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88B1 -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88B1
KR100972988B1 KR1020100015270A KR20100015270A KR100972988B1 KR 100972988 B1 KR100972988 B1 KR 100972988B1 KR 1020100015270 A KR1020100015270 A KR 1020100015270A KR 20100015270 A KR20100015270 A KR 20100015270A KR 100972988 B1 KR100972988 B1 KR 10097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safety lock
lock pin
doubl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동환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염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염동환 filed Critical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1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88B1/ko
Priority to PCT/KR2010/007682 priority patent/WO2011102589A2/ko
Priority to CN2010105997210A priority patent/CN102162484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의 잠금장치를 구현시킨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제1 피잠금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1단로와 2단로를 갖는 록킹 가이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피잠금체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피잠금체를 록킹하며 상기 록킹 가이드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핀을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의 일측 상단에 상기 록킹 가이드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1단로 위치에서 상기 록킹핀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 피잠금체의 일단잠금을 이루게 하고, 상기 2단로 위치에서 상기 록킹핀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 피잠금체의 이단잠금을 이루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Double-safety locking pin device}
본 발명은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의 잠금장치를 구현시킨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두 개의 피잠금체를 잠금 핀에 의해 잠금기능을 실행시키는 장치이다.
제1 피잠금체에 잠금 핀이 포함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가 장착되고, 제2 피잠금체에는 잠금 핀과 대응되는 부분에 잠금 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부 판과 하부 판이 외관을 이루고, 그 내부로 잠금 핀이 스프링에 끼워져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 핀의 하부측에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단에는 노브가 형성되며, 잠금 핀은 하우징의 상부 판과 하부 판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잠김 동작은 잠금 핀의 노브를 위로 당겨 제2 피잠금체의 홀에 핀을 삽입하면(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가 하우징의 하부 판에 걸쳐져 두 개의 피잠금체를 록킹시켜 잠금 동작이 완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잠금상태가 잠금 핀에 대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또는 잠금 핀의 오 조작에 의하여 의도되지 않은 잠금의 해제가 발생할 수 있어, 구조물에 대한 손상이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 잠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잠금 핀의 삽입 깊이를 깊게할 경우 셀프-록킹(Self-locking)의 잠금 조작 편의성 도모가 불가할 뿐 아니라 잠금 핀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탄성계수의 증가가 불가피하고 이로 인해 잠금 조작력이 커져 문제가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1단 록킹과 2단 록킹 구조를 갖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록킹핀의 하우징을 제1 피잠금체에 일체로 형성시켜 잠금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킨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두 개의 피잠금체를 록킹하는 구조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접이식 자전거의 록킹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제1 피잠금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1단 록킹을 위한 1단로와 2단 록킹을 위한 2단로를 갖는 록킹 가이드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제2 피잠금체 내부로 삽입되는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외측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의 일측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록킹핀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록킹 가이드에 놓여지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록킹 가이드의 2단로의 위치는 1단로의 위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접철식 자전거에 있어서, 프레임의 접철시, 스템 접철시, 페달 접철시, 스템 높낮이 조정시, 씨트 포스트 높낮이 조정시 및 크랭크 암 회전시 피잠금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록킹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힌지 로드의 양단에 각각 힌지 핀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이 결합되는 2절 힌지 접철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피잠금체는 상기 록킹핀과의 셀프-록킹(Self-locking)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록킹핀의 선단과 접촉되는 상기 제2 피잠금체의 홀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된 셀프 록킹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1단 록킹과 2단 록킹 구조를 갖는 이중 안전 잠금이 가능하고, 록킹핀의 하우징을 제1 피잠금체에 일체로 형성시켜 잠금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품질을 향상시키며, 두 개의 피잠금체를 록킹하는 구조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접이식 자전거 접철구조에 셀프-록킹(Self-locking)이 이루어지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1단 록킹된 상태와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2단 록킹된 상태와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2단 록킹된 상태의 록킹핀 삽입량을 증대시킨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장착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1단 록킹된 상태와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2단 록킹된 상태와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셀프-록킹(Self-locking)이 가능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대한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2절 힌지 접철 장치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프레임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스템 힌지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크랭크 암 회전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스템 또는 씨트 포스트 높낮이 조정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페달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구조와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장착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1단 록킹된 상태와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2단 록킹된 상태와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제1 피잠금체(111)와 제2 피잠금체(112)를 록킹핀(114)에 의해 록킹하는 장치이다.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하우징(113), 록킹 가이드(116), 록킹핀(114), 스토퍼(115) 및 스프링(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13)은 제1 피잠금체(111)와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로는 록킹핀(114)과 스프링(118)이 삽입되고, 외면에는 스토퍼(115)의 가이드가 되는 록킹 가이드(116)가 형성된다.
