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331B1 -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331B1
KR100971331B1 KR1020070091556A KR20070091556A KR100971331B1 KR 100971331 B1 KR100971331 B1 KR 100971331B1 KR 1020070091556 A KR1020070091556 A KR 1020070091556A KR 20070091556 A KR20070091556 A KR 20070091556A KR 100971331 B1 KR100971331 B1 KR 100971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area
size
conductive reg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656A (ko
Inventor
고오이찌 구보
야스오 고오따끼
데쯔야 오오하시
히또시 다까다
료오지 이노우에
히데끼 오구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 공급부에 수용된 잉크의 안료 입자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유량에 있어 서로 다른 기록 헤드들에 대해 사용가능한 잉크 용기를 제공한다. 사용된 기록 헤드에 있어서의 필터의 사이즈에 맞추어서, 잉크 비-도통 영역들이 압접 부재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압접 부재에 남아있는 침강 잉크의 이동이 차단된다. 그 결과로, 유량에 있어 서로 다른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용기의 공용화가 실현된다.
잉크 용기, 기록 헤드, 압접 부재, 잉크 도통 영역, 잉크 비-도통 영역, 교반 부재

Description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INK CONTAINER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잉크 용기의 잉크 흡인 동작과 기록 헤드의 잉크 도입부 사이의 접속에 대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고품질 기록 영상과 보다 덜한 소음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 잉크 젯 프린터 등의 잉크 젯 기록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잉크 젯 기록 장치는 비교적 소형의 프린터로서 제조 가능하므로, 많은 경우 개인용 프린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개인용 프린터에서는, 사용자는 잉크 용기 및 잉크를 공급하는 기록 헤드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 잉크 젯 카트리지를 교체한다. 특히, 잉크 용기만을 교체하는 구성은, 잉크 용기를 기록 헤드와 함께 교체하는 구성과 비교하는 경우에,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교체가능한 잉크 용기에 대하여, 일본 공개 특허 출원(JP-A) 평 09- 300646호는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또한 잉크 용기의 장착 및 탈착 중에 공기의 혼입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특히, JP-A 평 09-300646호의 도5 내지 도7에는, 잉크 용기의 잉크 공급부에 압접 부재(모세관 부재)가 제공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접 부재는 흡수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압접 부재는 잉크 용기 내부로부터 도출된 잉크를 수용하고,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가 토출됨에 의한 부압의 변화에 따라서, 수용된 잉크를 공급로로 배출한다.
상기 잉크 용기에 담기거나 또는 수용된 잉크에 관해서는, 착색재로서 염료를 사용하는 염료 잉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한편, 옥외 게시를 위한 프린트물 등의 용도에 대해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내광성(耐光性) 및 내후성(耐候性)에 있어서 개선된 잉크로서, 안료를 착색재로 사용하는 안료 잉크가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안료가 분산계 색재이기 때문에, 안료 잉크는 잉크 용기내에서 안료 입자들의 침강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잉크 용기가 잉크 젯 프린터에 장착된 상태로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는 경우, 안료 입자들이 잉크 용기내에 차츰 침강된다. 이러한 이유로, 잉크 용기에서는, 저면으로부터 그 잉크 용기의 상부를 향하여 안료 입자들의 농도 구배가 발생한다. 그 결과, 잉크 용기의 저면에 위치한 잉크는 안료 입자 농도가 증가하여 색이 과도하게 짙은 층을 형성한다. 다른 한편, 잉크 용기의 상부에 위치된 잉크는 안료 입자 농도가 감소하여 색이 과도하게 옅은 층을 형성한다.
잉크 용기내의 잉크가, 잉크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도출되어 공급되는 경우 에, 최초에는, 높은 안료 입자 농도를 갖는 잉크가 공급되고, 따라서 색이 과도하게 짙은 영상이 기록된다. 즉, 잉크 용기의 사용 초기 단계에서의 기록 영상과, 그 잉크 용기의 사용 후기 단계에서의 기록 영상 사이에 기록 (영상) 농도에 있어서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현상은, 색의 농담에 의해 컬러 영상을 기록하는 컬러 기록에 있어 특히 현저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P-A 2004-216761호 공보는, 잉크 용기 내부에, 캐리지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교반 부재가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였다. 캐리지의 왕복 운동에 의해, 교반 부재는 잉크 용기내의 잉크를 교반시키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잉크내의 안료 입자들이 농도 구배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JP-A 2004-216761호 공보에 기재된 교반 구성은, 잉크가 수용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잉크의 침강을 억제하는데에 있어서만 효과적이다. JP-A 평 09-300646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압접 부재를 구비한 잉크 용기의 경우에는, 압접 부재내에 이미 존재하는 잉크의, 예를 들면 높은 안료 입자 농도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압접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압접 부재내의 잉크의 농도 균일화는, 일반적으로는 기록 장치 본체로부터의 흡인 동작에 의해 압접 부재내의 고농도 잉크를 제거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잉크 용기는, 장착된 기록 헤드의 기록 속도에 맞추어진 양으로 잉크가 공급될 수 있게끔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잉크 용기 의 공급구의 사이즈는 상기 잉크 공급량 또는 잉크 유량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높은 잉크 유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가 새로이 개발되는 경우에는, 이 기록 헤드의 잉크 유량에 대응하는 유량으로 잉크를 공급가능한 공급구를 갖는 신규의 잉크 용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근년에 있어서의 잉크 및 기록 속도의 현저한 진화에 의하여, 매년 잉크 용기의 종류가 증가하여, 신규의 잉크 용기를 개발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필요하고 또한 각종의 프린터 기종을 생산하기 위한 설비투자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저렴한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제조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기 위해서는, 장래의 기록 속도에 대응하는 잉크 용기를 개발하여, 제품의 기종수의 증가를 막고, 새로운 잉크 용기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것이 요망된다. 