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714B1 -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714B1
KR100972714B1 KR1020087011656A KR20087011656A KR100972714B1 KR 100972714 B1 KR100972714 B1 KR 100972714B1 KR 1020087011656 A KR1020087011656 A KR 1020087011656A KR 20087011656 A KR20087011656 A KR 20087011656A KR 100972714 B1 KR100972714 B1 KR 10097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roller
disk
sli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5767A (ko
Inventor
시니치 아오키
요이치 제니모토
토루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9361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34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9358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348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93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76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5935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88844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 G11B17/0286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mounted on a pivotal le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2Servo control
    • G11B17/0404Servo control with parallel drive roll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디스크(11)를 하부 롤러(70)와 상부 롤러(80)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디스크(11)의 반송을 실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이다. 하부 롤러(70)와 상부 롤러(80)를 본체(20a)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한다. 본체(20a)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200a)에 상부 롤러(8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210)을 장착하고, 상부 롤러(80)를 지지하는 롤러 지지 부재(810)를 통하여 상부 롤러(80)에 판 스프링(210)의 가압력을 부여한다. 상부 롤러(80)에 고르게 가압력이 부여되고 디스크의 사행 등이 억제되어, 반송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디스크, 하부 롤러, 상부 롤러, 본체, 판 스프링, 롤러 지지 부재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DISC PLAYER APPARATUS}
본 발명은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디스크를 재생 및/또는 기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CD, DVD 등의 디스크를 재생 및/또는 기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는,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반송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송을 실시하는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반송 기구를 갖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가 있다. 이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카 오디오 등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케이스의 내부에 턴테이블(turntable)이나 광학 픽업(optical pickup)을 구비한 디스크 재생부와, 로딩 롤러에 의해 디스크 플레이어 안으로의 디스크의 반입 반출을 실시하는 디스크 로딩 기구와, 턴테이블 상에 디스크를 장착하는 디스크 클램프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디스크의 인입(引入)이 이루어지면,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가 해제되고, 반송 롤러와 디스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와의 압착이 해제된다.
이 압착 해제 후에, 연주(演奏)부의 록이 해제되고, 그에 의해 로딩 동작의 종료가 검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로딩 동작이 종료하고 디스크의 연주가 개시된다.
상기한 슬롯인 방식의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의 배출 및 반송시에 디스크의 클램퍼를 해제하기 위해, 턴테이블과 클램프를 이간(離間)시킨 후,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가이드 롤러가 압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한 슬롯인 방식의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디스크의 표면에 흠집을 생기게 하는 일이 없는 것과 같은 대책이 강구되어 있다.
디스크에 흠집을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디스크와 롤러 사이에 슬립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롤러를 정지하기 위해 구동 전달의 전환을 실시하여, 즉석에서 롤러의 공전을 방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슬롯인 방식의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롤러와 롤러 샤프트와의 사이에 소정의 마찰에 의한 토크를 부여하기 위해, 롤러 샤프트의 단부에 코일 스프링 등의 가압 스프링을 장착하여 롤러를 디스크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종래는, 이 가압 스프링의 장착 작업이 번거롭고 장착 형태에 따라서는 소정 의 토크를 얻을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슬롯인 방식의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장치의 박형화가 도모되어 있으며, 각 부재가 밀접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젝트(eject)시에, 턴테이블과 클램퍼를 이간시킨 후,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가이드 롤러로 끼워 넣을 때에, 디스크의 일부가 클램퍼를 지지하는 클램퍼 암에 닿아, 그 때의 충격음이 노이즈로서 귓전을 맴도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또, 차재(車載)용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경우, 재생시에 있어서의 소리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와 그 내부에 설치된 디스크 재생부는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양자를 댐퍼나 스프링이라는 탄성 부재에 의해 뜬 플로팅 상태로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의 진동이 케이스 등으로부터 내부의 디스크 재생부에 전해지는 일이 없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 이러한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디스크 로딩 기구에 있어서의 롤러를 디스크에 압착시켜 디스크의 반입 반출을 실시할 때에, 디스크 삽입구와 디스크 재생부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디스크 재생부를 케이스측에 고정하는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댐퍼나 스프링이라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간편한 구성에 의해, 제조 코스트를 절약할 수 있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플로팅 록 기구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상기한 종래의 댐퍼나 스프링이라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는, 플로팅 록을 간편한 구성으로 하는 것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댐퍼의 케이스에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댐퍼를 케이스에 위치 결정 좋게 장착하지 않으면 댐퍼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 특개 2002-74800호 공보
특허문헌 2 : 특개 2003-141800호 공보
특허문헌 3 : 특개 2001-331997호 공보
본 발명은,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조립이 용이하게 하고, 롤러와 롤러 샤프트와의 사이에 소정의 마찰에 의한 토크를 부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1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이젝트시의 충격음을 없애는 것을 제 2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롯인 방식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이젝트시에 디스크를 순조롭게 배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3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롯인 방식의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댐퍼의 장착을 간단하며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 4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반송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을 실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를 본체부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1 지지 수단, 상기 디스크 가이드 롤러를 본체부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제 2 지지 수단, 상기 제 1 지지 수단과 걸어 맞춤하고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시에는 반송 롤러를 디스크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시에는 반송 롤러를 대피시키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지지 수단에 맞닿고,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시에는 디스크 가이드 롤러를 디스크측으로 이동시 키고, 디스크의 기록 또는 재생시에는 디스크 가이드 롤러를 대피시키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상부 케이스에 소정 형상의 판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 상부 케이스를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상부 롤러)에 소정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지지 수단을 통하여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상기 판 스프링의 가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으로 지지 부재를 통하여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를 직접 코일 스프링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고르게 가압력이 부여되고, 디스크의 횡폭 방향으로 균일한 힘이 주어진다. 따라서, 디스크의 사행(斜行) 등이 억제되어 반송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에 상기 디스크 가이드 롤러의 대피 위치에서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맞닿는 스프링편을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 가이드 롤러가 디스크로부터 대피했을 때에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 맞닿는 판 스프링부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재생시에 디스크 가이드 롤러가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이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디스크의 반출시에 상기 반송 롤러와 상기 디스크 가이드 롤러로 디스크를 끼워 넣고 나서 소정 시간 상기 반출 롤러를 디스크의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소정 시간 디스크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반송 롤러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크가 장치 내의 턴테이블이나 클램퍼 등에 걸려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는 없어진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롤러를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부터 반송하는 방향 또는 반송하는 방향으로부터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전환할 때, 소정 시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을 소정 시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 수단의 회전이 갑자기 역방향으로 바뀌어서 장치 내의 각 기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반송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을 실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어 디스크 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접리(接離)가 자유롭게 설치된 클램퍼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퍼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클램퍼 암과, 상기 클램퍼 암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퍼 암과 상부 케이스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는 스프링재로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가 클램퍼 암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완충 부재의 선단을 이젝트시에 디스크와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젝트시에 디스크와 클램프 암과의 충돌이 억제되어 충격음이 발생할 우려는 없어진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반송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을 실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이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디스크의 반출시에 상기 반송 롤러 상기 디스크 가이드 롤러로 디스크를 끼워 넣고 나서 소정 시간 상기 반출 롤러를 디스크의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후, 소정 시간 디스크를 반송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재차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반송 롤러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 써, 디스크가 장치 내의 턴테이블이나 클램퍼 등에 걸려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는 없어진다.
