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98B1 -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 Google Patents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98B1
KR100969498B1 KR1020057006968A KR20057006968A KR100969498B1 KR 100969498 B1 KR100969498 B1 KR 100969498B1 KR 1020057006968 A KR1020057006968 A KR 1020057006968A KR 20057006968 A KR20057006968 A KR 20057006968A KR 100969498 B1 KR100969498 B1 KR 100969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thermoplastic resin
alkylene
independently
sil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7195A (ko
Inventor
윌리엄 블랙우드
킴마이 구옌
리처드 라베
케빈 라이언
Original Assignee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6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7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6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 A61K8/898Polysiloxan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carbon, oxygen and hydrogen, e.g. dimethicone copolyol phosphate containing nitrogen, e.g. amodimethicone, trimethyl silyl amodimethicone or dimethicone propyl PG-bet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42Polyamide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and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5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nitrogen-containing sequences
    • C08G77/45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nitrogen-containing sequences containing polyamide, polyesteramide or polyimid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9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amid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istry (AREA)
  • Brush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amid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smet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와 실록산계 아미드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한 나일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개질된 나일론은 소수성이 증가된 나일론을 필요로 하는 적용 분야에 유용하다.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조성물, 열가소성 수지, 용융 혼합, 소수성.

Description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Siloxane based amide modified nylons}
본 발명은 실록산계 아미드를 첨가하여 개질시킨 나일론 조성물을 제공한다. 개질된 나일론은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와 실록산계 아미드를 용융 혼합하여 제조한다. 당해 개질된 나일론은 소수성이 증가된 나일론을 필요로 하는 적용분야에 유용하다.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나일론은 다양한 산업분야, 예를 들어 직물, 피복물, 성형 부품에서 중요한 열가소성 수지 종류이다. 다수의 예가 여러가지 방법 및 기술분야에 보급되어 특정 분야에서의 나일론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킨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개선 방법은 나일론 수지의 가공처리 동안에, 또는 후첨가제로서, 나일론에 특정 성분을 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나일론 수지에 한가지 성분만을 첨가하면, 매우 종종 한 측면 또는 물리적 특성을 개선시키지만, 다른 측면 또는 물리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직물 적용 분야에서 나일론의 친수성을 감소시키려는 데 관심이 기울여져 왔다. 친수성이 감소된 나일론은 직물에서 수분 픽업성이 덜하고, 마찰계수가 낮으며 연화성이 개선되고 발수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친수성이 감소된 나일론은 섬유 가공처리 및 섬유 제직 공정에서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면, 압출에 의한 나일론 섬유의 제조에서, 압출기 압력은 친수성이 감소된 나일론 조성물에서 감소하여 가공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고 작업처리량을 더 신속하게하고 궁극적으로는 비용이 적게 들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친수성이 감소된 나일론은 섬유 제직 공정에서 가호 가공제를 가할 필요가 없도록 하거나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실리콘 또는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나일론 조성물 및 가공처리에서 첨가제로서 사용되어 물리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쳐왔다. 실리콘 유액은 나일론 방적사 또는 제직 공정을 위한 윤활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나일론 섬유에 대한 통상적인 후첨가제이다. 