이 목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잉크 용기에 있어서의 잉크 공급구의 개구 면적을 미리 크게 설계하여, 유량의 증대에 대처가능한 공통화된 잉크 용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JP-A 평 09-300646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잉크 공급구에 제공되는 압접 부재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에 있어서는, 공급구의 개구 면적의 공용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압접 부재가 공동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압접 부재의 사이즈가 공급구의 개구 면적에 부합하여 커진다. 잉크 용기를 비교적 적은 유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에 장착하는 경우에, 압접 부재에 수용된 잉크 모두가 흡인 동작으로 제거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접 부재와 접촉하는 기록 헤드의 공급구의 개구의 평면적이 압접 부재의 평면적보다도 작고, 따라서 흡인 동 작에 의해서 상기 공급구 개구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들에서 압접 부재로부터 잉크를 흡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흡인 동작으로 제거되지 못한 채 압접 부재에 남은 고농도 잉크가, 흡인 동작 후에 압접 부재내에서 점차 확산함으로써, 그 고농도 잉크가 최종적으로 기록 헤드로 토출될 수 있다. 그 결과, 기록 헤드가 고농도 잉크를 토출하여 프린트물의 영상 농도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압접 부재에 수용된 잉크의 안료 입자 농도 등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않고, 잉크 유량에 있어 서로 다른 기록 헤드들에 사용될 수 있는 잉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잉크 용기를 사용하는 잉크 젯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에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잉크 용기이며,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와,
상기 잉크 도입 영역에 접촉 가능한 압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과, 상기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도통 영역으로부터 제1 도통 영역으로의 잉크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비-도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 및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지 않은 잉크 용기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젯 기록 장치이며,
상기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잉크를 기록 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구비하는 잉크 용기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수단과,
상기 잉크 용기의 상기 공급구와 잉크 도입 영역이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기록 헤드를 통해 상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에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와,
상기 잉크 도입 영역에 접촉 가능한 압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과, 상기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도통 영역으로부터 제1 도통 영역으로의 잉크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비-도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 및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흡인 수단은, 상기 제1 도통 영역 및 제2 도통 영역 중 상기 잉크 도입 영역과 접촉하는 도통 영역에 수용된 모든 잉크를 흡인가능한 잉크 젯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통 영역들 사이의 잉크의 이동이 압접 부재의 비-도통 영역에 의하여 방지된다. 그러므로, 기록 헤드의 잉크 도입 영역과 접촉하지 않고 압접 부재내에 남아있는 잉크가 다른 도통 영역들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 결과, 기록 헤드내로 고농도 잉크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기록 영상에 악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들과 결부되어 만들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이하의 설명을 고찰하면,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보다 분명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는, 잉크 공급부에 압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를 유량에 있어 서로 다른 기록 헤드에 대해 공용화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접 부재의 공유화를 실현함으로써, 잉크 유량(공급량)에 관하여 신규한 기록 헤드 각각의 개발에 대한, 잉크 용기를 개발할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개발 비용과 설비 투자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잉크 용기의 제조 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저렴한 잉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2a 및 도2b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1은, 도2a에 나타낸 A-A 선을 따른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잉크 용기(T00)는 잉크(T05)를 수납 또는 수용하는 용기이며,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T01) 및 캡 부재(T02)로 구성되는 케이싱을 갖는다. 중력 방향에 대하여 잉크 용기(T00)의 저면에는, 기록 헤드에 잉크(T05)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부(T03)가 제공되어 있다.