록킹 가이드(116)는 스토퍼(115)의 잠금 가이드 로(路)이며, 1단 록킹을 위한 1단로(116a)와 2단 록킹을 위한 2단로(116b)를 갖는다.
스토퍼(115)가 위치되는 1단로(116a)와 2단로(116b)의 높이는 동일하여, 도 2 및 도 3에서 보이듯이 록킹핀(114)의 삽입 위치는 1단로(116a)에 있을 때와 2단로(116b)에 있을 때 동일하다. 1단로(116a)에서는 록킹핀(114)을 상방향(P)으로 이동하여 잠금의 해제가 가능하나, 2단로(116b)에서는 스토퍼(115) 상단에 잠금편(116c)이 있어 잠금의 해제가 안 되는 안전 잠금 위치가 된다.
록킹핀(114)는 핀 외부로 스프링(118)이 끼워지며, 스프링(118)은 하우징(113)의 일면과 록킹핀(114)의 일면 사이에서 탄성 지지된다.
스토퍼(115)는 록킹핀(114)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록킹핀(114)의 선단부에 체결되어 하우징(113)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토퍼(115)는 위치에 따라 록킹핀(114)을 이동시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1단 록킹, 2단 록킹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15)의 선단에는 노브(117)가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스토퍼(115) 자체가 노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1단 록킹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토퍼(115)가 록킹 가이드(116)의 1단로(116a)에 위치했을 때 스프링(118)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피잠금체(111)와 제2 피잠금체(112)가 록킹된다.
도 2의 1단 록킹 상태에서 화살표(P) 방향으로 스토퍼(115)을 올리면 스프링(118)이 압축되면서 록킹핀(118)이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제2 피잠금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또한, 도 2의 1단 록킹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 전환하면 2단 록킹 상태로 전환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스토퍼(115)가 록킹 가이드(116)의 2단로(116b)에 위치한 경우이다.
스토퍼(115)가 록킹 가이드(116)의 2단로(116b)에 놓이게 되어 2단 록킹이 이루어진다.
도 4는 2단 록킹된 상태의 록킹핀 삽입량을 증대시킨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장착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1단 록킹된 상태와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의 평면도의 2단 록킹된 상태와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으나, 록킹 가이드(116, 216)의 형상이 다르며 이는 2단 록킹시 록킹핀의 삽입량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높인 경우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록킹 가이드(216)와 록킹핀의 삽입량 증대에 대한 설명을 한다.
록킹 가이드(216)는 스토퍼(215)의 잠금 가이드 로(路)이며, 1단 록킹을 위한 1단로(216a)와 2단 록킹을 위한 2단로(216b)를 갖으며, 2단로(116b)의 위치는 1단로(116a)의 위치보다 낮게 설계된다.
이렇게 설계되는 경우, 스토퍼(215)가 록킹 가이드(216)의 2단로(216b)에 놓이게 되면 스프링(218)이 더욱 압축되면서 록킹핀(214)이 제2 피잠금체(212)의 홀(219) 내부로 더욱 깊이 삽입되어 2단 록킹이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3를 비교해 보면, 도 6의 록킹핀(214)이 제2 피잠금체(212)의 홀(219)로 더욱 깊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잠금 해제의 오동작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의 기능을 한다.
도 7은 셀프-록킹(Self-locking)이 가능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에 대한 도 2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6과 달리 제2 피잠금체(312)에는 셀프 록킹면(320)을 갖는다.
셀프 록킹면(320)은 록킹핀(314) 선단부가 셀프 록킹면(320)을 타고 오르면서 셀프 록킹면(320) 끝단에서 자동 록킹 될 수 있도록 제2 피잠금체(312) 외곽면 에서 홀(319)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2개의 피잠금체를 록킹하는 구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접철식 자전거의 접이 힌지 구조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가 적용된 실 사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2절 힌지 접철 장치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2절 힌지 접철 장치는 2개의 프레임이 접합 및 분리되는 경우, 일단에 힌지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와 힌지 간에 직선의 힌지 로드를 매개로 하여 2개의 프레임이 접합 또는 분리되는 접철 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2절 힌지 장치는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번호 10-2009-0098956로 출원한 바 있으며 특허결정을 받은 발명이다.
