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210B1 - 공기 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210B1
KR100735210B1 KR1020060049276A KR20060049276A KR100735210B1 KR 100735210 B1 KR100735210 B1 KR 100735210B1 KR 1020060049276 A KR1020060049276 A KR 1020060049276A KR 20060049276 A KR20060049276 A KR 20060049276A KR 100735210 B1 KR100735210 B1 KR 100735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drain
heat exchanger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577A (ko
Inventor
노부스케 시라카와
마사야 세이토
히로마사 야마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흡입구(11)와 분출구(12)를 구비한 하우징체(1), 상기 하우징체 내에 수용되어 열교환 공기 유로(R)를 형성하는 송풍기(8), 열교환 공기 유로에 위치하는 열교환기(9) 및 드레인팬(10)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팬은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재치부(20)와, 상기 재치부를 끼워 양 측에 위치하여 열교환 공기 유로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 및 하류측에 설치되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와,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가 받은 드레인수를 재치부의 양 측부에서 일단 재치부 외부로 유출 안내하고, 재치부를 우회하고 나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로 인도하는 제 1 드레인수 유로(27)와 제 2 드레인수 유로(28)를 구비하고, 드레인팬의 2차측에 많이 고이는 드레인수를 원활히 1차측으로 인도하여 드레인수의 배수 처리를 확실히 하고, 열교환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드레인수 유로를 통해 직접 2차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 및 공조 성능의 향상화를 얻을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장치{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실내기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의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의 제 1 드레인수 유로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및
도 6a 및 도 6b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팬의 제 2 드레인수 유로를 설명하고,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체 R : 열교환 공기 유로
8 : 송풍기 9 : 열교환기
10 : 드레인팬 11: 공기 흡입구
12 : 분출구 20 : 재치부
21 :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 22 :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
27 : 제 1 드레인수 유로 28 : 제 2 드레인수 유로
25 : 제 1 볼록부 26 : 제 2 볼록부
본 발명은 천정 내부에 장착되고, 덕트를 통해 천정판에 설치되는 공기 분출구와 연통되는 빌트인 타입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포 등의 넓은 공간을 공조할 경우에는 실내 벽면에 장착되는, 이른바 벽걸이 타입 보다도 천정 내부에 장착되는 빌트인 타입이 유리하다. 즉, 이 종류의 실내기는 덕트를 통해 천정판에 설치되는 1 개 이상의 공기 분출구로 연통되고, 실내에 열교환 공기를 분출할 수 있으므로 거주자에게 압박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실내가 넓은 경우, 넓이에 따라서 적절한 수의 천정 공기 분출구가 분산되어 설치되어, 실내의 균일 공조가 도모된다.
상기 빌트인 타입의 공기조화장치 실내기는 하우징체 내에 송풍기,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재치부(載置部)를 끼우고, 열교환 공기 유로의 상류측(1차측)과 하류측(2차측)에 드레인수 받이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냉동 사이클 운전을 하고, 또한 송풍기를 구동함으로써 열교환기에서 냉매와 실내 공기가 열교환을 하고, 열교환된 공기는 덕트를 통해 실내로 분출된다. 실내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은 열교환에 수반하여 응축되고, 드레인수가 생성되어 드레인팬에 적하된다.
상기 드레인팬의 2차측과 1차측의 받이부를 비교하면 통풍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차분으로 1차측 보다도 2차측에 드레인수가 고이기 쉽다. 또한, 현지에서 시공되는 덕트의 형태에 따라서도 풍량이 크게 변동하고, 송풍기의 송풍량이 많아질수록 2차측에 고이는 드레인수도 많아지고, 그 결과 열교환기 하부가 침수되게 된다.