잉크 용기(T00) 내부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T05)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T04)가 제공되어 있다. 잉크 저장 챔버(T04)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잉크 용기(T00)는 용기 본체(T01)와 캡 부재(T16)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의 내부 벽면에 코일 스프 링(T12)이 제공되어 플렉서블 시트 부재(T11)를 압압(press)하여 잉크 저장 챔버(T04)를 확대시킴으로써,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부압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잉크 저장 챔버(T04) 내부에는, 잉크 저장 챔버(T04) 안의 잉크(T05)의 침강 성분의 침강에 의해 농도 구배가 발생되는 때에, 농도를 균일화하기 위한 교반 부재(기구)(13)가 제공되어 있다. 교반 부재(T13)는 용기 내부에 제공된 지지 부재(T14)에 의해 지지되며, 잉크 용기(T00)가 장착된 캐리지의 이동에 의해 요동함으로써, 용기 내부에서 잉크의 교반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교반 부재(T13)는 판상의 형상을 갖지만 그 형상은 상기 판상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중력 방향에 대한 잉크 저장 챔버(T04)의 저면에는, 잉크 공급부(T03)가 제공되며, 기록 헤드로 도출되는 공급 통로와의 접촉에 의해 기록 헤드와 연통하는 유로를 구성한다. 잉크 공급부(T03)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니스커스(meniscus)-형성 부재(T07) 및 압접 부재(T06)가 제공되어 있다. 잉크 저장 챔버(T04)의 내부는 부압으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메니스커스-형성 부재(T07)는, 용기의 외부로부터 잉크 저장 챔버의 내부로 기포를 흡인하지 않도록 잉크(T05)에 의한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저장 챔버에 발생하는 부압의 최대값보다 큰 메니스커스-유지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재가 선택된다. 압접 부재(T06)는, 상기 압접 부재(T06)가 기록 헤드로 이어지는 잉크 공급 포트와 접속된 때에, 접촉 방향에 대한 위치 변동을 흡수하도록 어느 정도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또한 압접 부재(T06)는 상기 접속 중에 잉크(T05)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모세관력을 갖는 부재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접 부재(T06)는, 예를 들어, 수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된다. 잉크 공급부(T03)의 개구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유량에 있어서의 증대에 대응가능한 비교적 커다란 개구 면적을 가지고 있다.
도3a 및 도3b는, 압접 부재(T06)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도3a는 길이방향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3b는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SA1’내지‘SA3’는 잉크 도통 영역, 즉, 압접 부재내에서 잉크 용기로부터 기록 헤드를 향하여 잉크 공급 방향으로 잉크가 이동가능한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 부호‘SB1’및‘SB2’는 비-잉크 도통 영역, 즉, 도통 영역(예를 들어,‘SA1’또는‘SA3’)으로부터의 잉크가 비-도통 영역(예를 들어,‘SB1’또는‘SB2’)으로 진입할 수 없는 영역을 나타낸다. 도3b에서, 참조 부호‘SF’는, 잉크 용기가 장착된 기록 헤드의 잉크 도입부(또는 잉크 도입 영역, H02)에 제공되는 필터(H01)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참조 부호‘SF’는, 기록 헤드로 도출되는 잉크 공급로내에서 압접 부재와 접촉하는, 기록 헤드의 필터(H01)의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잉크 도통 영역(SA1 내지 SA3)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와 접속된 때에, 잉크(T05)를 기록 헤드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구성하는 영역들이다. 또한, 잉크 도통 영역(SA1 내지 SA3)들은, 특히,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가 이동 불가능한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에 의해 구성되는 경계를 그들 사이에 갖고 있다.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은, 평탄한 판상의 압접 부재(T06)를 가공 혼(processing hone)들 사이에 끼워넣고, 상기 압접 부재를 압축시키면서 가열 용융(heat-fusing)하고, 이어서 고화를 위해 냉각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즉, 압접 부재를 구성하는 영역들 중에서, 상기 잉크 비-도통 영역은,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공급 방향으로 잉크가 이동가능한 영역을 분리시키는 영역이다. 압접 부재의 용융 수단으로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급속 가열과 급속 냉각이 가능한 임펄스(impulse) 히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용융 수단은 상기 임펄스 히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초음파 등의 마찰열에 의한 용융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가공 혼에 의한 가열 용융은, 압접 부재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수행되어도 되고, 잉크 도통 영역들 사이에 잉크의 이동을 방지하기만 하면 된다. 잉크 비-도통 영역의 형상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접 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잉크 공급구를 향하는 잉크의 흐름 방향(화살표로 나타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뻗어 있으면 되며, 상기 압접 부재는 모든 폭과 형상을 받아들인다.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헤드측 공급로의 사이즈(SF)를 갖는 필터와 접촉하는 잉크 도통 영역(SA2)이 적정한 평면적을 갖도록 한정하고 있다. 여기서, 적정한 평면적은, 기록 헤드의 필터를 통하여 잉크를 도출하는 영역{이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도통 영역(SA2)}에 수용된 모든 잉크가 제거될 수 있는 평면적을 의미한다.
도4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가 비교적 적은 잉크 유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를 채용하는 프린터에 장착된 때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또한 접 속부를 측면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저장 챔버(T04)에 대하여 중력방향(하방)에 관해 기록 헤드(H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잉크 도입부(H02)와, 잉크 공급부(T03)가 연통하도록, 잉크 용기(T00)가 기록 헤드(H00)에 접속된다.
잉크 도입부(H02)는, 잉크 유로(H03)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필터(H01)를 구비하고 있다. 잉크 도입부(H02) 및 잉크 유로(H03)는,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공급로를 구성한다. 잉크 용기(T00)와 기록 헤드(H00) 사이의 잉크의 연통은, 기록 헤드(H00)의 필터(H01)와 압접 부재(T06)의 저면이 접촉함으로써 수행된다.