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반송 롤러를 디스크를 배출하는 방향으로부터 반송할 방향 또는 반송할 방향으로부터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을 전환할 때, 소정 시간 상기 반송 롤러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을 소정 시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 수단의 회전이 갑자기 역방향으로 바뀌는 것에 의한 장치 내의 각 기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플레이어 본체부 내에 디스크 재생부를 갖는 플로팅 섀시(floating chassis)를 복수의 댐퍼에 의해 탄성 지지한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부 케이스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하부 케이스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에 댐퍼의 외틀부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댐퍼의 외틀부와 걸어 맞춤하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되고, 이 걸어 맞춤부에 상기 댐퍼의 외틀부가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댐퍼의 외틀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에 끼워 넣어지는 단부(段部)를 설치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댐퍼를 본체부와 하부 케이스의 걸어맞춤부에서 고정하므로 댐퍼 부재를 확실히 장치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리 상부 케이스에 소정 형상의 판 스프링을 고정하고, 이 상부 케이스를 본체에 장착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상부 롤러)에 소정의 가압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으로 지지 부재를 통하여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를 직접 코일 스프링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디스크 가이드 롤러에 고르게 가압력이 부여되고, 디스크의 횡폭 방향으로 균일한 힘이 주어진다. 따라서, 디스크의 사행(斜行) 등이 억제되어 반송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가이드 롤러가 디스크로부터 대피했을 때에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 맞닿는 판 스프링부를 설치함으로써, 디스크의 기록/재생시에 디스크 가이드 롤러가 진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반송 롤러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크가 장치 내의 턴테이블이나 클램퍼 등에 걸려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는 없어진다.
또한, 구동 수단을 소정 시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 수단의 회전이 갑자기 역방향으로 바뀌어서 장치 내의 각 기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부재가 클램퍼 암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완충 부재의 선단을 이젝트시에 디스크와 맞닿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젝트시에 디스크와 클램프 암과의 충돌이 억제되어 충격음이 발생할 우려는 없어진다.
또한, 구동 수단을 제어하고, 반송 롤러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크가 장치 내의 턴테이블이나 클램퍼 등에 걸려 배출할 수 없게 될 우려는 없어진다.
또한, 구동 수단을 소정 시간 정지시킴으로써, 구동 수단의 회전이 갑자기 역방향으로 바뀌는 것에 의한 장치 내의 각 기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를 본체부와 하부 케이스의 걸어맞춤부에서 고정하므로 댐퍼 부재를 확실히 장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 1부터 도 2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제약이 없는 한, 선단측이란 디스크 삽입구(12)와 반대의 본체 케이스(20)의 안쪽을 가리키고, 후단측이란 디스크 삽입구(12)측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10)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디스크(11)(도 9, 도 10)를 재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10)에 있어서, 재생하는 디스크(11)(기록 매체)는 DVD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등의 다른 기록 매체여도 된다.
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 및 삽입된 디스크(11)를 덮는 케이스체로서의 본체 케이스(20), 이 본체 케이 스(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200a), 하부 케이스(200b)를 갖고 있다. 이 본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섀시체로서의 플로팅 섀시(21)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팅 섀시(21)는, 상기 본체 케이스(20)에 대해 디스크(11)의 삽입시에 소정량만 가라않도록, 상기 본체 케이스(20)에 대해 댐퍼를 통하여 탄성 지지된다. 또, 플로팅 섀시(21)에는 도시는 하지 않으나, 이 장치의 제어, 신호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IC를 탑재한 프리트 기판이 장착하는 동시에, 광 픽업이 디스크의 지름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디스크에 대해 액세스가 실시된다.
도 2는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본체 케이스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구성 부품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본체 케이스의 일부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본체 케이스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제 1 슬라이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디스크의 기록/재생 상태의 제 1 슬라이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제 2 슬라이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디스크의 기록/재생 상태의 제 2 슬라이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플로팅 섀시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섀시(21)는 본체 케이스(20)의 섀시 본체(20a)의 내주측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11)가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플로팅 섀시(21)의 측변부와 본체 케이스(20)의 섀시 본체(20a)와의 사이에는, 도 3,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 1 슬라이더(50) 및 제 2 슬라이더(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플로팅 섀시(21)에는 클램프 암(22)이 회동 지점(23)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회동 지점(23)에 클램퍼 암(22)을 걸리게 하기 위해, 클램퍼 암(22)에는 회동 지점(23)의 축에 걸어맞춤하는 구멍부가 설치되고, 이들 구멍 부분과 회동 지점(23)의 축이 각각 걸린다.