열교환기 하부에 드레인수가 침수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감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열교환기의 온도 저하에 따라 드레인수가 동결되고, 조건에 따라서는 동결된 얼음이 비대 성장하여, 결국에는 열교환기 자체가 파손에 이를 우려가 있다. 또한, 2차측에 많이 고인 드레인수의 일부가 송풍에 의해 비산되고, 그대로 열교환 공기를 타고 실내로 비산되어 쾌적 공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2-176612호에서는 열교환기에 대한 풍압의 차로 2차측에 많이 고인 드레인수를 원활하게 1차측으로 복귀시키고, 또 용이하게 외부로 배수할 수 있는 드레인수 받이접시를 구비한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인수 받이접시 중앙에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볼록부를 설치하고, 볼록부의 하류측(2차측)에 제 1 홈을 설치하며, 상류측(1차측)에 제 1 홈보다도 깊은 제 2 홈을 설치하여, 이들 제 1 홈과 제 2 홈을 복수개의 경사 통로에서 연통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62-176612호에 의하면 열교환 작용에 따라 열교환기의 표면을 흐르는 드레인수는 송풍기의 풍압의 영향을 받아 하류측에 위치하는 드레인수 받이접시의 제 1 홈에 많이 고인다. 이 드레인수는 볼록부에 설치되 는 경사 통로를 통과하여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 2 홈으로 인도되고, 제 2 홈측에 설치되는 배수관으로부터 하우징체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상기 경사 통로는 송풍기로부터 열교환기를 통해 공기 분출구를 연결하는 직선적인 송풍로 중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로부터 분출된 공기의 대부분은 열교환기로 인도되지만, 일부의 공기는 경사 통로로 들어가 2차측에 위치하는 제 1 홈에 흘러 들어가는 결점이 있다.
즉, 일부의 공기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채, 경사 통로를 통해 직접 2차측으로 흘러 들어가므로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경사 통로로 인도된 드레인수의 일부가 그대로 송풍로 내의 열교환 공기 흐름을 타고 공기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풍압의 영향으로 드레인팬의 2차측에 많이 고이는 드레인수를 원활하게 1차측으로 인도하고, 드레인수의 배수 처리를 확실히 하고,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드레인수의 유로를 통해 직접 2차측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 및 공조 성능의 향상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게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분출구를 구비한 하우징체와, 상기 하우징체 내에 수용되어 구동에 수반하여 공기 흡입구에서 하우징체 내로 열교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분출 구로부터 분출하는 열교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기와, 열교환 공기 유로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팬은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재치부와, 상기 재치부를 끼워 양측에 위치하여 열교환 공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 및 열교환 공기 유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와,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가 받은 드레인수를 재치부의 양 측부에서 일단 재치부 외부로 유출 안내하여 재치부를 우회하고 나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로 인도하는 드레인수 유로를 구비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타입의 공기 조화 장치 실내기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공기 조화 장치 실내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하우징체(1)는 각 면부 전체가 금속 박판을 판금 가공하여 성형되고, 내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단열재가 조립되어 단열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1의 하우징체(1)의 길이 방향(X)의 크기는 길이 방향(X)과는 직교하는 방향, 즉 지면의 표리 방향(이하, 「폭 방향 Y」라고 함)의 크기 보다 작고, 상하(연직) 방향의 크기가 작은 박형 직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하우징체(1)의 X 방향의 양 측면에는 한쌍씩 장착 부재(2)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는 천정 내부(T)에 설치되는 대들보재(3)로부터 늘어져 설치된 매달림 부재(4)가 삽입되고, 또한 장착 고정된다. 하우징체(1)는 천정 내부(T) 중, 즉 대들보 재(3)와 천정판(5)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하우징체(1) 내의 길이 방향(X)의 대략 절반의 길이 위치에는 간막이판(6)이 하우징체(1)의 폭 방향(Y)에 걸쳐 설치된다. 하우징체(1) 내부는 간막이판(6)에 의해 2실(7A, 7B)로 구분되어 있고, 한쪽 실(도면의 우측 실)을 기계실(7A)이라고 하고, 여기에는 송풍기(8)가 수용된다. 간막이판(6)으로 구분되는 다른쪽 실(도면의 좌측 실)을 열교환기실(7B)이라고 하고, 여기에는 열교환기(9)가 수용되고, 이 열교환기(9) 하부에 드레인팬(10)이 배치된다.
상기 기계실(7A)의 하면에 공기 흡입구(11)가 개구되고, 상기 열교환기실(7B)의 정면(도면의 좌측 면)에는 공기 분출구(12)가 개구된다. 상기 하우징체(1)가 천정 내부(T)에 장착 고정된 상태로 상기 공기 흡입구(11)에는 흡입 덕트(13)가 접속되고, 상기 공기 분출구(12)에는 1 개 이상의 분출 덕트(14)가 접속된다.