실리콘 유액은 나일론 섬유의 제조동안 섬유의 친수성을 감소시키는, 즉 이를 보다 소수성으로 만드는 첨가제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실리콘 유액,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섬유 제직 동안에 나일론에 가해질 경우, 실리콘 유액은 나일론 섬유내에서 이동하여 특정 물리적 특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감소시키지 않고 나일론 수지, 및 특히 나일론 섬유를 개질시켜 이들의 소수성을 증가시킬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특정한 실록산계 폴리아미드를 가공처리, 예를 들어 압출 동안 나일론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생성되는 나일론 조성물이 비개질된 나일론보다 더 소수성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욱이, 개질된 나일론의 기타 물리적 특성은 당해 실록산계 폴리아미드의 첨가에 의해 부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미국 특허 제6,362,288호에는 상용화된 폴리아미드 수지로부터의 열가소성 실리콘 탄성중합체가 기재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미국 특허 제6,362,288호에는 (I) 레올로지 안정성 폴리아미드 수지(A), 실리콘 기재(B)[여기서, 폴리아미드 수지에 대한 실리콘 기재의 중량비는 35:65 내지 85:15이다], 폴리아미드 수지 100중량부 각각에 대한 상용화제(C), 분자내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된 수소 그룹을 함유하는 오가노하이드리도 규소 화합물(D) 및 하이드로실릴화 촉매(E)[여기서, 성분 (D) 및 (E)는 당해 디오가노폴리실록산(B')를 경화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를 혼합하고, (II) 디오가노폴리실록산(B')를 동적으로 경화시킴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62,288호에는 당해 상용화제(C)가 실록산계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고 교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A)와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B)를 용융 혼합하여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80% 이상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21059679-pct00001
위의 화학식 1에서,
DP(중합도)는 1 내지 700이고,
n은 1 내지 500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여기서, (a) 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부분에 1 내지 3개의 아미드 결합(i), C5 또는 C6 사이클로알칸(ii) 및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iii) 중의 하나 이상을 임의로 및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b) 알킬렌 그룹 자체는 하이드록시(i), C3 내지 C8 사이클로알칸(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iii), C1 내지 C3 알킬 하이드록시(iv) 및 C1 내지 C6 알킬 아민(v) 중의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c) Y는 Z{여기서, Z는 T(R20)(R21)(R22)(여기서, R20,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0 알킬렌이고, T는 CR(여기서, R은 수소, R1 내지 R4에 대해 아래에서 정의한 그룹, 또는 N, P 및 Al과 같은 3가 원자이다)이다)이다}이다]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실록산 쇄,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메틸 또는 에틸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이고,
X, Y, DP 및 R1 내지 R4는 각각 폴리아미드 단위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A)와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B)를 용융 혼합함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를 용융 첨가제로서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함을 포함하여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의 소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해 열가소성 나일론 조성물을 쉬트 생성물로 압출 및 취입하거나 제품으로 성형 또는 주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섬유로 연신하거나 부직포로 제조되거나 방사시켜 얀(yarn)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직물을 제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기본으로 한 이러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성분(A)는 열가소성 나일론 수지이다. 나일론 수지(A)는 열가소성 특성이 있는 중합체 쇄(즉, 폴리아미드) 내에 반복 아미드 단위를 갖는 고분자량의 임의의 고형 단독중합체,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일 수 있다. 당해 나일론 수지는 결정성이거나 무정형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나일론 수지의 융점(m.p.), 또는 나일론이 무정형일 경우 유리 전이 온도(Tg)는 25℃를 초과한다.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계에서, 50mol% 이상의 반복 단위는 아미드 함유 단위이다.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폴리락탐, 예를 들어 나일론 6, 폴리에난톨락탐(나일론 7), 폴리카프릴락탐(나일론 8), 폴리라우릴락탐(나일론 12) 등; 아미노산의 단독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피롤리디논(나일론 4); 디카복실산 및 디아민의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나일론 6/6, 폴리헥사메틸렌아젤아미드(나일론 6/9), 폴리헥사메틸렌-세바카미드(나일론 6/10), 폴리헥사메틸렌이소프탈아미드(나일론 6.I), 폴리헥사메틸렌도데칸산(나일론 6/12) 등; 방향족 및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카프롤락탐과 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의 공중합체(나일론 6, 6/6), 또는 터폴리아미드(예: 나일론 6, 6/6, 6);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와 같은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폴리아미드 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12, 나일론 6/12 및 나일론 6/6이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 성분으로 유용한 실록산계 폴리아미드는 화학식 1의 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21059679-pct00002