클램퍼 암(22)에는 스프링(22s)이 장착되고(도 8 참조), 클램퍼 암(22)은 회동 지점(23)을 중심으로 하여 턴테이블(14)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클램퍼 암(22)에는, 디스크(11)를 턴테이블(14)에 대해 압접시키기 위한 자성체로 이루어진 클램퍼(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퍼(27)를 자석이 장착된 턴테이블(14)에 압접하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과 턴테이블(14)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클램퍼(27)와 턴테이블(14) 사이에 삽입된 디스크(11)가 턴테이블(14) 상에 압접 유지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압접 유지 상태에서 턴테이블(14)이 턴테이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디스크(11) 및 이 디스크(11)를 압접하고 있는 클램퍼(27)가 회전 구동되어 디스크(11)의 기록/재생을 실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클램퍼 암(22)에는 설편(舌片)(24)이 설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11)의 삽입, 배출시 등에는 제 1 슬라이더(50)에 설치된 캠(507)과 설편(24) 이 맞닿고, 클램퍼(27)를 턴테이블(14)로부터 스프링(22s)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퍼 암(22)은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때에 디스크와 맞닿는 선형(扇形)의 작동편(作動片)(220)이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작동편(220)의 선단부에는 디스크가 삽입되었을 때에, 후술하는 제 1 슬라이더(50)의 래크 기어 부재(502)의 돌기(502a)와 맞닿는 핀(221)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시는 하지 않으나, 작동편(220)의 플로팅 섀시(21)와 대향하는 면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디스크가 플로팅 섀시(21)의 재생 위치에 이를 때까지 클램퍼(27)를 디스크로부터 이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가 재생 위치가 될 때까지 작동편(220)은 디스크의 일부에 삽입되고, 작동편(220)은 디스크로부터 대피하도록 요동한다.
또한, 디스크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면, 클램퍼(27)의 이간을 해제하도록, 플로팅 섀시(21)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한 돌기가 삽입되는 구멍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젝트시에는, 클램퍼(27)를 턴테이블(14)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 제 1 슬라이더(50)의 캠(507)이 클램퍼 암(22)의 설편(24)을 들어올린다. 이 캠(507)에 의해 암(22)이 요동을 개시했을 때에, 클램퍼 암(22)이 상부 케이스에 닿고, 그 맞닿음시에 충격음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선단부가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 부재(230)가 클램퍼 암(22)에 형성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230)의 선단부는, 재생시에 상부 케이스에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젝트시에 클램퍼(27)를 디스 크로부터 이간시키기 위해 클램프 암(22)이 열릴 때도 완충 부재(230)가 휘면서 열리므로 충격음이 발생할 우려는 없어진다.
플로팅 섀시(21)에는, 제 1 슬라이더(50) 및 제 2 슬라이더(60)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50) 및 제 2 슬라이더(60)는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섀시 본체(20a)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50)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섀시(21)에 있어서의 디스크의 삽입, 추출 방향으로 평행하게 섀시 본체(20a)의 한쪽 측면측에 장착된다. 제 1 슬라이더(50)는, 슬라이더 본체(501)와 이 슬라이더 본체(501)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장착된 래크 기어 부재(502)를 구비한다. 래크 기어 부재(50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기(502a)와 래크 기어(503a)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501)에는 플로팅 섀시(21)를 지지하기 위한 걸어맞춤 홈(50c, 50d)이 설치되고,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걸어맞춤 볼록부(21c, 21d)(도 8 참조)와 걸어맞춤 홈(50c, 50d)이 디스크의 삽입, 추출시에 걸어맞춤하고, 플로팅 섀시(21)의 일단측은 슬라이더 본체(501)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의 기록/재생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501)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하고,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걸어맞춤 볼록부(21c, 21d)와 걸어맞춤 홈(50c, 50d)의 걸어맞춤은 해제되며, 플로팅 섀시(21)는 후술하는 댐퍼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더(50)의 슬라이더 본체(501)의 디스크 삽입구(12)측에는, 후술하는 하부 롤러(반송 롤러)(70)의 일단부와 걸어맞춤하는 가이드 홈(504)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홈(504)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가 있는 수평부(504a, 504b)와 이 양 수평부(504a, 504b)를 연결하는 사행부(504c)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롤러(70)의 일단부가 수평부(504a)에 위치할 때에는, 하부 롤러(70)는 디스크와 맞닿는 위치에 있다. 또, 디스크가 삽입되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50)가 섀시 본체(20a)에 대해 디스크 삽입구(12)측에 슬라이드하면, 하부 롤러(70)의 일단은 사행부(504c)를 거쳐 수평부(504b)의 위치가 된다. 이 가이드 홈(504)을 따른 하부 롤러(70)의 이동에 의해, 하부 롤러(70)는 디스크로부터 이간하여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제 1 슬라이더(50)의 슬라이더 본체(501)와 섀시 본체(20a)와의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508)이 장착되고, 이 가압 스프링(508)에 의해, 제 1 슬라이더(50)가 디스크 삽입구(12)와는 반대측,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 본체(501)와 래크 기어 부재(502)와의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506)이 장착되고, 이 가압 스프링(506)에 의해, 래크 기어 부재(502)도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삽입에 의해 작동편(220)이 요동하고, 래크 기어 부재(502)의 돌기(502a)와 작동편이 220의 핀(221)이 맞닿음으로써, 가압 스프링(506)에 저항하여 래크 기어(503a)가 섀시 본체(20a)에 장착된 기어(503)와 맞물린다. 이 기어(50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삽입을 위한 구동력 전달 수단 과 종동하는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 기어(503)와 래크 기어(503a)에 의해, 제 1 슬라이더(50)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한다. 래크 기어 부재(502)의 래크 기어(503a)와 기어(503)가 맞물린다. 그리고, 기어(503)의 구동에 의해 래크 기어(503a)가 이동한다. 래크 기어(503a)의 이동에 수반하여 래크 기어 부재(502)의 일부가 슬라이더 본체(501)에 맞닿아 슬라이더 본체(501)를 누른다. 이 결과, 슬라이더 본체(501)가 가압 스프링(505)에 저항하여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더 본체(501)가 기록/재생 위치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보턴과 연동하는 이젝트 핀에 의해, 기록/재생 위치에서 슬라이더 본체(501)는 록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젝트 버튼이 눌러지면, 이젝트 핀의 록은 해제되고, 제 1 슬라이더(50)는 가압 스프링(505)의 가압력에 의해 도 5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 돌아온다.