상기 흡입 덕트(13)는 천정판(5)에 개구된 장착구(15)에 장착된 화장 그릴(decorated gril)(16)에 접속된다. 대들보재(3)와 천정판(5) 사이의 크기에 따라서는 하우징체(1)에 설치되는 공기 흡입구(11)가 직접, 천정판(5)의 장착구(15)에 대향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는 당연히 흡입 덕트(13)를 생략하여 화장 그릴(16)을 장착구(15)에 장착한다.
상기 분출 덕트(14)는 천정판(5)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1 개 이상의 천정 공기 분출구에 연통된다. 즉, 하우징체(1)로부터 도출되는 열교환 공기는 분출 덕트(14)를 통과하여, 상기 천정 공기 분출구로부터 실내로 분출되어 실내의 공조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내가 넓은 경우, 넓이에 따라서 적절한 수의 천정 공기 분출구가 분산되어 설치되고, 실내의 균일한 공조가 도모된다.
상기 기계실(7A)에 수용되는 송풍기(8)는 중앙부에 도시하지 않은 팬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팬 모터는 양 측부에서 회전축이 돌출된 2축 모터이다. 각각의 회전축에는 회전에 따라 축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분출되는 방식의 2 개의 팬(이른바, 다익형(多翼型) 팬)(17)이 연결되고, 또한 각 팬(17)은 팬 케이싱(18)으로 포위된다.
상기 팬 케이싱(18)의 간막이판(6)측 단부에는 분출 노즐(18a)이 형성되고, 상기 간막이판(6)에 개구되는 연통구(19)에 상기 분출 노즐(18a)이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연통구(19)는 팬(17)에 의해 팬 케이싱(18)의 분출 노즐(18a)로부터 분출되는 바람을 직접, 상기 열교환기실(7B)측으로 송풍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실(7B)에 수용되는 열교환기(9)는 그 양측 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단판(端板)이 배치되고, 이 단판 사이에 복수장의 알루미늄 핀(9a)이 소정의 틈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양 단판 및 알루미늄 핀(9a)에 복수개의 전열관(9b)이 관통되어 이루어진 핀 튜브 타입(fin-tube type)의 열교환기이다. 상기 열교환기(9)는 상기 드레인팬(10)상에 상하 방향이 비스듬히 경사진 자세로 얹어 설치되고, 양 단판이 도시하지 않은 고정판을 통해 하우징체(1)에 고정된다.
이는 하우징체(1)가 천정판(T)에 장착되는 관계상, 하우징체(1)의 상하 방향 크기를 가능한한 단축하여 박형화를 도모할 필요성 때문에 열교환기(9)의 상하 방향 크기를 충분한 길이로 설정할 수 없다. 한편, 열교환기(9)의 열교환 면적을 가능한한 확보하여, 열교환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열교환 기(9)를 비스듬히 경사진 자세로 함으로써 상하 방향 크기를 억제하여 박형의 하우징체(1) 내에 수용 가능하게 하고, 또한 충분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0)은 예를 들면 폴리스틸렌 수지 등의 발포성 합성 수지재를 발포하여 얻어지는 성형품으로서, 그 상면측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resin) 등의 합성 수지재로 코팅되어 있다. 드레인팬(10)의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의 크기가 열교환기실(7B)의 길이 방향(X)과 폭 방향(Y)의 크기와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팬(10)을 열교환기실(7B)에 장착한 상태에서 드레인팬(10)은 열교환기실(7B)의 전체 면에 걸쳐 거의 틈이 없는 상태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드레인팬(10)에 대해 상술한다. 도 3은 드레인팬(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드레인팬(10)의 평면도이다.
상기 드레인팬(10)은 열교환기실(7B)에 끼워지므로 하우징체(1)의 폭 방향(Y)과 비교하여 길이 방향(X)이 매우 짧은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드레인팬(10)의 둘레 테두리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한 직립 크기로 형성되는 측벽부(10a∼10d)가 설치되어 있다. 즉, 드레인팬(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측벽부(10a∼10d)는 바닥면에서 상단면까지의 크기가 전체 둘레에 걸쳐 균일하다.