도 8을 참조하면, 2개의 프레임(411, 412)은 접철부(411a, 412a)에서 접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411)은 제1 피잠금체이며 프레임(412)은 제2 피잠금체가 된다.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400)는 제1 피잠금체인 프레임(411)에 형성된다.
2개의 프레임(411, 412)은 각각 접철부(411a, 412a)의 타단측에 힌지 로드(410)를 매개로 제1 및 제2 힌지핀(420a, 420b)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힌지 로드(410)와 제1 및 제2 힌지핀(420a, 420b)에 의해 2개의 프레임(411, 412)은 원 궤적을 그리며 양 접철부(411a, 412a)가 접합되거나 분리된다.
양 접철부(411a, 412a)가 접합된 상태에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400)의 록킹핀(414)은 2개의 프레임(411, 412)을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1단 록킹을 수행하고(도 2와 5와 같은 상태), 이어서 스토퍼 또는 스토퍼와 연결된 노브를 록킹 가이드의 2단로로 이동시켜면 스토퍼가 2단로에 위치되면서 2단 록킹(도 3과 같은 상태)되거나, 록킹핀이 프레임의 홀(412b)로 더욱 깊이 삽입되면서 2단 록킹(도 6과 같은 상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프레임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프레임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로서, 제1 프레임(511)과 제2 프레임(512)의 힌지 접이 구조에서, 제1 프레임(511)에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500)를 내삽시킨 실시예이다. 도 9의 (A)는 프레임간 접합상태에서 2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B)는 프레임간 분리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프레임(511)은 제1 피잠금체이며, 제2 프레임(512)은 제2 피잠금체이고, 제1 프레임(511)에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500)를 형성시킨다.
(A)의 경우는 제1 및 제2 프레임(511, 512)이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를 록킹 가이드의 1단로를 거쳐 2단로로 위치 이동시켜 2단 록킹 상태를 유지한 경우이고, 이 상태에서 (B)의 경우로 전환 즉, 스토퍼를 1단로의 위치에서 도 2의 화살표(P) 방향으로 상승시켜 록킹 상태를 해제한 후 두 개의 프레임의 접합상태를 해제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접철식 자전거에서 프레임(탑튜브)의 접이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2중 잠금을 시켜 잠금 장치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스템 힌지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접이식 자전거에 있어서 스템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로서, 제1 프레임(611)과 제2 프레임(612)의 힌지 접이 구조에서, 제1 프레임(611)에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600)를 내삽시킨 실시예이다. 도 10의 (A)는 프레임간 접합상태에서 2단 록킹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 (B)는 프레임간 분리상태에서 록킹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1 프레임(611)은 제1 피잠금체이며 하부 스템에 연결되고, 제2 프레임(612)은 제2 피잠금체이며 상부 스템(610)에 연결된다.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600)는 마찬가지로 제1 프레임(612)에 형성된다.
(A)와 같이, 제1 및 제2 프레임(611, 612)은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스토퍼를 록킹 가이드의 1단로를 거쳐 2단로로 위치 이동시켜 2단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B)의 경우로 전환하면 즉, 스토퍼를 1단로의 위치에서 도 2의 화살표(P) 방향으로 상승시켜 록킹 상태를 해제한 후 두 개의 프레임의 접합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접이식 자전거에서 스템의 접이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자전거 크랭크 암 회전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자전거의 크랭크 암(711)의 회전구조에서 크랭크 암(711)의 회전후 고정되도록 본 발명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적용한 사례이다.
즉, 자전거의 크랭크 암은 일반적으로 양측에 180도 각도를 이루며 고정된다. 그러나, 접철식 자전거의 경우 접철상태에서 양쪽의 크랭크 암이 180도 각을 유지한 상태로 놓여 접철상태에서 크랭크 암에 의해 그 부피가 줄어드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제10-2010-0010229호로 자전거 크랭크 암의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발명을 출원한 바 있다.