한편, 제 2 슬라이더(60)는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섀시(21)에 있어서의 디스크의 삽입, 추출 방향과 평행하게 섀시 본체(20a)의 다른 한쪽의 측면측에 장착된다. 제 2 슬라이더(60)에는 플로팅 섀시(21)를 지지하기 위한 걸어맞춤 홈(60c, 60d)이 설치되고,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걸어맞춤 볼록부(21e, 21f)와 걸어맞춤 홈(60e, 60f)이 디스크의 삽입, 추출시에 걸어맞춤하며, 플로팅 섀시(21)의 타단측은 제 2 슬라이더(60)에 지지된다.
또, 디스크의 기록/재생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슬라이더(60)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하여,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걸어맞춤 볼록부(21e, 21f)와 걸어맞춤 홈(60e, 60f)의 걸어맞춤은 해제되고, 플로팅 섀시(21)는 후술하는 댐퍼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플로팅 섀시(21)는 일단측이 제 1 슬라이더(50), 타단측이 제 2 슬라이더(60)로 지지된다.
또, 제 2 슬라이더(60)의 디스크 삽입구(12)측에는, 하부 롤러(70)를 지지하는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선단부에 설치한 핀(707)과 걸어맞춤하는 가이드 홈(604)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 홈(604)은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요동에 따라 제 2 슬라이더(60)를 제 1 슬라이더(50)와 동일하게 슬라이드하도록, 그 가이드 홈(60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는 섀시 본체(20a)에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플로팅 섀시(21)측에 하부 롤러(7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슬라이더(60)측에는, 섀시 본체(20a)에 설치한 구멍에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핀(701)이 걸어맞춤된다. 제 1 스라이더(50)측은 섀시 본체(20a)에 장착한 지지판(도시하지 않음)에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를 지지하는 부재의 핀이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제 1 슬라이더(50), 제 2 슬라이더(60)의 디스크 삽입구(12)측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상부 롤러(디스크 가이드 롤러)(8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505, 60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부(505, 605)의 아래쪽부에 상부 롤러(80)의 지지 부재(810)의 캠 플로워부가 위치할 때, 즉 디스크 삽입시에는 상부 롤러(80)는 디스크에 맞닿는다. 또, 디스크 재생시에는, 제 1 슬라이더(50), 제 2 슬라이더(60)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슬라이드하고, 캠(505, 605)의 위쪽부에 상부 롤러(80)의 지지 부재(810)의 캠 플로워부가 위치하고, 상부 롤러(80)는 디스크로부터 이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삽입구(12) 부분에 설치되는 하부 롤러(70)와 상부 롤러(80)는, 디스크의 출입시에는 양자는 디스크에 맞닿고, 재생시에는 양자는 디스크로부터 이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는, 디스크 삽입구에 디스크를 삽입하고, 디스크를 반송하고 있는 상태의 상하 롤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동측면도, 도 11은 디스크 삽입구 상부 롤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도 4, 도 5, 도 6, 도 7,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삽입구(12) 부분에 설치되는 상하 롤러(70, 80)는, 각각 지지 부재에 의해 섀시 본체(20a)에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즉, 상부 롤러(80)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강철재인 SUS(Steel Use Stainless)(301)로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지지 부재(810)의 플로팅 섀시(21)측의 선단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롤러 지지 부재(810)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예를 들면 유리 무기 필러를 60% 혼입한 PPS(Poly phenylene sulfide) 부재로 구성되고, 제 2 슬라이더(60)측의 디스크 삽입구(12)측에 핀(811)이 설치되며, 이 핀(811)이 섀시 본체(20a)에 설치한 구멍에 걸어맞춤된다. 그리고, 제 1 슬라이더(50)측에는 섀시 본체(20a)와 소정의 간격을 마련하여 지지벽(20e)이 설치되고, 이 지지벽(20e)에 만들어진 구멍에 롤러 지지 부재(810)에 설치한 핀(812)이 걸어맞춤된다. 양 핀(811, 812)을 각각 해당하는 구멍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롤러 지지 부재(810)는 섀시 본체(20a)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롤러 지지 부재(810)의 상부 롤러(80)를 지지하는 근방에는, 제 1 슬라이더(50)측에 캠 플로워부(813)가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고, 제 2 슬라이더(60)측에 캠 플로워부(814)가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 플로워부(813, 814)는 각각 캠부(505, 605)에 맞닿고, 제 1, 제 2 슬라이더(50, 60)의 슬라이드의 움직임에 따라 롤러 지지 부재(810)가 요동하여, 상부 롤러(80)를 디스크(11)에 맞닿음, 또는 디스크로부터 이간시킨다.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롤러 지지 부재(810)는 상부 케이스(200a)에 장착된 예를 들면 SUS301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210)이 맞닿고, 이 판 스프링(210)에 의해 디스크 방향으로 상부 롤러(80)가 가압된다. 이 판 스프링(210)은, 상부 케이스(200a)를 섀시 본체(20a)에 장착하면 판 스프링(210)의 양단부(211)가 롤러 지지 부재(810)의 양단에 각각 맞닿도록 상부 케이스(200a)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상부 케이스(200a)에 소정 형상의 판 스프링을 고정함으로써, 또한 상부 케이스(200a)를 섀시 본체(200a)에 장착함으로써, 상부 롤러(80)에 소정의 가압력이 부여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210)으로 롤러 지지 부재(810)의 양단부를 누르고, 롤러 지지 부재(810)를 통하여 상부 롤러(80)에 가압력을 부여하므로, 상부 롤러(80)를 직접 코일 스프링 등으로 가압함으로써, 상부 롤러(80)에 고르게 가압력이 부여되어, 디스크의 가로 폭 방향으로 균일한 힘이 주어져 디스크의 사행 등이 억제되어, 반송을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판 스프링(210)에는, 상부 롤러(80)가 디스크로부터 이간했을 때에 상부 롤러(80)와 맞닿는 판 스프링부(212)가 설치되어 있으며, 디스크 재생시에 상부 롤러(80)가 진동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롤러(70)는 SUS301로 이루어진 롤러 축(70a)에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고무 롤러(70b)가 장착되고, 디스크(11)의 기록 면에 흠집을 내지 않고 맞닿는다. 디스크 반송시에는, 상기 상부 롤러(80)와 하부 롤러(70)에 의해, 디스크(11)를 끼워 두고, 상부 롤러(80)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210)에 의해 디스크(11)에 소정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하부 롤러(7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롤러 축(70a)의 한쪽 단에는 구동 모터(300)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고, 하부 롤러(70)를 회전하기 위한 기어(30c)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제 2 슬라이더(60)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슬라이더(60)의 가이드 홈(604)과 걸어맞춤하는 핀(701)을 갖는 플레이트 지지 부재(700a)가 장착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지지 부재(700a)에는 섀시 본체(20a)에 설치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맞춤하는 핀(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슬라이더(50)측에는 설치된 지지벽(20e)에 만들어진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에 설치한 핀 (도시하지 않음)된다. 