위의 화학식 1에서,
DP(중합도)는 1 내지 700, 또는 10 내지 500, 또는 15 내지 100인데, DP는 나타낸 DP 값 주위에서 집중된 보다 크거나 작은 DP 값을 갖는 중합체의 실록산 단위의 중합도에 대한 평균 값을 나타내고,
n은 1 내지 500, 또는 1 내지 100, 또는 4 내지 25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30, 통상적으로 3 내지 10, 또는 10의 직쇄형 또는 분지 형 알킬렌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40, 또는 1 내지 20, 또는 2 내지 6, 또는 6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여기서, (a) 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부분에 1 내지 3개의 아미드 결합(i), C5 또는 C6 사이클로알칸(ii) 및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iii) 중의 하나 이상을 임의로 및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b) 알킬렌 그룹 자체는 하이드록시(i), C3 내지 C8 사이클로알칸(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iii), C1 내지 C3 알킬 하이드록시(iv) 및 C1 내지 C6 알킬 아민(v) 중의 하나 이상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c) Y는 Z{여기서, Z는 T(R20)(R21)(R22)(여기서, R20,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0 알킬렌이고, T는 CR(여기서, R은 수소, R1 내지 R4에 대해 아래에서 정의한 그룹, 또는 N, P 및 Al과 같은 3가 원자이다)이다)이다}이다]이고,
R1 내지 R4(집합적으로 "R"로 나타냄)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실록산쇄, 또는 페닐(여기서, 페닐은 메틸 또는 에틸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이고, 보다 특히, R1 내지 R4는 메틸 또는 에틸, 특히 메틸이고,
X, Y, DP, 및 R1 내지 R4는 각각 폴리아미드 단위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당해 폴리아미드는 주쇄에 실록산 부분을 갖고, 임의로, 펜던트 또는 분지된 부분에 실록산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실록산계 폴리아미드의 대표적인 예는 본원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051,216호 및 미국 특허 제6,353,076 B1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록산계 아미드(B)를 나일론 수지(A)와 용융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나일론 수지를 먼저 용융시킨 다음 실록산계 아미드를 나일론 용융물과 혼합한다. 혼합은 승온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공처리하고 혼합하기 위한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혼합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성분 (A) 및 (B)를 이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2로울 밀 또는 단축 압출기에서, 혼합 기어의 부재 또는 존재하에 혼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압출 공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시킨다.
나일론 수지 100부당 사용되는 실록산계 아미드의 양은 전형적으로는 (A) 100중량부당 (B) 0.1 내지 20중량부, 또는 (A) 100중량부당 (B) 10 내지 20중량부, 또는 (A) 100중량부당 (B) 0.5 내지 10중량부, 또는 (A) 100중량부당 (B) 0.5 내지 5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성분 (A)와 성분 (B)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당해 조성물은 반응 생성물을 80중량% 이상, 또는 90중량% 이상, 또는 95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나일론 조성물 또는 공정중에 통상 첨가되는 성분을 용융 혼합물에 가할 수 있는데, 이들 추가의 성분들은 전체 조성물의 20중량%미만이다. 이들 기타의 성분은 비제한적으로, 가공 첨가제, 충전제, 난연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안정제, 윤활제, 착색제, 충격변형제, 소포제, 이형제, 매트/광택 첨가제 및 가소제를 포함한다.
성분 (B)를 압출기의 스크류 부분으로 주입하면서 나일론 펠렛은 이의 호퍼를 통해 공급됨으로써 비교적 균일한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혼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로써 성분 (B)를 먼저 성분(A) 부분에 분산시켜 매스터배치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매스터배치(또는 농축물)는, 바람직하게는, 실록산계 아미드(B)를 1 내지 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함유하는데, 이를 분쇄하거나 펠릿화하여, 생성되는 무수 미립자를 추가의 나일론 수지와 블렌딩한 다음, 이 블렌드를 압출 또는 사출시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매스터매치 기술의 사용으로 나일론 수지중의 실록산계 아미드의 더 균일한 분산액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추가 성분과 배합 또는 혼합될 수 있다. 이들 추가 성분은 비제한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용 보강 충전재, 예를 들어 유리섬유 및 탄소 섬유; 연신 충전재, 예를 들어, 석영, 탄산칼슘, 및 고령토; 안료, 예를 들어 산화철 및 산화티탄, 전기 전도성 충전재,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및 미분 금속, 열 안정제, 예를 들어 수화된 산화 세륨, 산화방지제, 난연제,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 알루미나 삼수화물, 수산화마그네슘, 유기인함유 화합물 및 기타 난연(FR) 물질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는 조성물은 다수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나일론 조성물은 쉬트 생성물로 압출 또는 취입하거나 제품으로 성형 또는 주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들은 섬유로 연신하거나 부직포로 만들거나 방사시켜 얀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직물을 제직할 수 있다.
