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24B1 -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24B1
KR100968824B1 KR1020080058296A KR20080058296A KR100968824B1 KR 100968824 B1 KR100968824 B1 KR 100968824B1 KR 1020080058296 A KR1020080058296 A KR 1020080058296A KR 20080058296 A KR20080058296 A KR 20080058296A KR 100968824 B1 KR100968824 B1 KR 100968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heat dissipation
dissipation pipe
washer mo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171A (ko
Inventor
백승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24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8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the spreading means being moved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차량용 워셔장치의 워셔모터(30) 측면을 둘러싸는 몸체부(100); 임펠러(4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수밀되도록 마련된 하단 커버부(140); 및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워셔모터(30)의 가동열이 배출되도록 방열 파이프(320)가 구비되며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 상단 커버부(120);를 포함하는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가 소개된다. 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에 의하면, 워셔모터 케이스의 몸체부와 하단 커버부를 밀착 수밀하여 물이 워셔모터 케이스의 하방으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커버부의 방열 파이프를 통하여 모터의 고열을 배출할 수 있다.
워셔 모터, 모터 케이스, 벤트홀

Description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Water-Proof Motor Case For A Washe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글래스를 세척하는 워셔장치의 일부로서, 워셔액에 방출력을 제공하는 워셔모터가 설치되는 워셔모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윈도우나 헤드램프 등에 각종 글래스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글래스를 닦기 위하여 워셔장치가 설치된다. 워셔장치는 워셔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임펠러를 구동하고, 임펠러에 의해 워셔액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원리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종래의 워셔장치의 워셔모터부를 살펴본다.
도 1은 차량의 후드 내측(10) 도면으로서, 종래의 워셔모터는 케이스(20)에 삽입되어 워셔액 저장탱크(14) 하단 측면에 설치되었다. 워셔모터는 임펠러를 구동하여 저장탱크(14)로부터 워셔액을 끌어올려 노즐 측으로 가압한다. 일반적으로 워셔모터는 차량의 후드 내측(10)에 저장탱크(14)와 같이 매설되는데, 우천시 그 후드 프레임(12)을 타고 흘러오는 빗물(W) 등이 직접 낙하되는 자리에 마련되었다. 또는 저장탱크(14)에 워셔액을 채울 때 잘못 흘러 내려가는 워셔액에 노출되는 구조였다.
도 2 및 3은 이러한 워셔모터를 그 외측에서 보호하는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워셔모터는 케이스(22)에 삽입되어 보호되고, 그 케이스(22)의 하단에는 임펠러가 수납되는 임펠러 케이스(24)가 결합되었다. 임펠러 케이스(24)는 모터 케이스(22)와 일정한 간격(23)을 이루도록 결합되며 그 간격(23)을 통하여 모터의 구동으로 인한 고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많은 양의 빗물(W) 등이 상부 케이스(21)를 타고 흘러내릴 경우 모터 케이스(22)와 임펠러 케이스(24)의 간격(23) 사이로 수분(W)이 침투되고, 침투된 수분으로 인하여 모터의 부식이 발생하게 된다. 모터의 부식이 일어날 경우 녹이 발생되고, 녹이 굳어져 모터의 구동력이 저하되거나 구동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즉,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방열 간격(23)을 통하여 침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워셔모터 케이스 내측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모터의 가동으로 인한 고열을 외부로 방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는, 차량용 워셔장치의 워셔모터 측면을 둘러싸는 몸체부; 상기 워셔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임펠러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에 수밀되도록 마련된 하단 커버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워셔모터의 가동열이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뻗은 방열 파이프가 구비되며 그 방열 파이프의 상단부를 통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 상단 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침수 차단부는 상기 방열 파이프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굴곡되어 하향되도록 마련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침수 차단부는 상기 방열 파이프의 