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040B1 -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 Google Patents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040B1
KR101050040B1 KR1020090110466A KR20090110466A KR101050040B1 KR 101050040 B1 KR101050040 B1 KR 101050040B1 KR 1020090110466 A KR1020090110466 A KR 1020090110466A KR 20090110466 A KR20090110466 A KR 20090110466A KR 101050040 B1 KR101050040 B1 KR 10105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housing
guide passage
vent hol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684A (ko
Inventor
석남영
Original Assignee
(주) 보쉬전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보쉬전장 filed Critical (주) 보쉬전장
Publication of KR2011002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바퀴에 의한 물튀김 또는 장마철 차량의 침수로 인해 와셔모터펌프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모터실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부식 또는 누전으로 인해 작동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임펠러케이스는 하부면에서 상향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통기공과,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 제1통기공과 연통되고 와셔액실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안내로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부면에 상기 공기안내로와 접하여 연통되는 다수의 제2통기공을 포함하며, 모터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2통기공과, 공기안내로 및 제1통기공을 통해 외부와 통기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과 제2통기공을 간접 연결하는 공기안내로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와셔모터펌프, 임펠러케이스, 공기안내로, 통기공, 실링, 누전, 순환

Description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A WASHING FLUID MOTORPUMP WITH A WATERPROOF FUNCTION}
본 발명은 차량 바퀴에 의한 물튀김 또는 장마철 차량의 침수로 인해 모터실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부식 또는 누전으로 인해 작동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공을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에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각 통기공은 임펠러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안내로와 간접연결시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워셔모터펌프는 차량의 앞유리에 물을 분사하기 위해 워셔액을 펌핑하는 펌프이다. 이러한 워셔모터펌프는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와셔액 리저버에 하단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워셔모터펌프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2개의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 승용차에 적용되는 모노타입의 워셔모터펌프와, SUV차량에 적용되어 전방유리창과 더불어 후방유리창에 와셔액을 분출시키기 위해 2개의 유출구를 갖는 듀얼타입 워셔모터펌프로 구분된다.
이러한 워셔모터펌프는 통상 모터에 연결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체를 강제 압송시키기 위해 유입구 또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하우징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캡과, 하우징을 실링하기 위해 하부면에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워셔모터펌프는 모터의 가동으로 인해 가열된 내부 공기를 외부와 통기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하부면에 통기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통기공은 하우징의 하부 측면에 노출된다.
하지만 이러한 워셔모터펌프는 차량 바퀴에 의한 물튀김 또는 장마철 차량의 침수로 인해 통기공을 거쳐 모터실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부식 또는 누전으로 인해 작동불량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워셔모터펌프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종래의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와셔모터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14은 종래의 와셔모터펌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노 타입 와셔모터펌프(1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종래의 와셔모터펌프(10)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터미널캡(13)과, 상기 하우징(11)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12)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은 모터(11c)를 내장할 수 있는 모터실(11b)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모터실(11b)과 상통되는 2개의 통기공(11a)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각 통기공(11a)은 모터실(11b) 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와, 외부의 차가운 공기의 온도 차로 인한 대류 현상을 이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각 통기공(11a)은 하우징(11)의 하부면에 임펠러케이스(12)가 결합된다 하더라도, 통기공(11a)이 형성된 하우징의 외곽은 임펠러케이스(12)와 접하지 않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통기공(11a)은 외부와 직접적으로 통기되기 때문에 차량 바퀴에 의한 물튀김 또는 장마철 차량의 침수로 인해 통기공(11a)을 거쳐 모터실(11b)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부식 또는 누전으로 인해 작동불량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와셔모터펌프(10)는 임펠러케이스(12)와 하우징(11)의 결합구조는 실링되는 면이 1개로 구성되어 실링 효과가 답보(踏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듀얼 타입 와셔모터펌프 역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 타입 와셔모터펌프와 동일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공을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에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각 통기공은 임펠러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안내로와 간접 연결시켜 모터실 내부 공기는 순환시키는 한편, 물의 침투는 차단시켜 내장된 모터의 부식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를 2중 실링 구조로 구성하여 결합면을 따라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와셔모터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와셔액 유입구가 형성되고 모터가 내장되며 상부면에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터미널캡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노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는 와셔액실과 상통되는 와셔액 유출구가 형성되고 와셔액실의 외곽이 하우징의 하부면 외곽과 실링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로 구성되는 와셔모터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는 하부면에서 상향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통기공과,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 제1통기공과 연통되고 