화학식
Figure 112008064279673-pct00003
의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여기서, R1, R2, R3 및 R4는 메틸이다)를 미국 특허 제5,981,680호 및 미국 특허 제6,051,216호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록산 단위의 중합도(DP) 및 생성되는 분자량(중량 평균)은 표 1에 정의되어 있다.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공중합체 번호 1 2 3 4
실록산 DP 15 15 45 100
분자량 125,100 125,100 85,600 96,260
용매 유형 PPG3-미리스틸 에테르 적용 불가 적용 불가 적용 불가
용매량 12% 0% 0% 0%
하기에, 본 발명의 범주내에 있는 열가소성 시스템 및 관련 제품의 구체적인 예를 또한 기술한다. 이들 구체적인 열가소성 시스템의 예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특정의 실록산계 폴리아미드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사용되긴 하지만, 기타 실록산계 폴리아미드(예를 들면, 정제된 실록산 이산, 이무수물, 디에스테르, 또는 이산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것)가 또한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내에 있다.
실시예 1
1%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1번(참조예: 2), 4%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1번(참조예: 3), 1%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2번(참조예: 5), 3%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2번(참조예: 6) 및 5%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2번(참조예: 7)을 나일론 6,6 용융물에 도핑시켜 압출 플라크를 형성하고, 300rpm 및 270℃에서 작동하는 24mm 이축 압출기를 통해 압출 공정에 의해 혼합하였다. 폴리아미드(나일론)6,6의 대조용 압출 플라크는 또한 각각의 세트용으로 형성시키는데, 이는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참조예: 1 & 4)를 전혀 함유하지 않았다. 표 2의 결과는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혼입할 경우 표면 장력이 감소되고 수접촉각이 증가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면 특성에 미치는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영향
참조번호 1 2 3 4 5 6 7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번호
N/A 1 1 N/A 2 2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양(%)
0 1 4 0 1 3 5
표면 에너지
dyne/cm
(x10-7N·m)
45.1 42.1 24.1 45.1 42.1 29.4 24.1
수접촉각
(°)
74 86 87 67 71 85 91
실시예 2
압출 전에 혼입된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2번 함유 폴리아미드(나일론) 6,6 및 대조용으로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비함유 폴리아미드(나일론) 6,6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를 제조하였다. 윤활 방사 가공제를 얀에 전혀 적용하지 않았다. 표 3은 이소프로판올중에서의 환류후 섬유의 추출가능한 함량 뿐만 아니라 동적 수접촉각을 나타낸다. 추출가능성은 전자분무이온화(ESI) 및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하였다. 당해 결과는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가 동적접촉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국소적으로 적용된 방사 가공제로서의 추출에 의해 제거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동적 수접촉각 및 추출가능성 결과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번호
N/A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양(%)
0 2
동적 접촉각
(°)
78.3 84.8
ESI(원자 질량 단위, amu) 800amu 미만에서는 검출 가능한 화학종 없음 800amu 미만에서는 검출 가능한 화학종 없음
GPC 검출 가능한 화학종 없음 검출 가능한 화학종 없음
실시예 3
폴리아미드(나일론) 6,6의 별도의 압출 얀을 1%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1번(참조예: 2),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1번(참조예: 3) 및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2번(참조예:4)를 압출 전에 도핑함으로써 형성시켰다.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비함유 폴리아미드(나일론) 6,6의 대조용 압출 얀을 또한 형성시켰다(참조예: 1). 윤활제 방사 가공제가 적용되지 않은 비권취 얀의 특성을 표 4에 나타내었다. 당해 결과는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혼입할 경우 물리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리콘-폴리아미드 나일론 6,6의 물리적 특성의 평가
참조번호 1 2 3 4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번호
N/A 1 1 2
실리콘-폴리아미드
공중합체 양(%)
0 1 2 2
연신율(%) 411 411 433 439
강성력(cN/tex) 12.9 13.0 13.3 12.9

Claims (12)

