈래형상의 부재이다. 교반·반송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의 축(831, 851)의 피구동측 선단부(축체 선단부)(832, 852)에 평행한 커트 면(833, 853)이 형성된다. 이 축체 선단부(832, 852)에 커플링 부재(20, 21)가 빠지지 않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 커플링 부재(20, 21)의 피구동전달 끝부에 오목부(201, 211)와 피작용부(202, 212)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01, 211)는 작용 돌출자(182, 192)를 수용한다. 피작용부(202, 212)는 축심 대칭이며, 회전시에 작용 돌출자(182, 192)의 작용부(1821, 1921)가 접촉한다. 이 피작용부(202, 212)는 오목부(201, 211) 내에 있어서, 그 내주 벽부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어 부재(18, 19)는 모터(300)의 구동력을 얻어서,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기어 부재(18, 19)와 커플링 부재(20, 21)가 결합되었을 때, 이 회전에 의해 작용부(1821, 1921)는 피작용부(202, 212)에 대하여 동 도면의 화살표(b)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커플링 부재(20, 21)도 같은 방향(a)으로 회전한다. 작용 돌출자(182, 192)와 오목부(201, 211)의 내벽면 사이에, 이 작용방향(b)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호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D1)이 확보되어 있다.
한편,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플링 부재(20)의 구동전달 끝부(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측 끝부)에 축체 선단부(832, 852)를 수용하는 단면형상이 타원형인 오목부(203, 213)가 형성되어 있다. 축체 선단부(832, 852)가 타원형 오목부(203, 213)에 완만하게 삽입 통과된다. 축체 선단부(832, 852)의 주체(周體)에 형성된 평행한 커트면(833, 853)이 타원형 오목부(203, 213)의 장축방향을 따른다. 기어 부재(18, 19)와 커플링 부재(20, 21)가 결합되고, 모터(300)로부터 구동전달되면, 커플링 부재(20, 21)는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커플링 부재(20, 21)의 회전에 의해, 타원형 오목부(203, 213)의 직선형상의 벽부가 작용부(204, 214)로서 커트면(833, 853)에 대하여 화살표(c)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렇게 해서, 축체 선단부(832, 852)는 같은 방향(a)으로 회전한다. 커플링 부재(20, 21)가 축체 선단부(832, 852)에 작용하는 방향(c)은 타원형 오목부(203, 213)의 장축방향에 직교하고, 기어 부재(18, 19)가 커플링 부재(20, 21)에 작용하는 방향(b)과 직교관계를 이룬다. 그리고, 타원형 오목부(203, 213)의 장축방향에 있어서, 축체 선단부(832, 852)와 그 만곡 내벽면 사이에, 이 작용방향(c)과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D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유닛(80)은 도 1 및 도 3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소정부위에 삽입된다. 그 결과, 피구동측 부재로서의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가 커플링 부재(20, 21)를 개재해서 구동측 부재로서의 기어 부재(18, 19)에 결합된다. 이렇게 해서, 모터(300)의 회전 구동력을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전달기구가 확립된다. 도 4는 이 구동전달기구가 확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어 부재(18, 19)의 축심과,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의 축심(L1, L2)은 가공 공차 등에 의해 통상 축심(L1, L2)에 직교하는 면 상에서 약간 어긋나는 일이 있지만, 이것은 회피할 수 없다.