드레인팬(10)의 측벽부(10a∼10d)로 구성되는 저면부는 재치부(20)와, 상기 재치부(20)를 끼운 양측에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와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 및 이들 재치부(20)와 1,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 22)의 측부에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추가 설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9)를 재치부(20)에 얹어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2)를 끼워 후술하는 열교환 공기 유로(R)의 상류측에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가 설치되고, 열교환 공기 유로(R)의 하류측에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9)는 재치부(20)에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측에 비스듬히 경사져 있고, 하부측의 일부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시 도 3, 도 4로 복귀하여, 상기 재치부(20)는 폭 방향(Y)을 따르는 측벽부(10a, 10b)로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고, 열교환기(9)의 하단 둔각부를 재치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된다. 재치부(20)의 한 단부(a)는 수용부(23)를 통해 좌측 측벽부(10c)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타단부(b)는 도면의 우측 측벽부(10d)와 협소한 간극을 두고 설치된다. 재치부(20) 상면을 따라서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갖는 직선 형상의 돌출 제방이 되는 쿠션재가 장착되고, 열교환기(9)에 대한 기계적인 부담을 경감한 상태로 열교환기(9)를 얹어 설치할 수 있다.
각 측벽부(10c, 10b)의 상단면에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까지의 거리와 같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의 깊이는 각 측벽부(10c, 10d) 상면에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의 깊이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는 재치부(20)측이 가장 깊고, 재치부(20)와 길이 방향(X)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측벽부(10a)를 향해 점차 얕아지는 경사로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재치부(20)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의 가장 깊게 형 성되는 부위를 따라서 설치된다. 그리고,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의 가장 깊은 부분이라도 상기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의 깊이 보다도 얕은 것은 상술한 바와 같고, 재치부(20)에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로 1 단 내려간 계단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의 폭 방향(Y)의 양 측부에는 서로 다른 형태의 제 1 볼록부(25)와 제 2 볼록부(26)가 돌출 설치된다. 상기 제 1 볼록부(25)는 상기 재치부(20)의 단부(a)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또한 도면의 좌측의 측벽부(10c)와 나란한 부분과, 상측의 측벽부(10a)와 나란한 부분이 일체로 굴곡 형성되어, 역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볼록부(26)는 재치부(20)의 단부(b)와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우측 측벽부(10a)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볼록부(25, 26)의 상단면과 측벽부(10c, 10d) 상단면과의 간격이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되는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서 재치부(20)측이 가장 깊어지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제 1 및 제 2 볼록부(25, 26)는 재치부(20)측이 가장 높고, 길이 방향(X)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측벽부(10a)를 향해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도 5a, 도 5b는 제 1 볼록부(25)의 측단부(25a)와, 그 근방 부위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6a, 도 6b는 제 2 볼록부(26)의 측단부(26a)와 그 근방 부위의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 1 및 제 2 볼록부(25, 26)의 측단부(25a, 26a)는 재치부(20)의 단부(a, b)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고, 상단면에서 저면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제 1 볼록부(25)의 상면에는 시일 부재(d)가 장착되고, 제 2 볼록부(26)의 적어도 측단부(26a)에도 시일 부재(d)가 장착된다. 측단부(25a, 26a)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재치부(20) 상에 얹어 설치되는 열교환기(9)의 경사 각도와 일치하고, 제 1 및 제 2 볼록부(25, 26)의 측단부(25a, 26a)에 상기 시일재(d)를 통해 열교환기(9)가 접촉한다. 또한, 열교환기(9)의 Y 방향의 길이는 제 1 및 제 2 볼록부(25, 26)사이의 간극 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다.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의 한 측부는 제 1 볼록부(25)의 측단부(25a)와, 재치부(20)의 단부(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연통된다. 이들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제 1 드레인수 유로(27)라고 한다. 또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의 타측부는 제 2 볼록부(26)의 측단부(26a), 측벽부(10a) 및 재치부(20)의 단부(b)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연통된다. 이들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제 2 드레인수 유로(28)라고 한다.
특히,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9)를 재치부(20)상에 얹어 설치한 상태에서 열교환기(9)가 제 1 볼록부(25)의 측단부(25a)상에 접촉하므로 제 1 드레인수 유로(27)의 상방 공간이 열교환기(9)로 막힌 관로로 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9)는 제 2 볼록부(26)의 경사면(26a)상에 접촉하므로 제 2 드레인수 유로(28)의 상방 공간도 열교환기(9)로 막힌 관로로 되어 있다.
