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240B1 -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240B1
KR100977240B1 KR1020030064887A KR20030064887A KR100977240B1 KR 100977240 B1 KR100977240 B1 KR 100977240B1 KR 1020030064887 A KR1020030064887 A KR 1020030064887A KR 20030064887 A KR20030064887 A KR 20030064887A KR 100977240 B1 KR100977240 B1 KR 10097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ng
hydraulic
circuit
double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7348A (ko
Inventor
이께다무네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2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압셔블 작업기의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의 배관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압호스의 부설(敷設)이 용이하고, 전체가 정연한 배관상태를 얻을 수 있는,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single-acting)-복동(double- acting)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은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를, 머신 캡의 지붕(40)의 이면(裏面) 부근에 설치하는 동시, 상기 머신 캡의 지붕(40)의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에 면한 부위에 개구창(開口窓)(47)이 나 있다.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가 상기 유압호스출구(46)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Figure R1020030064887
부속작업구, 유압회로, 단동-복동회로, 선택밸브, 액추에이터, 제어밸브, 유압호스, 액추에이터호스

Description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WORK MACHINE FOR EXCAVATOR}
도 1은,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가진 작업기의 유압회로도.
도 2는, 유압셔블의 상부선회체의 상면도.
도 3은, 실시예에 관한 유압셔블 상부선회체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도3의 요부 측면도.
도 5는, 도4의 요부 정면도.
도 6은, 종래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1...붐실린더용 유압호스, 12, 13...암실린더용 유압호스, 14, 15...버킷실린더용 유압호스, 16, 17, 18, 19...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 20...붐실린더 제어밸브, 21...암실린더 제어밸브, 22... 버킷실린더 제어밸브, 23...붐실린더, 24...암실린더, 25... 버킷실린더, 26, 54...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 27, 57...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 28... 부속액추에이터, 29...전환조작부, 30...탱크, 31...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32...탱크리턴회로, 33...유압펌프, 34...머신 캡, 35...엔진설치구역, 36...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 37...작업기배관배설구역, 38, 39 ...캡 지붕, 40...고정지붕, 41...작동유탱크, 42 ...배터리(battery), 43...클램프부, 44...붐, 45...암, 46...유압호스출구, 47...개구창, 48...밸브케이싱, 49, 50, 51, 52...유압호스 접속구(接續具), 53...드레인호스 접속구(接續具), 55, 56...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
본 발명은, 전부(前部)에 작업기를 부착한 상부선회체를 하부 주행체 위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한 유압셔블을 작업기 선단부(先端部)에 교환 가능하도록 부착하는 부속작업구를 구동하기 위한,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를 단동식 또는 복동식으로 선택하여 전환 가능하게 하는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한 붐(boom), 암(arm), 및 작업구를 가진 작업기를 전부(前部)에 부착한 상부선회체를, 하부주행체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암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표준작업구(예를 들면 버킷)를 분리하여, 파쇄작업이 가능한 브레이커작업구, 또는 압쇄(壓碎)작업이 가능한 크러셔작업구등의 부속작업구를 갈아 끼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6은, 부속작업구를 구동하기위한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는, 부속작업구에 설치한 부속액추에이터(브레이커작업구의 경우에는 유압실린더, 크러셔작업구 경우에는 유압모터)를 제어하는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54)를 상부선회체의 내부에 구비하고, 그 제어밸브(54)의 왕복로(往復路)의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55, 56)를, 붐(44) 및 암(45)을 따라 부설하였다. 또, 부속액추에이터의 구동방식(브레이커작업구 경우에는 단동식, 크러셔작업구 경우에는 복동식)에 대응하여,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를 단동식 및 복동식의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전환할 수 있게 하기위하여, 복귀로의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56)의 회로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를 장착하였다.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는, 상부선회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상부선회체 외부에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가 어느 구동회로로 전환되었는지의 확인과, 필요한 구동회로에 전환조작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를,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주벽에 설치한 개구창의 근접위치에 배치 설치하였다.[예컨대, 일본국 특허공개 2001-271377호 공보 (3쪽, 도면 1, 2 및 6) 참조]