도 5a, 도 5b는 기어 부재(18, 19)와 커플링 부재(20, 21)의 커플링부, 및 커플링 부재(20, 21)와 축체 선단부(832, 852)의 커플링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a, 도 5b에 있어서, 작용방향(b)에 직교하는 방향축을 x축, 작용방향(c)에 직교하는 방향축을 y축으로 하면, 축심 어긋남은 이 x축 및 y축에 의해 형성되는 면 상에 생긴다. 그리고, 커플링 결합시에 기어 부재(18, 19)의 축심과,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의 축심(L1, L2)에 이러한 축심 어긋남이 있었을 경우, 기어 부재(18, 19)와 커플링 부재(20, 21)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상기 간극(D1)의 존재에 의해 x축방향의 상호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x축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또, 커플링 부재(20, 21)와 축체 선단부(832, 852)의 결합관계에 있어서, 상기 간극(D2)의 존재에 의해 y축방향의 상호의 미끄럼접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y축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부재(18, 19)와,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에 상기와 같은 2차원방향의 축심 어긋남이 있었다고 해도, 커플링 부재(20, 21)가 이 2축방향이 복합된 축심 어긋남을 흡수한다. 이 때문에, 이들의 구동전달 결합이 양쪽의 부재에 응력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무리없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경시적인 회전 피로를 일으킬 걱정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즉, 기어 부재(18, 19)에 있어서의 작용 돌출자(182, 192)의 작용부(1821, 1921)의 단면형상이 볼록곡면형상으로 된다. 이 작용부(1821, 1921)는 커플링 부재(20, 21)의 피작용부(202, 212)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대략 선접촉상태에서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작용 돌출자(182, 192)의 작용부(1821, 1921)와 커플링 부재(20, 21)의 피작용부(202, 212)의 상대적인 이동의 자유도가 증가된다. 또, 접촉부분의 마찰저항도 경감할 수 있어, 구동시의 이음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이러한 곡면가공을 축체 선단부(832, 852)에 있어서의 커트면(833, 853)의 양 끝부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타원형 오목부(203, 213)의 직선형상 내벽면과 커트면(833, 853)의 미끄럼접촉부분에 있어서 마찰저항이 경감된다. 그 외의 구성은, 앞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공통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서는 그 설명을 할애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부재(20, 21)를 개재한 기어 부재(18, 19)와 스크루(83) 및 현상 롤러(85)의 구동전달기구의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 5a, 도 5b 및 도 6은, 도 4에 있어서의 기어 부재(19)와 현상 롤러(85)의 결합부분에 대해서, 기어 부재(18)와 스크루(83)의 결합부분과 마찬가지로 X-X선 및 Y-Y선 화살표로 나타낸 것으로 해서 그 단면구조를 아울러 나타내고 있다. 단, 양쪽의 구조에 관해서는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한 달라도 된다. 또, 다른 쪽의 스크루(82)나 패들(84)에 대한 구동전달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커플링 부재(20, 21)를 개재하여 행하도록 구동전달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현상 유닛(80)의 반대측에 있어서, 스크루(83) 또는 현상 롤러(85)로부터 적절히 아이들러 기어(도시생략)를 통해서 스크루(82)나 패들(84)에 구동전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플링 부재(20, 21) 중 어느 하나에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기어부를 통해서 구동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80)에 있어서의 축회전기구의 구동전달기구에 대해서 서술했지만, 드럼 유닛(50)에 있어서의 축회전기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구동전달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고 있지만, 상기 개시된 본 발명은 많은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고, 특히 지정한 것 및 상술한 것 외에, 많은 실시예를 가정할 수 있는 것이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가 청구항에 의해,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과 범위 내의 모든 변경을 커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2축방향의 축심 어긋남을 무리없이 흡수하고, 또한 구동측 부재로부터 피구동측 부재에 구동을 전달할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축회전하는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커플링 부재를 개재시켜서 동축으로 결합되어, 구동측 부재의 축회전을 피구동측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피구동측 부재를 축회전시키는 구동전달기구에 있어서;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과,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이 서로 직교관계에 있고,
    양 커플링부에는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각각의 구동전달 작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호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측 부재의 구동전달 끝부는, 축심에 대칭이고 축방향을 따른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를 구비하고,
    커플링 부재의 피구동전달 끝부는 작용 돌출자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회전시에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가 접촉하는 축심에 대칭인 피작용부를 구비하고,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와 오목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이 있고,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가 볼록곡면형상이며, 상기 작용부가 커플링 부재의 피작용부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선접촉상태에서 접촉하고,
    피구동측 부재는 선단부에 평행한 커트면을 구비한 축체를 구비하고,
    커플링 부재는 그 구동전달 끝부에, 축체 선단부를 수용하는 타원형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원형 오목부의 장축방향이 피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이 장축방향에 있어서 축체 선단부와 오목부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간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전달기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축회전기구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의 프로세스 유닛을,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 축회전기구의 축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구동전달기구를 구비하여, 프로세스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이 구동전달기구에 의해 장치 본체 내의 구동원으로부터 축회전기구에 구동이 전달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기구는 축회전하는 구동측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커플링 부재를 개재시켜서 동축으로 결합되어, 구동측 부재의 축회전을 피구동측 부재에 전달함으로써 피구동측 부재를 축회전시키는 구동전달기구에 있어서,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과,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이 서로 직교관계에 있고,
    양 커플링부에는 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 및 커플링 부재와 피구동측 부재가, 각각의 구동전달 작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상호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측 부재의 구동전달 끝부는, 축심에 대칭이고 축방향을 따른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를 구비하고,
    커플링 부재의 피구동전달 끝부는 작용 돌출자를 수용하는 오목부와, 회전시에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가 접촉하는 축심에 대칭인 피작용부를 구비하고,