도4에 도시된 경우에, 필터(H01)는 작은 평면적을 갖고, 따라서 필터(H01)는 잉크 도통 영역(SA2)에만 접촉한다. 그 결과, 잉크 도통 영역(SA2)만이 기록 헤드(H00)로 잉크를 공급가능한 유로를 구성한다. 즉, 압접 부재 단부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에 의해, 기록 헤드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터(H01)와 접촉하지 않는, 잉크 도통 영역(SA1 및 SA3)에 수용된 잉크(T05)는 필터(H01)를 통하여 잉크 유로(H03)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a 내지 도5c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를 도시하며, 안료 입자들의 침강 중에 침강 입자들에 의해 농도가 증가한 잉크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9a 내지 도9c는, 압접 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잉크 용기에 있어서의 잉크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잉크 거동과, 종래의 잉크 용기의 잉크 거동을 비교하여가며,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5a 및 도9a 각각은, 이 실시형태의 프린터에서 관련된 잉크 용기의 교반 동작 후의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교반 동작은, 프린터(기록 장치)에 대한 캐리지의 스캐닝 중에, 잉크 용기내에 제공되는, 도2b에 도시된 교반 부재(T13)의 요동에 의해 잉크의 교반을 수행한다. 도9a는, 종래의 잉크 용기내에서의 잉크 안료 입자들의 침강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잉크 용기내의 잉크(T05)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균일한 농도를 갖고 있다. 이전 단계에서 안료 성분의 침강이 일어난 잉크 용기(T00)가 캐리지에 의해 이동되어 잉크 용기 내의 잉크(T05)를 교반하면, 그 잉크의 농도가 균일화된다. 그러나, 교차 사선으로 표시된, 압접 부재(T06)에 수용된 잉크는 교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잉크의 농도가 균일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5a 및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료가 침강된 잉크(T08)는 압접 부재 내에 계속 머물러 있다.
도5b 및 도9b 각각은, 프린터에 의해 흡인 동작이 수행된 직후의 잉크 용기 내의 잉크의 침강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경우에,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H01)가 접촉되어 있는 잉크 도통 영역(SA2)내의 침강 잉크(T08)가 흡인 동작에 의해 제거된다. 그 결과, 도5b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잉크 저장 챔버(T04)에 존재하는 농도가 균일화된 잉크(T05)가, 흡인 동작이 완료된 후에 압접 부재(T06)의 잉크 도통 영역(SA2)(도5b에서 점을 찍은 부분으로 표시 됨)으로 도입된다. 필터(H01)가 접촉되지 않은 다른 잉크 도통 영역(SA1 및 SA3)에서는, 침강 잉크(T08)가 제거되지 않고 계속 남아 있다(도5b에서 교차 사선으로 나타냄).
한편, (종래의) 압접 부재를 구비하는 종래의 잉크 용기에서는,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인 동작에 의해, 화살표(B)로 나타낸 방향으로 잉크의 흐름이 일어난 영역에서 침강 잉크(T08)가 제거된다. 그 결과, 농도가 균일화된 잉크 저장 챔버(T04)내의 잉크(T05)가 상기 영역{도9b에서 점 찍은 부분으로 나타냄}으로 유입한다. 그러나, 압접 부재(T06)의 양단부를 구성하는 영역으로는, 잉크(T05)가 유입되지 않고, 따라서 고농도 잉크가 압접 부재(T06)의 상기 영역{도9b에서 교차 사선으로 나타냄}에 계속하여 남아있게 된다.
도5c 및 도9c 각각은, 도5b 및 도9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잉크 용기를 수시간 동안 방치한 때의 잉크 용기내의 잉크의 침강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5c 및 도9c 각각은, 잉크 용기가 흡인 동작을 거치고 나서, 수시간 동안 방치된 후의 잉크 용기내의 잉크의 침강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접 부재를 구비한 종래의 잉크 용기에서는, 그 잉크 용기가 흡인 동작 후에 수시간 동안 방치되면, 그 흡인 동작으로 제거되지 않았던 침강 잉크(T08)가, 화살표(C1 및 C2)로 나타낸 방향으로 점차 확산한다. 그 결과, 침강된 안료 입자들을 함유하는 잉크가 잉크 유로(H03)를 통하여 기록 헤드(H00)로 공급되고, 이 기록 헤드(H00)로부터 토출되어 기록 품질에 악영향을 주고, 따라서 경우에 있어서는 (영상) 농도 불균일 등을 발생시킨다.
한편,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T00)에서는, 잉크의 침강 상태가 도5c에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잉크 도통 영역(SA1 및 SA3)에 남아있는 침강 잉크(T08)는,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에 의해서, 기록 헤드(H00)로 유입하는 것이 차단되어 있다. 그 결과, 높은 색재 농도 등의 불균일한 색재 농도를 갖는 잉크가 잉크 도통 영역(SA1 및 SA2)에 남아있게 된다. 그러므로, 고농도 잉크가 기록 헤드(H0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균일한 색재 농도를 갖는 잉크의 기록 품질에 대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필터(H01)와 접촉하는 잉크 도통 영역(SA2)이, 흡인 동작에 의해, 잉크 도통 영역(SA2)에 수용된 모든 잉크를 제거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잉크 도통 영역(SA2)내에 고농도 잉크가 남아있더라도 흡인 동작에 의해 그 고농도 잉크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6a, 도6b,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잉크 도통 영역(SA2)의 사이즈를 한정하는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는 실험예를 설명한다.