도 11의 Section C-C를 참조하면, 크랭크 암(711)은 크랭크 암 스테이(712)를 매개로 크랭크 축(7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크랭크 암(711)을 제1 피잠금체로 하고 크랭크 암 스테이(712)를 제2 피잠금체로 하면, 록킹핀(714)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크랭크 암(711)과 크랭크 암 스테이(712)가 록킹이 해제된 상태로 놓이게 되는 데, 이렇게 해제된 상태에서 크랭크 암(711)을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양쪽 크랭크 암의 위치가 동일 각도 상으로 놓이게 되어 접철후 자전거의 부피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즉 한쪽의 크랭크 암(711)을 180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700)의 록킹핀(714)에 의해 스토퍼가 록킹 가이드의 1단로에 위치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1단 록킹을 수행하고(도 2와 도 5와 같은 상태), 이어서 스토퍼 또는 스토퍼와 연결된 노브를 록킹 가이드의 2단로로 이동시켜면 스토퍼가 2단로에 위치되면서 2단 록킹(도 3과 같은 상태)되거나 록킹핀(714)이 크랭크 암 스테이(712)의 홀로 더욱 깊이 삽입되면서 2단 록킹(도 6과 같은 상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크랭크 암 회전 조절 구조와 2중 안전 록킹 장치에 의해 접이식 자전거에서 두 개의 크랭크 암이 서로 동일 각도 상으로 위치되게 됨에 따라 접철식 자전거의 품질 상승 및 구조의 간단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스템 또는 씨트 포스트 높낮이 조정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를 페달 접이 구조에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시트 포스트(810a)는 시트의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시트 포스트(810a) 높낮이 조절후 고정시에는 프랜지(820a)를 록킹하게 되는데 이때 프랜지(820a)를 록킹하는 장치를 본 발명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800a)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스템(810b)의 높낮이 조절후 고정시에는 프랜지(820b)를 록킹하게 되는데 이때 프랜지(820b)를 록킹하는 장치를 본 발명의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800b)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페달(920)을 접을 때 페달(920)을 90도 크랭크 암(910) 방향으로 접는 데, 이때 크랭크 암(910)에 연결된 힌지축과 페달(920)을 록킹할 수 있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900)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211, 311, 411, 511, 611, 711 ; 제1 피잠금체
112, 212, 312, 412, 512, 612, 712 ; 제2 피잠금체
113, 213 ; 하우징 114, 214, 314 ; 록킹핀
115, 215, 315 ; 스토퍼 116, 216, 316 ; 록킹 가이드
116a, 216a ; 1단로(路) 116b, 216b ; 1단로(路)
116c, 216c ; 잠금편 117, 217, 317 ; 노브
118, 218, 318 ; 스프링 119, 219, 319 ; 홀
320 ; 셀프 록킹면
400, 500, 600, 700, 800a, 800b, 900 ;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810a ; 시트 포스트 810b ; 스템
820a, 820b ; 프랜지 910 ; 크랭크 암
920 ; 페달

Claims (6)

  1. 제1 피잠금체에 일체화되어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1단로와 2단로를 갖는 록킹 가이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제1 피잠금체와 힌지 결합되는 제2 피잠금체를 록킹하며 상기 록킹 가이드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록킹핀과;
    상기 록킹핀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핀을 탄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록킹핀의 일측 상단에 상기 록킹 가이드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1단로 위치에서 상기 록킹핀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 피잠금체의 일단잠금을 이루게 하고, 상기 2단로 위치에서 상기 록킹핀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 피잠금체의 이단잠금을 이루게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가이드의 2단로의 위치는 1단로의 위치보다 낮은,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노브를 더 포함하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접철식 자전거에 있어서, 프레임의 접철시, 스템 접철시, 페달 접철시, 스템 높낮이 조정시, 씨트 포스트 높낮이 조정시 및 크랭크 암 회전시 피잠금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록킹 장치로 사용되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는,