    두 갈래형상의 작용 돌출자와 오목부의 내벽면 사이에, 상기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간극이 있고,
    작용 돌출자의 작용부가 볼록곡면형상이며, 상기 작용부가 커플링 부재의 피작용부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선접촉상태에서 접촉하고,
    피구동측 부재는 선단부에 평행한 커트면을 구비한 축체를 구비하고,
    커플링 부재는 그 구동전달 끝부에, 축체 선단부를 수용하는 타원형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원형 오목부의 장축방향이 피구동측 부재와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부에 있어서의 구동전달 작용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이 장축방향에 있어서 축체 선단부와 오목부 사이에,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간극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15400A 2006-05-13 2007-02-14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KR1009791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4573 2006-05-13
JP2006134573A JP4364214B2 (ja) 2006-05-13 2006-05-13 駆動伝達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83A KR20070110183A (ko) 2007-11-16
KR100979137B1 true KR100979137B1 (ko) 2010-08-31

Family

ID=3834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400A KR100979137B1 (ko) 2006-05-13 2007-02-14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64048A1 (ko)
EP (1) EP1855164A1 (ko)
JP (1) JP4364214B2 (ko)
KR (1) KR100979137B1 (ko)
CN (1) CN101071296B (ko)
HK (1) HK1110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US9261821B2 (en) * 2007-10-30 2016-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22563A (ja) * 2007-11-19 2009-06-04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7156B2 (ja) 2007-12-28 2012-11-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6097B2 (ja) * 2008-03-07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ユニット
JP4558083B2 (ja) 2008-06-20 2010-10-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前記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の分解方法
JP5127584B2 (ja)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59507B2 (ja) * 2008-06-20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外し方法、カップリング部材の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2015007747A (ja) * 2013-05-30 2015-01-15 株式会社リコー 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56793B2 (ja) * 2013-08-13 2018-01-10 株式会社リコー 駆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090175B2 (ja) * 2014-01-06 2017-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481894B2 (ja) * 2015-07-17 2019-03-13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6544B2 (ja) * 2017-02-07 2021-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942508B2 (ja) * 2017-02-14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931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50A (ja) * 1991-07-16 1993-01-29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ユニツト
JP2537305Y2 (ja) * 1992-08-21 1997-05-28 株式会社ケイセブン 軸継手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0075765A (ja) * 1998-08-28 2000-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120092B2 (ja) * 1999-05-21 2008-07-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真空ポンプの継手
JP3943761B2 (ja) * 1999-06-08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072766A (ja) * 2000-08-23 2002-03-12 Kyocera Mita Corp ドラム駆動継ぎ手の構造
JP4659231B2 (ja) * 2001-02-21 2011-03-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3657530B2 (ja) * 2001-05-15 2005-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3150023A (ja) * 2001-11-19 2003-05-21 Konica Corp 着脱可能なプロセス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307992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1833B2 (ja) * 2003-09-19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0532119B1 (ko) * 2004-02-03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현상기 및 분리형 현상기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931A (ja) *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1296B (zh) 2010-12-29
EP1855164A1 (en) 2007-11-14
US20070264048A1 (en) 2007-11-15
CN101071296A (zh) 2007-11-14
JP4364214B2 (ja) 2009-11-11
KR20070110183A (ko) 2007-11-16
HK1110125A1 (en) 2008-07-04
JP2007303615A (ja)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137B1 (ko) 구동전달기구 및 화상형성장치
US9128455B2 (en) Developing cartridge
US10788788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riving-force transmission member featuring first and second helical gear portions with opposing twist directions
JP4526400B2 (ja) 軸継ぎ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2990876B1 (en) Drive transmit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drive transmitter
KR100608069B1 (ko) 현상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793457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駆動機構
JP202000353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923673B2 (ja) 画像形成装置の動力伝達機構
JP2011215434A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4037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109571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365506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5152399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4844223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9453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311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0922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33492A (ja) 画像形成装置
JP482796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JP202305941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47152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26711A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79000A (ja) 駆動伝達装置、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65752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