도6a 및 도6b는, 실험예에 사용된 압접 부재(T06)의 저면도이다. 도6a는, 필터(H01)와의 접촉 영역(SF)과, 필터(H01)와의 비-접촉 영역(SH) 사이의 평면적비가 SF:SH=1:1.3을 만족하게끔 설정되게, 잉크 도통 영역(SA2)이 설계되어 있는 압접 부재를 보여주고 있다. 도6b는, 접촉 영역(SF)과 비-접촉 영역(SH) 사이의 평면적비가 SF:SH=1:2를 만족하게끔 설정되게, 잉크 도통 영역(SA2)이 설계되어 있는 압접 부재를 보여주고 있다.
위에 설명한 것처럼 설계된 2종류의 압접 부재(T06) 각각이, 이전 침강 상태 에서 안료 입자들이 배치된 고농도 잉크에 상당하는 잉크로 채워진 잉크 용기(T00)에 합체된다. 결과로서 얻은 잉크 용기 각각이, 접촉 면적(SF)을 갖는 필터(H01)가 구비된 기록 헤드(H00)가 또한 장착된 프린터에 장착되어, 교반 및 흡인 동작을 받았다.
교반 및 흡인 동작 직후(‘교반 후’)에 기록하여 얻은 프린트물과, 잉크 용기가 교반 및 흡인 동작을 받고 나서 3.5 시간 동안 60℃에서 방치된 후(‘방치 후’)에 기록하여 얻은 프린트물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프린트물 각각을 균일한 안료 농도를 갖는 새(fresh) 잉크로 기록하여 얻은 프린트물과 비교하여 (영상) 농도 불균일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록에 의하여 얻은 영상을 소정의 지점에서의 색차(ΔE)를 결정하기 위해 0에서 32까지의 각각의 농도 레벨로 비교하였다. 색차(ΔE)는, 색공간(color space)에서 두 색상간의 색상의 차를 의미하며, 먼셀(Munsell) 표색계, L*a*b* 표색계, L*C*h* 표색계, 헌터 랩(Hunter Lab) 표색계, 또는 XYZ 표색계 등의 표색계를 바탕으로 수치로 얻어질 수 있다. 표색계로부터 얻은 두 색상간의 색차(ΔE)가 작으면 작을수록, 보다 양호한 영상이 얻어진다. 색차(ΔE)가 크면 클수록, 결과로서 얻어진 영상은 눈으로 관찰하였을 때 악화된다. 이 실험예에서, (ΔE)가 6을 초과하면, 그 영상을 양호하지 못한 영상으로 판정내린다.
그 판정 결과가 표 1에 나타내어져 있다.
압접 부재 교반 후 방치 후
SF:SH=1:1.3 우수함 우수함
SF:SH=1:2 우수함 양호하거나 적정함
상기 실험예의 결과로, 어느 면적비 이하에서는, 농도 불균일에 관하여 기록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도통 영역(SA2)에 대한 필터(H01)의 비-접촉 면적(SH)과, 잉크 도통 영역(SA2)에 대한 필터(H01)의 접촉 면적(SF)의 평면적비가, SF:SH=1:1.3 이하이면, 양호한 기록이 가능함이 판명되었다. 위의 실험 결과는, 사용된 잉크의 견지에서 프린터의 흡인 성능 등의 설정 팩터들에 있어서의 차이에 따라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SF:SH 비는 팩터들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도7a 및 도7b는,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를, 상정하는 최대유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와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즉, 이들 도면은,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를, 도4에 도시된 헤드에 의해 제공되는 것보다 많은 잉크 공급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7a는,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7b는,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접속된 때의 압접 부재와 기록 헤드의 필터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영역 분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헤드(H00)의 필터(H01)는,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과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압접 부재(T06)의 잉크 도통 영역(SA1~SA3) 각각에 접촉한다. 이 경우에, 압접 부재(T06)의 영역 분포는, 도7b에 도시되어 있다.
필터(H01)의 접촉 영역(SF)은,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영역(SF1, SF2, SF3)은 각기 잉크 도통 영역(SA1, SA2, SA3)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비-접촉 영역(SH1, SH2, SH3)은 각기 접촉 영역(SF1, SF2, SF3)에 이웃하여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전술의 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잉크 도통 영역(SA1~SA3)에 대하여, 접촉 영역(SFn)(n=1, 2, 3)과 비-접촉 영역(SHn)(n=1,2,3) 사이의 평면적비가 SFn:SHn=1:1.3 이하가 만족되도록 압접 부재(T06)와 필터(H01)의 사이즈가 설정된다. 그 결과, 압접 부재와 접촉하는 기록 헤드가 바뀌더라도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공용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말하면, 필터(H01)는 압접 부재의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갖는다. 이들 부분은 무효 영역이기 때문에, 이들 무효 부분들을 고려하여 필터(H01)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도8a 및 도8b는, 기록 헤드(도7a 및 도7b)에 의해 제공되는 상정되는 최대 유량과, 기록 헤드(도4)에 의해 주어지는 소 유량 사이의 중간 유량을 제공하는 기록 헤드와 접촉하는 압접 부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즉, 이들 도면은,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접속되는 때의 접속 상태를 보여준다. 도8a는, 접속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8b는, 잉크 용기가 기록 헤드에 접속되었을 때의 압접 부재와 기록 헤드의 필터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영역 분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헤드(H00)의 필터(H01)는, 잉크 비-도통 영역(SB2)과 접촉하지 않으면서, 압접 부재(T06)의 잉크 도통 영역(SA2 및 SA3) 각각에 접촉한다. 이 경우에, 압접 부재(T06)의 영역 분포가 도8b에 도시되어 있다.