또한, 붐, 암, 버킷등의 표준작업구의 각 실린더용 유압호스는, 상부선회체내에 설치한 각 실린더 제어밸브에서, 머신 캡의 전면(前面) 커버에 형성된 작업기용 유압호스출구(이하 간단히, '유압호스출구'라고 함)를 경유하여 작업기측에 부설되고, 또 상기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55, 56)는,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에서 유압호스출구를 경유하여 작업기측에 부설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상부선회체의 외부에서 상부선회체 내부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의 전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및 그 전환조작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는 상부선회체의 하부 주벽 근방의 내부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 설치위치는, 상부선회체의 머신 캡의 전면(前面) 커버에 설치한 유압호스출구와 떨어진 원격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54)에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57)를 경유하여 부설되는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56)의 배관이, 정면작업구용 유압호스출구로 우회하여 돌게 되어,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의 배관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선회체 내부의 좁은 공간에 그 안의 탑재기기류를 피하여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를 배관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부설작업이 곤란한 문제도 있다. 또한 상부선회체 내부에서 유압호스출구까지의,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의 부설경로와, 붐, 암, 버킷의 표준작업구용 유압호스의 부설경로가 다르기때문에, 상부선회체 내부에 이들 유압호스가 복잡하게 부설되는 상태로 되어 정비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유압셔블 작업기의 부속작업구용 유압호스의 배관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유압호스의 부설이 용이하고 전체가 정연한 배관상태를 얻을 수 있는,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발명은, 상부선회체의 전부(前部)에 부착한 작업기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부속작업구를 제어하는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와, 그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를 포함한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를 단동식과 복동식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하여 전환 가능하게 하는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상부선회체의 머신 캡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작업기를 구동하는 작업기 실린더용 유압호스, 및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에서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를 머신 캡 커버에 형성한 유압호스출구를 경유하여 작업기측으로 유출되게 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머신 캡의 지붕의 이면(裏面) 부근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가 면한 부위의 머신 캡의 지붕에 개구창을 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발명에 의하면, 상부선회체 내부의 상부공간인, 머신 캡 지붕의 이면(裏面) 부근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배설하였기 때문에, 상부선회체 내부의 탑재기기류가 없는 빈 공간에 그 밸브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도 포함한 작업기용 유압호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머신 캡 커버의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를 거의 직선으로 유압호스출구를 향하여 부설할 수 있으므로 호스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에 면한 부위의 머신 캡의 지붕에 개구창을 내었기 때문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전환조작 및 전환위치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독-복동회로선택밸브가 상기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발명에 의하면, 단독-복동회로선택밸브를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부속작업구 액추에이터용 호스배관을 표준작업구용 호스배관과 동일한 경로로 부설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기배관의 부설경로가 통일되어 정연한 배관이 되므로,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3발명은, 제2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에 접속하는 부속액추에이터호스를 유출하는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를, 상부선회체 내부에 상하로 중첩되게 설치한 작업기용 실린더제어밸브의 최상단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부속액추에이터호스를 공중에 부설하여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에 접속시킨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발명에 의하면,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를, 상하로 중첩되게 설치한 작업기용 실린더제어밸브군의 최상단 위치에 설치하였기때문에, 그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와, 머신 캡 지붕의 이면 부근에 