와셔액실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안내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에 상기 공기 안내로와 접하여 연통되는 다수의 제2통기공을 포함하며, 모터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2통기공과, 공기안내로 및 제1통기공을 통해 외부와 통기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과 제2통기공을 간접 연결하는 공기안내로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공을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에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각 통기공은 임펠러 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안내로와 간접연결시켜 모터실 내부 공기는 순환시키는 한편, 물의 침투는 차단시켜 내장된 모터의 부식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로는 단절된 호 형태로 형성되어, 단절된 일단과 타단이 각각의 제 1통기공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안내로는 상기 제1통기공으로부터 제2통기공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제1통기공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공기안내로의 경사면에 의해 유입이 제한되고 유입된 수분은 경사면을 따라 제1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안내로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의 통과면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함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공기안내로의 통과면적이 증 가되고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서는 함몰부가 형성된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과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내부 압력 변화에 의해 유입된 수분의 유입속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함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유입된 수분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공기안내로를 통과하는 수분은 속도의 저감으로 인해 공기안내로의 경사면을 따라 제1통기공측으로 역류하게 된다.
또한, 제1통기공을 향한 상기 함몰부의 일측은, 진입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로의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통기공을 향한 상기 함몰부의 타측은, 공기안내로의 내면에 대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안내로에서 제1통기공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은 배출되기 용이하게 하고, 제2통기공(111)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은 진입되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 중앙부위에는 노출된 임펠러의 상부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임펠러케이스의 와셔액실을 실링하는 돌출실링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케이스의 와셔액실은 상기 공기안내로의 안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되고,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가 돌출실링부의 외곽과 접하여 실링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과 임펠러 케이스의 결합은, 상기 공기안내로의 외곽과 하우징 하부면의 외곽이 접하는 제1실링면과, 상기 임펠러 케이스의 단턱부와 하우징의 돌출실링부 외곽이 접하는 제2실링면에 대해 융착 또는 접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면은, 상기 제2실링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가 제1실링면 및 제2실링면에 의한 2중 실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제2실링면이 제1실링면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외부에 접하는 제1실링면의 접합이 장기간 사용이나 외부 물건과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해 파손되어 상기 제1실링면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수분이 제2실링면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는, 하부면에 와셔액실이 형성되고 와셔액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며 모터가 내장되고 상부면에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터미널캡이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노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 외곽과 실링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로 구성되는 와셔모터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는 하부면에서 상향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통기공과,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제1통기공과 연통되는 공기안내로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부면에 상기 공기안내로와 접하여 연통되는 다수의 제2통기공을 포함하며, 모터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1통기공, 공기안내로 및 제2통기공을 통해 외부와 통기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과 제2통기공을 간접 연결하는 공기안내로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각 제2통기공은 상호 대칭 형성되는 2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안내로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홈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케이스는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삽입돌기는 상기 공기안내로의 형성 루트 상에 돌출되어 상기 공기안내로를 2개로 분리 구성시키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함몰홈에 삽입되며, 상기 공기안내로는, 상기 제1통기공으로부터 제2통기공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지 않는 함몰홈에 대응하는 공기안내로의 저면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의 통과면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에 따르면,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기공을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에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 각 통기공은 임펠러케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안내로와 간접연결시켜 모터실 내부 공기는 순환시키는 한편, 물의 침투는 차단시켜 내장된 모터의 부식 및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는 2중 실링 구조로 결합되어 결합면을 따라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200)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와셔액 리저버(210)에 하단에 고정되는 와셔모터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바퀴에 의한 물튀김 또는 장마철 차량의 침수로 인해 와셔모터펌프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해 모터실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어 부식 또는 누전으로 인해 작동불량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100)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100)는 임펠러케이스(130)에 2개의 유출구(136)가 형성된 듀얼 타입이다. 