필터(H01)의 접촉 영역(SF)은 잉크 비-도통 영역(SB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 영역(SF2 및 SF3)은 각기 잉크 도통 영역(SA2 및 SA3)에 위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비-접촉 영역(SH2 및 SH3)은 각각 접촉 영역(SF2 및 SF3)에 이웃하여 위치된다. 이 경우에, 비-접촉 영역(SH1, SH2, SH3)은 각기 접촉 영역(SF1, SF2, SF3)에 이웃하여 위치된다. 이 경우에, 전술의 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잉크 도통 영역(SA2 및 SA3)에 대하여, 접촉 영역(SFn)(n=2 및 3)과 비-접촉 영역(SHn)(n=2 및 3) 사이의 평면적비가 SFn:SHn=1:1.3 이하가 만족되도록 압접 부재(T06)와 필터(H01)의 사이즈가 설정된다. 그 결과, 압접 부재와 접촉하는 기록 헤드가 바뀌더라도 이 실시형태의 잉크 용기의 공용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말하면, 필터(H01)는 압접 부재의 잉크 비-도통 영역(SB2)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갖는다. 이 부분은 무효 영역이기 때문에, 도7a 및 도7b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무효 부분을 고려하여 필터(H01)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형태)
위에 설명된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잉크 비-도통 영역(SBn)들의 형상은, 대(최대) 유량의 기록 헤드가 압접 부재에 접속되는 때에, 필터(H01)의 무효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선 형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잉크 비-도통 영역들의 형상은 직선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은 잉크 비-도통 영역(SB1)이 폐쇄되어있게끔 기다란 루프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비-도통 영역들이, 원호 형상의 잉크 비-도통 영역(SB1 및 SB2)들이어도 된다.
잉크 비-도통 영역(SBn)의 개수는,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3 종류의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용기의 공용화를 실현하기 위해, 2 개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2 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비-도통 영역(SBn)의 개수를 늘임으로써, 더 많은 종류의 기록 헤드에 대한 잉크 용기의 공용화를 확보할 수 있다.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안료 잉크를 수용하는데 잉크 용기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상기 안료 잉크로 한정되지 않는다. 염료를 색재로 사용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의 경우이더라도, 예를 들어 증점된 잉크가 기록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9a 내지 도9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압접 부재내의 모든 염료 잉크가 흡인에 의해 제거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압접 부재에 남아있는 염료 잉크가 증점되어, 그 후에 기록 헤드측으로 유입하여 농도 불균일이 기록 영상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료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일반을 수용하는 잉크 용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시킨 압접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도11은, 상술된 잉크 용기 및 기록 헤드를 사용할 수 있는 잉크 젯 기록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이 실시형태의 잉크 젯 기록 장치는, 장치 본체, 시트 급송부, 및 시트 배출 트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장치 본체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M3019)와 기록 동작 기구 등으로 구성된다. 기록 동작 기구는, 양방향-지시 화살표(A)로 나타내어진 주 스캐닝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한 캐리지(M4001)를 포함한다. 캐리지(M4001)에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와, 이 잉크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복수의 잉크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 가능한 잉크 젯 기록 헤드가 탑재된다. 잉크 용기는, 기록 헤드와 분리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잉크 용기에 수용된 잉크량이 소량으로 되었을 때에 새 잉크 용기와 교환될 수 있다. 기록 헤드는, 예를 들면, 전기 열변환 부재(히터) 또는 압전(piezoelectric) 소자 등을 사용하여 잉크를 토출할 수 있다. 전기 열변환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기 열변환 부재의 발열에 의해 잉크가 기포를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발포 에너지를 이용하여 잉크 토출구를 통해 잉크를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시트-급송부로부터 급송되는 기록 시트(기록 매체)는, 화살표(B)로 나타내어진 서브-스캐닝 방향으로 이송된다.
기록 시트 상에 영상이 기록되는 때에는, 기록 동작과 이송 동작이 반복된다. 기록 동작에 있어서, 기록 헤드는, 캐리지(M4001) 및 잉크 용기와 함께 주 스캐닝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 토출구로부터 잉크를 토출한다. 이송 동작에 있어서, 기록 시트는 서브-스캐닝 방향으로 소정량 이송된다. 기록 동작과 반송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기록 시트상에 순차적으로 영상이 기록된다.