설치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 사이에, 부속액추에이터호스를 위쪽 지붕이나 아래쪽의 프레임에서 떨어진 공중위치에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부선회체 내부의 하부측에 탑재기기류 사이를 비집고 부속액추에이터호스를 부설하는 것에 비하여, 용이하게 호스를 부설할 수 있는 동시, 거의 직선적으로 부설할 수 있으므로 호스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4발명은, 제 1 내지 제 3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그 밸브의 전환조작부가 상기 개구창에 면하도록 배설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4발명에 의하면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전환조작부를 개구창에 면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전환조작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머신 캡 외부에서 전환상태의 확인 및 그 전환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6의 구성요소와 동일구성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기배관은, 도1의 유압회로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표준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붐실린더용 유압호스(10,11), 암실린더용 유압호스(12, 13) 및 버킷실린더용 유압호스(14, 15)와,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7, 18, 19)의 각 유압호스를 구비하고 있다. 표준작업구유압회로에 속하는 상기 유압호스(10 ~ 15)의 각각은, 붐실린더 제어밸브(20), 암실린더 제어밸브(21), 및 버킷실린더 제어밸브(22)와, 붐실린더(23), 암실린더(24) 및 버킷실린더(25)의 사이에 각각 접속된다.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 19)는,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에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를 경유하여 부속액추에이터(28)에 접속된다.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는, 브레이커작업구의 경우에 쓰이는 단동회로전환위치 A와, 크러셔 작업구의 경우에 쓰이는 복동회로전환위치 B와, 양 단동회로전환위치 A 및 복동회로전환위치 B 사이를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한 전환조작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동회로전환위치A로 전환하면,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에서 압유(壓油)는, 진행회로인 한쪽의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7)를 경유하여 브레이커에 공급되는 동시, 브레이커에서 귀환유(return oil)는, 복귀회로인 다른쪽의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9)를 경유하여 어큐뮬레이터(31)를 구비한 탱크리턴회로(32)로 환류하여 탱크(30)에 드레인된다.
상기 복동회로전환위치 B로 전환하면, 진행회로와 복귀회로인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7)와 (18, 19)는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에 접속되고, 이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의 전환에 의해, 상기 진행회로와 복귀회로가 선택적으로 유압펌프(33)와 탱크(30)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환조작부(29)는, 브레이커 작업구와 크러셔 작업구의 전환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마크(도시생략)가 있어, 어느 전환위치에 있는지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작업기 실린더용의 각 유압호스(10∼15),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19), 각 실린더제어밸브(20∼22),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 (26), 및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를 상부선회체의 내부에 배설하는 유압식 셔블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 유압셔블은, 상부선회체에 탑재하는 기기류의 탑재범위를 전체적으로 둘러싼 머신 캡(34)을 가졌다. 머신 캡(34)은, 상부선회체 후부(後部)의 엔진설치구역(35)과, 우측의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과, 중앙부의 작업기배관배설구역(37)으로 구분되어 있고, 엔진설치구역(35) 및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한 캡 지붕(38, 39)으로 각각 덮고, 또한 작업기배관 배설구역(37)을, 착탈가능하도록 설치한 지붕(40)으로 덮었다. 또한 상부선회체의 좌측 전부(前部)에는 운전실(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에는,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 탱크(41), 배터리(42), 상기 표준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각 실린더제어밸브(20 ~ 22) 및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기배관 배설구역(37)에는,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 상기 표준작업구 유압회로에 속하는 각 유압호스(10 ~ 15), 및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 19)가 각각 부설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에는, 도4,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에서부터 순서대로 표준작업구용의, 붐실린더제어밸브(20), 암실린더제어밸브 (21), 버킷실린더제어밸브(22)가 중첩으로 설치되고, 그 최상단위치에 상기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26)가 있다. 또한, 상기 각 실린더제어밸브(20 ~ 22) 및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26)에서 각각 나오는 표준작업구용의 각 유압호스(10 ~ 15) 및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8)를 동일한 경로로 부설하여, 인접한 작업기용 유압배관배설구역(37)내로 배설되어 있다.