  1. (A)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 및
    (B)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
    를 용융 혼합하여 생성된 반응 생성물을 80% 이상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21338147-pct00004
    위의 화학식 1에서,
    DP(중합도)는 1 내지 700이고,
    n은 1 내지 500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이며, 여기서,
    (a) 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부분에 (i) 1 내지 3개의 아미드 결합, (ii) C5 또는 C6 사이클로알칸 및 (i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 중의 하나 이상을 임의로 및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b) 알킬렌 그룹 자체는 (i) 하이드록시, (ii) C3 내지 C8 사이클로알칸, (i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 구성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iv) C1 내지 C3 알킬 하이드록시 및 (v) C1 내지 C6 알킬 아민 중의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c) Y는 Z일 수 있는데, 여기서, Z는 T(R20)(R21)(R22)이고, 이때 R20,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0 알킬렌이고, T는 CR이며, R은 수소, R1 내지 R4에 대해 아래에서 정의한 그룹, 또는 N, P 및 Al과 같은 3가 원자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실록산 쇄, 또는 페닐이고, 이때 페닐은 비치환되거나 메틸 또는 에틸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X, Y, DP 및 R1 내지 R4는 각각의 폴리아미드 단위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A)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당 (B)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 0.5 내지 20중량부가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A)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당 (B)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 20 내지 50중량부가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2, 나일론 12 및 이들의 혼합물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A) 나일론 열가소성 수지와
    (B) 화학식 1의 실록산 개질된 아미드를 용융 혼합함을 포함하여, 성분(A) 및 성분(B)를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0021338147-pct00005
    위의 화학식 1에서,
    DP(중합도)는 1 내지 700이고,
    n은 1 내지 500이고,
    X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이고,
    Y는 탄소수 1 내지 40의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킬렌이며, 여기서,
    (a) 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부분에 (i) 1 내지 3개의 아미드 결합, (ii) C5 또는 C6 사이클로알칸 및 (i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렌 중의 하나 이상을 임의로 및 추가로 함유할 수 있고;
    (b) 알킬렌 그룹 자체는 (i) 하이드록시, (ii) C3 내지 C8 사이클로알칸, (iii)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 독립적으로 C1 내지 C3 알킬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페닐, (iv) C1 내지 C3 알킬 하이드록시 및 (v) C1 내지 C6 알킬 아민 중의 하나 이상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c) Y는 Z일 수 있는데, 여기서, Z는 T(R20)(R21)(R22)이고, 이때, R20,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10 알킬렌이고, T는 CR이며, R은 수소, R1 내지 R4에 대해 아래에서 정의한 그룹, 또는 N, P 및 Al과 같은 3가 원자이고,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실록산 쇄, 또는 페닐이고, 이때, 페닐은 비치환되거나 메틸 또는 에틸인 1 내지 3개의 구성원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X, Y, DP 및 R1 내지 R4는 각각의 폴리아미드 단위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6.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7.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쉬트 생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8.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성형품을 포함하는 제품.
  9. 제1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섬유를 포함하는 제품.
  10. 제9항에 있어서, 섬유로부터 제조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제품.
  11. 제9항에 있어서, 섬유로부터 제조한 방적사를 포함하는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방적사로부터 제직한 직물을 포함하는 제품.