이와 같이, 섀시 본체(20a)와 지지벽(20e)과의 사이에서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가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슬라이더(5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디스크로부터 이간 또는 디스크에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이동에 따라 제 2 슬라이더(60)도 이동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300)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편(711)이 설치되고, 제 1 슬라이더(50)의 가이드 홈(504)을 따른 하부 롤러(70)의 이동에 의해, 하부 롤러(70)가 디스크와 맞닿는 위치로부터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위치편(711)이 프린트 기판에 장착된 스위치와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스위치편(711)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구동 모터가 정지하고,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이 정지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00)의 구동 기어(도시하지 않음)는 기어(30a)와 맞물리고, 이 기어(30a)는 기어 샤프트(30)의 기어(30b)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기어 샤프트(30)가 회전한다. 기어 샤프트(30)에는, 롤러 축(70a)에 장착된 기어(30c)와 맞물리는 기어(30d)와 기어(503)와 맞물리는 기어(30e)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300)로부터의 구동력이 이들 기어 샤프트(30)와 각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고, 하부 롤러(70)의 회전 구동,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이 실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로팅 섀시(21)는 본체 케이스(20)에 대해 디스크(11)의 삽입시에 소정량만 가라앉도록, 본체 케이스(20)에 대해 댐퍼를 통하여 탄성 지지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댐퍼(40)에 의해 플로팅 섀시(21)를 지지하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배면도,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B-B선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되는 댐퍼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되는 댐퍼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팅 섀시(21)에는 댐퍼(40)의 지지 구멍(46)에 삽입되는 지지 핀(21h)이 설치되어 있다. 댐퍼(4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외틀(41)에 엘라스토머로 구성된 댐퍼부(42)로 이루어지며, 댐퍼부(42) 내에는 실리콘 오일이 충전되어 있다. 또한, 플로팅 섀시(21)와 댐퍼 외틀(41)과의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44)이 삽입된다.
댐퍼 외틀(41)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원형으로 형성된 본체부(41a)와 이 본체부에 연접된 섀시 본체(20a) 장착용의 핀(44)과 삽입편(45)이 설치되어 있다. 섀시 본체(20a)의 댐퍼(40)를 장착하는 위치에는 구멍부(20h, 20i)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멍부(20i)에 삽입편(45)을 끼워 넣고, 구멍부(20h)에 핀(44)을 끼워 넣음으로써, 섀시 본체(20a)의 소정의 개소에 댐퍼(40)가 장착된다.
또, 댐퍼 외틀(41)의 하부 케이스(200b)에 면하는 측에는, 하부 케이스(200b)와의 걸어맞춤을 확보하기 위한 단부(段部)(41b)가 본체부(41a)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200b)에는, 댐퍼의 외틀(41)이 걸어맞춤되는 걸어맞춤부(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걸어맞춤부(211)의 대향하는 측변(211a)간의 치수는, 댐퍼 외틀(41)의 단부(41b)간의 치수에 대해 조여 끼워맞춘 상태에서 장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섀시 본체(20a)에 하부 케이스(200b)를 장착했을 때, 걸어맞춤부(211)와 본체부(41a)의 단(段)부(41b)의 걸어맞춤에 의해 댐퍼(40)의 고정 강도가 향상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롤러 지지 부재(810)에 디스크 검출용의 센서(820, 8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경 12 cm의 디스크를 로딩하고, 외경 8 cm의 디스크는 로딩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센서(820)가 온하면 로딩을 개시하나, 센서(820)가 온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센서(821)가 온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 모터(300)를 역회전하여 디스크를 배출한다. 또, 센서(821)의 온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도 구동 모터(300)를 역회전하여 디스크를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물론, 외경 12 cm, 8 cm의 2개의 디스크를 로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이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디스크가 삽입 전의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1)가 끼워 넣어지면, 센서(820, 821)에 의해 디스크(11)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여 구동 모터(300)가 구동한다. 구동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기어 샤프트(30)가 회전하고, 구동 모터(300)로부터의 구동력이 이들 기어 샤프트(30)와 각 기어를 통하여 전달되어 하부 롤러(70)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 롤러(80)와 하부 롤러(70)에 의해 끼워진 디스크(11)는, 상부 롤러(80)를 가압하는 판 스프링(210)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부여된다. 그리고, 하부 롤러(7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1)가 클램퍼(27)를 향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선단쪽으로 반송된 다. 이 때, 제 1 슬라이더(50), 제 2 슬라이더(60)는, 도 4, 도 6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퍼 암(22)의 설편(24)이 캠(507)과 맞닿아, 클램퍼(27)를 턴테이블(14)로부터 스프링(22s)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이간하고 있다.
하부 롤러(7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1)가 장치 내부에 반입되어 가면, 클램퍼 암(22)에 설치된 작동편(220)에 디스크(11)의 선단이 맞닿는다. 디스크(11)의 삽입에 따라 디스크(11)와 맞닿는 작동편(220)이 요동하여, 디스크(11)가 재생 위치가 될 때까지 작동편(220)은 디스크의 일부에 눌려지고, 작동편(220)은 디스크로부터 대피하도록 요동한다. 그리고, 디스크(11)가 소정의 재생 위치에 이르면, 작동편(220)의 선단부의 핀(221)이 제 1 슬라이더(50)의 래크 기어 부재(502)의 돌기(502a)와 맞닿아, 래크 기어 부재(502)를 디스크 삽입구(12) 방향으로 이동시켜, 래크 기어(503a)와 기어(503)가 맞물려,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으로 제 1 슬라이더(50)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들어간다.