작업기배관 배설구역(37)내에는, 도4, 도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와 클램프부(43)가 설치되어있고, 그 배설구역(37)을 덮은 머신 캡의 지붕(40)의 전면부(前面部) 커버에는 유압호스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는, 유압호스출구(46)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43)는, 상기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에서 배설된 상기 표준작업구용의 각 유압호스(10 ~ 15), 및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에서 나온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7, 19)를 결속시킨다. 또한, 이들 각 유압호스(10 ~ 15, 17, 19)는, 유압호스출구(46)를 경유하여 상부선회체 외부의 작업기측으로 보내진다.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는, 상기 클램프부(43)의 설치위치보다도 높은 쪽에, 또한 작업기배관 배설구역(37)을 따라 덮은 머신 캡 지붕(40)의 이면에 근접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설치위치에 면한 상기 지붕(40)에는 개구창(4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의 전환조작부(29)가 이 개구창(47)에 면하도록,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는, 그 밸브케이싱(48)에,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로부터 걸쳐넣어진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8)를 접속하는 유압호스 접속구(接續具)(49, 50)와, 작업기측의 부속액추에이터(28)를 향해 상부선회체 외부에 걸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7, 19)를 접속하는 유압호스접속구(51, 52)와, 부속액추에이터(28)로부터의 귀환유를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를 경유하지않고 탱크에 드레인시키는 탱크리턴회로(32)의 접속구(接續具)(53)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제어밸브군 설치구역(36)내의 높은 곳에 설치한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와, 상기 작업기용 유압배관배설구역(37)의 머신 캡의 지붕(40)의 이면부근에 설치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의 사이에, 상기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18)를 위쪽의 지붕(39, 40)이나 아래쪽의 상부선회체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공중위치에 부설하였다. 또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로부터 부속액추에이터(28)에 걸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7, 19)를, 상기 표준작업구용의 각 유압호스(10∼15)와 함께, 상기 클램프부(43)를 경유하여 상기 유압 호스출구(46)를 향하게 하여, 작업기측의 붐(44), 암(45), 작업구등에 부설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기의 부속유압회로에 속하는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로 했기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상부선회체 내부의 상부공간인 머신 캡 지붕의 이면에 근접하여 배설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부선회체 하부 주벽 근방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설치하던 것에 비하여 내부의 탑재기기에 방해받지않고 상부선회체 커버 전면부(前面部)의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에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경유하여 유압호스출구까지 부설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를, 유압호스출구에 대하여 우회할 필요없이 최단거리로 배설가능하기 때문에,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유압호스출구를 가진 작업기 유압배관배설구역내에 설치함으로써, 유압호스출구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부속액추에이터용 호스의 배관을 표준작업구용 호스의 배관과 동일한 경로로 부설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기 배관의 부설경로가 통일되어 정연한 배관이 가능하다. 이로써,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속작업구의 액추에이터 제어밸브를, 상하방향으로 층층이 쌓아설치한 작업기용 실린더제어밸브군의 최상단 위치에 설치하고,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를 머신 캡 지붕의 이면 부근에 설치하였으므로, 부속작업구의 액추에이터제어밸브와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가 함께 높은 위치에 배설되어, 양자간을 접속하는 부속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를 위쪽의 지붕이나 아래쪽의 상부선회체 프레임으로부터 떨어진 공중위치에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상부선회체 내부의 하부측에 탑재기기류의 사이를 비집고 그 호스를 부설하는 것에 비하여 아주 용이하게 호스를 부설할 수 있는 동시, 우회하지않고 거의 직선으로 부설할 수 있으므로 호스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전환조작부를, 머신 캡의 지붕에 형성한 개구창(開口窓)에 면하게 하여, 그 전환조작부를 머신 캡 외부에 노출되게 하였기 때문에, 가까이에 가지않고도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전환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 용이하게 전환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이 개구창은, 운전실측면의 작업기용 유압배관배설구역(머신 캡)의 지붕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전환상태를 운전실내에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부선회체의 전부(前部)에 부착된 작업기의 선단부(先端部)에 장착되는 부속작업구를 제어하는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와, 상기 부속액추에이터 제어밸브(26)를 포함한 부속작업구 유압회로를 단동식과 복동식 중 어느 한쪽으로 선택적으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단동(single-acting)-복동(double-acting)회로선택밸브 (27)를, 상부선회체의 머신 캡 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작업기를 구동하는 작업기 실린더용의 유압호스와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의 액추에이터용 유압호스(16 ~ 19)를 머신 캡 커버에 형성된 유압호스출구(46)로 경유시켜 작업기측에 접속하게 된 유압셔블에 있어서,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를, 머신 캡의 지붕(40)의 이면(裏面)측에 설치하고,