KR1020057006968A 2002-10-24 2003-10-24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KR100969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103702P 2002-10-24 2002-10-24
US60/421,037 2002-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7195A KR20050067195A (ko) 2005-06-30
KR100969498B1 true KR100969498B1 (ko) 2010-07-13

Family

ID=321766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023A KR20050075366A (ko) 2002-10-24 2003-10-24 구강 위생에 유용한 실리콘 변형된 폴리아미드 물질
KR1020057006968A KR100969498B1 (ko) 2002-10-24 2003-10-24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023A KR20050075366A (ko) 2002-10-24 2003-10-24 구강 위생에 유용한 실리콘 변형된 폴리아미드 물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50175551A1 (ko)
EP (2) EP1569985B1 (ko)
JP (1) JP4383347B2 (ko)
KR (2) KR20050075366A (ko)
CN (2) CN1325538C (ko)
AT (1) ATE403691T1 (ko)
AU (2) AU2003284950A1 (ko)
BR (1) BR0315594A (ko)
CA (1) CA2503540A1 (ko)
CO (1) CO5690525A2 (ko)
DE (1) DE60322740D1 (ko)
MX (1) MXPA05004283A (ko)
PL (1) PL376596A1 (ko)
RU (1) RU2320316C2 (ko)
WO (2) WO2004037106A2 (ko)
ZA (1) ZA2005041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65B1 (ko) 2003-03-27 2012-05-23 폴리아미드 하이 퍼포먼스 게엠베하 용융 방사된 합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3598B2 (ja) * 2004-10-25 2011-04-20 株式会社サンライン 釣糸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9268B2 (ja) * 2005-06-27 2012-11-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性延伸フィルムの層内剥離防止方法
JP5079275B2 (ja) * 2006-07-18 2012-11-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性収縮フィルムの層内剥離防止方法
CN101386681B (zh) * 2008-09-24 2011-08-17 华东理工大学 一种疏水性的有机硅/聚酰胺6嵌段共聚物及其原位制备方法
CA2876349A1 (en) * 2012-06-11 2013-1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lt-processable polyamide compositions having silicone-containing polymeric process additive
US9339357B1 (en) * 2014-02-07 2016-05-17 Maxim Babiner Multi-headed toothbrush
CN106751751A (zh) * 2016-11-22 2017-05-31 袁洁 一种疏水增强尼龙复合材料
CN108727593A (zh) * 2018-06-15 2018-11-02 张礼国 一种抗菌有机硅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898172B (zh) * 2019-02-27 2021-05-25 圣华盾防护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高强度纤维以及救生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9128A1 (en) * 1992-03-06 1993-09-08 Basf Corporation A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carpet fibers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WO2000078845A1 (en) * 1999-06-18 2000-12-28 Eastman Chemical Company Nylon 6-silicone blends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16A (en) * 1898-06-07 Pneumatic gun
US979782A (en) * 1910-01-21 1910-12-27 John James Mclean Disk harrow.
US2152606A (en) * 1937-10-12 1939-03-28 Remington Rand Inc Card index
US2226529A (en) * 1937-11-10 1940-12-31 Du Pont Synthetic filament
US2418482A (en) * 1944-09-15 1947-04-08 Robinsohn Jacob Slide fastener
NL82464C (ko) * 1952-01-05
US2916475A (en) * 1956-10-24 1959-12-08 Eastman Kodak Co Polyamides of xylenediamine and an aliphatic dibasic acid up-graded with trans-1, 4-cyclohexanedicarboxylic acid or oxalic acid
US3012994A (en) * 1956-10-24 1961-12-12 Eastman Kodak Co Polyamides derived from cyclohexanebis
US3143527A (en) * 1959-03-27 1964-08-04 Du Pont Polyamides from alkyl piperazines
US3238553A (en) * 1964-04-09 1966-03-08 E B & A C Whiting Company Filamentary articles
US3595952A (en) * 1966-06-08 1971-07-27 Du Pont Steam conditioning of polyamide filament
US3745061A (en) * 1969-02-26 1973-07-10 Du Pont Synthetic filaments having at least three continuous nonround voids
US3800812A (en) * 1972-11-27 1974-04-02 Pauldan Ind Inc Dental flo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279053A (en) * 1979-09-24 1981-07-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i- or tetra-locular paint brush bristles
LU83225A1 (fr) * 1981-03-18 1983-02-22 Argembeau Etienne D Perfectionnements aux brosses
BE901006A (nl) * 1984-11-08 1985-05-08 Boucherie Nv G B Automatische vulinrichting voor vezelmagazijne en/of kassetten van borstel vervaardigingsmachines.