도 17은,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 동작을 개시하는 상태를, 도 18은 제 1 슬라이더가 조금 이동한 상태, 도 19는 클램퍼 암(22)이 디스크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크를 클램프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디스크는 생략하고 있다.
래크 기어(503a)와 기어(503)가 맞물리면,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이 기어 샤프트(30)를 통하여 기어(503)에 전달되어 래크 기어(503a)가 이동하고, 제 1 슬라이더(50)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해 간다. 제 1 슬라이더(50)가 이동하 여, 클램퍼 암(22)의 설편(24)이 캠부(507)로부터 이탈하면, 스프링(22s)의 가압력에 의해 클램퍼 암(22)은 디스크(11)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퍼(27)를 자석이 장착된 턴테이블(14)에 압접하고,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과 턴테이블(14)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클램퍼(27)와 턴테이블(14) 사이에 삽입된 디스크(11)를 턴테이블(14) 상에 압접 유지한다.
또,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 홈(504)을 따라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가 내려가서 하부 롤러(70)를 디스크(11)로부터 이간시킨다. 디스크(11)가 클램퍼(27)에 유지되었을 때에는, 하부 롤러(70)는 디스크(11)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또한, 구동 모터(300)에 의해,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은 계속되지만, 하부 롤러(70)는 디스크(11)와 이간하고 있으므로, 디스크(11)에 슬립 등을 일으키지 않고, 흠집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하부 롤러(70)가 디스크(11)로부터 이간했을 때에는, 하부 롤러(70)의 기어(30c)와 기어 샤프트(30)의 기어(30d)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결과, 하부 롤러(7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제 1 슬라이더(50)는 이동하고,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슬라이드하면, 하부 롤러(70)의 일단은 사행부(504c)를 거쳐 수평부(504b)의 위치가 된다. 이 가이드 홈(504)을 따른 하부 롤러(70)의 이동에 의해, 하부 롤러(70)는 디스크로부터 이간하여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는 하부로 내려간다.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2 슬라이더(60)측도 가이드 홈(604)을 따라 디스크 삽입구(12)측을 따라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2, 도 23에 도시한 기록 재생 위치까지 제 1, 제 2 슬라이더(50, 60)가 이동하면,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맞물림 볼록부(21c, 21d, 21e, 21f)와 제 1 슬라이더(50)의 걸어맞춤 홈(50c, 50d) 및 제 2 슬라이더(60)의 걸어맞춤 홈(60e, 60f)의 걸어맞춤은 각각 해제되고, 플로팅 섀시(21)에 설치된 걸어맞춤 볼록부(21c, 21d)와 걸어맞춤 홈(50c, 50d)의 걸어맞춤은 해제되고, 플로팅 섀시(21)는 댐퍼(40)에 의해 지지된다. 또, 롤러 지지 부재(810)에 설치된 캠 플로워부(813, 814)는 각각 캠부(505, 605)에 맞닿고, 롤러 지지 부재(810)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상부 롤러(80)가 디스크(11)로부터 이간시킨다.
또, 하부 롤러(70)가 디스크와 맞닿는 위치로부터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위치편(711)이 프린트 기판에 장착된 스위치와 맞닿아, 스위치편(711)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구동 모터(300)가 정지하고,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이 정지되어 기록/재생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본체(501)가 기록/재생 위치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과 연동한 이젝트 핀에 의해 기록/재생 위치에서 슬라이더 본체(501)는 록된다.
한편, 디스크(11)를 배출하기 위해 이젝트 버튼이 눌러지면, 이젝트 핀의 록은 해제되고, 제 1 슬라이더(50)는 가압 스프링(508)의 가압력에 의해, 도 5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 돌아와,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되돌아온다.
도 24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도 24에 따라 본 발명의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된 제어부(1000)를 구비한다. 제어부(1000)에는 메모리부(1300)가 접속된다. 이 메모리부(1300)에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제어부(1000)는 메모리부(1300)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00)는, 이젝트 버튼, 온오프 동작 등의 각종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부(1400), 디스크(11)의 위치 등을 검출하는 센서(820, 821), 반송 롤러 (하부 롤러)(70)의 위치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1410)와 접속된다. 그리고, 조작부(1400)로부터의 지시 신호나 센서(820, 821)의 검출 신호, 스위치(1410)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1000)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100), 모터 드라이버(310), 트래버스 구동부(12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터 드라이버(310)는, 제어부(1000)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모터(30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은, 각종 기어 등에 의해 구성된 전달 수단(320)에 의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에 전달되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회전 구동된다.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디스크(11)가 턴테이블(14) 상에 반송되고, 또 디스크(11)가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은 전달 수단(320)으로부터 제 1 슬라이더(50) 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더 기구(550)에 부여되고, 클램프 동작 또는 언클램프(unclamp) 동작이 실시된다.
또한, 제어부(1000)는 디스크 회전 구동부(1100), 트래버스 구동부(1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디스크 회전 구동부(1100)는, 턴테이블(14)을 회전 구동하여 디스크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또, 트래버스 구동부(1200)는 픽업을 턴테이블(14)의 근방으로부터 그 반경 방향으로 트래버스 이동시킨다.
제어부(1000)에는 신호 처리 회로(1220)가 접속된다. 이 신호 처리 회로(1220)는, 픽업에 의해 판독된 신호 또는 디스크에 기록하는 신호를 처리한다. 픽업으로부터 판독되어 신호 처리 회로(1220)에서 처리된 신호가 재생 회로(1230)에 주어진다. 재생 회로(1230)는 신호 처리 회로(1220)의 출력으로부터 음성 신호, 영상 신호를 재생하고, 스피커(1240), 모니터(1250) 등의 출력부에 각각의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이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을 도 24의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디스크가 삽입 전의 상태로부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1)가 삽입되면, 센서(820, 821)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부(1000)는 디스크(11)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여 모터 드라이버(310)를 제어하고 구동 모터(300)를 구동시킨다.