이러한 와셔모터펌프(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제1통기공(131) 및 공기안내로(132)가 형성되는 임펠러케이스(130)와, 제2통기공(111)이 형성되는 하우징(1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외주연의 어느 1개소에 와셔액 유입구(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모터(112a)가 내장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내 장된 모터(112a)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터미널캡(14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면에 노출된 모터(112a)의 회전축에 와셔액을 강제 압송하는 임펠러(120)가 결합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공기안내로(132)와 접하여 연통되는 2개의 제2통기공(111)이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통기공(11)은 하우징(110)에 내장된 모터(112a)의 가동으로 인해 가열되는 모터실(112) 내부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임펠러(120)를 수용하는 와셔액실(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상기 와셔액실(134)에 고인 와셔액이 임펠러(12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와셔액실(134)과 상통되는 2개의 와셔액 유출구(1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하부면에는 상향 관통 형성되는 2개의 제1통기공(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상기 각 제1통기공(131)와 접하여 연통되고 와셔액실(13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안내로(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안내로(132)는 일단 및 타단이 단절된 호 형태를 취한다. 이 때 상기 제1통기공(131)은 임펠러케이스(130)의 1개소에 나란하게 근접 배치되며, 단절된 공기안내로(132)의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각 제1통기공(131)과 직각으로 연통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로(132)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 2개소에 형성된 2개의 제2통기공(111)과 접하여 직각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12a)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110) 내부의 모터실(112) 공기가 제2통기공(111)과, 임펠러케이스(130)의 공기안내로(132) 및 제1통기공(131)을 거쳐 외부와 통기되어 순환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아울러, 침수 또는 물튀김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131)과 제2통기공(111)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공기안내로(132)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물 유입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통기공(131)과 제2통기공(111)의 형상 구조가 "수직형" 구조이고, 공기안내로(132)는 형상 구조가 "수평형" 구조로 구성되어 물의 침투 경로(Route)를 증대시키고, 침투된 물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 중앙부위에는 노출된 임펠러(120)의 상부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와셔액실(134)을 실링하는 돌출실링부(115)가 더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와셔액실(134)은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안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되고,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134a)가 하우징(110)의 돌출실링부(115) 외곽과 접하여 와셔액실(134)이 실링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과 임펠러케이스(130)의 결합은 접착제 또는 모재를 용융시켜 융착 결합될 수 있는데, 융착 또는 접착 부위는 공기안내로(132)의 외곽과, 하우징의 하부면 외곽이 접하는 제1실링면(A)과, 임펠러케이스(130)의 단턱부(134a)와 하우징의 돌출실링부(115) 외곽이 접하는 제2실링면(B)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가 제1실링면(A) 및 제2실링 면(B)에 의한 2중 실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접하는 제1실링면(A)의 접합은 장기간 사용이나 외부 물건과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실링면(A)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도 수분이 제2실링면(B)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실링면(B)이 제1실링면(A)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공기안내로(132)는 하우징(110)과의 실링면 안측에 형성되어 있어, 임펠러케이스(130)의 외곽과 하우징(110)의 외곽이 결합한다 하더라도, 공기안내로(132)가 밀폐되거나 하는 간섭을 받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공기안내로(13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의 유입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안내로(132)는 제1통기공(131)으로부터 제2통기공(111)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통기공(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공기안내로(132)의 경사면(132a)에 의해 유입이 제한되고 유입된 수분은 경사면(132a)을 따라 제1통기공(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안내로(132)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을 늘이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32b)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함몰부(132b)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이 증가되고 함몰부(132b)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 에서는 함몰부(132b)가 형성된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과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유입된 수분에 압력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함몰부(132b)가 형성된 지점에서는 유입된 수분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공기안내로(132)를 통과하는 수분은 속도의 저감으로 인해 공기안내로(132)의 경사면(132a)을 따라 제1통기공(131)측으로 역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로(132)에서 제1통기공(131)을 향한 상기 함몰부(132b)의 일측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안내로(132)의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통기공(111)을 향한 상기 함몰부의 타측은, 공기안내로의 내면에 대해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안내로(132)에서 제1통기공(131)측으로 배출되는 수분은 배출되기 용이하게 하고, 제2통기공(111)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은 진입되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7에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단일의 유출구(136)를 갖는 모노 타입의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1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하우징(110)은 외주연의 2개소에 각각 단일의 와셔액 유출구(117)와 와셔액 유입구(1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모터(112a)가 내장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내장된 모터(112a)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터미널캡(140)이 결합되고, 하부면의 중앙부위에는 단턱부(113a)를 두고 와셔액실(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셔액실(113)에는 모터(112a)의 회전축에 결합된 임펠러(120)가 수용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내장된 모터(112a)의 가동으로 인해 가열되는 모터실(112) 내부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하부면 외곽 2개소에 상호 대칭 형성된 2개의 제2통기공(111)이 형성된다.