    상기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에 면한 부위의 머신 캡의 지붕(40)에 개구창(開口窓)(47)을 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가 유압호스출구(46) 측(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부속액추에이터호스(16,18)를 유출하는 부속액추에이터제어밸브(26)를, 상부선회체 내부에 상하로 중첩되게 설치한 작업기용 실린더제어밸브(21, 22)의 최상단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부속액추에이터호스(16, 18)를 공중에 부설하여 단동-복동회로 선택밸브(27)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27)의 전환조작부(29)가 개구창(47)에 면하여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 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KR1020030064887A 2002-09-25 2003-09-18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KR100977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80024 2002-09-25
JP2002280024A JP3963317B2 (ja) 2002-09-25 2002-09-25 油圧ショベルの付属作業具油圧回路の単動―複動回路セレクタバルブの設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348A KR20040027348A (ko) 2004-04-01
KR100977240B1 true KR100977240B1 (ko) 2010-08-20

Family

ID=32274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887A KR100977240B1 (ko) 2002-09-25 2003-09-18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63317B2 (ko)
KR (1) KR100977240B1 (ko)
CN (1) CN12339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04B1 (ko) 2005-12-28 2008-01-11 서병윤 건설 중장비용 유압시스템의 설치구조 및 그 설치방법
JP5019516B2 (ja) * 2007-02-27 2012-09-0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油圧配管配設構造
KR101435198B1 (ko) * 2007-12-17 2014-08-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유압 공급장치
JP5669520B2 (ja) * 2010-10-27 2015-0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4043630B (zh) * 2014-06-09 2016-06-01 山东新华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管道自动切换及定位装置
KR20210143749A (ko) * 2019-03-30 2021-11-29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정보처리장치
CN115552132A (zh) * 2020-05-09 2022-12-30 爱默生过程管理阀门自动化公司 用于电动液压执行器的通用逻辑电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72A (ja) * 1992-06-29 1994-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0248582A (ja) 1999-03-01 2000-09-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バルブ配置構造
JP2001115488A (ja) 1999-10-19 2001-04-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372A (ja) * 1992-06-29 1994-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0248582A (ja) 1999-03-01 2000-09-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バルブ配置構造
JP2001115488A (ja) 1999-10-19 2001-04-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16103A (ja) 2004-04-15
CN1487153A (zh) 2004-04-07
JP3963317B2 (ja) 2007-08-22
CN1233905C (zh) 2005-12-28
KR20040027348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8369A1 (en) Fluid pressure circuit
US8038202B2 (en) Operators section construction for work vehicle
KR100977240B1 (ko) 유압셔블의 부속작업구 유압회로의단동-복동회로선택밸브의 설치구조
JP3221268B2 (ja)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5028438B2 (ja) 建設機械
JP2004285702A (ja) スイング式油圧ショベルの配管取り回し構造
EP1992744A2 (en) Apparatus for attachment of hydraulic valves for controlling working devices of construction machine
JP200707763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電磁切換弁の配置構造
JP5160401B2 (ja) 旋回作業機
JP4625430B2 (ja) 建設機械
WO2023188593A1 (ja) 建設機械
US11208787B2 (en) Hydraulic drive system for work machine
JP4727390B2 (ja) アーム回動用液圧シリンダの配管装置
US20240035255A1 (en) Valve unit and valve equipment
JP2005307606A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構造
JP3805669B2 (ja) 油圧機械の配管破断制御弁装置及びオフセット式油圧ショベルのオフセットシリンダ装置
JPH0732605Y2 (ja) 動力掘削機における油圧回路
JPH0510044Y2 (ko)
EP1486621A2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4036635A (ja) 建設機械のクイックヒッチ油圧回路
JPH02190602A (ja) トラクタの油圧回路
JP2002339917A (ja) 作業機械
JPS6346462Y2 (ko)
JP3017385B2 (ja) 旋回式掘削作業機
JP2598464Y2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