구동 모터(300)로부터의 구동력이 각 기어 등을 갖는 전달 수단(320)을 통하여 전달되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부 롤러(80)와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에 의해 끼워진 디스크(11)는,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1)가 클램퍼(27)를 향하여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선단쪽으로 반송된다. 이 때, 클램퍼(27)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4)로부터 이간하 고 있다.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11)가 장치 내부에 반입되어 디스크(11)가 소정의 재생 위치에 이르면,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으로 제 1 슬라이더(50)를 포함한 슬라이더 기구(550)의 이동 동작에 들어간다.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이 전달 수단(320)으로부터 슬라이더 기구(550)에 주어지고, 클램퍼 암(22)은 디스크(11)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퍼(27)를 자석이 장착된 턴테이블(14)에 압접하며, 스프링에 의한 가압력과 턴테이블(14)에 설치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클램퍼(27)와 턴테이블(14) 사이에 삽입된 디스크(11)가 턴테이블(14) 상에 압접 유지된다.
또, 슬라이더 기구(550)에 의해, 가이드 홈(504)을 따라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가 내려가서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디스크(11)로부터 이간한다. 디스크(11)가 클램퍼(27)에 유지되었을 때에는, 반송 롤러(하부 롤러)(70)는 디스크(11)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00)는, 구동 모터(300)의 구동을 계속하여 슬라이더 기구(550)의 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이 계속된다. 그러나, 반송 롤러(하부 롤러)(70)는 디스크(11)와 이간하고 있으므로, 디스크(11)에 슬립 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흠집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또,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디스크(11)로부터 이간했을 때에는,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결과,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의 회전이 정지한다.
또한,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00)의 구동에 의해 제 1 슬라이더(50)는 이동한다. 제 1 슬라이더가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슬라이드하면, 하부 롤러(70)의 일단은 사행부(504c)를 거쳐 수평부(504b)의 위치가 된다. 이 가이드 홈(504)을 따른 하부 롤러(70)의 이동에 의해, 하부 롤러(70)는 디스크로부터 이간하여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시에,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는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하부 롤러 플레이트(700)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2 슬라이더(60)측도 가이드 홈(604)을 따라 디스크 삽입구(12)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2, 도 23에 도시한 기록 재생 위치까지, 슬라이더 기구(550)의 제 1, 제 2 슬라이더(50, 60)가 이동하면 플로팅 섀시(21)는 댐퍼(40)에 의해 지지된다. 또, 상부 롤러(80)가 디스크(11)로부터 이간한다.
그리고,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디스크와 맞닿는 위치로부터 대피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스위치(1410)가 작동하고, 이 스위치(1410)의 출력에 의해, 제어부(1000)는 구동 모터(300)를 정지한다. 그리고, 슬라이더 기구(550)(제 1 슬라이더(50))의 이동이 정지되어 기록/재생 상태가 된다. 기록/재생 위치가 되면,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버튼과 연동한 이젝트 핀에 의해 기록/재생 위치에서 슬라이더 기구(550)(슬라이더 본체(501))는 록된다.
한편, 디스크(11)를 배출하기 위해, 조작부(1400)의 이젝트 버튼이 눌러지면, 이젝트 핀의 록은 해제되고, 제 1 슬라이더(50)는 가압 스프링(508)의 가압력에 의해, 도 5의 상태로부터 도 4의 상태로 돌아오고, 도 2에 도시한 상태로 돌아온다.
조작부(1400)의 출력으로부터 이젝트 버튼이 눌러진 것을 제어부(1000)가 검 출하면, 제어부(1000)는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구동 모터(300)를 동작시킨다. 모터 드라이버(310)는, 구동 모터(300)를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의 구동을 실시하도록 전력을 부여한다. 구동 모터(300)의 구동력은 전달 수단(320)에 의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에 전달된다. 그리고,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부 롤러(80)와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에 의해 끼워진 디스크(11)는 배출된다.
이 때, 제어부(1000)는,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소정 시간 회전하도록 모터 드라이버(310)를 제어한다. 이 소정 시간은 스위치편(711)이 스위치로부터 떨어진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이 제어부(1000)의 제어에 의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디스크(110)에 맞닿아,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소정 시간 회전한다.
그 후, 제어부(1000)는,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부터 디스크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반송 롤러(하부 롤러)(70)의 회전 방향을 소정 시간(예를 들면 0.1초) 역전시키도록 모터 드라이버(310)를 제어한다. 계속해서, 제어부(1000)는, 재차 디스크(11)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반송 롤러(하부 롤러)(70)가 회전하도록 모터 드라이버(310)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 반송 롤러(하부 롤러)(70)는, 소정 시간 배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한 후, 디스크(11)의 배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제어부(1000)는, 센서(820, 821)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디스크(11)가 배출된 것을 검지하면, 구동 모터(300)를 정지하도록 모터 드라이버(320)를 제어하여, 구동 모터(300)가 정지한다.