끝단 개구부를 가리도록 형성된 지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방열 파이프와 침수 차단부는 한 쌍을 이루며 상단 커버부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에 따르 면, 워셔모터 케이스의 몸체부와 하단 커버부를 밀착 수밀하여 수분이 워셔모터 케이스의 하방으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커버부의 방열 파이프를 통하여 모터의 고열을 배출하고, 침수 차단부가 마련되어 그 방열 파이프를 통한 침수를 방지함으로써 종래의 방열을 유지하면서도 방수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워셔모터 케이스는 차량용 워셔장치의 워셔모터(30) 측면을 둘러싸는 몸체부(100); 상기 워셔모터(30)의 축(32)에 연결되는 임펠러(4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수밀되도록 마련된 하단 커버부(14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워셔모터(30)의 가동열이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뻗은 방열 파이프(320)가 구비되며 그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부를 통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 상단 커버부(120);를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워셔모터(30)를 감싸는 원통형이고, 몸체부(100)의 하단부에는 하단 커버부(140)가 마련된다. 하단 커버부(140)는 별물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하단에 조립되거나 몸체부(100)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하단 커버부(140)에는 모터의 축(32)과 연결된 임펠러(40)가 설치된다. 임펠러(40)의 회전에 의하여 워셔액에 방출력이 가해진다. 하단 커버부(140)와 몸체부(100)는 별물일 경 우나 일체일 경우 모두 수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몸체부(100)의 하방으로부터 물이 침투되어 모터(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부(100)의 하단을 수밀할 경우 모터(30)의 손상은 방지되는 반면, 모터(30)의 가열시 발생되는 열이 몸체부(100)에 잔류하여 모터(30)의 수명이 단축되고 파손의 위험이 증가된다. 따라서 그러한 모터(30)의 가동열을 외부로 방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몸체부(100) 상단에 마련되는 상단 커버부(120)에는 방열 파이프(320)가 마련된다. 상단 커버부(120)는 하단 커버부(140)와 마찬가지로 몸체부(100)와 별물로 형성된 후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되어 수밀되도록 한다. 몸체부(100)와 상단 커버부(120)가 수밀되어 상단 커버부(120)로 떨어지는 물이 몸체부(100)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
상단 커버부에는 워셔모터(30)의 가동열이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뻗은 방열 파이프(320)가 구비되며 그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부를 통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다. 방열 파이프(320)는 원통형 파이프로서, 상단 커버부(120)를 관통하여 몸체부(100)와 연결되고, 그 몸체부(100)의 열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방열 파이프(320)는 수직의 형상으로, 그 방열 파이프(320)를 통하여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다.
침수 차단부는 방열 파이프(320) 또는 상단 커버부(120)에 일체로 또는 별물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도 4의 일 실시예는 침수 차단부가 파이프 형상(340)으로 성형 되어 방열 파이프(320)에 결합된 것이다. 침수 차단부는 방열 파이프(3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굴곡되어 하향하도록 마련된다. 파이프 형상(340)의 개구부가 하향하도록 하여 침수의 가능성을 제거하였고, 그 파이프 형상(340)은 별물로 성형하여 방열 파이프(320)의 끝단부에 결합하거나, 방열 파이프(320)와 일체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침수 차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침수 차단부는 상방에서 방열 파이프(320)의 방수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지붕 형상(360)으로 한다. 지붕 형상(360)은 상단 커버부(120)에 마련되며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측으로 꺾인 형상이다. 지붕 형상(360)이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 개구부를 가리도록 하여 상방에서 떨어지는 물이 방열 파이프(320)를 통해 몸체부(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방열 파이프(320)와 침수 차단부는 한 쌍을 이루며 상단 커버부(120)에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상단 커버부(120)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몸체부(100)의 고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후드 내측에 설치된 워셔모터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워셔모터 케이스를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워셔모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20 : 상단 커버부
140 : 하단 커버부 320 : 방열 파이프
340 : 파이프 형상 360 : 지붕 형상

Claims (4)