단, 재치부(20)의 단부(a)와 제 1 볼록부(25)의 측단부(25a)는 대략 동일선 상에 있고, 제 1 드레인수 유로(27)는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상의 관로가 된다. 재치부(20)의 단부(b)는 제 2 볼록부(26)의 측면 및 측벽부(10d) 내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고, 제 2 드레인수 유로(28)는 평면으로 봐서 키 형상(L자 형상)의 관로가 된다.
상기 제 1 볼록부(25)와 좌측 벽부(10c)로 둘러싸인 상기 수용부(23)는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펌프나 팽창 밸브 및 배관류를 수용한다. 이들 부품을 수용부(23)에 수용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좌측 고정판에 의해 둘러 쌓여 있다. 즉, 상기 좌측 고정판은 평면에서 봐서 역 L자형 판금이고, 제 1 볼록부(25)의 상단면에서 하우징체(1)의 천정면 내측까지의 높이를 갖고, 하우징체(1)의 좌측판과 열교환기(9)의 단판에 고정된다.
좌측 고정판의 열교환기(9)측 단면은 열교환기(9)의 경사 자세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드레인팬(10)을 하우징체(1)에 장착함으로써 제 1 볼록부(25)의 상단면과 좌측 고정판의 하단면이 시일 부재(d)를 통해 접촉한다. 이 좌측 고정판에 의해 수용부(23) 공간과 열교환기실(7B)의 2차측 공간은 구획된다.
또한, 열교환기(9)의 우측 단판은 도시하지 않은 우측 고정판을 통해 하우징체(1)에 고정된다. 상기 좌측 고정판, 우측 고정판 및 열교환기(9)에 의해 열교환기실(7B)의 1차측 공간과 2차측 공간은 구획되고, 이들 공간은 열교환기(9)의 알루미늄 핀(9a) 사이의 간극과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를 통해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제 2 드레인수 통로(27, 28)의 근방에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의 폭 방향(Y)과 대향하는 측벽부(10c, 10d)의 각각에는 배수구(29)가 설치되어 있다. 각 배수구(29)에는 도시하지 않은 드레인 호스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구체(口體)(30)가 측벽부(10a)에서 바깥쪽을 향해 돌출 설치된다. 즉,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고이는 드레인수는 좌우 배수구(29)로부터 접속용 구체(30)와 드레인 호스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실제로는 하우징체(1)를 천정 내부(T)의 소정 부위에 장착한 후, 테스트로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물을 떨어뜨리고, 드레인 호스를 접속하는 측에 물이 흐르도록 하우징체(1)의 장착 자세를 조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이 더 많이 흐르는 측의 접속용 구체(30)에 드레인 호스를 접속하고, 적은 측의 접속용 구체(30)는 마개체로 막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에서, 냉동 사이클 운전과 함께 송풍기(8)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가 화장 그릴(16)과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하우징체(1) 내에 형성되는 열교환 공기 유로(R)를 따라서 인도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 공기는 공기 흡입구(11)로부터 기계실(7A)로 흡입되고, 송풍기(8)를 구성하는 팬 케이싱(18)과, 간막이판(6)에 설치되는 연통구(19)를 통해 열교환기실(7B)로 인도된다.
열교환 공기는 드레인팬(10)에 얹어 설치되는 열교환기(9)를 향해 분출되고, 폭 방향(Y) 전체 길이에 걸쳐 유통하여 열교환기(9)로 인도되는 냉매와 열교환된다. 열교환기(9)와 열교환한 후의 열교환 공기는 분출구(12)로 인도되어 덕트(14)를 통해 실내로 분출되고, 실내를 공조한다.
또한, 드레인팬(10)에 대한 열교환 공기의 흐름을 보면, 처음에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를 통과하고 나서 재치부(20)에 도달하고, 또한 재치부(20)로부터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를 통과하여 분출구(12)로 분출된다. 따라서, 열교환 공기 유로(R)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재치부(20)⇒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 순으로 형성되게 된다.
냉방 운전 시에는 열교환기(9)의 열교환 작용에 수반하여 드레인수가 생성되고, 드레인팬(10)에 적하한다. 한편, 송풍기(8)가 구동되고, 열교환 공기 유로(R)를 따라서 열교환 공기가 송풍된다.