이와 같이, 구동 모터(300)를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 방향으로 회전시켜 재차 배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디스크(11)가 장치 내의 예를 들면 턴테이블(14) 등에 걸려 배출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구동 모터(300)의 회전 방향을 역전할 때에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0.05 초) 구동 모터(300)를 정지시킨 후, 역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구동 모터(300)의 회전이 갑자기 역방향으로 바뀜으로써 장치 내의 각 기어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 오디오, 휴대용 오디오 장치 등에 이용되며, 특히 차재(車載)용의 DVD 플레이어 장치, CD 플레이어 장치 등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구성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본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본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제 1 슬라이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기록/재생 상태의 제 1 슬라이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의 제 2 슬라이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의 기록/재생 상태의 제 2 슬라이더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플로팅 섀시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구에 디스크를 삽입하고, 디스크를 반송하고 있는 상태의 상하 롤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구에 디스크 를 삽입하고, 디스크를 반송하고 있는 상태의 상하 롤러 부분을 도시한 동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의 디스크 삽입구의 상부 롤러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되는 댐퍼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사용되는 댐퍼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더의 이동 동작을 개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더가 조금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클램퍼 암이 디스크측으로 이동하여 디스크를 클램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클램퍼 암이 디스크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다시 제 1 슬라이더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클램퍼 암이 디스크측으로 이동하고 나서 다시 제 1 슬라이더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 위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 위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2)

  1. 디스크를 반송 롤러와 디스크 가이드 롤러와의 사이에 끼워 넣고, 반송 롤러의 회전 운동에 의해, 디스크의 반송 및 반출을 실시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케이스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되어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접리가 자유롭게 설치된 클램퍼와, 상기 본체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클램퍼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클램퍼 암과, 상기 클램퍼 암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와 맞닿는 완충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 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퍼 암과 상부 케이스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적어도 선단부는 스프링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KR1020087011656A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KR100972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9359 2004-09-07
JP2004259361A JP3953485B2 (ja) 2004-09-07 2004-09-07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004259358A JP3953484B2 (ja) 2004-09-07 2004-09-07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JP-P-2004-00259358 2004-09-07
JP2004259360A JP4557645B2 (ja) 2004-09-07 2004-09-07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2004259359A JP4488844B2 (ja) 2004-09-07 2004-09-07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JP-P-2004-00259361 2004-09-07
JPJP-P-2004-00259360 2004-09-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5254A Division KR100867256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767A KR20080045767A (ko) 2008-05-23
KR100972714B1 true KR100972714B1 (ko) 2010-07-27

Family

ID=360363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657A KR100885362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KR1020077005254A KR100867256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KR1020087011656A KR100972714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657A KR100885362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KR1020077005254A KR100867256B1 (ko) 2004-09-07 2005-09-05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14504B2 (ko)
EP (1) EP1788567A4 (ko)
KR (3) KR100885362B1 (ko)
AU (1) AU2005281117B2 (ko)
TW (3) TWI310932B (ko)
WO (1) WO2006028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8255A1 (ja) * 2006-03-15 2007-09-27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8226339A (ja) * 2007-03-12 2008-09-25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二重挿入防止装置。
TWI364750B (en) * 2007-11-23 2012-05-21 Quanta Storage Inc Restrained device of optical disk drive
JP2012027967A (ja) * 2010-07-21 2012-02-09 Jvc Kenwood Corp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275315B1 (ko) * 2011-05-17 2013-06-17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3295602B (zh) * 2012-02-24 2015-10-28 谷林电器(深圳)有限公司 光碟播放装置
JP6265782B2 (ja) * 2014-03-03 2018-01-24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042A (ja) * 2002-07-19 2004-02-1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位置決め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9745B (en) * 1980-02-15 1985-02-06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dis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of recording-disc playback apparatus
AU564899B2 (en) * 1983-10-27 1987-08-27 Sony Corporation Compact disk player
JPH0356950Y2 (ko) * 1985-10-18 1991-12-24
JPS6418454U (ko) * 1987-07-23 1989-01-30
JPH06119702A (ja) 1992-10-06 1994-04-28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装置
JP2902886B2 (ja) * 1992-12-28 1999-06-07 三洋電機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演奏装置
JPH07141743A (ja) * 1993-11-12 1995-06-02 Nakamichi Corp ディスクプレ−ヤのトレイ駆動装置
JP3514549B2 (ja) * 1995-05-26 2004-03-3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搬送装置
JPH097263A (ja) * 1995-06-15 1997-01-10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装置
JPH09204765A (ja) 1996-01-30 1997-08-05 Nec Yamagata Ltd Cd−romプレーヤ装置
JP3606695B2 (ja) * 1996-12-27 2005-01-0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H11162067A (ja) * 1997-11-28 1999-06-18 Alps Electric Co Ltd 記録媒体搬送機構
JP4041569B2 (ja) * 1997-12-26 2008-01-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1143351A (ja) * 1999-11-12 2001-05-25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プレーヤ
JP4071410B2 (ja) * 1999-11-12 2008-04-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1331997A (ja) 2000-05-19 2001-11-30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フローティングロック機構
JP3619133B2 (ja) 2000-08-31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4378066B2 (ja) 2001-10-31 2009-12-0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ディスク駆動機構及びこのディスク駆動機構を用いたディスク再生装置
EP1583093A4 (en) * 2002-11-28 2008-06-11 Sanyo Electric Co DISK READER
US7013471B2 (en) * 2003-08-25 2006-03-14 Tanashin Denki Co. Ltd. Disk play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042A (ja) * 2002-07-19 2004-02-1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位置決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174A (ko) 2007-04-09
TWI337739B (en) 2011-02-21
EP1788567A4 (en) 2009-10-28
TW200735041A (en) 2007-09-16
KR100885362B1 (ko) 2009-02-26
TW200735050A (en) 2007-09-16
KR20080047631A (ko) 2008-05-29
WO2006028056A1 (ja) 2006-03-16
US7814504B2 (en) 2010-10-12
TW200623038A (en) 2006-07-01
KR100867256B1 (ko) 2008-11-06
KR20080045767A (ko) 2008-05-23
AU2005281117A1 (en) 2006-03-16
AU2005281117B2 (en) 2009-01-08
EP1788567A1 (en) 2007-05-23
US20070258347A1 (en) 2007-11-08
TWI310932B (en) 2009-06-11
TWI334129B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714B1 (ko)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
US6735161B1 (en) Recording-medium transfer device
KR100437111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JP4076543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JP3995455B2 (ja) ディスク装置
CN100472627C (zh) 盘播放装置
JP4488844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KR19990043969A (ko) 기록매체반송장치
US20020150020A1 (en) Positional displacement compensating mechanism and recording medium playback device
JP4197146B2 (ja) ディスク装置
JP4597503B2 (ja) ディスク装置
JP4736865B2 (ja) ディスク装置のスロ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395348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455764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5100575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076546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JPH1013446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4076544B2 (ja) ディスク記録媒体処理装置
JP521653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2048207A (ja) 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149199A (ja) ディスク装置
JP4196987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235066B1 (ko) 차량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3810010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
JP2007234203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212

Effective date: 201005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