  1. 차량용 워셔장치의 워셔모터(30) 측면을 둘러싸는 몸체부(100);
    상기 워셔모터(30)의 축(32)에 연결되는 임펠러(40)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하단부에 수밀되도록 마련된 하단 커버부(140); 및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워셔모터(30)의 가동열이 배출되도록 상방으로 뻗은 방열 파이프(320)가 구비되며 그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부를 통한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침수 차단부가 마련된 상단 커버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침수 차단부는 상기 방열 파이프(320)의 끝단 개구부를 상방에서 가리도록, 상기 상단 커버부(120)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방열 파이프(320)의 상단측으로 꺽여진 지붕 형상(3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 파이프(320)와 침수 차단부는 한 쌍을 이루며 상단 커버부(120)에 복수 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KR1020080058296A 2008-06-20 2008-06-20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KR100968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96A KR100968824B1 (ko) 2008-06-20 2008-06-20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296A KR100968824B1 (ko) 2008-06-20 2008-06-20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71A KR20090132171A (ko) 2009-12-30
KR100968824B1 true KR100968824B1 (ko) 2010-07-08

Family

ID=41691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296A KR100968824B1 (ko) 2008-06-20 2008-06-20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96B1 (ko) * 2010-10-21 2013-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KR101355587B1 (ko) 2011-11-18 2014-01-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40B1 (ko) * 2009-08-31 2011-07-19 (주) 보쉬전장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466U (ja) * 1993-04-09 1994-10-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ポンプモータ装置
JPH09121510A (ja) * 1995-10-25 1997-05-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ファン付モータ
JP2002013499A (ja) * 2000-06-29 2002-01-18 Mitsuba Corp 車両用ポンプモータ
JP2003170816A (ja) * 2001-12-05 2003-06-17 Asmo Co Ltd ウォッシャポンプ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466U (ja) * 1993-04-09 1994-10-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ポンプモータ装置
JPH09121510A (ja) * 1995-10-25 1997-05-06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ファン付モータ
JP2002013499A (ja) * 2000-06-29 2002-01-18 Mitsuba Corp 車両用ポンプモータ
JP2003170816A (ja) * 2001-12-05 2003-06-17 Asmo Co Ltd ウォッシャポンプ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96B1 (ko) * 2010-10-21 2013-01-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KR101355587B1 (ko) 2011-11-18 2014-01-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워셔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171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824B1 (ko)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JP2009131088A (ja) 電気接続箱
CN105705362B (zh) 翻盖模块
KR100848052B1 (ko) 유류탱크용 맨홀구조체
ES2569489T3 (es) Cojinete de mecanismo de limpiaparabrisas
KR101369811B1 (ko) 세척수단을 구비하는 교통신호등 장치
JP4301284B2 (ja) 車両のカウルトップ排水構造
KR20150004210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및 사이드윈도우 빗물제거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KR101219696B1 (ko)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JP5804276B2 (ja) 車両のフロントワイパ装置の支持構造
JP2016083956A (ja) サンルーフのドレイン装置
KR20190002329U (ko) 자동차 와이퍼용 실링캡
KR20070056563A (ko) 자동차용 픽스드 글래스 지지 구조
GB2315251A (en) A reservoir for a motor vehicle
CN201325320Y (zh) 微型农耕机的油箱
JP2008087746A (ja) 収納箱の排水構造
JP2003032835A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KR101427761B1 (ko) 빗물을 활용한 워셔액 분사 장치 및 방법
CN219668161U (zh) 洗涤罐及车辆
US9689734B2 (en) Splash shield for a fluid containment system of a vehicle
KR100902382B1 (ko) 후방 감시용 카메라 장치
KR20060089273A (ko) 자동차용 워셔액 탱크의 구조
KR101241855B1 (ko) 차량용 윈도우 워셔 펌프
JP2004112911A (ja) ハーネスグロメットの水切り構造
KR200201688Y1 (ko) 차량용 전면유리의 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