이 때 제2통기공(1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곽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홈(114) 중 선택되는 2개의 함몰홈(114) 내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2통기공(111)과 직각으로 접하여 상통되는 공기안내로(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상기 공기안내로(132)와 직각으로 상통되어 외부와 통하는 제1통기공(13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케이스(130)는 일면에 2개의 삽입돌기(133)가 부분 돌출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삽입돌기(133)는 공기안내로(132)의 형성 루트 상에 부분 돌출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공기안내로(132)를 2개로 분리 구성한다.
이렇게 2개로 분리구성된 공기안내로(132)는 하부면에 형성된 제1통기공(131)과 연통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2통기공(111)과는 상호 접하여 연통된다.
이를 통해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10)의 모터실(112) 내부가 제2통기공(111)과, 공기안내로(132)와 제1통기공(131)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기됨에 따라 순환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상부면 중앙부위에는 하우징(110)의 하부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와셔액실(113)을 실링하기 위해 상향 돌출된 돌출실링부(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실링부(135)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단턱부(113a)와 접하여 상기 와셔액실(113)을 실링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과 임펠러케이스(130)의 결합은 접착제 또는 모재를 용융시켜 융착 결합될 수 있는데, 융착 또는 접착 부위는 공기안내로(132)의 외곽과, 하우징의 하부면 외곽이 접하는 제1실링면(A)과, 임펠러케이스(130)의 단턱부(134a)와 하우징의 돌출실링부(115) 외곽이 접하는 제2실링면(B)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과 임펠러케이스가 제1실링면(A) 및 제2실링면(B)에 의한 2중 실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실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때 외부에 접하는 제1실링면(A)의 접합은 장기간 사용이나 외부 물건과의 접촉 또는 충돌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실링면(A)을 통하여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도 수분이 제2실링면(B)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실링면(B)이 제1실링면(A)보다 높게 위치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공기안내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의 유입을 보다 완전히 차단할 수 있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공기안내로(132)는 제1통기공(131)으로부터 제2통기공(111)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통기공(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공기안내로(132)의 경사면(132a)에 의해 유입이 제한되고 유입된 수분은 경사면(132a)을 따라 제1통기공(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모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안내로(132)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32b)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부(132b)는 상기에서 삽입돌기(133)가 삽입되지 않은 함몰홈(114)에 대응되는 공기안내로(132)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함몰부(132b)와 함몰홈(114)이 형성된 지점에서는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이 증가되고 함몰부(132b)와 함몰홈(114)이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서는 함몰부(132b)와 함몰홈(114)이 형성된 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통과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유입된 수분에 유입속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함몰부(132b)와 함몰홈(114)이 형성된 지점에서는 유입된 수분의 속도가 감소하므로, 상기 공기안내로(132)를 통과하는 수분은 속도의 저감으로 인해 공기안내로(132)의 경사면(132a)을 따라 제1통기공(131)측으로 역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안내로(132)에서 제1통기공(131)을 향한 상기 함몰부(132b)의 일측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안내로(132)의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통기공(111)을 향한 상기 함몰부(132b)의 타측은, 공기안내로(132)의 내면에 대해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안내로(132)에서 제1통기공(131)으로 배출되는 수분은 배출되기 용이하게 하고, 제2통기공(111)측으로 유입되는 수분은 진입되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7에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와셔모터펌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와셔모터펌프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종래의 와셔모터펌프를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의 와셔모터펌프
11: 하우징 11a: 통기공
11b: 모터실
11c: 모터
12: 임펠러케이스 13: 터미널캡