캐리지(M4001)의 이동 경로의 일방의 단부에는 회복 유니트가 제공되고, 와이핑, 예비 토출, 및 흡인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들 동작에 의해, 기록 헤드의 토출 성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흡인 동작에 의한 흡인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접 부재(T06)에 있어서 잉크 도통 영역의 평면적에 의존하여, 그 잉크 도통 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모든 잉크가 제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용기는, 잉크 공급부에 압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를 유량에 있어 서로 다른 기록 헤드에 대해 공용화 가능하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압접 부재의 공유화를 실현함으로써, 잉크 유량(공급량)에 관하여 신규한 기록 헤드 각각의 개발에 대한, 잉크 용기를 개발할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개발 비용과 설비 투자를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잉크 용기의 제조 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저렴한 잉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시된 세부사항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 출원은 뒤따르는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개선의 목적내에 있는 그러한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기를 의도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2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3a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에 제공된 압접 부재의 단면도이고, 도3b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에 제공된 압접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와 소유량 기록 헤드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도4에 도시된 잉크 용기에 제공된 압접 부재 내부에서의 안료 침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5a는, 교반 동작 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5b는, 흡인 회복 동작 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5c는, 잉크 용기가 흡인 회복 동작을 거치고 나서, 방치된 후의 상태를 보여준다.
도6a는, 압접 부재와 필터 사이의 접촉면의 영역 분포도이고, 도6b는, 도6a에 도시된 필터와 압접 부재 사이의 비-접촉 영역보다도 압접 부재와 필터 사이의 비-접촉 영역이 큰 경우에 있어서의, 압접 부재와 필터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영역 분포도이다.
도7a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와 대유량 기록 헤드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7b는, 도7a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압접 부재와 필터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영역 분포도이다.
도8a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용기와 중간 유량 기록 헤드 사이의 접속을 설명 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8b는, 도8a에 도시된 잉크 용기의 압접 부재와 필터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영역 분포도이다.
도9a는, 종래의 잉크 용기와 소유량 기록 헤드 사이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9b는, 흡인 회복 동작 후, 종래의 잉크 용기의 압접 부재 내부에서의 안료 침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9c는, 종래의 잉크 용기가 흡인 회복 동작을 거치고 나서, 방치된 후에 상기 종래의 잉크 용기의 압접 부재 내부에서의 안료 침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10a 내지 도10c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압접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 젯 기록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00: 기록 헤드
H01: 필터
H02: 잉크 도입부
H03: 잉크 유로
T00: 잉크 용기
T01: 용기 본체
T03: 잉크 공급부
T04: 잉크 저장 챔버
T05: 잉크
T06: 압접 부재
T07: 메니스커스-형성 부재
T08: 침강 잉크

Claims (10)

  1.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에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잉크 용기이며,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와,
    상기 잉크 도입 영역에 접촉 가능한 압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과, 상기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도통 영역으로부터 제1 도통 영역으로의 잉크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비-도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 및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지 않은, 잉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통 영역은, 상기 압접 부재가 상기 잉크 도입 영역과 접촉 가능한 표면에서 상기 제1 도통 영역 및 제2 도통 영역보다 작은, 잉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 부재는 수지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 부재를 포함하는 잉크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통 영역은 가열-용융(heat-fusing)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통 영역은 상기 압접 부재의 표면에서 가열-용융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도통 영역은 상기 압접 부재의 양면에서 가열-용융에 의해 형성되는 잉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용기는 잉크를 기록 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비-도통 영역은 상기 압접 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공급구로의 잉크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잉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는 안료 잉크인 잉크 용기.
  9. 잉크를 토출하는 기록 헤드를 사용하여 기록을 행하는 잉크 젯 기록 장치이며,
    상기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잉크를 기록 헤드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를 구비하는 잉크 용기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 수단과,
    상기 잉크 용기의 상기 공급구와 잉크 도입 영역이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기록 헤드를 통해 상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에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상기 잉크 용기는,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잉크 저장 챔버와,
    상기 잉크 도입 영역에 접촉 가능한 압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접 부재는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과, 상기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도통 영역으로부터 제1 도통 영역으로의 잉크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비-도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 및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흡인 수단은, 상기 제1 도통 영역 및 제2 도통 영역 중 상기 잉크 도입 영역과 접촉하는 도통 영역에 수용된 모든 잉크를 흡인가능한 잉크 젯 기록 장치.
  10.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상기 제1 크기보다 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을 포함하는 기록 헤드에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안료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용기를 위한 압접 부재이며,
    상기 압접 부재는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과, 상기 제1 도통 영역과 제2 도통 영역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도통 영역으로부터 제1 도통 영역으로의 잉크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비-도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 및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모두 상기 제1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크기를 갖는 잉크 도입 영역은 상기 제2 도통 영역에 접촉 가능하지 않은, 압접 부재.