DE3545905A1 (de) * 1984-12-24 1986-10-2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Tokio/Tokyo Polyamid-copolymere
US4663413A (en) * 1985-01-04 1987-05-05 Thoratec Laboratories Corp. Polysiloxane-polylactone block copolymers
USRE35439E (en) * 1988-09-13 1997-02-04 Rosenberger; Edwin D. Germicidal dental floss and method for fabrication
US4974615A (en) * 1989-07-26 1990-12-04 Doundoulakis George J Elastic filament for oral hygiene
NZ235489A (en) * 1989-10-16 1992-03-26 Colgate Palmolive Co Articles for therapeutic (e.g. dental) use having a polytetrafluoroethylene surface which is coated with an adjuvant and a partially water-soluble binder
US5335389A (en) * 1990-03-29 1994-08-09 Colgate-Palmolive Company Plaque removing toothbrush
US5760117A (en) * 1990-05-21 1998-06-02 Applied Elastomerics, Inc. Gelatinous composition and articles
US5962572A (en) * 1994-04-19 1999-10-05 Applied Elastomerics, Inc. Oriented gel and oriented gel articles
US5884639A (en) * 1996-03-08 1999-03-23 Applied Elastomerics, Inc. Crystal gels with improved properties
US6148830A (en) * 1994-04-19 2000-11-21 Applied Elastomerics, Inc. Tear resistant, multiblock copolymer gels and articles
AU7982291A (en) * 1990-06-19 1992-01-07 Procter & Gamble Company, The Toothbrush exhibiting three-dimensional bristle profile and end rounded bristles for improved interproximal cleaning without increasing gum irritation
US5274065A (en) * 1990-10-18 1993-12-28 Technical Development Associates Polyorganosiloxane-polyamide block copolymers
FR2686611B1 (fr) * 1992-01-27 1994-03-11 Rhone Poulenc Fibres Copolymeres polyamides-polyorganosiloxane, procede d'obtention de ces polymeres et compositions contenant ces copolymeres.
US5274873A (en) * 1992-04-23 1994-01-04 Shields Melvin A Angulated bristle toothbrush
US5407623A (en) * 1994-01-06 1995-04-18 Polteco, Inc. Process for obtaining ultra-high modulus line products with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US5433226A (en) * 1994-03-09 1995-07-18 Delta Dental Hygienics, L.L.C. Dental floss based on robust segmented elastomer
US5500209A (en) * 1994-03-17 1996-03-19 The Mennen Company Deodorant and antiperspirant compositions containing polyamide gelling agent
US6161555A (en) * 1994-04-19 2000-12-19 Applied Elastomerics, Inc. Crystal gels useful as dental floss with improved high tear, high tensile, and resistance to high stress rupture properties
AU694983B2 (en) * 1994-06-06 1998-08-0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Novel compositions for dental floss
US5560377A (en) * 1995-04-13 1996-10-01 Donovan; Marion Dental floss
US6027592A (en) * 1995-06-06 2000-02-22 Gillette Canada Inc. Dental floss
US5845652A (en) * 1995-06-06 1998-12-08 Tseng; Mingchih M. Dental floss
US5772640A (en) * 1996-01-05 1998-06-3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Of The City Of New York Triclosan-containing medical devices
US5755243A (en) * 1996-06-27 1998-05-26 Gillette Canada, Inc. Dental floss with thermoplastic coating
AU3799197A (en) * 1996-07-25 1998-02-20 Whitehill Oral Technologies, Inc. Toothbrush with improved cleaning and abrasion efficiency
DE19640853A1 (de) * 1996-10-02 1998-04-16 Braun Ag Borste für eine Zahnbürste
DE19640726A1 (de) * 1996-10-02 1998-04-23 Braun Ag Borste für eine Zahnbürste
US5918609A (en) * 1996-10-24 1999-07-06 Gillette Canada Inc. Particulate modified elastomeric flosses
US6051216A (en) * 1997-08-01 2000-04-18 Colgate-Palmoliv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oxane based polyamides as thickening agents