100: 수밀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10: 하우징 111: 제 2통기공
112: 모터실 112a: 모터
113: 와셔액실 113a: 단턱부
114: 함몰홈
115: 돌출실링부
116: 유입구
117: 유출구
120: 임펠러
130: 임펠러케이스 131: 제 1통기공
132: 공기안내로
133: 삽입돌기
134: 와셔액실 134a: 단턱부
135: 돌출실링부
136: 유출구
140: 터미널캡
200: 차량 210: 와셔액 리저버

Claims (16)

  1. 와셔액 유입구(116)가 형성되고 모터(112a)가 내장되며 상부면에는 모터(112a)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터미널캡(140)이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노출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120);와, 상기 임펠러(120)를 수용하는 와셔액실(134)과 상통되는 와셔액 유출구(136)가 형성되고 와셔액실(134)의 외곽이 하우징(110)의 하부면 외곽과 실링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130);로 구성되는 와셔모터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는 하부면에서 상향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통기공(131)과,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각 제1통기공(131)과 연통되고 와셔액실(13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안내로(1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면에 상기 공기안내로(132)와 접하여 연통되는 다수의 제2통기공(111)을 포함하며,
    모터(112a)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 2통기공(111)과, 공기안내로(132) 및 제1통기공(131)을 통해 외부와 통기 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131)과 제2통기공(111)을 간접 연결하는 공기안내로(132)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제1통기공(131)은 2개로 구성되며, 1개소에 나란하게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로(132)는 단절된 호 형태로 형성되어, 단절된 일단과 타단이 각각의 제1통기공(131)과 연통되고,
    상기 공기안내로(132)는 상기 제1통기공(131)으로부터 제2통기공(111)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안내로(132)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32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제1통기공을 향한 상기 함몰부(132b)의 일측은, 진입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 중앙부위에는 노출된 임펠러(120)의 상부면을 가이드하고,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와셔액실(134)을 실링하는 돌출실링부(1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와셔액실(134)은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안측에 단차를 두고 형성되고,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부(134a)가 돌출실링부(115)의 외곽과 접하여 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임펠러 케이스의 결합은, 상기 공기안내로의 외곽과 하우징 하부면의 외곽이 접하는 제1실링면(A)과, 상기 임펠러 케이스의 단턱부와 하우징의 돌출실링부 외곽이 접하는 제2실링면(B)에 대해 융착 또는 접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면(A)은, 상기 제2실링면(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9. 하부면에 와셔액실(113)이 형성되고 와셔액 유입구(116) 및 유출구(117)가 형성되며 모터(112a)가 내장되고 상부면에는 모터(112a)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터미널캡(140)이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노출된 모터(112a)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120);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면 외곽과 실링 결합되는 임펠러케이스(130);로 구성되는 와셔모터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는 하부면에서 상향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1통기공(131)과,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제1통기공(131)과 연통되는 공기안내로(1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은 하부면에 상기 공기안내로(132)와 접하여 연통되는 다수의 제2통기공(111)을 포함하며,
    모터(112a)에 의해 가열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제1통기공(131), 공기안내로(132) 및 제2통기공(111)을 통해 외부와 통기시키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제1통기공(131)과 제2통기공(111)을 간접 연결하는 공기안내로(132)를 통해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각 제2통기공(111)은 상호 대칭 형성되는 2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상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홈(114)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는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는 2개의 삽입돌기(133)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삽입돌기(133)는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형성 루트 상에 돌출되어 상기 공기안내로(132)를 2개로 분리 구성시키고,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함몰홈(114)에 삽입되며,