    힌지 로드의 양단에 각각 힌지 핀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1 및 제2 프레임이 결합되는 2절 힌지 접철장치에 적용되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잠금체는 상기 록킹핀과의 셀프-록킹(Self-locking)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록킹핀의 선단과 접촉되는 상기 제2 피잠금체의 홀 주위에 테이퍼가 형성된 셀프 록킹면을 갖는,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KR1020100015270A 2010-02-19 2010-02-19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KR10097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70A KR100972988B1 (ko) 2010-02-19 2010-02-19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PCT/KR2010/007682 WO2011102589A2 (ko) 2010-02-19 2010-11-03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CN2010105997210A CN102162484A (zh) 2010-02-19 2010-12-17 双重安全锁定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270A KR100972988B1 (ko) 2010-02-19 2010-02-19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2988B1 true KR100972988B1 (ko) 2010-07-29

Family

ID=4264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70A KR100972988B1 (ko) 2010-02-19 2010-02-19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72988B1 (ko)
CN (1) CN102162484A (ko)
WO (1) WO201110258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123A (zh) * 2013-09-30 2014-01-01 朱江帆 一种锁定定位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4985A1 (zh) * 2014-09-23 2016-03-31 于永飞 一种交通工具折叠状态的锁定与解锁装置
CN110067115A (zh) * 2019-04-24 2019-07-3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盘座、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827U (ko) * 1989-11-27 1991-07-30
WO2000029277A1 (en) * 1998-11-13 2000-05-25 Fang Paul Hsin Chieh Foldable bicycle
JP2001334011A (ja) 2000-05-29 2001-12-04 Jd Japan:Kk スケートボード
KR20030086711A (ko) * 2002-05-06 2003-11-12 김성태 단열재 부착 석재패널의 제조방법
KR200386711Y1 (ko) 2005-03-29 2005-06-16 박정병 창문용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279B2 (ja) * 1997-03-06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光学ピックアップ用対物レンズの調整方法及び調整装置
JP2001065221A (ja) * 1999-08-30 2001-03-13 Takigen Mfg Co Ltd 落し錠
CN2455592Y (zh) * 2000-12-28 2001-10-24 崔国良 折叠器
CN2504182Y (zh) * 2001-09-19 2002-08-07 易耀忠 自行车折叠机构
CN201158435Y (zh) * 2007-10-29 2008-12-03 宁波翔鹰车业有限公司 折叠车架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827U (ko) * 1989-11-27 1991-07-30
WO2000029277A1 (en) * 1998-11-13 2000-05-25 Fang Paul Hsin Chieh Foldable bicycle
JP2001334011A (ja) 2000-05-29 2001-12-04 Jd Japan:Kk スケートボード
KR20030086711A (ko) * 2002-05-06 2003-11-12 김성태 단열재 부착 석재패널의 제조방법
KR200386711Y1 (ko) 2005-03-29 2005-06-16 박정병 창문용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6123A (zh) * 2013-09-30 2014-01-01 朱江帆 一种锁定定位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02589A3 (ko) 2011-11-03
WO2011102589A2 (ko) 2011-08-25
CN102162484A (zh)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114B1 (ko) 자전거의 안장 또는 조향핸들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72988B1 (ko)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US10694865B2 (en) Foldable enclosure apparatus having a locking device for a baby bed
CN1292949C (zh) 折叠式婴儿车
AU2013399932B2 (en) Stroller
KR101241436B1 (ko) 접이식 이륜차
US20080030005A1 (en) Locking device for a stroller
FR2789039A3 (fr) Chariot a bras
JP2013082443A (ja) 折り畳み式自転車、特にはペダルアシスト自転車
WO2014047947A1 (zh) 儿童推车
EP1905615B1 (en) Swivell locking device for stroller wheel
CN107921983A (zh) 具有轮转动机构的婴儿车
EP3325331A1 (en) Non-overlapping frame folding bike
CN203468106U (zh) 一种儿童娱乐床上折叠机构
EP2524853A1 (en) Baby carriage
CN103349456A (zh) 一种儿童娱乐床底部中央控制装置
KR100972990B1 (ko) 자전거의 크랭크 암 위치조절 장치
WO2021184361A1 (zh) 一种折叠车架及折叠车
CN104799624B (zh) 游戏床护杆的折叠装置
KR20130006785U (ko) 서포터 장치 및 이 서포터 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KR102146186B1 (ko) 접이식 자전거 프레임
KR20120109898A (ko) 접이식 자전거용 접철장치
ES2926705T3 (es) Bastidor plegable para sillas de bebé, cochecitos de bebé o similares
WO2014097217A1 (en) Umbrella-like foldable frame for baby strollers and the like
JP2007205009A (ja) 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