통상, 열교환기(9)에서 생성된 드레인수는 열교환기(9)를 타고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적하하지만, 드레인팬(10)에 얹어 설치되는 열교환기(9)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거의 대부분이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대향하도록 경사지고,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가 상류측에 설치되고,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가 하류측에 설치되므로 풍량이 많거나 드레인수의 발생량이 많으면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적하하는 드레인수 보다도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적하하는 드레인수의 양이 많아진다.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적하한 드레인수는 드레인팬(10)의 배수구(29)로부터 접속용 구체(30)와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적하된 드레인수는 경사 하단에 설치되는 재치부(20) 방향을 향해 흐르지만, 이 재치부(20)는 어느 정도 높이가 있는 돌출 제방이고,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의 폭 방향(Y)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일단 재치 부(20)에서 막는다.
상기 재치부(20)에서 막은 드레인수는 재치부(20)의 좌우 양측 단에 설치되는 제 1 드레인수 유로(27) 또는 제 2 드레인수 유로(28)를 향해 흐르고, 각각의 드레인수 유로(27, 28)를 통과한다. 어떤 드레인수 유로(27, 28)도 재치부(20)의 좌우 양 단부(a, b)를 따라서 형성되므로 드레인수는 재치부(20)로부터 일단 외부로 유출 안내된다.
단,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는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드레인수는 재치부(20)의 양 단부(a, b)를 우회하여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적하된 드레인수는 제 1 드레인수 유로(27) 및 제 2 드레인수 유로(28)를 통해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 집류되고, 여기에서 배수구(29)와 드레인 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열교환기(9)의 장착 자세 및 송풍기(8)의 송풍 작용에 따르는 풍압의 영향으로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많은 드레인수가 적하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와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를 연통하는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는 재치부(20)의 양측 단부(a, b)에서 일단 재치부(20)의 외부로 드레인수를 유출 안내하고, 재치부(20)를 우회하고 나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로 인도하므로 드레인수를 원활히, 또 확실히 배수할 수 있다.
한편, 제 1 드레인수 유로(27)는 재치부(2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2차측 드 레인수 받이부(22)에 제 1 볼록부(25)와 함께 형성되고, 폭 방향(Y)으로 연장되는 직선상 관로에 있어서, 송풍 작용에 수반하여 형성되는 열교환 공기 유로(R)와는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제 1 드레인수 유로(27)에는 열교환 공기 유로(R)를 따라서 송풍되는 열교환 공기가 빠져나가기 어렵다. 제 1 드레인수 유로(27)를 유통하는 드레인수는 송풍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드레인수는 제 1 드레인수 유로(27)를 원활히 흐른다. 또한, 제 2 드레인수 유로(28)는 재치부(2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에 제 2 볼록부(26)과 함께 형성되고, 재치부(20)의 단부(b)를 따라서 키 형상(L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관로이므로 열교환 공기 유로(R)를 따라서 인도되는 열교환 공기가 빠져 나가기 어렵다.
추가 설명하면 제 2 드레인수 유로(27)의 상류측은 드레인팬(10)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벽부(10a)를 따라서 개구되어 있으므로, 송풍기(8)의 송풍 작용에 의한 열교환 공기가 인도되기 어려운 위치에 있다. 비록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에서 제 2 드레인수 유로(28)에 열교환 공기가 침입해도 침입 방향에 대향하여 제 2 볼록부(26)의 측단부(26a)가 존재하므로 열교환 공기는 이 측단부(26a)에 접촉하여 2차측으로의 침입이 차단된다.
제 2 드레인수 유로(28)는 더 직각으로 구부려져 재치부(20)의 단부(b)를 따라서 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볼록부(26)의 측단부(26a)로 진행이 방해받은 열교환 공기가 직각 방향으로 구부려져 안쪽으로 침입하는 것은 거의 없다. 즉, 제 2 드레인수 유로(28)를 유통하는 드레인수도 송풍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드레인수는 제 2 드레인수 유로(28)를 원활히 흐른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를 구성하므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로부터 각 드레인수 유로(27, 28)를 통해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로 분출되는 열교환 공기는 거의 없다. 바꿔 말하면 열교환기(9)를 통하지 않고, 따라서 열교환되지 않은 공기가 제 1, 제 2 드레인수 유로(27, 28)를 통해 직접,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아 열교환 효율의 향상이 얻어진다.