KR1020070091556A 2006-09-11 2007-09-10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KR100971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46045 2006-09-11
JP2006246045 2006-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656A KR20080023656A (ko) 2008-03-14
KR100971331B1 true KR100971331B1 (ko) 2010-07-20

Family

ID=3916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556A KR100971331B1 (ko) 2006-09-11 2007-09-10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50790B2 (ko)
KR (1) KR100971331B1 (ko)
CN (1) CN1011435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1506B2 (ja) * 2007-10-12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記録装置
JP5106134B2 (ja) * 2008-01-10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US8491107B2 (en) 2010-10-29 2013-07-23 Funai Electric Co., Ltd. Fluid container having mixing chambers for micro-fluid applications
US8590756B2 (en) 2011-04-26 2013-11-26 Funai Electric Co., Ltd. Container with tube drawing desired fluid concentrations for micro-fluid applications
JP2014208422A (ja) * 2012-08-08 2014-1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
JP6008102B2 (ja) * 2012-08-17 2016-10-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DE112014004288T5 (de) 2013-09-18 2016-06-09 Canon Kabushiki Kaisha Tintenkartusche und Tintenstrahldrucker
WO2015041365A1 (ja) 2013-09-18 2015-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355442B2 (ja) * 2014-06-10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液体充填方法
JP6385163B2 (ja) 2014-06-27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US9375938B2 (en) 2014-06-27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6308989B2 (ja) 2015-09-30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700719B2 (ja) 2015-10-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611564B2 (ja) 2015-10-30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6602160B2 (ja) 2015-10-3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2017081083A (ja)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JP7267708B2 (ja) 2017-10-13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WO2019074132A1 (en) 2017-10-13 2019-04-18 Canon Kabushiki Kaisha ITEM COMPRISING PASTILLE ELECTRODE, INK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JP7154919B2 (ja) 2018-09-28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7242231B2 (ja) 2018-09-28 2023-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記録装置
JP7224830B2 (ja) 2018-09-28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7500313B2 (ja) 2020-07-16 2024-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容容器
JP2022018712A (ja) 2020-07-16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2022018869A (ja) 2020-07-16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52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3325A (ko) * 2004-10-14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어레이 헤드용 잉크 카트리지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4578A (en) * 1990-01-30 1998-12-01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cartridge thereof
JP3227296B2 (ja) * 1994-01-31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3101482B2 (ja) * 1994-01-31 2000-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保持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3171105B2 (ja) 1996-05-15 2001-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プリンタおよびインクタンク
EP0822085A3 (en) * 1996-08-02 1999-06-3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ink jet cartridge hav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tainer
EP0956958B1 (en) * 1998-04-28 2004-06-30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390612B1 (en) * 1999-08-30 2002-05-2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filling ink holding member with ink, ink filling apparatus, and ink tank to be filled with ink by ink filling method
JP2001063089A (ja) * 1999-08-30 2001-03-1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733266B2 (ja) * 1999-10-04 2006-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2001199082A (ja) * 1999-10-08 2001-07-24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
JP3258311B2 (ja) * 2000-01-01 2002-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6422692B2 (en) * 2000-03-16 2002-07-23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JP3774675B2 (ja) * 2001-05-10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ケージ
JP3667296B2 (ja) * 2001-05-10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3809401B2 (ja) * 2001-07-2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2003334935A (ja) * 2002-03-15 2003-11-25 Sharp Corp 記録装置
US7134747B2 (en) * 2002-09-30 2006-11-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US6942326B2 (en) * 2002-09-30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DE10250610A1 (de) * 2002-10-30 2004-05-13 Kmp Printtechnik Ag Tintenpatrone zum Aufbringen auf einen Aufzeichnungskopf
GB2395684B (en) * 2002-11-26 2005-06-08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4216761A (ja) 2003-01-16 2004-08-0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969164B2 (en) * 2003-11-07 2005-11-29 Lexmark International, Inc. Printing cartridge having a filter tower assembly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8313185B2 (en) * 2006-03-31 2012-11-2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package
JP4926538B2 (ja) * 2006-05-11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記録装置
JP4918823B2 (ja) * 2006-08-11 2012-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052A (ko) * 2004-08-30 2006-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카트리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3325A (ko) * 2004-10-14 2006-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어레이 헤드용 잉크 카트리지
KR100612450B1 (ko) * 2004-10-14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어레이 헤드용 잉크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656A (ko) 2008-03-14
US20080062231A1 (en) 2008-03-13
CN101143520B (zh) 2011-09-28
CN101143520A (zh) 2008-03-19
US7950790B2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31B1 (ko) 잉크 용기 및 잉크 젯 기록 장치
US8057019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initial filling method of the same
US20070115329A1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agitation method
KR101009859B1 (ko) 잉크젯 기록 헤드 및 잉크젯 기록 장치
US8152267B2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KR20040028572A (ko) 잉크 용기, 기록 헤드 및 이를 이용한 기록 장치
US6886908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2007137026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攪拌方法
JP371396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6626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quid ejection head for ejecting liquid droplets
US11130338B2 (en)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KR100901952B1 (ko) 잉크젯 인쇄 시스템용 교환 가능 잉크 컨테이너 및 인쇄 부품, 및 교환 가능 잉크 컨테이너와 밀봉 구조체 사이의 밀봉 형성 방법
JP7035611B2 (ja) 印刷装置および被印刷媒体保持装置
US10836170B2 (en) Head protector,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2007137023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攪拌方法
JP2008000991A (ja) 液体吐出ヘッド、液体吐出ヘッド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92258B2 (en) Head cleaner,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head cleaning method
JP4818139B2 (ja)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5153183A (ja) 液体吐出装置用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を有するクリーニング機構、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200308073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廃液吸収ユニット
JP2007137025A (ja)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攪拌方法
JP2007313830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装置
US20240100841A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JP3984766B2 (ja) 記録ヘッドおよび記録装置
JPH1134262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