US6003525A (en) * 1998-03-14 1999-12-21 Katz; Harry S. Elastomer floss and related flossing devices
US5998432A (en) * 1998-04-02 1999-12-07 Merck & Co., Inc. Antagonists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US20010003600A1 (en) * 1998-07-10 2001-06-14 Gordon G. Guay Method of manufacturing a textured toothbrush bristle
US5981680A (en) * 1998-07-13 1999-11-09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siloxane-based polyamides
EP1311205A1 (en) * 2000-08-23 2003-05-21 Ira D. Hill Physical improvements in coated monofilament dental tapes
US6838541B2 (en) * 2003-02-12 2005-01-04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siloxane-based polyamide elastom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9128A1 (en) * 1992-03-06 1993-09-08 Basf Corporation A method for producing polyamide carpet fibers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WO2000078845A1 (en) * 1999-06-18 2000-12-28 Eastman Chemical Company Nylon 6-silicone ble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065B1 (ko) 2003-03-27 2012-05-23 폴리아미드 하이 퍼포먼스 게엠베하 용융 방사된 합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5690525A2 (es) 2006-10-31
PL376596A1 (pl) 2006-01-09
ATE403691T1 (de) 2008-08-15
JP4383347B2 (ja) 2009-12-16
CN1728978A (zh) 2006-02-01
WO2004037926A2 (en) 2004-05-06
EP1569985B1 (en) 2008-08-06
WO2004037106A2 (en) 2004-05-06
US20050175551A1 (en) 2005-08-11
WO2004037106A3 (en) 2004-08-12
JP2006503962A (ja) 2006-02-02
AU2003284948A1 (en) 2004-05-13
EP1558200A2 (en) 2005-08-03
CN1714118A (zh) 2005-12-28
RU2005115575A (ru) 2006-01-20
RU2320316C2 (ru) 2008-03-27
DE60322740D1 (de) 2008-09-18
KR20050067195A (ko) 2005-06-30
AU2003284948A8 (en) 2004-05-13
AU2003284950A1 (en) 2004-05-13
KR20050075366A (ko) 2005-07-20
CA2503540A1 (en) 2004-05-06
ZA200504179B (en) 2006-10-25
BR0315594A (pt) 2005-09-06
CN1325538C (zh) 2007-07-11
EP1569985A2 (en) 2005-09-07
MXPA05004283A (es) 2005-08-03
WO2004037926A3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388B1 (ko) 열가소성 실리콘 폴리아미드 탄성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3647B1 (ko) 열가소성 탄성중합체의 제조방법
EP1702007B1 (en) Polyamide compositions flame retarded with aluminium hypophosphite
KR100875843B1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KR0168468B1 (ko) 폴리아미드 및 폴리아미드 조성물
JP4128075B2 (ja)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ポリアミドモールド材料
JP3792722B2 (ja) メラミンシアヌレート及び前処理された繊維状充填剤を含有する防炎加工pa成形材料
EP2944674B1 (en) Polyamide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KR100969498B1 (ko) 실록산계 아미드 개질된 나일론
KR20040058211A (ko) 상용화된 폴리아미드 수지로부터 제조한 열가소성 실리콘탄성중합체
EP2687555B1 (en) Polyamide and polyamide composition
US7410695B2 (en) Siloxane based amide modified nylons
US5332777A (en) Unreinforced polyamide molding materials
KR20220075379A (ko) 폴리아미드 조성물
DE102019214712A1 (de) Polyamidzusammensetz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formgegenstand
ZA200309941B (en) Thermoplastic polymer, use thereof in polyamide compositions with improved hydrophily and anti-staticity.
JP7440996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KR20190051012A (ko) 실록산-유기-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EP0382277B1 (en) Polyamide resin composition
JP6843698B2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JP3485717B2 (ja) ポリフタルアミド樹脂配合物
JP2019127500A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KR101288416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얀 제조용 조성물
JP2023086896A (ja) ポリアミド組成物及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