그리고,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로부터 열교환 공기를 타고 분출구(12)와 분출 덕트(14)로 인도되는 드레인수의 비말(飛沫)도 없고, 결국 실내로 인도되는 드레인 비말이 없어져 쾌적 공조가 얻어진다.
또한, 제 1 드레인수 유로(27)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드레인수 유로(28)는 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즉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2)가 받은 드레인수를 재치부(20)의 양 측부에서 일단, 재치부(20) 외부로 유출 안내하고, 재치부(20)를 우회하고 나서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21)로 원활하게 유도하고, 또한 열교환 공기의 유로(R)를 따르지 않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수의 원활한 배수 처리를 하고, 또한 드레인수 유로를 통해 열교환되어 있지 않은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 효율 및 공 조 성능의 향상화를 도모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분출구를 구비한 하우징체,
    상기 하우징체 내에 수용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에서 하우징체 내로 열교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기 분출구에서 분출하는 열교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송풍기,
    상기 열교환 공기 유로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드레인팬을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열교환기를 재치하는 재치부,
    상기 재치부를 끼워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열교환 공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 및 열교환 공기 유로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 및 상기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가 받은 드레인수를 상기 재치부의 양 측부로부터 일단, 재치부 외부로 유출 안내하고, 재치부를 우회하고 나서 상기 1차측 드레인수 받이부로 인도하는 드레인수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팬은 상기 2차측 드레인수 받이부의 양 측부에 볼록부를 구비하 고, 이들 볼록부와 상기 재치부 양측부 및 상기 열교환기 양측부와의 간극에 상기 드레인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60049276A 2005-06-02 2006-06-01 공기 조화장치 KR100735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2717 2005-06-02
JP2005162717A JP4585377B2 (ja) 2005-06-02 2005-06-02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577A KR20060125577A (ko) 2006-12-06
KR100735210B1 true KR100735210B1 (ko) 2007-07-03

Family

ID=3751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276A KR100735210B1 (ko) 2005-06-02 2006-06-01 공기 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585377B2 (ko)
KR (1) KR100735210B1 (ko)
CN (1) CN10047214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060B2 (ja)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JP2014119131A (ja) * 2012-12-13 2014-06-3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402961B2 (ja) * 2013-01-31 2018-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6488011B2 (ja) * 2015-07-08 2019-03-2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06709349U (zh) * 2015-09-29 2017-12-05 三菱电机株式会社 室内机以及空调机
CN107726591A (zh) * 2017-10-31 2018-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接水盘组件及列间空调
JP6685358B2 (ja) * 2018-09-25 2020-04-22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0296531B (zh) * 2019-07-30 2024-07-1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接水盘以及空调器
JP6885479B1 (ja) * 2020-01-20 2021-06-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水体、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空調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723A (ko) 2000-07-26 2002-02-02 구자홍 천정 매립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구조
KR20030072946A (ko)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937A (ja) * 1985-07-12 1987-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3013566B2 (ja) * 1992-01-07 2000-02-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9723A (ko) 2000-07-26 2002-02-02 구자홍 천정 매립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구조
KR20030072946A (ko) 2002-03-07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577A (ko) 2006-12-06
CN1880872A (zh) 2006-12-20
CN100472145C (zh) 2009-03-25
JP4585377B2 (ja) 2010-11-24
JP2006336948A (ja) 200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10B1 (ko) 공기 조화장치
US10054320B2 (en) Indoor device of air conditioner
EP3901526B1 (en) Ceiling-mounted air conditioning unit for a heat pump comprising a refrigerant circuit with a refrigerant leakage sensor
JP4663463B2 (ja) 冷却機器の冷気流通構造
JPWO201418139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JP418703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4183053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238513B1 (ko) 공기조화기
JP4391368B2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JP5772590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7341325B2 (ja) 室外機
WO200913390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AU2003235853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69088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68014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100716251B1 (ko) 공기조화기
WO2005052457A1 (ja) 空気調和装置
KR101468740B1 (ko) 공기 조화기
KR10167696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79213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0139114Y1 (ko) 천정형 공조기의 실내기
KR10038942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20160098885A (ko) 공기 조화기
KR100564455B1 (ko) 공기조화기
JP2017181006A (ja) 天井設置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