    상기 공기안내로(132)는, 상기 제1통기공(131)으로부터 제2통기공(111)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133)가 삽입되지 않는 함몰홈(114)에 대응하는 공기안내로(132)의 저면에는,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수분의 유입을 지연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통과면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132b)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통기공을 향한 상기 함몰홈(114)과 함몰부(132b)의 일측은, 진입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공기안내로(132)의 내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스(130)의 상부면 중앙부위에는 하우징(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와셔액실(113)을 실링하기 위해 돌출 형성된 돌출실링부(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와셔액실(113)은 상기 돌출실링부(135)와 접하는 단턱부(11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임펠러 케이스의 결합은, 상기 공기안내로의 외곽과 하우징 하부면의 외곽이 접하는 제1실링면(A)과, 상기 임펠러 케이스의 단턱부와 하우징의 돌출실링부 외곽이 접하는 제2실링면(B)에 대해 융착 또는 접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면(A)은, 상기 제2실링면(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KR1020090110466A 2009-08-31 2009-11-16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KR101050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1110 2009-08-31
KR1020090081110 200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684A KR20110023684A (ko) 2011-03-08
KR101050040B1 true KR101050040B1 (ko) 2011-07-19

Family

ID=4381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466A KR101050040B1 (ko) 2009-08-31 2009-11-16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0040B1 (ko)
CN (1) CN1020034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855B1 (ko) * 2011-09-23 2013-03-11 동양기전 주식회사 차량용 윈도우 워셔 펌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1400U (ja) 1982-01-25 1983-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ポンプの通気孔構造
JP2004350458A (ja) * 2003-05-23 2004-12-09 Asmo Co Ltd 車両用モータポンプ装置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JP2007060811A (ja) * 2005-08-24 2007-03-08 Asmo Co Ltd 車両用ファンモータ装置
KR20090132171A (ko) * 2008-06-20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2184A (en) * 1990-06-22 1993-03-09 Mitsuba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Fuel feed pump
CN101334038A (zh) * 2008-07-31 2008-12-31 杭州华宁电器有限公司 一种微型水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1400U (ja) 1982-01-25 1983-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ポンプの通気孔構造
JP2004350458A (ja) * 2003-05-23 2004-12-09 Asmo Co Ltd 車両用モータポンプ装置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JP2007060811A (ja) * 2005-08-24 2007-03-08 Asmo Co Ltd 車両用ファンモータ装置
KR20090132171A (ko) * 2008-06-20 2009-12-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방수형 워셔모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3406A (zh) 2011-04-06
KR20110023684A (ko) 2011-03-08
CN102003406B (zh)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56165B (zh) 水箱及清洁机器人
US20090058139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9278604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JP2014185638A (ja) 選択可能な排出口を有するポンプ
JP3245390B2 (ja) 電動ポンプの通気構造及び電動ポンプ
KR101050040B1 (ko) 수밀 기능을 갖는 와셔모터펌프
CN109156086B (zh) 用于车辆内的电子部件的壳体
KR101695141B1 (ko) 방수 기능이 향상된 워셔액 펌프 장치
KR101770032B1 (ko) 가전제품용 외장부재
US11001126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unit
KR200280975Y1 (ko) 에어밴트
JP200928010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ブロワユニット
CN219400611U (zh) 一种出水装置和花洒
CN112281417B (zh) 洗衣机
KR101807204B1 (ko) 차량용 워셔 펌프 장치
JP4628152B2 (ja) 床置き式空気調和機
CN207335503U (zh) 冷媒冷却式散热器
KR101416695B1 (ko) 세탁기
CN220987918U (zh) 吹风机的手柄和吹风机
CN217987506U (zh) 分水结构及洗碗机
CN109275293B (zh) 温控盒
KR102033708B1 (ko)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CN100370663C (zh) 电接线盒的防水结构
JP3323451B2 (ja) ウォッシャポンプ及び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JP2019041559A (ja) 電子制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